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445Y1 -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445Y1
KR200424445Y1 KR2020060014867U KR20060014867U KR200424445Y1 KR 200424445 Y1 KR200424445 Y1 KR 200424445Y1 KR 2020060014867 U KR2020060014867 U KR 2020060014867U KR 20060014867 U KR20060014867 U KR 20060014867U KR 200424445 Y1 KR200424445 Y1 KR 200424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junction box
holder device
bar
fus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호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4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4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 H01R13/684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 H01R13/68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fuse the fuse being removable with housing part adapted for accessing the 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54Protective devices wherein the fuse is carried, held, or retained by an intermediate or auxiliary part removable from the base, or used as sectional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는: 결합공이 양측에 형성된 퓨즈를 정션박스로 이동시키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벌어지도록 복수의 작동바가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및 상기 동작부가 양측에 장착되는 홀더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홀더몸체부, 정션박스, 작동바, 걸림부, 동작부

Description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Fuse holder device for Junction box}
도 1은 일반적인 정션박스에 퓨즈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퓨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홀더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가 퓨즈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가 퓨즈를 내려놓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30 : 지그 32 : 하측구멍
40 : 미디퓨즈 42 : 퓨즈날개
44 : 결합공 46 : 내측면
47 : 미끄럼방지부 48 : 퓨즈몸체
50 : 걸림부 52 : 제1작동바
54 : 제1가이드바 56 : 제2작동바
58 : 제2가이드바 60 : 동작부
70 : 홀더몸체부 72 : 안내판
80 : 측정센서 90 : 공압부재
본 고안은 퓨즈홀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력을 향상시켜 정션박스에 장착되는 퓨즈를 확실하게 이동시키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첨단 전자기술이 적용되는 총합체로 불려지고 있는 자동차의 경우에 수많은 전자부품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이 전자 기술의 적용이 더 추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기 위해 각 전자부품은 전원공급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각 전자부품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선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에는 이 수많은 배선을 보호하기 위해 퓨즈박스(fuse box)를 사용하였으나, 이 퓨즈박스 내부에 수많은 배선들이 각 전자부품으로의 전원공급을 위해 밀집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퓨즈박스는 그 조립과정에서 조립불량 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와 같은 퓨즈박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퓨즈박스 내부의 배선을 인쇄회로기판, 메탈 레이어 등으로 대체하고, 퓨즈박스와 배선을 입출력 커넥터로 연결하여 제작한 것이 정션박스(junction box)이다.
이 정션박스는 그 크기가 콤팩트하여 엔진룸 등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엔진룸에는 대전류, 소전류, 및 신호전류를 공급하는데 있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소전류 및 신호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메탈 레이어를 통해 대전류의 공급을 수행하고 있다.
그리고 정션박스는 차량 전장품의 전원단, 접지, 신호 등을 위한 회로들과 배선 보호용 퓨즈 및 릴레이(relay)류를 집적화 함으로서, 전기/전자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전자 시스템 운영의 안정화를 이루는 역할을 하는 와이어링 하네스(wiring harness) 부품 가운데 매우 중요한 부품이다.
따라서 상기한 정션박스는 현대화된 차량의 핵심 부품으로 자리잡고, 점차 고기능화, 다기능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정션박스에 퓨즈가 장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션박스에 퓨즈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퓨즈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홀더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정션박스(1)에는 퓨즈가 장착되며, 상기와 같은 퓨즈 가운데 양측에 결합공(8)이 형성된 미디퓨즈(midi-fuse)(7)는 가솔린 차량과 디젤 차량에 따라 각각 다른 제1장착부(3)와 제2장착부(5)로 구분된 장착위치를 갖게 된다.
상기 미디퓨즈(7)는 장착 옵션에 따라 상기 제1장착부(3) 또는 제2장착부(5)에 설치되고, 상기 정션박스(1)에 볼트(9)로 체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션박스(1)에 퓨즈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는 회전 동작됨으로 상기 미디퓨즈(7)를 이동레일(13)로 제공하는 공급부(11)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레일(13)을 따라 이동된 미디퓨즈(7)는 지그(15)에 낙하된다.
