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127Y1 -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 Google Patents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127Y1
KR200424127Y1 KR2020060013725U KR20060013725U KR200424127Y1 KR 200424127 Y1 KR200424127 Y1 KR 200424127Y1 KR 2020060013725 U KR2020060013725 U KR 2020060013725U KR 20060013725 U KR20060013725 U KR 20060013725U KR 200424127 Y1 KR200424127 Y1 KR 200424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rubber
runner
hrb
rubber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김종석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1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1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37Heating or coo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2045/2683Plurality of independent mould cavities in a singl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88Nozzle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마운트 제품과 같은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런너 끝단부에 대한 고무액 흐름 구조를 열전달이 용이한 구조로 새롭게 개선하여, 금형의 캐비티로 공급되는 가류매체(이하, 고무라 칭함)의 가류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과 함께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위쪽에서부터 상부히터가 내재된 상열판과, 저면에 상부코어를 갖는 상금형과, 다수개의 캐비티를 갖는 하금형과, 하부히터가 내재된 하열판이 차례로 적층 조립된 구조의 HRB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열판과 상금형간의 맞닿은 면에 소정의 분기경로를 이루며 형성되어 고무액의 흐름통로가 되는 런너의 단면 구조가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런너를 통과하는 고무액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를 제공한다.
HRB금형, 고무류 제품, 가류시간 단축, 런너, 납작한 직사각형 단면 구조

Description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Hot runner block structure for manufacturing rubber products}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 구조로서, 고무액의 충진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A-A선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고무액열전달통로 구조가 형성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런너부만을 나타낸 개략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기존의 런너 끝단부 단면 구조 및 본 고안의 런너 끝단부(고무액열전달통로)단면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열판 12 : 상부히터
14 : 상금형 16 : 상부코어
18 : 캐비티 20 : 하금형
22 : 하열판 24 : 하부히터
26 : 고무액투입구 28 : 사출게이트
30 : 런너 32 : 고무액열전달통로
34 : 고무류 제품 36 :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
본 고안은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마운트 제품과 같은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런너 끝단부에 대한 고무액 흐름 구조를 열전달이 용이한 구조로 새롭게 개선하여, 금형의 캐비티로 공급되는 가류매체(이하, 고무라 칭함)의 가류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과 함께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은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인 변화,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 운동부분의 관성력, 커넥팅 로드가 크랭크 축의 좌우로 흔들리는 것에 의한 관성력, 크랭크 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인 변화 등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항상 진동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엔진의 진동 발생은 여러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엔진의 상하 및 좌우방향 등으로 발생되는 바, 엔진으로부터 필연적으로 발생된 진동이 차 량의 실내로 전달되면, 운행환경을 해칠 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 큰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엔진과 차체 사이에는 동력발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엔진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쇄시켜주는 엔진 마운트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또한 변속기와 차체 사이에도 변속기 마운트가 설치되고 있다.
대개, 엔진 마운트는 엔진을 지지하는 금속재의 브라켓과, 차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 인슐레이터와, 이 고무 인슐레이터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터드 및, 상기 고무 인슐레이터의 위쪽에 스터드가 관통되며 일체로 설치되는 방진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엔진 마운트를 비롯한 각종 고무류 제품은 소정의 금형에 고무액을 충진하는 동시에 가류시켜 제조하고 있는 바, HRB(COLD RUNNER BLOCK) 금형, HRB(HOT RUNNER BLOCK) 금형, 단일 캐비티를 갖는 금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HRB 금형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금형 장치는 그 모델만 다를 뿐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바,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HRB 금형을 크게 나누어보면,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100)와, 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고무액이 금형의 각 캐비티로쪽으로 분기되는 경로인 원료충진경로부(200)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300)가 위쪽에서부터 차례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원료공급부(100)는 유압모터(102) 및 이 유압모터(102)의 축과 연결되는 이송스크류(104)가 내장된 형태의 수평실린더(106)와, 상기 이송스크류(104)의 끝단에 부착되어 고무액을 1차 가압하는 제1인젝션 플런져(108)와, 상기 수평실린더(106)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수직실린더(110)와, 이 수직실린더(110)로 공급된 고무액을 수직방향으로 2차 가압하는 제2인젝션 플런져(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료충진경로부(200) 고무액의 흐름경로가 되는 곳으로서, 첨부한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장 위쪽으로부터 상부히터(12)가 내재된 상열판(10)과, 저면에 상부코어(16)를 갖는 상금형(14)이 적층 조립된 구조이고, 상기 성형부(300)는 상부코어(16)와 상하로 일치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캐비티(18)를 갖는 하금형(20)과, 하부히터(24)가 내재된 하열판(22)이 차례로 적층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상열판(10)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무액 인젝션 노즐에 의한 고무액투입구(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열판(10)과 상금형(14)이 맞닿아 있는 곳에는 상기 고무액투입구(26)로부터 소정의 분기된 경로를 이루는 런너(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런너(30)의 각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사출게이트(28) 입구가 위치되며, 이 사출게이트(28)는 상기 상금형(14) 및 상부코어(16)를 수직 관통하여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와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기존의 런너(30) 단면 구조는 첨부한 도 6의 개념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위로 볼록한 반원형중 선택된 하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HRB 금형의 작동 흐름을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고무원료를 원료공급부(100)에 공급하는 동시에 유압모터(102)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스크류(104)의 이송력에 의하여 스크류 끝단에 부착된 제1인젝션 플런져(108)가 고무원료를 수평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 바, 이때 고무원료는 미도시된 가열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로 서서히 가열된다.
