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339B1 -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 Google Patents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339B1
KR100805339B1 KR1020060045920A KR20060045920A KR100805339B1 KR 100805339 B1 KR100805339 B1 KR 100805339B1 KR 1020060045920 A KR1020060045920 A KR 1020060045920A KR 20060045920 A KR20060045920 A KR 20060045920A KR 100805339 B1 KR100805339 B1 KR 100805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nozzle block
rubber liquid
mold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902A (ko
Inventor
이상수
김종석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5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339B1/ko
Publication of KR2007011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2045/2788Nozzle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마운트 제품과 같은 고무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금형의 캐비티로 공급되는 가류매체(이하, 고무라 칭함)의 가류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과 함께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을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의 단면 구조가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구조로 형성되는 동시에 고무액주입통로를 통과하는 고무액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한다.
고무류 제품, 단일 캐비티 금형, 노즐블럭, 중간노즐블럭, 고무액주입통로, 가류시간, 열전달, 단위 생산성

Description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Nozzle block of mold having single cavity for manufacturing rubber produc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통로와, 기존의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통로 구조를 비교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몰드 12 : 단일 캐비티
14 : 메인노즐 16 : 중간노즐블럭
18 : 하부노즐블럭 20 : 고무액주입구
22 : 고무액배출구 24a,24b : 고무액주입통로
26 : "S"자 형상의 연장 경로 28 : 고무액체류홈
30 : 가열수단 32 : 사출게이트
34 : 고무류제품 36 : 원형링 타입 구간
38 : 직선구간 40 : 고무액체류홈
42 : 제1도우넛형상 구간 44 : 제2도우넛형상 구간
46 : 방사상 단경로 48 : 방사상 장경로
50 : 원판형상 통로 52 :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
100 : 원료공급부 102 : 유압모터
104 : 이송스크류 106 : 수평실린더
108 : 제1인젝션 플런져 110 : 수직실린더
112 : 제2인젝션 플런져 200 : 원료충진경로부
300 : 성형부
본 발명은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마운트 제품과 같은 고무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여, 금형의 캐비티로 공급되는 가류매체(이하, 고무라 칭함)의 가류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킴과 함께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은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상하운동에 의한 중심위치의 주기적인 변화,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생기는 왕복 운동부분의 관성력, 커넥팅 로드가 크랭크 축의 좌우로 흔들리는 것에 의한 관성력, 크랭크 축에 가해지는 회전력의 주기적인 변화 등으로 인하여 구조적으로 항상 진동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엔진의 진동 발생은 여러가지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엔진의 상하 및 좌우방향 등으로 발생되는 바, 엔진으로부터 필연적으로 발생된 진동이 차량의 실내로 전달되면, 운행환경을 해칠 뿐만 아니라 탑승자에게 큰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엔진과 차체 사이에는 동력발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엔진의 진동이 차 체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쇄시켜주는 엔진 마운트가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고, 또한 변속기와 차체 사이에도 변속기 마운트가 설치되고 있다.
