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608Y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608Y1
KR200424608Y1 KR2020060013438U KR20060013438U KR200424608Y1 KR 200424608 Y1 KR200424608 Y1 KR 200424608Y1 KR 2020060013438 U KR2020060013438 U KR 2020060013438U KR 20060013438 U KR20060013438 U KR 20060013438U KR 200424608 Y1 KR200424608 Y1 KR 200424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main body
dehydrator
processing apparatus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훈
Original Assignee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압축, 이송 및 배출을 수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탈수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작업시 찌꺼기가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들어오는 음식물 쓰레기가 가공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부(200); 로터리(313)와 라이너(315)를 구비하여서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절단, 및 탈수 가공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를 구동시키는 동력부(400)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탈수, 및 분쇄 처리하는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기 본체(330), 외부의 회전력을 회전축에 의해 인가받아 회전동작하는 스크류 본체(340),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본체(340)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시 압축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추 형태의 노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수기(320)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압축, 탈수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device for disposing food garbage }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로터리와 라이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탈수기 본체와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고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투입부 200 : 챔버부
310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20 : 탈수기
400 : 동력부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압축, 이송 및 배출을 수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탈수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작업시 찌꺼기가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소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방식은 미생물 발효방식과 음식물 쓰레기에 물리적인 힘과 열을 가하여 압축, 탈수, 분쇄, 및 건조 등의 공정을 거치는 기계적인 방식으로 구분되어지며, 기계적인 방식에서는 설치 위치에 따라 싱크대 배수구 일체형과 분리형이 있다.
상기의 기계적 처리방식의 싱크대 배수구 일체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압축, 탈수, 및 분쇄의 방법으로는 통상적으로 다공판의 외통 내부에 원추형의 스크류를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음식물 쓰레기는 최초 원추형의 넓은 쪽에서 투입되고, 원추형의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원추형의 좁은 쪽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이동하면서 압축, 탈수하게 되며, 이때 탈수된 배출수는 다공판의 외통으로 배출을 하고,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 구비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압축에 의한 탈수과정에서 물을 사용하게 되면 압축/탈수된 음식물 쓰레기에 물이 유입되어 압축/탈수의 효과를 상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의 재유입을 보완하는 구조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직하향 이송이 아닌 상부경사 이송토록 하는 등 수위차를 극복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제품의 크기가 커지거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방식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직하향 이송을 하면서 압축/탈수된 물을 다공판의 외통으로 배출하고,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원추형의 스크류 좁은 쪽 바닥면에 좁은 틈새를 두고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켜 맷돌과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별도의 관로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을 동작시키면 음식물 쓰레기는 압축 및 탈수된 수분은 다공판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가 다공판의 구멍을 통하여 수분과 함께 동시에 배출되어 하수구의 막힘 현상과 슬러치 배출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압축, 이송 및 배출을 수행하는 동작 요소에 탈수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탈수 작업시 찌꺼기가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들어오는 음식물 쓰레기가 가공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세 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챔버부(200); 로터리(313)와 라이너(315)를 구비하여서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절단, 및 탈수 가공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를 구동시키는 동력부(400)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탈수, 및 분쇄 처리하는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기 본체(330), 외부의 회전력을 회전축에 의해 인가받아 회전동작하는 스크류 본체(340),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본체(340)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시 압축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추 형태의 노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수기(320)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기(320)는 상기 제 1 배출구(214)에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기 본체(330), 외부의 회전력을 회전축에 의해 인가받아 회전동작하는 스크류 본체(340),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본체(340)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시 압축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추 형태의 노즐(36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내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절삭 스크류(324), 탈수기 본체(330)의 외부에 형성되는 노즐(360)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엌 등에 설치된 싱크대에 장착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투입부(100)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시 그와 혼합되어 있는 물의 일부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배수구(10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부(100)로 공급되면 물이 어느 정도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챔버부(200) 내부로 투입되며, 탈수된 물은 제 1 배수 구(102)에 연결된 호스(미도시)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챔버부(200)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그와 혼합된 물의 배출없이 곧 바로 투입될 수도 있다.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서 유입될 때 물이 어느 정도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챔버부(200)는, 중앙 챔버(210), 후방 챔버(220), 및 전방 챔버(230)로 구성된다.
상기 중앙 챔버(210)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시 물이 분리망(211)을 통해서 음식물 쓰레기와 분리되어 배출되게 하며 음식물 쓰레기의 압축 및 탈수시 형성된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배수로(212) 및 압축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제 1 배출구(214)를 구비하고, 그의 중앙부에는 로터리(313)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412)이 구비되도록 하며, 하단부에는 라이너(315)가 상하 완충가능하게 이동되도록 장착된다. 도 3은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로터리(313)와 라이너(315)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후방 챔버(220)는 중앙 챔버(210)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절단, 및 탈수 가공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는, 상기 동력부(400)와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분쇄, 이송, 및 배출하는 트라이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진 로터리(313)와,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 및 분쇄될 수 있도록 상기 로터리(313)의 첨단부(314)와 접촉되게 상기 중앙 챔버(210)의 하단부에 장착된 라이너(315)를 구비한다.