상기 지그(15)에 미디퓨즈(7)가 낙하되면, 상기 지그(15) 하측에 설치된 수평실린더(17)가 작동되어 상기 지그(15)를 로딩 위치로 수평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지그(15)에 놓인 미디퓨즈(7)는 홀더부재(20)에 의하여 정션박스(1)로 이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부재(20)는 상하 동작되는 수직실린더(22)와 일단에 상기 미디퓨즈(7)의 결합공(8)에 삽입되기 위한 파지핀(26)이 구비된 파지홀더(24)로 구성된다.
상기 미디퓨즈(7)의 결합공(8)에 상기 파지핀(26)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미디퓨즈(7)는 상측으로 올려진 후에 상기 정션박스(1)로 내려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파지핀(26)은 단순하게 결합공(8)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홀더부재(20)와 상기 미디퓨즈(7) 간에 결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상기 미디퓨즈(7)가 이동중에 낙하되거나 상기 정션박스(1)에 상기 미디퓨즈(7)가 이동 완료 후에도 상기 파지핀(26)에서 상기 미디퓨즈(7)가 이탈되지 않아서 작업불량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정션박스에 퓨즈를 장착하는 자동화 공정에 있어서, 퓨즈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 동작불량이 발생됨을 방지 할 수 있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는: 결합공이 양측에 형성된 퓨즈를 정션박스로 이동시키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벌어지도록 복수의 작동바가 구비된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및 상기 동작부가 양측에 장착되는 홀더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걸림부는 제1작동바와 제2작동바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바와 상기 제2작동바의 하측에는 점차 가늘어져서 뾰족한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바와 제2가이드바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퓨즈의 장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센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퓨즈를 착탈하는 공압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정션박스에 퓨즈를 장착함에 있어서, 퓨즈의 착탈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동작신뢰성이 향상된 작동상태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정션박스용 퓨즈를 파지하는 퓨즈홀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가 퓨즈를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가 퓨 즈를 내려놓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을 통하여 지그(30)로 공급된 미디퓨즈(40)(midi-fuse)는 지그(30)의 하측구멍(32)과 미디퓨즈(40)의 결합공(44)이 연통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미디퓨즈(40)는 퓨즈의 일종으로서, 다른 종류의 퓨즈로 교체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미디퓨즈(40)는 퓨즈날개(42)와 퓨즈몸체(48)로 구분되며, 상기 퓨즈몸체(48) 양측에 결합공(44)이 구비된 퓨즈날개(42)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44)의 내측면(46)에는 미끄럼방지부(47)가 형성되며, 상기 미끄럼방지부(47)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코팅이 되거나, 빗살무늬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미디퓨즈(40)를 지그(30)에서 들어올려 정션박스로 이동하기 위한 퓨즈홀더 장치는 상기 결합공(44)에 삽입되어 벌어지도록 복수의 작동바가 구비된 걸림부(50)와, 상기 걸림부(50)가 벌어지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작부(60)와, 상기 동작부(60)가 양측에 장착되는 홀더몸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림부(50)는 제1작동바(52)와 제2작동바(56)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동작되며, 상기 제1작동바(52)와 상기 제2작동바(56)의 하측에는 단차진 형상으로 점차 가늘어져서 뾰족한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바(54)와 제2가이드바(5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60)는 공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에어척으로 이에 대한 구성은 공지되었기에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부(60)는 리니어모터 등 수평으로 왕복운동을 제공하는 다른 동력수단으로 대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동작부(60)는 상기 제1작동바(52)와 제2작동바(56)가 벌어졌다 오므려지는 동작을 반복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부(70)에는 상기 퓨즈의 장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센서(80)가 구비되며, 상기 측정센서(80)는 리미트스위치와 같은 접촉식이나 광센서와 같은 비접촉신 센서가 설치되며,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몸체부(70)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부(70)에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퓨즈를 착탈하는 공압부재(90)가 구비되며, 외측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퓨즈(40)를 흡입하거나 불어서 이탈시키는 동작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몸체부(70)의 하측에서 상기 미디퓨즈(40)가 장착된 방향으로 안내판(72)이 연장되어 상기 미디퓨즈(40)가 상기 홀더몸체부(70) 하측에 고정된 상태를 안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디퓨즈(40)가 지그(30) 상측에 올려진 상태에서 정션박스용 퓨즈홀더장치가 하강하여 제1작동바(52)와 제2작동바(56)가 결합공(44) 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60)의 작동에 의하여 제1작동바(52)와 제2작동바(56)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미끄럼방지부(47)가 형성된 내측면(46)을 가압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47)에 의하여 상기 제1작동바(52)와 제2작동바(56)가 상기 내측면(46)에 접한 상태에서의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상기 제1작동바(52)와 제2작동바(56)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미디퓨즈(40)는 상기 홀더몸체부(70)에 고정되며, 상기 측정센서(80)에 의하여 상기 미디퓨즈(40)가 상기 홀더몸체부(70)에 장착된 상태가 확인된다.