대개, 엔진 마운트는 엔진을 지지하는 금속재의 브라켓과, 차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무 인슐레이터와, 이 고무 인슐레이터에 일체로 성형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터드 및, 상기 고무 인슐레이터의 위쪽에 스터드가 관통되며 일체로 설치되는 방진고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엔진 마운트를 비롯한 각종 고무류 제품은 소정의 금형에 고무액을 충진하는 동시에 가류시켜 제조하고 있는 바, CRB(COLD RUNNER BLOCK) 금형, HRB(HOT RUNNER BLOCK) 금형, 단일 캐비티를 갖는 금형 등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단일 캐비티를 갖는 금형에 대한 전체적인 구성을 첨부한 도 8a 및 도 8b를 참조로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금형은 그 모델만 다를 뿐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바,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단일 캐비티를 갖는 금형을 크게 나누어보면,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100)와, 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고무액이 금형의 각 캐비티쪽으로 분기되는 경로인 원료충진경로부(200)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300)가 위쪽에서부터 차례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원료공급부(100)는 유압모터(102) 및 이 유압모터(102)의 축과 연결되는 이송스크류(104)가 내장된 형태의 수평실린더(106)와, 상기 이송스크류(104)의 끝단에 부착되어 고무액을 1차 가압하는 제1인젝션 플런져(108)와, 상기 수평실린 더(106)의 출구측에 배치되는 수직실린더(110)와, 이 수직실린더(110)로 공급된 고무액을 수직방향으로 2차 가압하는 제2인젝션 플런져(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료충진경로부(200)는 고무액의 흐름경로가 되는 런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첨부한 도 7a에서 잘 볼 수 있듯이 런너 플레이트로부터 공급되는 고무액을 몰드(10)쪽으로 주입하는 메인노즐(14)과, 이 메인노즐(14)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중간노즐블럭(16)과, 이 중간노즐블럭(16)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노즐블럭(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은 그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고무액주입구(20)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상기 고무액주입구(20)와 연통되며 위쪽으로 오목한 고무액주입통로(2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무액주입통로(24b)의 양측부에는 위쪽으로 더 오목한 고무액배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내부에는 상기 고무액배출구(22)와 일치하는 다수개의 사출게이트(3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고무액이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성형부 즉,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기존 고무액주입통로(24b)의 단면 형상은 첨부한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위로 볼록한 반원형중 선택된 하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단일 캐비티를 갖는 금형의 작동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적당한 크기로 재단된 고무원료를 원료공급부(100)에 공급하는 동시에 유압모터(102)에 의하여 회전하는 이송스크류(104)의 이송력에 의하여 스크류 끝단에 부착된 제1인젝션 플런져(108)가 고무원료를 수평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 바, 이때 고무원료는 미도시된 가열수단에 의하여 설정된 온도로 서서히 가열된다.
즉, 고무원재료는 개량수단에 의해 적정량(일회 고무제품이 성형될 수 있을 만큼의 고무 원재료량)으로 이미 개량된 상태이면서 미도시된 가열수단에 의해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로 가열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상기 제1인젝션 플런져(108)의 가압에 의하여 고무액은 수평실린더(106)로부터 수직실린더(110)의 내부로 공급된 후, 수직실린더(110)의 제1인젝션 플런져(108)의 가압을 받아서 하방향에 있는 원료충진경로부(200)로 이송된다.
즉, 상기 원료충진경로부(200)에서 고무액은 상기 메인노즐(14)을 통하여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 공급된 후,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부터 그 저면의 고무액주입통로(24b), 즉 도 9의 종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반원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액 주입통로(24b)를 따라 흐르게 된다.
연이어, 고무액은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통로(24b)의 양측부에 형성된 고무액배출구(22)를 경유하여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내부에 형성된 사출게이트(32)로 공급된다.
최종적으로, 고무액은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된 후, 가열수단(30)에 의한 고무액의 설정온도(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로 가열되면서 몰드의 내부에서 용융되며, 결국 고무액은 원하는 수준으로 완전 가류되는 동시에 금속 브라켓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엔진 마운트와 같은 고무류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고무액이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진 후, 완전 가류에 필요한 온도인 약 170∼180℃까지 상승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단위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즉,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중간노즐블럭, 하부노즐블럭을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이 점차 가열되더라도, 고무액의 외곽부분에 대한 온도만이 조금 상승할 뿐 고무액의 중심부 온도 상승은 미약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몰드의 캐비티내에서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로 가열되어야 되므로, 고무류 제품을 제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고, 그에따라 단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중간노즐블럭, 하부노즐블럭을 차례로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내외부 온도가 균일하게 상승하여 몰드의 캐비티에서 최종 가류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주는 것이 단위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관건이라 하겠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한 결과,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중간노즐블럭 및 하부노즐블럭을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외곽부분만 온도가 조금 상승하고 그 중심부의 온도는 거의 상승하지 못하 는 원인중 하나가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통로가 원형,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위로 볼록한 반원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 구조로 되어 있어 그 중심부까지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통로의 구조를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구조, 즉 가열수단에 의하여 고무액에 전달되는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개선하여,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중간노즐블럭 및 하부노즐블럭을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내외부 온도가 가류 전 온도까지 균일하게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몰드의 캐비티에서 최종 가류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주어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구현예는: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고무액 주입구의 하단 출구로부터 그 양쪽에 형성된 고무액배출구까지 대칭을 이루는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로 형성하되, 상기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서, 그 오목한 두께는 1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의 각 끝단부에는 원형의 고무액 체류홈이 더 형성된다.
