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937Y1 - 포장용 상자 - Google Patents

포장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937Y1
KR200423937Y1 KR2020060014678U KR20060014678U KR200423937Y1 KR 200423937 Y1 KR200423937 Y1 KR 200423937Y1 KR 2020060014678 U KR2020060014678 U KR 2020060014678U KR 20060014678 U KR20060014678 U KR 20060014678U KR 200423937 Y1 KR200423937 Y1 KR 200423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s
wall
rear side
packaging box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6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구
Original Assignee
(주)페이퍼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페이퍼월드 filed Critical (주)페이퍼월드
Priority to KR20200600146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3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 B65D5/36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allow collapsing and re-erecting without disengagement of side or bottom connection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바닥면과, 그 바닥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그 바닥면에 대해 접혀져서 내벽 및 외벽의 두겹으로 형성되는 전후측벽과, 상기 바닥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그 바닥면에 대해 접혀져서 형성되며, 상기 전후측벽의 양단부에 겹쳐져서 일부가 상기 전후측벽에 접착되는 접착편을 구비한 좌우측벽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은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선이 형성되며, 그 절곡선의 일단부가 절개된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선에 의해 나누어진 접착편의 절반이 상기 전후측벽의 외벽에 접착되며, 상기 접착편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측벽의 내벽에 접착되는 연장편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용 상자{Box for packing}
도 1은 종래의 포장용 상자의 일례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로부터 포장용 상자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장용 상자 15...바닥면
20...전후측벽 22,26...내벽
23,27...외벽 24...지지플랜지
25...좌우측벽 30...접착편
32...절곡선 33...접착부
34...절결부
35...연장편 40...잘라낸 부분
본 고안은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종이판을 간단히 접어서 조립할 수 있는 포장용 상자로서 그 포장용 상자의 벽들이 서로 만나는 구석부위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포장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 상자에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 형성하되, 일측면을 개구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일체형의 포장용 상자와, 케이스부분과 뚜껑부분이 상호 분리되는 분리형의 포장상자가 있는데, 본 고안은 후자인 분리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리형의 포장용 상자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케이스 부분과 뚜껑부분을 동일한 구조로 형성하되, 뚜껑부분의 크기를 케이스 부분보다 다소 크게 하여 케이스부분의 상측 개구부 상측으로부터 덮어씌우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포장용 상자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부피가 크고, 운반에 불편하므로 반 전개도 상태로만 제조하여 사용자들이 상자형태로 조립하여 사용토록 하는 형태의 것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995-0000428 등을 포함하여 다수 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고안은 미사용시에는 전후 좌우 측벽이 내측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할 때에는 상기 좌우 측벽을 세우면 이에 연동되어 전후 측벽이 자동으로 세워지도록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 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용 상자(1)의 일례에 따른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포장용 상자(1) 바닥판(2)의 4변에 전후, 좌우측벽(3)(4)이 세워지는 형상이며, 미사용시에는 상기 측벽(3)(4)이 접혀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할 때에 상기 좌우측벽(4)만을 세우면 이에 연동되는 전후 측벽(3)이 자동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좌우측벽(4)과 상기 전 후측벽(3)이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좌우측벽(4)의 단부에는 그 좌우측벽(4)에서 연장된 접착편(5)이 상기 전후측벽(3)의 내벽에 중첩되며, 그 접착편(5)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선(6)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절곡선(6)의 중심부에는 상기 접착편(5)의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절결부(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접착편(5) 중에서 상기 절곡선(6) 및 상기 절결부(7)에 의해 나누어지는 일측면은 상기 전후측벽(3)의 내벽에 접착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절결부(7)가 상기 절곡선(6)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접착편(5)을 둘로 가르는 절곡선(6) 부위의 강도가 낮아지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포장용 상자(1)를 조립하기 위해 상기 좌우측벽(4)을 일으켜 세우는 과정에서 상기 절곡선(6) 부위가 쉽게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절곡선(6)이 찢어지게 되면 상기 접착편(5)이 두 쪽으로 분리되므로 상기 좌우측벽(4)과 상기 전후측벽(3)의 연동이 끊어지게 되므로 좌우측벽(4)을 세우기만 하면 포장용 상자(1)가 완성되는 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접착편 부위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포장용 상자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종이로 이루어지며, 바닥면과, 그 바닥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그 바닥면에 대해 접 혀져서 내벽 및 외벽의 두 겹으로 형성되는 전후측벽과, 상기 바닥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그 바닥면에 대해 접혀져서 형성되며, 상기 전후측벽의 양단부에 겹쳐져서 일부가 상기 전후측벽에 접착되는 접착편을 구비한 좌우측벽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은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선이 형성되며, 그 절곡선의 일단부가 절개된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선에 의해 나누어진 접착편의 절반이 상기 전후측벽의 외벽에 접착되며,
상기 접착편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측벽의 내벽에 접착되는 연장편을 구비하고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전후측벽의 중앙 상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잘라낸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상자의 전개도이며, 도 3 내지 도 7은 도 2로부터 포장용 상자가 조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포장용 상자(10)는 바닥면(15)과, 전후측벽(20)과, 좌우측벽(25)과, 접착편(30)과, 연장편(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바닥면(15)은 종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바닥면(15)은 상기 포장용 상자(10)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전후측벽(20)은 상기 바닥면(15)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전후측벽(20)은 2겹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후측벽(20)은 외벽(23)과, 내벽(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벽(23)은 상기 바닥면(15)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내벽(22)은 상기 외벽(23)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외벽(23)은 상기 바닥면(15)에 대해 접혀져 있다. 상기 내벽(22)과 외벽(23)은 그 경계에서 절곡되어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벽(22)에는 지지플랜지(2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플랜지(24)는 상기 내벽(22)에 일체로 연장되며, 조립시 상기 내벽(22)에 대해 수직으로 접혀져서 상기 바닥면(15)에 접촉 지지되게 된다.
