KR200426376Y1 - 다기능 매트 - Google Patents

다기능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376Y1
KR200426376Y1 KR2020060015467U KR20060015467U KR200426376Y1 KR 200426376 Y1 KR200426376 Y1 KR 200426376Y1 KR 2020060015467 U KR2020060015467 U KR 2020060015467U KR 20060015467 U KR20060015467 U KR 20060015467U KR 200426376 Y1 KR200426376 Y1 KR 2004263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charcoal
multifunctional
present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전숙
Original Assignee
박전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전숙 filed Critical 박전숙
Priority to KR2020060015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3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3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Abstract

본고안은 차량의 실내를 포함하여 가구라든지 냉장고 및/또는 실내공간에서악취의 제거와 습도의 조절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숯을 주재로 형성되는 다기능 매트에 관한 것이다.
바라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기능 매트는 숯분말에 천연점착제를 혼합하여 다공성으로 형성되고, 부직포에 의한 외장케이스에 수납된다.
상기 매트에는 나노실버가 더 함유되거나, 무광촉매(또는 공기촉매)가 더 코팅된다.

Description

다기능 매트{MULTI-FUNCTIONAL MAT}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를 나타낸 개략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가 외장케이스에 수납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탄내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가 차량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기능 매트, 12: 관통공,
14: 요홈, 20: 외장케이스,
30: 제습제/방향제, 40: 시트
50: 방향제/제습제
본 고안은 다기능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숯을 주재로 형성되어 예컨대 차량 내부를 포함하는 실내공간에서의 조습(調濕)/제습기능과 탈취기능이 발휘되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매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신차(新車)의 경우에도 내부 전장재가 화학성분을 기초로 제조되기 때문에 차내에서 특유한 냄새가 발생되고, 그 내부 전장재의 제조원료에 따라서는 인체의 호흡기질환이라든지 피부질환의 원인으로 되는 유해성분이 방출되는 바, 그 때문에, 최근에는 신차의 경우에도 특유한 냄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진행되는 상황이다.
또, 신차 특유의 냄새가 경시적으로 제거된다 해도 차내에서의 흡연 등에 의해 항시 불유쾌한 냄새가 발생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차내에는 특정한 향을 발산하는 방향제가 배치되거나 분무형 탈취제를 사용하게 되지만, 화학적 성분의 방향제는 그 원료에 따라 오히려 운전자와 탑승자에게 부담을 주는 경우도 초래되고, 분무형 탈취제의 경우에는 일시적인 탈취효과만을 주기 때문에 차내에 그 탈취제를 수시로 분사해야만 된다.
또, 강우시에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차내의 습도가 상당히 높아지게 되어 쾌적한 실내습도의 유지가 곤란하게 되지만, 현재에는 차량의 공조기(즉, 냉방/난방기능의 작동)에 의하지 않고는 특별한 방안이 제안되지 않은 실정이기 때문에 차내의 습도조절에 대한 대책이 제공되면 바람직한 상황이다.
그리고, 가구의 실내공간이라든지 주거시설의 경우 또는 냉장고의 실내공간에도 특유의 불쾌한 냄새가 발생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그 때문에 특히 가구의 경우에는 습기의 제거를 위한 제습제라든지 방향제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숯(특히, 왕겨숯)을 주재로 형성하여 그 숯의 고유한 탈취기능과 조습기능에 의해 차내의 악취제거라든지 습도조절이 달성되도록 하면서 차량의 내기(內氣)가 보다 청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다기능 매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의 냄새를 탈취하기 위한 매트에 있어서, 숯분말에 천연점착제를 혼합하여 다공성으로 형성되고, 부직포에 의한 외장케이스에 수납되는 다기능 매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매트에는 나노실버가 더 함유된다.
또, 상기 매트에는 무광촉매(또는 공기촉매)가 더 코팅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10)는 숯을 주재로 제조되는 바, 그 숯으로는 왕겨숯분말이 대표적으로 적용되지만, 대나무숯 또는 참숯의 분말 도 적용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기능 매트(10)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프레싱과정에서 그 상면에서 하면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공(12)이 형성되도록 하면 숯분말의 기공면적이 증대되어 더욱 유리하게 된다.
또, 상기 숯분말에는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도록 하기 위해 천연의 접착제가 포함되는 바, 그 접착제로는 전분계통의 점착제, 해초류에서 추출된 아교 또는 젤라틴, 황촉규(黃蜀葵-닥풀)의 뿌리 또는 괴목의 껍질에서 추출된 점성의 액체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의 다기능 매트(10)는 천연의 점착제를 숯분말과 혼합하여 다수의 관통공(12)이 형성되는 형태로 프레싱가공하기 때문에 숯의 고유한 특성, 즉 탈취기능과 조습기능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기능 매트(10)는 예컨대 부직포라든지 한지로 제작되는 외장케이스(도 2의 20)내에 수납해도 되는 바, 그 외장케이스(20)의 일측에는 밸크로파스터(20a,20b)가 취뷔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1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바, 그 다기능 매트(10)의 상면에는 요홈(14)이 형성되고, 그 요홈(14)는 제습제라든지 방향제(30)가 추가적으로 수납되도록 해도 된다.
그에 대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바, 그 다기능 매트(10)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12) 중에서 선택되는 관통공에는 발향제(50) 또는 제습제(50)가 수납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1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장케이스(20)에 수납된 상태에서 차량 시트(40)의 아래에 배치하여 신차의 특유한 냄새라든지 실내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거나 실내의 조습이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기능 매트(10)의 요홈(14)에 실리카겔로 대표되는 제습제 또는 허브로 대표되는 천연식물에서 추출된 방향제(30)가 수납되면 차내의 조습기능이 더욱 향상되거나 방향기능이 달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한 다기능 매트(10)는 점착제와 숯분말의 프레싱가공에 의해 형성되지만, 숯분말과 발포성 수지원료를 혼합하여 발포시키고나서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다기능 매트(10)에는 항균력을 보강하기 위해 나노실버가 첨가되어도 되고, 보다 양호한 탈취기능을 위해 무광촉매(또는 인산 이산화티탄의 공기촉매)가 도포되도록 해도 된다.
더욱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10)는 차량에만 적용되지 않고 어떠한 밀폐공간(예컨대, 가구, 냉장고, 화장실 등)에 배치하여 탈취기능과 조습기능 및 항균기능이 달성되도록 해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기능 매트에 의하면 숯을 주재로 다공 성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차량의 실내(또는 밀폐된 공간)에 배치하는 경우 숯 고유의 특성에 의한 탈취기능과 조습기능이 향상되어 실내공기가 일층 청정하게 된다.
또, 주재로서의 숯에 나노실버라든지 무광촉매(또는 공기촉매)가 더 첨가되면 항균기능과 유해성분의 분해능이 더욱 향상되게 된다.