삭제
상기 고무액 체류홈의 오목한 두께는 2mm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구현예는: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서 그 양쪽에 형성된 고무액배출구를 하나로 이어주는 원형링 타입 구간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상기 원형링 타입 구간까지 연장된 직선구간으로 구성하되, 상기 원형링 타입구간 및 직선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한다.
상기 직선구간의 양끝단부에는 원형링 타입구간의 외경쪽으로 돌출된 고무액 체류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 고무액체류홈의 오목한 두께는 모두 1mm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구현예는: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의 외주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으로부터 고무액배출구를 지나 중간노즐블럭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2mm 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구현예는: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의 외주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으로부터 고무액배출구를 지나서 중간노즐블럭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과,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에서 상기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분기된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로 구성하되,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2mm 이며, 상기 방사상 단경로의 깊이는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두께의 절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구현예는: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 외주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으로부터 고무액배출구를 지나서 중간노즐블럭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과,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에서 상기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분기된 다수개의 방사상 장경로로 구성하되,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2mm 이며, 상기 방사상 장경로의 깊이는 5mm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구현예는: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는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그 가장자리단까지 하나의 원판형상 통로이면서 2mm의 오목한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사출게이트의 끝단 노즐부의 단면 형상은 시트(sheet) 형상인 직사각형의 납작한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몰드의 캐비티에서 고무액의 최종 가류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주어 고무류 제품(예를들어, 엔진 마운트 등)에 대한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일 캐비티를 갖는 금형을 크게 나누어보면,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100)와, 이 원료공급부(100)로부터 고무액이 금형의 각 캐비티로쪽으로 분기되는 경로인 원료충진경로부(200)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는 성형부(300)가 위쪽에서부터 차례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원료충진경로부(200)는 고무액의 흐름경로가 되는 런너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첨부한 도 7a에서 잘 볼 수 있듯이 런너 플레이트로부터 공급되는 고무액을 몰드(10)의 단일캐비티(12)쪽으로 주입하는 메인노즐(14)과, 이 메인노즐(10)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중간노즐블럭(16)과, 이 중간노즐블럭(16)의 저면에 결합되는 하부노즐블럭(18)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중간노즐블럭 저면에 형성된 고무액주입통로는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직선형의 단순한 구간을 가지면서 열전달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원형,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 위로 볼록한 반원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중간노즐블럭 및 하부노즐블럭을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외곽부분만 온도가 조금 상승하고 그 중심부의 온도는 거의 상승하지 못하여, 결국 몰드의 캐비티에서 오랜 시간 동안 머물면서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로 가열됨에 따라 고무류 제품을 제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고, 그에따라 단위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통로 구조를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여러가지 형태의 구조, 즉 가열수단에 의하여 고무액에 전달되는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개선한 점에 그 구성상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중간노즐블럭의 각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및 (b)도면은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를, (c)도면은 단면사시도를, (d)도면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은 그 중심부에 메인노즐(14)로부터 고무액이 공급되는 고무액주입구(20)가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저면에서 그 양끝단부에는 한 쌍의 고무액배출구(22)가 형성되며, 상기 고무액주입구(20)의 하단 출구로부터 상기 고무액배출구(22)간에는 고무액의 흐름경로가 되는 고무액주입통로(24a)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고무액주입통로(24a)는 위쪽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바, 이 고무액주입통로(24a)의 단면 구조는 첨부한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얇은 직사각형 단면 구조와 같이 그 두께는 얇고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면적(표면적)은 넓게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는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고무액주입구(20)의 하단 출구로부터 그 양끝단부에 형성된 고무액배출구(22)까지 대칭을 이루며 납작한 두께의 경로를 이루되, 전체적으로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26)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S"자 형상의 연장 경로(26)의 단면 구조는 납작한 직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되, 바람직하게는 S자 형상의 연장 경로를 흐르는 고무액의 중심부까지 