즉, 고무원재료는 개량수단에 의해 적정량(일회 고무제품이 성형될 수 있을 만큼의 고무 원재료량)으로 이미 개량된 상태이면서 미도시된 가열수단에 의해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로 가열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1인젝션 플런져(108)의 가압에 의하여 고무액은 수평실린더(106)로부터 수직실린더(110)의 내부로 공급된 후, 수직실린더(110)의 제1인젝션 플런져(108)의 가압을 받아서 하방향에 있는 원료충진경로부(200)로 이송된다.
이에, 상기 원료충진경로부(200)의 상열판(10)에 형성된 고무액투입구(26)로 고무액이 투입되는 동시에 상기 상열판(10)과 상금형(14)의 밀착면에 형성된 런너(30)를 따라 흐르게 되고, 연이어 고무액은 런너(30)의 각 끝단에 위치된 사출게이트(28)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어서, 고무액은 상기 상금형(14) 및 상부코어(16)에 수직 관통되어 있는 사출게이트(28)를 통하여 상기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로 최종 공급된다.
최종적으로, 고무액은 상기 하금형(20)의 캐비티(18) 내부로 채워지게 된 후, 하금형(20) 저면에 장착된 하열판(22)의 히터(24)에 의하여 가열되며, 이때 고무액은 고무액의 설정온도(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가열되며, 결국 고무액은 원하는 수준으로 완전 가류되는 동시에 금속 브라켓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엔진 마운트와 같은 고무류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HRB금형은 CRB금형과 같이 저온유지부가 없기 때문에 상기 하열판(22)의 히터열이 런너(30)부쪽으로 전달됨과 함께 런너(30)내의 고무액이 익어버리기 때문에 연속공정을 위한 재사용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HRB금형에 있어서, 고무액이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 내부로 채워진 후, 완전 가류에 필요한 온도인 약 170∼180℃까지 상승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단위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즉, 최초 공급 시점의 고무액(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인 약 70∼80℃)이 상기 런너(30) 및 사출게이트 등을 차례로 거쳐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로 최종 공급되는 동안, 고무액의 외곽부분에 대한 온도만이 조금 상승할 뿐 고무액의 중심부 온도 상승은 미약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내에서 완전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로 가열되어야 되므로, 고무류 제품을 제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고, 그에따라 단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상기 런너 및 사출게이트를 차례로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내외부 온도가 균일하게 상승하여 각 캐비티에서 최종 가 류되는 시간을 줄여주는 것이 단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관건이라 하겠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한 결과,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런너 및 사출게이트를 차례로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외곽부분만 온도가 조금 상승하고 그 중심부의 온도는 거의 상승하지 못하는 원인중 하나가 상기 런너의 단면구조가 원형,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위로 볼록한 반원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 구조로 되어 있어 런너를 흐르는 고무액의 중심부까지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HRB금형의 런너 구간중 사출게이트의 입구 바로 전(前) 구간을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구조, 즉 가열수단에 의하여 고무액에 전달되는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개선하여, 고무액이 런너의 각 끝단부를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내외부 온도가 가류 전 온도까지 균일하게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하금형의 각 캐비티에서 고무액이 최종 가류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주어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위쪽에서부터 상부히터가 내재된 상열판과, 사출게이트가 형성된 상부코어를 갖는 상금형과, 다수개의 캐비티를 갖는 하금형과, 하부히터가 내재된 하열판이 차례로 적층 조립된 구조의 HRB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열판과 상금형간의 맞닿은 면에 소정의 분기경로를 이루며 형성되어 고무액의 흐름통로가 되는 런너의 단면 구조가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런너를 통과하는 고무액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런너의 단면 구조는 납작한 두께의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납작한 두께의 직사각형 단면 구간은 런너의 전체 길이 구간중 끝단부 일부구간인 상기 상금형과 상부코어에 관통 형성된 사출게이트의 입구 바로 전(前) 일부구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런너의 직사각형 단면 구간의 납작한 두께는 1∼5mm 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사출게이트의 끝단 노즐부는 시트(sheet) 형상의 납작한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HRB금형의 