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98Y1 - 맨홀 높이 조절구 - Google Patents

맨홀 높이 조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698Y1
KR200425698Y1 KR2020060016250U KR20060016250U KR200425698Y1 KR 200425698 Y1 KR200425698 Y1 KR 200425698Y1 KR 2020060016250 U KR2020060016250 U KR 2020060016250U KR 20060016250 U KR20060016250 U KR 20060016250U KR 200425698 Y1 KR200425698 Y1 KR 200425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grating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삼주
Original Assignee
정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삼주 filed Critical 정삼주
Priority to KR2020060016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6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6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맨홀의 주변을 덧씌우기 할 때 번거로운 작업과정없이 맨홀의 높이를 간단하게 높여주도록 한 맨홀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측에 걸림턱을 갖는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를 맨홀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외주면의 크기가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의 내주면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된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을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에 끼워 구성함에 있어서, 하부에는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도록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의 내주면보다는 작고 걸림턱의 내주면보다는 큰 크기로 된 끼움부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이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의 내주면 크기보다는 큰 받침테두리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받침테두리보다 높은 위치에는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이 걸리도록 내주면이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의 외주면보다는 작은 크기로 된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으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내주면은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맨홀 높이 조절구를 구비하여 그레이팅과 그레이팅 커버 사이, 또는 맨홀뚜껑과 맨홀동체의 사이에 끼워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맨홀 높이 조절구{manhole butterfly valve}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그레이팅 구조물의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높이 조절구가 그레이팅 구조물에 1단만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높이 조절구가 그레이팅 구조물에 2단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일반적인 맨홀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높이 조절구가 맨홀에 1단만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높이 조절구가 맨홀에 2단 적용된 경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그레이팅 커버 111,143,211,243 : 걸림턱
120,220 : 맨홀 130 : 그레이팅
140,240 : 맨홀 높이 조절구 141,241 : 끼움부
142,242 : 받침테두리 210 : 맨홀동체
230 : 맨홀뚜껑
본 고안은 맨홀 높이 조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맨홀의 주변을 덧씌우기 할 때 번거로운 작업과정없이 맨홀의 높이를 간단하게 높여주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그레이팅(Grating)은 옥외 배수로와 같은 맨홀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피가 큰 오물들이 배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격자모양의 철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와 같은 큰 하중이 작용하더라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맨홀의 상부에는 맨홀뚜껑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맨홀 뚜껑 역시 자동차 등의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주철물로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도로의 덧씌우기 포장을 할 때에는 배수로 또는 일반적인 맨홀의 주위 높이가 높아지게 되므로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의 설치 위치를 높여주어야 하는데, 기존에는 덧씌우기 포장을 할 때마다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을 들어낸 후 별도의 시공을 통해 맨홀의 입구부 높이를 높여준 후 다시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을 설치하고, 다시 도로 포장을 하고 있으므로 작업 여건에 따라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공사비가 많이 소비되어 경제적인 부담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부는 그레이팅 커버의 걸림턱 또는 맨홀동체의 걸림턱에 걸릴 수 있는 크기로 되고, 중간부는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더 연장된 크기로 되며, 내측에는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이 걸리도록 걸림턱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도로의 덧씌우기 공사를 할 때 이를 그 덧씌우기 높이에 맞게 다단으로 끼워 넣어 간편한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맨홀 높이 조절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그레이팅 구조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그레이팅 구조물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그레이팅 구조물은 내측에 걸림턱(111)을 갖는 그레이팅 커버(110)가 맨홀(120)의 상단부에 끼워지고, 외주면의 크기가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된 격자형상의 그레이팅(130)이 그레이팅 커버(110)에 끼워져 구성되는데,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높이 조절구는(140), 하부에는 그레이팅 커버(110)의 걸림턱(111)에 걸릴 수 있도록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보다는 작고 걸림턱(111)의 내주면보다는 큰 크기로 된 끼움부(14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그레이팅 커버(110)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의 크기가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보다는 큰 받침테두리(142)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받침테두리보다 높은 위치에는 그레이팅(130)이 걸리도록 내주면이 그레이팅(130)의 외주면보다는 작은 크기로 된 걸림턱(143)이 형성되고, 걸림턱(143)으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내주면은 그레이팅(130)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그레이팅(130)과 그레이팅 커버(110)의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맨홀 높이 조절구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도로의 덧씌우기 포장을 실시할 때 그레이팅(130)을 그레이팅 커버(110)로부터 들어내고, 높이고자 하는 높이에 맞게 맨홀 높이 조절구(140)를 1단 이상 그레이팅 커버(110)에 끼워 넣으면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끼움부(141) 외주면이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 크기보다는 작고 걸림턱(111)의 내주면 크기보다는 크게 이루어지므로 그레이팅 커버(110)의 걸림턱(111)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으며, 또한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받침테두리(142)의 외경이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 크기보다는 큰 크기로 이루어지므로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받침테두리(142)가 그레이팅 커버(110)의 상단부에 얹혀지게 된다.