열이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너비 16mm×두께 1mm의 납작한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26)의 각 끝단부 즉, 상기 고무액배출구(22)를 지나서 더 연장된 부분에는 φ16mm를 갖는 원형의 고무액 체류홈(28)이 더 형성되며, 이 고무액 체류홈(28)의 오목한 두께는 고무액의 흐름 적체 및 체류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2mm 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노즐(14)로부터 고무액이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액주입통로(24a) 즉, "S"자 형상의 연장 경로(26)를 따라 흐르게 되는 바, 이와 동시에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외주부에 감 싸는 식으로 장착된 가열수단(30)으로부터 열전달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열수단(30)에 의한 열전달이 상기 "S"자 형상의 연장 경로(26)를 흐르는 고무액 전체(내외부)에 고르게 전달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S"자 형상의 연장 경로(26)가 너비 16mm×두께 1mm의 납작한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구조인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납작한 단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상기 "S"자 형상의 연장 경로(26)를 흐르는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에서 조절된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보다 크게 상승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고무액은 그 온도가 상승된 상태가 된 후, 첨부한 도 7a 및 도 7b의 고무액 충진 전후의 금형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배출구(22)를 빠져나가서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로 충진된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이므로, 단일 캐비티(12)내에서 별도 진행되는 가열단계에 의하여 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결국, 상기 몰드(10)의 단일캐비티(12)내에서 고무액의 완전 가류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동시에 금속 브라켓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엔진 마운트와 같은 고무류 제품(34)의 성형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그에따라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및 (b)도면은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를, (c)도면은 단면사시도를, (d)도면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단면 구조도 첨부한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얇은 직사각형 단면 구조와 같이 그 두께는 얇고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면적(표면적)은 넓게 형성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형상을 보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저면에서 그 양쪽에 형성된 한 쌍의 고무액배출구(22)를 하나로 이어주는 납작한 두께의 원형링 타입 구간(36)과,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고무액주입구(20)의 하단 출구로부터 상기 원형링 타입 구간(36)까지 직선으로 이어진 납작한 두께의 직선구간(38)으로 구성된다.
상기 직선구간(38)의 양끝단부에는 원형링 타입 구간(36)의 외경보다 더 돌출된 원형의 고무액체류홈(40)이 더 형성되며, 상기 원형링 타입 구간(36) 및 직선구간(38), 그리고 상기 고무액체류홈(40)의 오목한 두께는 고무액의 흐름 적체 및 체류시간을 조절하기 위하여 모두 1mm 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메인노즐(14)로부터 고무액이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액주입통로(24a) 즉, 상기 직선구간(38)을 따라 먼저 흐르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고무액은 원형링 타입 구간(36)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외주부에 감싸는 식으로 장착된 가열수단(30)으로부터 열전달이 상기 직선구간(38) 및 원형링 타입 구간(36)을 흐르는 고무액 전체(내외부)에 고르게 전달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직선구간(38) 및 원형링 타입 구간(36)은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납작한 단면 구조인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상기 직선구간(38) 및 원형링 타입 구간(36)을 따라 흐르는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에서 조절된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보다 크게 상승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고무액은 그 온도가 상승된 상태가 된 후, 첨부한 도 7a 및 도 7b의 고무액 충진 전후의 금형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배출구(22)를 빠져나가서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로 충진된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이므로, 단일 캐비티(12)내에서 별도 진행되는 가열단계에 의하여 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통로(24a)를 납작한 직선 및 원형링 타입 구간(38,36)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내에서 고무액의 완전 가류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동시에 금속 브 라켓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엔진 마운트와 같은 고무류 제품(34)의 성형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그에따라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및 (b)도면은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를, (c)도면은 단면사시도를, (d)도면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단면 구조도 첨부한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얇은 직사각형 단면 구조와 같이 그 두께는 얇고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면적(표면적)은 넓게 형성된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제3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형상을 보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 하단 출구로부터 납작하게 오목한 제1도우넛형상 구간(42)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의 외경으로부터 상기 고무액배출구(22)를 지나서 중간노즐블럭(16)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은 그 저면에 보았을 때, 두 개의 도우넛 형상이 동심원을 이루며 배열된 구조로서,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의 오목한 두께는 2mm 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노즐(14)로부터 