상기 좌우측벽(25)은 상기 바닥면(15)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측벽(20)과는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벽(25)은 상기 전후측벽(20)과 유사하게 내벽(26)과 외겹(27)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내벽(26)과 외벽(26)은 서로 마주하여 접착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벽(25)은 상기 바닥면(15)에 대해 접혀져 있다.
상기 접착편(30)은 상기 좌우측벽(25)의 양단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접착편(30)의 일단은 상기 전후측벽(2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접착편(30)과 상기 전후측벽(20)의 경계는 접히는 선이다. 상기 접착편(30)은 상기 전후측벽(20)의 양단부에 겹쳐져 있다. 상기 접착편(30)에는 절곡선(32)과 절결부(34)와 접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접착편(30)을 대각선으로 양분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그 절곡선(32)을 따라 상기 접착편(30)은 서로 겹쳐지도록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절결부(34)는 상기 절곡선(32) 중 일부가 절개된 상태 로 된 부분이다. 상기 절곡선(32)은 상기 절곡선(32)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접착부(33)는 상기 절곡선(32)과 상기 절결부(34)에 의해 양분된 접착편(30) 중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바닥면(15)에서 먼 부분이다. 상기 접착부(33)는 도 4에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풀 등의 접착제의 의해 상기 전후측벽(20)의 외벽(23)에 접착되어 있다.
상기 연장편(35)은 상기 연장편(35)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편(35)의 일단부는 상기 전후측벽(20)의 내벽(22)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장편(35)과 상기 전후측벽(20)의 경계는 접히는 선이다. 상기 연장편(35)은 도 4에 빗금친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측벽(20)의 내벽(22)에 풀 등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상기 전후측벽(20)의 중앙 상단부에는 잘라낸 부분(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잘라낸 부분(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원형을 이루도록 절개되어 있으며, 조립된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서 반원형태의 노치부를 형성한다. 상기 잘라낸 부분(40)은 상기 포장용 상자(10)를 쉽게 열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포장용 상자(1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전개도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의 제작과정과 사용시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전개 상태에서 접는 선을 따라 접어서 상기 좌우측벽(25)의 내벽(26)과 외벽(27)을 겹쳐지도록 한 다음 그 마주하는 면에 풀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내벽(26)과 외벽(27)을 접착시킨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벽(25)과 상기 바닥면(15) 사이에 형성된 접는선을 따라 상기 좌우측벽(25)을 접어서 그 좌우측벽(25)이 상기 바닥면(15)과 겹쳐지도록 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접착편(30)에 형성된 접착부(33)에 풀 등의 접착제를 발라 그 접착부(33)를 상기 전후측벽(20)의 외벽(23)에 접착시킨다. 또한, 상기 연장편(35)에 풀 등의 접착제를 발라 그 연장편(35)을 상기 전후측벽(20)의 내벽(22)에 접착시킨다. 그런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측벽(20)의 내벽(22)과 외벽(23)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접는선을 따라 상기 전후측벽(20)의 내벽(22)을 접어서 상기 전후측벽(20)의 외벽(23)에 겹쳐지도록 한다. 이 상태가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를 제조하는 중간 단계에 해당한다. 포장용 상자(10)의 생산자는 이와 같은 상태로 완성된 포장용 상자(10)를 필요로 하는 곳에 대량으로 납품하게 되며, 그 과정에서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는 부피가 적기 때문에 운반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10)를 납품받아 실제로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상자를 조립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장용 상자(10)의 좌우측벽(25)을 일으켜 세우면 상기 접착편(30)에 형성된 절곡선(32)을 따라 상기 접착편(30)이 접혀져서 서로 겹쳐지고, 상기 접착부(33)와 접착된 상기 전후측벽(20)의 양단부가 상기 접착편(3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일으켜 세워지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전후측 벽(20)의 내벽(22)을 살짝 들었다가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켜 상기 접착편(30)을 덮는다. 