캐비티에서 고무액의 최종 가류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 주어 고무류 제품(예를들어, 엔진 마운트 등)에 대한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HRB금형의 전체 구성을 크게 나누어보면,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100)와, 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고무액이 금형의 각 캐비티로쪽으로 분기되는 경로인 원료충진경로부(200)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300)가 위쪽에서부터 차례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고, 특히 상기 원료충진경로부(200)는 고무액의 흐름경로가 되는 곳으로서, 가장 위쪽으로부터 상부히터(12)가 내재된 상열판(10)과, 저면에 상부코어(16)를 갖는 상금형(14)이 적층 조립된 구조이고, 상기 성형부(300)는 상부코어(16)와 상하로 일치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캐비티(18)를 갖는 하금형(20)과, 하부히터(24)가 내재된 하열판(22)이 차례로 적층 조립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상열판(10)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무액 인젝션 노즐에 의한 고무액투입구(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열판(10)과 상금형(14)이 맞닿아 있는 곳에는 상기 고무액투입구(26)로부터 소정의 분기된 경로를 이루는 런너(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런너(30)의 각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사출게이트(28) 입구가 위치되며, 이 사출게이트(28)는 상기 상금형(14) 및 상부코어(16)를 수직 관통하여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와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기존의 런너(30)는 도 6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직선형의 단순한 구간을 가지면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원형,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위로 볼록한 반원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런너(30) 및 사출게이트(28)를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외곽부분만 온도가 조금 상승하고 그 중심부의 온도는 거의 상승하지 못하여, 결국 각 캐비티()에서 오랜 시간 동안 머물면서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로 가열됨에 따라, 고무류 제품을 제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고, 그에따라 단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은 상기 상열판과 상금형간의 맞닿은 면에 형성된 런너의 단면 구조를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구조, 즉 가열수단(하금형의 아래에 배치된 하열판의 히터)에 의하여 고무액에 전달되는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개선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런너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 구조로서, 고무액의 충진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1a 및 도 1b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런너(30)는 상기 상열판(10)과 상금형(14)간의 맞닿은 면에 소정의 분기경로를 이루며 형성된 고무액의 흐름통로로서, 상기 상열판(10)의 중앙에 관통 형성된 고무액투입구(26)를 통하여 고무액이 주입된 후 고무액이 사출게이트(28)쪽으로 흐르는 통로가 된다.
또한, 상기 런너(30)의 각 끝단부에는 다수개의 사출게이트(28) 입구가 위치 되며, 이 사출게이트(28)는 상기 상금형(10) 및 상부코어(16)를 수직 관통하여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와 연통되는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런너(30)의 단면 구조는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런너(30)를 통과하는 고무액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의 런너(30) 단면 구조를 약 1∼5mm 정도의 납작한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이하, 상세한 설명에 고무액 열전달통로라 칭함)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납작한 직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는 고무액 열전달통로(32)는 런너(30)의 전체 길이 구간중 일부구간에만 형성되는 바, 첨부한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상금형(14)과 상부코어(16)에 관통 형성된 사출게이트(28)의 입구 바로 전(前) 일부구간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고무액 열전달통로(32)는 상기 하금형(20)의 아래에 배치된 하열판(22)의 히터(24) 열을 전달받으면서 각 캐비티(18)로 최종 주입되기 전에 고무액의 온도 상승에 용이한 위치이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상기 고무액 열전달통로(32)를 흐르는 고무액은 그 중심부까지 고르게 열이 전달되어 원료공급단계에서의 고무액 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런너 단면 구조에 따른 고무액 성형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무액이 상기 상열판(10)의 고무액투입구(26)에 투입되는 동시에 상 기 상열판(10)과 상금형(14)이 맞닿아 형성된 런너(30)로 고무액이 흐르게 된다.