맨홀 높이 조절구(140)를 1단만 끼울 경우에는 맨홀 높이 조절구(140)를 그레이팅 커버(110)에 끼운 다음 바로 그레이팅(130)을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상부에 끼우면 되는 것으로, 그레이팅(130)의 외주면 크기는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내주면 크기와 동일하고,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내주면 받침테두리보다 높은 위치에는 걸림턱(14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레이팅(130)은 이 걸림턱(143)에 걸려 더 이상 내려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맨홀 높이 조절구(140)를 2단 이상 끼울 때에는 먼저 맨홀 높이 조절구(140)를 그레이팅 커버(110)에 끼운 후 다시 다른 맨홀 높이 조절구(140)를 기 설치되어 있는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위쪽에 끼워 주면되는 것으로,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내주면 크기는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 크기와 동일하므로 맨홀 높이 조절구(140)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마지막 맨홀 높이 조절구(140)의 상부에 그레이팅(130)을 끼워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이 일반적인 맨홀에 적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 일반적인 맨홀은 내측에 걸림턱(211)을 갖는 맨홀동체(210)를 맨홀(220)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외경이 맨홀동체(210)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된 맨홀뚜껑(230)을 맨홀동체(210)에 끼워 구성하게 되는데, 하부에는 맨홀동체(210)의 걸림턱(211)에 걸릴 수 있도록 맨홀동체(210)의 내경보다는 작고 걸림턱(211)의 내경보다는 큰 크기로 된 끼움부(24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맨홀동체(210)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그 외경이 맨홀동체(210)의 내경보다는 큰 받침테두리(242)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받침테두리보다 높은 위치에는 맨홀뚜껑(230)이 걸리도록 내경이 맨홀뚜껑(230)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된 걸림턱(243)이 형성되고, 걸림턱(243)으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내경은 맨홀뚜껑(23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맨홀 높이 조절구(240)를 구비하여 맨홀뚜껑(230)과 맨홀동체(210)의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맨홀 높이 조절구(240)는 전술한 그레이팅 구조물에 적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도로 덧씌우기 포장공사 등을 수행할 때 그 높이고자 하는 높이에 맞게 맨홀 높이 조절구(240)를 맨홀동체(210)의 상단부에 끼워넣고 그 위에 맨홀뚜껑(230)을 얹으면 되는 것으로, 전술한 그레이팅 구조물과 동등한 효능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와, 그레이팅 커버 또는 맨홀동체의 상단부에 얹혀질 수 있는 받침테두리와,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이 얹혀질 수 있는 걸림턱을 갖는 맨홀 높이 조절구를 구비하여 도로 덧씌우기 포장공사시 맨홀 높이 조절구를 그 높이고자 하는 높이에 맞게 다단으로 끼워 넣는 것만으로 그레이팅 또는 맨홀뚜껑을 원하는 높이만큼 높일 수 있으므로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공사기간이 단축되며,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Claims (2)

  1. 내측에 걸림턱(111)을 갖는 그레이팅 커버(110)를 맨홀(120)의 상단부에 끼우고, 외주면의 크기가 상기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의 크기와 동일하게 구성된 격자형상의 그레이팅(130)을 상기 그레이팅 커버(110)에 끼워 구성하는 그레이팅 구조물에 있어서,
    하부에는 상기 그레이팅 커버(110)의 걸림턱(111)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보다는 작고 상기 걸림턱(111)의 내주면보다는 큰 크기로 된 끼움부(14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그레이팅 커버(110)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그 외주면의 크기가 상기 그레이팅 커버(110)의 내주면보다는 큰 받침테두리(142)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받침테두리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그레이팅(130)이 걸리도록 내주면이 상기 그레이팅(130)의 외주면보다는 작은 크기로 된 걸림턱(14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43)으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내주면은 상기 그레이팅(130)의 외주면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높이 조절구.