그 다음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측벽(20)의 외벽(23)에서 연장된 지지플랜지(24)를 상기 바닥면(15)에 접촉되도록 접어서 상기 좌우측벽(25)과 상기 전후측벽(20)이 상기 바닥면(15)에 대해 견고하게 서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품을 상기 포장용 상자(10)에 넣고 그 포장용 상자(10)와 같은 구조를 가지며 크기가 조금 더 큰 뚜껑을 덮어서 제품 포장을 완료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포장용 상자(10)는 상기 접착편(30)에 마련된 절결부(34)가 상기 절곡선(3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보다 일체로 된 절곡선(32)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상기 절곡선(32) 부위가 잘 찢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편(35)이 상기 전후측벽(20)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더 접착편(30)부의 결합강도가 증가하므로 상기 좌우측벽(25)과 전후측벽(20)이 교차하는 부위의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후측벽(20)의 중앙부 상단에 형성된 잘라낸 부분(40)에 상기 포장용 상자(10)를 여닫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 수 있으므로 그 포장용 상자(10)의 개폐가 더욱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벽(20)의 중앙 상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잘라낸 부분(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상기 잘라낸 부분(40)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접착편(30)의 절곡선(32) 부위가 잘 찢어지지 않도록 하는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용 상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착편에 마련된 절결부가 상기 절곡선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어서, 종래의 중심부에 형성된 것보다 일체로 된 절곡선의 길이가 더 길기 때문에 상기 절곡선 부위가 잘 찢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편이 상기 전후측벽에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더 접착편부의 결합강도가 증가하므로 상기 좌우측벽과 전후측벽이 교차하는 부위의 강도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후측벽의 중앙부 상단에 형성된 잘라낸 부분에 상기 포장용 상자를 여닫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 수 있으므로 그 포장용 상자의 개폐가 더욱 쉽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종이로 이루어지며,
    바닥면과,
    그 바닥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그 바닥면에 대해 접혀져서 내벽 및 외벽의 두 겹으로 형성되는 전후측벽과,
    상기 바닥면에 일체로 연장되며, 그 바닥면에 대해 접혀져서 형성되며, 상기 전후측벽의 양단부에 겹쳐져서 일부가 상기 전후측벽에 접착되는 접착편을 구비한 좌우측벽을 포함하는 포장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접착편은 대각선 방향으로 절곡선이 형성되며, 그 절곡선의 일단부가 절개된 절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곡선에 의해 나누어진 접착편의 절반이 상기 전후측벽의 외벽에 접착되며,
    상기 접착편에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전후측벽의 내벽에 접착되는 연장편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측벽의 중앙 상단부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걸릴 수 있도록 잘라낸 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상자.
KR2020060014678U 2006-06-01 2006-06-01 포장용 상자 KR200423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678U KR200423937Y1 (ko) 2006-06-01 2006-06-01 포장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678U KR200423937Y1 (ko) 2006-06-01 2006-06-01 포장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937Y1 true KR200423937Y1 (ko) 2006-08-11

Family

ID=4177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678U KR200423937Y1 (ko) 2006-06-01 2006-06-01 포장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9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33B1 (ko) * 2017-01-24 2017-08-07 (주)방림 조립식 포장상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33B1 (ko) * 2017-01-24 2017-08-07 (주)방림 조립식 포장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6477B2 (ja) 煙草物品のパッケージ
JP5563196B2 (ja) 煙草製品用の剛性パッケージを製造するためのブランク
EP1919783B1 (en) A container for food
JP2008504175A (ja) 粉末密封包装材
KR200423937Y1 (ko) 포장용 상자
US10597222B2 (en) Package for tobacco-related articles
JP2010052759A (ja) 紙カートン
KR200440979Y1 (ko) 포장용 상자
JP3133668U (ja) 組立式収納箱
JP5918473B2 (ja) 包装箱
KR200417986Y1 (ko) 포장용 상자
JP7475030B2 (ja) 包装箱及び包装箱の製造方法
JP6503579B2 (ja) 包装箱
JP7360677B2 (ja) 紙製重箱
JP2000142669A (ja) 箱 体
JP3139384U (ja) 組立式収納箱
JP2007161279A (ja) オートボトムカートン
WO2018168893A1 (ja) 収容箱
JP4170790B2 (ja) 蓋付きカートン
JPH0586818U (ja) 紙 箱
JP2020164199A (ja) 蓋付き箱体
KR200390255Y1 (ko) 포장용상자
JPH11124126A (ja) 折畳包装箱及びその製造方法
JP5266283B2 (ja) 計量スプーン付きの紙箱
JP2004250071A (ja) 蓋付き包装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