고무액이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액주입통로(24a) 즉,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 간(42)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을 따라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외주부에 감싸는 식으로 장착된 가열수단(30)으로부터 열전달이 상기 제1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을 흐르는 고무액 전체(내외부)에 고르게 전달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도우넛 형상 구간(42,44)은 각각 1mm 및 2mm 두께로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납작한 단면 구조인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납작한 단면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1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을 흐르는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에서 조절된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보다 크게 상승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고무액은 그 온도가 상승된 상태가 된 후, 첨부한 도 7a 및 도 7b의 고무액 충진 전후의 금형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배출구(22)를 빠져나가서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되며, 이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로 충진된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이므로, 단일 캐비티(12)내에서 별도 진행되는 가열단계에 의하여 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통로(24a)를 납작한 제1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내에서 고무액의 완전 가류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동시에 금속 브라켓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엔진 마운트와 같은 고무류 제품(34)의 성형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그에따라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및 (b)도면은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를, (c)도면은 단면사시도를, (d)도면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단면 구조도 첨부한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얇은 직사각형 단면 구조와 같이 그 두께는 얇고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면적(표면적)은 넓게 형성된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추가의 방사상 경로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형상을 보면,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 하단 출구로부터 납작하게 오목한 제1도우넛형상 구간(42)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의 외경으로부터 상기 고무액배출구(22)를 지나서 중간노즐블럭(16)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으로 구성된 점에서 동일하지만,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에 상기 고무액주입구(20) 하단 출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분기된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46)가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의 오목한 두께는 2mm 이며, 상기 방사상 단경로(46)의 깊이는 제1도우넛형상 구간(42)과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의 두께의 절반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 이외에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에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46)가 더 형성되어, 이곳을 흐르는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노즐(14)로부터 고무액이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액주입통로(24a) 즉,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 (42) 및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46) 그리고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을 차례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외주부에 감싸는 식으로 장착된 가열수단(30)으로부터 열전달이 상기 제1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 그리고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46)를 흐르는 고무액 전체(내외부)에 고르게 전달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도우넛 형상 구간(42,44)은 각각 1mm 및 2mm의 오목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방사상 단경로(46)의 깊이는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의 두께의 절반으로 형성된 구조, 즉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 면적을 증대시킨 납작한 단면 구조인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46),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을 차례로 흐르는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에서 조절된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보다 크게 상승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고무액은 그 온도가 상승된 상태가 된 후, 첨부한 도 7a 및 도 7b의 고무액 충진 전후의 금형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배출구(22)를 빠져나가서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되며, 이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로 충진된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이므로, 캐비티(12)내에서 별도 진행되는 가열단계에 의하여 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통로(24a)를 납작한 제1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으로 형성함과 함께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에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46)를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내에서 고무액의 완전 가류 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동시에 금속 브라켓 등과 일체로 성형되어 만들어지는 엔진 마운트와 같은 고무류 제품(34)의 성형 작업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고, 그에따라 고무류 제품의 단위 