Claims (3)

  1. 실내의 냄새를 탈취하기 위한 매트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숯분말에 천연점착제를 혼합하여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매트는 부직포에 의한 외장케이스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에는 나노실버와 무광촉매가 더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 중 일부에는 제습제와 방향제 중 어느 하나가 메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매트.
KR2020060015467U 2006-06-09 2006-06-09 다기능 매트 KR200426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467U KR200426376Y1 (ko) 2006-06-09 2006-06-09 다기능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467U KR200426376Y1 (ko) 2006-06-09 2006-06-09 다기능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376Y1 true KR200426376Y1 (ko) 2006-09-19

Family

ID=4177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467U KR200426376Y1 (ko) 2006-06-09 2006-06-09 다기능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3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78A (ko) * 2018-07-23 2020-01-3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0778A (ko) * 2018-07-23 2020-01-3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080005B1 (ko) 2018-07-23 2020-02-21 박경애 유해물질 차단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376Y1 (ko) 다기능 매트
KR200391918Y1 (ko) 항균 및 방향 기능이 부여된 탈취ㆍ제습구
JP3208911U (ja) 消臭剤
JP4025134B2 (ja) エアフィルタ
US8434694B2 (en) Door mounted room deodorizer
JP3117753U (ja) 木炭パウダー入りマスク
JP2004065889A (ja) 多機能消臭剤
JP2002177374A (ja) 靴箱消臭材及び靴箱
JP3208912U (ja) 消臭剤
JP2019166260A (ja) 箱形脱臭容器
KR200433641Y1 (ko) 암염을 이용한 탈취장치
KR200412943Y1 (ko) 방향제를 구비한 제습용기
JPS59107135A (ja) 消臭剤入り空調グリル
JP3208910U (ja) 消臭剤
JP3187378U (ja) 二酸化塩素を用いた消臭装置
JPH04108547U (ja) 室内の空気浄化装置
JP3206543U (ja) 多目的ボード
KR200429175Y1 (ko) 차량용 바닥매트
KR20070065286A (ko) 의복 또는 이불에서 인간에게 이로운 향기가 발산되도록장롱을 구성하는 방법
JP3206538U (ja) 多目的シート
JP3136195U (ja) 芳香・防臭具
JP3119853U (ja) 自然循環作用消臭額
JP3688020B2 (ja) 芳香消臭容器
KR20130000393U (ko) 탈취기 및 제습기와 방향기가 구비된 장롱
KR20230001486U (ko) 방향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