연이어, 상기 고무액은 런너(30)의 끝단부에 위치된 사출게이트(28)를 통하여 상기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로 충진되어 가류에 필요한 온도인 약 170∼180℃까지 가열되어, 최종 고무류 제품(34: 예를들어, 엔진마운트)으로 성형된다.
이때, 상기 고무액이 런너(30)의 끝단부 즉, 납작한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의 고무액열전달통로(32)를 흐를 때, 하열판(22)의 히터(24) 열이 그 중심부까지 고르게 전달되며, 결국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가 된다.
이에, 상기 고무액은 고무액열전달통로(32)를 지나면서 그 내외부가 고르게 가열되어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70∼80℃보다 상승된 상태이므로, 상기 사출게이트(28)를 거쳐 각 캐비티(18)로 충진된 후, 하열판(22)의 히터(24)에 의한 가열에 의거하여 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출게이트(28)의 끝단 노즐부는 첨부한 도 1a 및 도 1b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그 단면 구조가 시트(sheet) 형상인 직사각형의 납작한 구조로 형성된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36)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36)를 지나는 고무액은 상기 캐비티(18)로 최종 공급되기 전에 열전달을 더 받게 되어, 캐비티(18)내의 고무액은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더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결국, 상기 하금형(20)의 각 캐비티(18)내에서 고무액의 완전 가류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동시에 금속 브라켓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엔진 마운트와 같은 고무류 제품(34)의 성형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그에따라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에 의하면, HRB금형의 런너 구간중 사출게이트의 입구 바로 전(前) 구간을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구조, 즉 가열수단에 의하여 고무액에 전달되는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개선하여, 고무액이 런너의 각 끝단부를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내외부 온도가 가류 전 온도까지 균일하게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하금형의 각 캐비티에서 고무액이 최종 가류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줄 수 있고, 그에따라 고무류 제품에 대한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위쪽에서부터 상부히터가 내재된 상열판과, 사출캐비티가 형성된 상부코어를 갖는 상금형과, 다수개의 캐비티를 갖는 하금형과, 하부히터가 내재된 하열판이 차례로 적층 조립된 구조의 HRB 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열판과 상금형간의 맞닿은 면에 소정의 분기경로를 이루며 형성되어 고무액의 흐름통로가 되는 런너의 단면 구조가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런너를 통과하는 고무액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단면 구조는 납작한 두께의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납작한 두께의 직사각형 단면 구간은 런너의 전체 길이 구간중 끝단부 일부구간인 상기 상금형과 상부코어에 관통 형성된 사출게이트의 입구 바로 전(前) 일부구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런너의 직사각형 단면 구간의 납작한 두께는 1∼5mm 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출게이트의 끝단 노즐부는 시트(sheet) 형상의 납작한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2020060013725U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200424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725U KR200424127Y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725U KR200424127Y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924A Division KR100805338B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127Y1 true KR200424127Y1 (ko) 2006-08-16

Family

ID=4177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725U KR200424127Y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1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0564B2 (en) Hot runner valve apparatus for an injection-molding machine
KR19990067683A (ko) 복합체제품성형장치
CN101633229B (zh) 一种冷流道硅橡胶成型模具
CN105799124A (zh) 一种液态硅胶注射模具冷流道装置
KR100805337B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c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200424127Y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100805338B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20090031480A (ko) 사출성형용 핫런너시스템의 코어조립식 매니폴드블록
RU22832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безлитникового формования термореактивной смолы и резины
KR200423450Y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c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100856722B1 (ko) 고무사출장치의 가류시간 단축 장치
KR100805339B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KR200424126Y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CN101264654B (zh) 一种内振动顺序注塑模具装置及其注塑工艺
KR20160039421A (ko) 사출 성형 금형 온도 조정 모듈 및 온도 조정 방법
KR100589828B1 (ko) 엘라스토머 성형제품 및 듀로머 성형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성형기계
KR101941890B1 (ko) 개량된 압출 주입구조를 갖는 고무 사출 금형장치
CN208148122U (zh) 一种液压陶瓷模具的模芯
CN201494005U (zh) 一种冷流道硅橡胶成型模具
KR102184217B1 (ko) 성형성이 향상된 버스의 흡기 파이프 제조방법
KR102121328B1 (ko) 브라킷과의 결합성이 향상된 자동차 엔진용 인테이크 파이프의 블로우 성형방법
JP2004523397A (ja) 電気的なプラスチック絶縁体を製作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201105498Y (zh) 一种内振动顺序注塑模具装置
CN220973031U (zh) 一种板簧模具
CN211566843U (zh) 一种带有模温机构的注塑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