생산성이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및 (b)도면은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를, (c)도면은 단면사시도를, (d)도면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단면 구조도 첨부한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얇은 직사각형 단면 구조와 같이 그 두께는 얇고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면적(표면적)은 넓게 형성된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추가의 길다란 방사상 경로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제5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형상을 보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 하단 출구로부터 납작하게 오목한 제1도우넛형상 구간(42)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으로부터 상기 고무액배출구(22)를 지나서 중간노즐블럭(16)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으로 구성되되, 상기 고무액주입구(20) 하단 출구로부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을 따라 소정의 깊이로 분기된 다수개의 방사상 장경로(48)가 더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의 오목한 두께는 2mm 이며, 상기 방사상 장경로(48)의 깊이는 5mm 로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노즐(14)로부터 고무액이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액주입통로(20) 즉,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42)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4), 다수개의 방사상 장경로(48)를 차례로 흐르게 되며, 가열수단(30)의 가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42,44), 다수개의 방사상 장경로(48)를 차례로 흐르는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에서 조절된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보다 크게 상승된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위와 같이 고무액이 그 온도가 상승된 상태가 된 후, 첨부한 도 7a 및 도 7b의 고무액 충진 전후의 금형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노즐 블럭(16)의 고무액배출구(22)를 빠져나가서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되며, 이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로 충진된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이므로, 캐비티(12)내에서 별도 진행되는 가열단계에 의하여 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첨부한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대한 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 및 (b)도면은 평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를, (c)도면은 단면사시도를, (d)도면은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단면 구조도 첨부한 도 9의 개념도에서 보듯이 얇은 직사각형 단면 구조와 같이 그 두께는 얇고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면적(표면적)은 넓게 형성된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전체 표면에 하나의 경로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제6실시예에 따른 고무액주입통로(24a)의 형상을 보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 하단 출구로부터 가장자리단까지 하나의 원판형상 통로(50)가 되도록 전체면적이 납작하게 오목한 구간으로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으며, 이 전체 오목구간은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44)의 오목한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메인노즐(14)로부터 고무액이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주입구(20)로 공급되는 동시에 상기 고무액주입통로(24a) 즉, 하나의 원판형상 통 로(50)를 따라 흐르게 되며, 가열수단(30)의 가열에 따라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에서 조절된 일정온도(고무 원재료가 구워지지 않으면서 식지 않을 정도의 온도로서 약 70∼80℃)보다 크게 상승된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위와 같이 고무액이 그 온도가 상승된 상태가 된 후, 첨부한 도 7a 및 도 7b의 고무액 충진 전후의 금형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간노즐블럭(16)의 고무액배출구(22)를 빠져나가서 상기 하부노즐블럭(18)의 사출게이트(32)의 하단 노즐을 통하여 상기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 내부로 채워지게 되며, 이 몰드(10)의 단일 캐비티(12)로 충진된 고무액의 온도는 최초 공급 시점의 온도인 약 70∼80℃보다 상승된 상태이므로, 캐비티(12)내에서 별도 진행되는 가열단계에 의하여 고무액의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출게이트(32)의 끝단 노즐부는 도 7a 및 도 7b에서 보듯이, 그 단면 구조가 시트(sheet) 형상인 직사각형의 납작한 구조로 형성된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52)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사출게이트의 가열통로(52)를 지나는 고무액은 상기 캐비티(12)로 최종 공급되기 전에 열전달을 더 받게 되어, 캐비티(12)내의 고무액은 완전 가류에 필요한 약 170∼180℃의 온도까지 더 신속하게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통로을 여러가지 실시예로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실시예의 구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에 의하면,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통로의 구조를 고무액에 대한 열전달이 용이하게 일어나는 구조, 즉 가열수단에 의하여 고무액에 전달되는 열전달 면적을 크게 하는 동시에 고무액의 중심부까지의 열전달 길이를 짧게 구현시킨 여러가지 구조로 개선하여, 고무액이 원료공급단계를 거쳐 중간노즐블럭 및 하부노즐블럭을 경유하는 동안 고무액의 내외부 온도가 가류 전 온도까지 균일하게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에서 최종 가류되는 시간을 크게 줄여줄 수 있고, 그에따라 고무류 제품에 대한 단위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고무액 주입구의 하단 출구로부터 그 양쪽에 형성된 고무액배출구까지 대칭을 이루는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로 형성하되, 상기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는 직사각형 단면 구조로서, 그 오목한 두께는 1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 자 형상의 연장 경로의 각 끝단부에는 원형의 고무액 체류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무액 체류홈의 오목한 두께는 2mm 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5.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서 그 양쪽에 형성된 고무액배출구를 하나로 이어주는 원형링 타입 구간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상기 원형링 타입 구간까지 연장된 직선구간으로 구성하되, 상기 원형링 타입구간 및 직선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직선구간의 양끝단부에는 원형링 타입구간의 외경쪽으로 돌출된 고무액 체류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무액 체류홈의 오목한 두께는 1mm 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8.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의 외주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으로부터 고무액배출구를 지나 중간노즐블럭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으로 구성하되,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2mm 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9. 삭제