이때, 상기 공압부재(90)의 연결관에 의하여 진공압이 발생됨으로 상기 미디퓨즈(40)가 상기 홀더몸체부(70)에 결합상태가 견고히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가 정션박스로 이동한 후, 상기 홀더몸체부(70)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동작부(60)가 작동되어 상기 제1작동바(52)와 제2작동바(56)가 오므라지게 되며, 상기 공압부재(90)의 연결관에서는 공압이 분출됨으로 상기 미디퓨즈(40)가 정션박스 내측에 안착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정션박스에 구비되는 퓨즈홀더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정션박스가 아닌 다른 장치에 장착되는 퓨즈의 장착에도 본 고안의 퓨즈홀더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는 종래 고안과 달리 정션박스에 장착되는 퓨즈의 파지와 탈거가 용이하게 됨으로 동작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6)

  1. 결합공이 양측에 형성된 퓨즈를 정션박스로 이동시키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벌어지도록 복수의 작동바가 구비된 걸림부;
    상기 걸림부가 벌어지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작부; 및
    상기 동작부가 양측에 장착되는 홀더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제1작동바와 제2작동바로 구성되어 수평으로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동바와 상기 제2작동바의 하측에는 점차 가늘어져서 뾰족한 형상을 갖는 제1가이드바와 제2가이드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퓨즈의 장착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센서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공압을 이용하여 상기 퓨즈를 착탈하는 공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미끄럼방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KR2020060014867U 2006-06-02 2006-06-02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KR200424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867U KR200424445Y1 (ko) 2006-06-02 2006-06-02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867U KR200424445Y1 (ko) 2006-06-02 2006-06-02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445Y1 true KR200424445Y1 (ko) 2006-08-22

Family

ID=4177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867U KR200424445Y1 (ko) 2006-06-02 2006-06-02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4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384A1 (ja) * 2020-02-05 2021-08-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7384A1 (ja) * 2020-02-05 2021-08-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2021125965A (ja) * 2020-02-05 2021-08-3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CN115244809A (zh) * 2020-02-05 2022-10-25 住友电装株式会社 电气连接箱
JP7294173B2 (ja) 2020-02-05 2023-06-2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25808B (zh) 用于车辆的覆盖件的闩锁操作的闩锁组件
US6373713B1 (en) Single handle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insertion, extraction, sensing and locking mechanism
US8062079B2 (en) Connector clamp with opening unit
US11834873B2 (en) Side-door lock for a motor vehicle
JP2001186640A (ja) 車両用電装機器の強制駆動装置
DE50014496D1 (de) Elektronikteil, insbesondere für eine mit ventilen ausgestattete steuereinrichtung
KR101364485B1 (ko) 기판장착장치, 테스트 헤드 및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1606569B1 (ko) 차량용 케이블의 검사장치
KR100332454B1 (ko) 단자 접속 장치
US6733344B2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KR200424445Y1 (ko) 정션박스용 퓨즈홀더 장치
KR200424292Y1 (ko) 정션박스용 퓨즈 이송장치
JPWO2003020626A1 (ja) 操作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乗場装置及び乗りかご
KR100716118B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및 그 공정
KR200416163Y1 (ko) 정션박스용 버스바 도통검사 장치
JP4056652B2 (ja) 樹脂封止装置及び金型取付方法
CN110601100A (zh) 连接器同步弹出系统
CN102648508B (zh) 一种接触器
CN214730974U (zh) 用于储存部件承载件的容器
JP2017169379A (ja) コネクタの保持材
KR200417276Y1 (ko) 정션박스용 절연판의 이송장치
CN220291340U (zh) 简易开盖装置
JP2546164Y2 (ja) 電子回路パッケージ着脱機構
KR200402064Y1 (ko) 공정이송장치
KR20010068064A (ko) 탈착이 용이한 전기배선 검사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