  2. 내측에 걸림턱(211)을 갖는 맨홀동체(210)를 맨홀(220)의 상단부에 고정하고, 외경이 상기 맨홀동체(210)의 내경과 동일하게 구성된 맨홀뚜껑(230)을 상기 맨홀동체(210)에 끼워 구성하는 일반적인 맨홀에 있어서,
    하부에는 상기 맨홀동체(210)의 걸림턱(211)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맨홀동 체(210)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걸림턱(211)의 내경보다는 큰 크기로 된 끼움부(241)가 형성되고, 중간부에는 상기 맨홀동체(210)의 상단부에 걸릴 수 있도록 그 외경이 상기 맨홀동체(210)의 내경보다는 큰 받침테두리(242)가 형성되며, 내주면의 받침테두리보다 높은 위치에는 상기 맨홀뚜껑(230)이 걸리도록 내경이 상기 맨홀뚜껑(230)의 외경보다는 작은 크기로 된 걸림턱(243)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243)으로부터 상단부까지의 내경은 상기 맨홀뚜껑(23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높이 조절구.
KR2020060016250U 2006-06-16 2006-06-16 맨홀 높이 조절구 KR200425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250U KR200425698Y1 (ko) 2006-06-16 2006-06-16 맨홀 높이 조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250U KR200425698Y1 (ko) 2006-06-16 2006-06-16 맨홀 높이 조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698Y1 true KR200425698Y1 (ko) 2006-09-13

Family

ID=4177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250U KR200425698Y1 (ko) 2006-06-16 2006-06-16 맨홀 높이 조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6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99B1 (ko) * 2007-07-04 2009-08-20 신운철 높이조정이 용이한 맨홀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44028B1 (ko) * 2009-08-14 2010-02-24 (주)창원기술개발 인상링 기능을 갖는 사각철개
KR101704960B1 (ko) * 2016-01-13 2017-02-08 이미출 악취차단이 가능한 맨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99B1 (ko) * 2007-07-04 2009-08-20 신운철 높이조정이 용이한 맨홀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44028B1 (ko) * 2009-08-14 2010-02-24 (주)창원기술개발 인상링 기능을 갖는 사각철개
KR101704960B1 (ko) * 2016-01-13 2017-02-08 이미출 악취차단이 가능한 맨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735B1 (ko) 배기밸브가 장착된 맨홀뚜껑
KR200425698Y1 (ko) 맨홀 높이 조절구
KR101415336B1 (ko) 배수트랩
JP2017525878A (ja) 仮設道路の形成用支持ユニット
KR101114862B1 (ko) 역류 해소 기능을 갖도록 보조덮개를 형성한 맨홀덮개
KR100612088B1 (ko) 맨홀덮개의 높이조절장치
KR101228181B1 (ko) 인상링을 구비한 우수유입 방지용 pps 맨홀
KR101889088B1 (ko) 소음방지 그레이팅
KR102134641B1 (ko) 맨홀뚜껑 인상용 링
JP6080553B2 (ja) グレーチング
US6344137B1 (en) Superimposed drain cover
KR20130142672A (ko) 맨홀 잠금장치
KR20150093547A (ko) 트렌치 커버
CN103938654A (zh) 一种带安全锁紧装置防松型井盖与井座
KR200399178Y1 (ko) 맨홀의 높이조절링
KR100553863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맨홀 뚜껑
KR200313333Y1 (ko) 원격제어 무단주차방지장치
KR101916372B1 (ko) 삼각 트렌치 커버
KR200469484Y1 (ko) 합성수지제 무소음 트렌치커버
KR20150145544A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맨홀 구조
KR102012395B1 (ko) 하수구 악취방지 장치
KR20070081729A (ko) 높이조정용 맨홀 및 그 조정기구
JP3157875U (ja) マンホールカバー
KR100746633B1 (ko) 맨홀
CN207633367U (zh) 公路建造用窨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