  10.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의 외주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으로부터 고무액배출구를 지나서 중간노즐블럭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과,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에서 상기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분기된 다수개의 방사상 단경로로 구성하되,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2mm 이며, 상기 방사상 단경로의 깊이는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두께의 절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11. 삭제
  12.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를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 외주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도우넛형상 구간과, 이 제1도우넛형상 구간으로부터 고무액배출구를 지나서 중간노즐블럭의 가장자리단까지 더 오목하게 연장된 제2도우넛형상 구간과,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 및 제2도우넛형상 구간에서 상기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소정의 깊이로 분기된 다수개의 방사상 장경로로 구성하되, 상기 제1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1mm 이고, 상기 제2도우넛형상 구간의 오목한 두께는 2mm 이며, 상기 방사상 장경로의 깊이는 5mm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13. 삭제
  14. 고무원료가 투입되는 원료공급부와, 이 원료공급부로부터 고무액이 몰드의 캐비티로쪽으로 공급되는 경로가 되는 중간노즐블럭 및 사출게이트를 갖는 원료충진경로부와, 고무액을 가류시켜 원하는 고무류 제품으로 성형하도록 단일 캐비티를 갖는 몰드를 포함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에 있어서,
    상기 원료충진경로부의 중간노즐블럭의 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고무액주입통로는 상기 중간노즐블럭의 고무액주입구 하단 출구로부터 그 가장자리단까지 하나의 원판형상 통로이면서 2mm의 오목한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15. 청구항 1,5,8,10,12,14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게이트의 끝단 노즐부는 시트(sheet) 형상의 직사각형 단면 구조를 갖는 가열통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KR1020060045920A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KR100805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920A KR100805339B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920A KR100805339B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723U Division KR200424126Y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02A KR20070112902A (ko) 2007-11-28
KR100805339B1 true KR100805339B1 (ko) 2008-02-21

Family

ID=3909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920A KR100805339B1 (ko) 2006-05-23 2006-05-23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3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6749A (ja) 1997-10-23 1999-08-10 Mold Masters Ltd 溶融樹脂分配ブッシングを有する射出成形金型
KR200402631Y1 (ko) 2005-09-08 2005-12-02 심근 다색수지 압출기용 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6749A (ja) 1997-10-23 1999-08-10 Mold Masters Ltd 溶融樹脂分配ブッシングを有する射出成形金型
KR200402631Y1 (ko) 2005-09-08 2005-12-02 심근 다색수지 압출기용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02A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69034Y (zh) 冷流道橡胶注射成型模具
CN108381886B (zh) 一种冷热回路交替的模具随形冷却系统
CN101633229A (zh) 一种冷流道硅橡胶成型模具
CN105799124A (zh) 一种液态硅胶注射模具冷流道装置
EP1375107B1 (en) Nozzle tip for hot runners injection moulds
KR100805337B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c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100805339B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KR200424126Y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단일 캐비티 금형의 노즐블럭
KR20090031480A (ko) 사출성형용 핫런너시스템의 코어조립식 매니폴드블록
RU22832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безлитникового формования термореактивной смолы и резины
KR200423450Y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c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200424127Y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KR100805338B1 (ko) 고무류 제품 제조용 hrb 금형의 가류시간 단축 구조
CN101264654B (zh) 一种内振动顺序注塑模具装置及其注塑工艺
CN214082630U (zh) 一种弹簧型腔式注塑模具
KR100856722B1 (ko) 고무사출장치의 가류시간 단축 장치
KR101958669B1 (ko) 사출성형기용 노즐
CN201494005U (zh) 一种冷流道硅橡胶成型模具
CN106393611A (zh) 一种改进的汽车保险杠模具用注塑机
CN206598476U (zh) 高效隔热的冷流道系统
CN201105498Y (zh) 一种内振动顺序注塑模具装置
CN214820447U (zh) 一种多功能的注塑模具
CN220095380U (zh) 外圈提升器的橡胶注射流道及模具
CN204249234U (zh) 一种降低注塑偏心问题的注塑模具
KR20180082867A (ko) 개량된 압출 주입구조를 갖는 고무 사출 금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