이때, 로터리(313)는 소정의 탄성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분쇄, 압축, 탈수하고 배출하는 탈수기(320)는 챔버부(200)의 제 1 배출구(214)를 통해 들어오는 압축/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미세하게 압축/분쇄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탈수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탈수기 본체와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탈수기(320)는 상기 제 1 배출구(214)에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기 본체(330), 제 2 동력부(420)의 동력을 인가받아 회전동작하는 스크류 본체(340),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본체(340)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시 압축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추 형태의 노즐(360)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내측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미세하게 압축/분쇄되도록 하는 절삭 스크류(324)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본체(340)는 원추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하고 표면에는 나선형태이고 일정한 간격으로 압축날(35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본체(340)가 제 2 동력부(420)의 동력을 회전축에 의해 인가받아 회전되도록 하면, 원추 형태의 스크류 본체(340)와 스크류 본체(340)의 표면에 형성 되어 있는 압축날(350)의 공간이 후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 본체(340)가 회전하게 되면 압축날(35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다른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대한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투입부(100)를 통해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될 때, 물이 어느 정도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중앙 챔버(210) 내부로 들어가고, 물의 일부가 제 1 배수구(102)와 연결된 호스를 통해서 밖으로 배출된다.
그 다음,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중앙 챔버(210) 내부로 투입되어진 물은 제 1 배수로(212) 및 제 2 배수구(224)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중앙 챔버(210)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동력부(400)의 모터(401)의 동력을 전달받은 캠 샤프트의 회전축(412)이 캠 운동을 하는 트라이앵글 형상의 로터리(313)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로터리(313)는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도 6a 참조), 압축(도 6b 참조), 이송(도 6c 참조), 및 배출(도 6d 참조)의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는 (a)의 공간에 투입되고, 로터리(313)가 회전하면서 (b) 구간에서 압축 및 절단되며 탈수된 수분이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과 분쇄의 과정을 1차 가공부(310)의 로터리(313)에서는 거칠게 처리되므로, 미세한 압축과 분쇄 과정 그리고 탈수 과정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에서 압축 및 절단된 음식물 쓰레기는 (c) 공간을 통해 이송되고 (d) 공간에 위치한 탈수기(320)인 탈수기(320)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탈수기 본체(330)의 내부에서 스크류 본체(340)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탈수된다. 즉, 스크류 본체(340)가 회전하게 되면 스크류 본체(340)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압축날(35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류 본체(340)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스크류 본체(340)의 표면과 압축날(350) 사이의 공간이 축소되면서 음식물 쓰레기가 압축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탈수기(320)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의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탈수기(320)에서 배출되는 수분은 배출구(214)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의 챔버부(300)로 유입된 후, 제 2 배수구(2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탈수기(320)에서 압축된 음식물 쓰레기는 스크류 본체(340)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동하게 된 후, 노즐(3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노즐(360)은 출구 부위가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배출되면서 압축 및 탈수가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노즐(360)을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건조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는 별도의 보관통(미도시)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압축, 이송 및 배출을 수행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탈수 구조물을 별도로 설치하여 음식물 쓰 레기의 탈수 작업시 찌꺼기가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부(100);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들어오는 음식물 쓰레기가 가공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며, 세 개의 챔버로 이루어지는 챔버부(200);
    로터리(313)와 라이너(315)를 구비하여서 상기 투입부(100)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절단, 및 탈수 가공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
    및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를 구동시키는 동력부(400)로 구성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압축, 탈수, 및 분쇄 처리하는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310)의 일측에 연결되고 내측으로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기 본체(330), 외부의 회전력을 회전축에 의해 인가받아 회전동작하는 스크류 본체(340),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본체(340)에 의해 이송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시 압축 및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원추 형태의 노즐(3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탈수기(320)를 추가로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기 본체(330)의 내측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미세하게 압축/분쇄되도록 하는 절삭 스크류(324)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본체(340)는 원추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되고 외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 동작하는 스크류 본체(340), 상기 스크류 본체(340)의 원주면 상에 나선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압축날(3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날(350)의 간격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60013438U 2006-05-19 2006-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4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38U KR200424608Y1 (ko) 2006-05-19 2006-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438U KR200424608Y1 (ko) 2006-05-19 2006-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608Y1 true KR200424608Y1 (ko) 2006-08-28

Family

ID=4177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438U KR200424608Y1 (ko) 2006-05-19 2006-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60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372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06699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1365155B1 (ko) 씽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74442A (ko) 싱크대 설치형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03588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36488B1 (ko)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564211B1 (ko) 건조스크류와 삼각형 형상의 이송커터가 구비된 건조하우징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301687B1 (ko) 야채쓰레기압축기
KR101308800B1 (ko)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KR20042460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423438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7008213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1234A (ko) 폐기물 압축 탈수기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100744895B1 (ko) 로터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7136308A (ja) 生ゴミ破砕機
KR200601277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JPH0311009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S63258656A (ja) 厨芥処理装置
KR20110072482A (ko) 폐합성수지 처리시스템
KR20039678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위한 압축 스크류 구조
KR200290660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건조장치
KR100301934B1 (ko) 음식쓰레기처리장치
KR200157041Y1 (ko) 잔반 처리장치
KR10140700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