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27Y1 -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27Y1
KR200423627Y1 KR2020060013010U KR20060013010U KR200423627Y1 KR 200423627 Y1 KR200423627 Y1 KR 200423627Y1 KR 2020060013010 U KR2020060013010 U KR 2020060013010U KR 20060013010 U KR20060013010 U KR 20060013010U KR 200423627 Y1 KR200423627 Y1 KR 2004236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vehicle
micro switch
termina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규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3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4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전방차체를 개폐하는 후드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엑츄에이터의 회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각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 내부에 별도의 케이스를 보유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내충격성,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HOOD OPENING AND CLODSING SENSING DEVICE FOR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전방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의 작동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11 : 하우징
11a : 상부캡 11b : 하부캡
12 : 체결부 20 : 엑츄에이터
24 : 탄성부재걸림홈 25 : 탄성부재
30 : 마이크로 스위치
31 : 스위치본체 33 : 레버
35 : 접점단자 35a : 공통단자
35b : 제1단자 35c : 제2단자
37 : 접점판 39 : 누름쇠
40 : 회로기판 45 : 보호층
50 : 케이블 55 : 커넥터
100 : 차체 130 : 후드
140 : 후드래치 141 : 후드래치본체
142 : 제1록킹캠 143 : 제2록킹캠
144 : 후크 150 : 후드 스트라이커
161 : 연결부 162 : 후드 개방 손잡이
본 고안은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우징 내부에 별도의 케이스를 보유한 마이크로 스위치를 장착함으로써 내충격성, 방수성 및 방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 차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및 동력전달계통의 부품류를 탑재하도록 엔진룸이 마련되고, 상기 엔진룸의 상부에는 일측이 차체(1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엔진룸을 개폐하는 후드(130)가 설치되어 있다.
후드(130)는 상기 엔진룸에 탑재된 부속품을 보호하는 동시에, 상기 부속품들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거나 보수하는 등 필요에 따라 엔진룸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후드(130)의 개폐는, 차체(100)의 일측에 마련된 후드래치(140)와 후드래치(140)에 대응하는 후드(130)의 일측에 마련되는 후드 스트라이커(150)에 의해 결합 및 해제된다.
한편, 후드래치(140)에는 후드(130)의 개방 및 폐쇄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이를 표시하거나, 도난 경보를 발하거나 또는 내부의 램프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후드 개방 감지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후드 개방 감지장치(110)는, 일반적으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납땜으로 설치되는 접촉스위치와, 상기 접촉스위치와 연동하는 엑츄에이터와,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종래의 후드 개방 감지장치(110)는 후드(130)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접점 스위치가 동작되어 계기판에 경고등이 점등되어 후드(130) 개방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후드(130)가 닫힐 경우에는 후드 내부패널이 스위치를 눌러주어 경고등과 연결된 접점이 떨어지면서 경고등이 소등된다.
그러나, 종래의 후드 개방 감지장치(110)는 접촉스위치 및 회로기판이 하우징의 내부에 별도의 보호장비 없이 직접 수용되어 있으므로, 후드(130)가 개폐될 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접촉스위치와 회로기판 사이의 접촉불량, 파손등이 발생하게 되어 후드(130)의 개방여부를 제대로 감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우징의 일측은 엑츄에이터의 회동을 위하여 개방될 수 밖에 없으므로, 이를 통하여 비(雨)나 세차에 의한 물기/습기가 침투하는 경우, 회로기판 또는 접촉스위치의 배선 간에 단락이 발생하여 감지가 불가능하게 되거나 오작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센싱부위가 하우징 및 스위치본체의 이중 보호구조로 되어 있어, 후드 개폐시의 충격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센싱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 또는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이나 먼지 등에 의해 감지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로기판에 방수재질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雨)나 세차에 의한 물기 또는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에도 회로기판의 배선사이, 회로기판과 마이스크로 스위치 사이 또는 회로기판과 케이블 사이의 단락에 의한 감지불능,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방차체를 개폐하는 후드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엑츄에이터의 회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각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스위치본체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본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엑츄에이터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점단자와,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 중 어느 2개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하는 접점판과, 상기 레버와 상기 접점판 사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력을 상기 접점판에 전달하는 누름쇠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점단자는, 상기 접점판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상시 연결된 공통단자와, 상기 접점판의 타측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연결 또는 해제되는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본체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누름쇠 사이에 마련된 탄성재질의 밀폐부재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각 단자와 상기 케이블의 연결부위에 방수재질의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수재질은 실리콘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마이크로스 위치가 상기 케이블에 전기적접속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기판의 상/하부면에는 방수재질의 보호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10)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엑츄에이터(20)와,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엑츄에이터(20)의 회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스위치(30)와, 마이크로 스위치(30)에 연결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5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마이크로 스위치(30)와 케이블(50) 사이에 마련되는 회로기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로기판(4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는 방수재질의 보호층(45)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구성별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10)는 자동차의 차체(100) 전방에 후드래치(140)와 연동되도록 설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차체(100) 전방에는 후드래치(140)가 마련되며, 후드래치(140)에 대응하는 후드(130)의 일측에는 후드래치(140)과 록킹결합 및 해제되는 후드 스트라이커(150)가 마련된다.
후드래치(140)는 후드래치본체(141)와, 후드래치본체(14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록킹캠(142), 제2록킹캠(143) 및 후크(144)를 포함한다.
제1록킹캠(142)은 차체(100) 내부에 마련된 후드 개방 손잡이(162)와 연결부(16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161)는 운전자가 후드 개방 손잡이(162)를 통해 후드(130)를 개방하는 경우, 후드래치본체(141)에 제1록킹캠(142)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미도시)를 작동시켜 제1록킹캠(142)을 회전시키는 전기적 방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기구적인 방법에 의해 제1록킹캠(142)을 회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록킹캠(143)의 일측에는 후드 스트라이커(150)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양단은 각각 제1록킹캠(142) 및 엑츄에이터(20)와 맞물려 있다. 이에, 제1록킹캠(142)이 회동하는 경우, 이와 맞물린 제2록킹캠(143)이 회전하면서 후드 스트라이커(150)를 일차적으로 해제하여 후크(144)에 걸리도록 하며, 엑츄에이터(20)로 회동력을 전달한다.
하우징 (11)
하우징(11)은 내부에 엑츄에이터(20), 마이크로 스위치(30), 회로기판(40) 및 케이블(50)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1)은 상부캡(11a)과 하부캡(11b)으로 분할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캡(11b)에는 엑츄에이터(20)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부캡(11a)과 하부캡(11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체결을 위한 복수의 체결부(12)를 형성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결합돌기(미도시) 및 수용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끼워맞춤 할 수도 있다.
하우징(11)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엑츄에이터 (20)
엑츄에이터(20)는 하우징(1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제2록킹캠(143)으로부터 전달되는 회동력을 레버(33)에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엑츄에이터(2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대략 'ㄴ'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며 마련된다.
엑츄에이터(20)의 중심부(21)는 하우징(11)에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하우징(11)의 외부를 향하는 일단(22)은 후드래치(140)의 제2록킹캠(143)에 맞물려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엑츄에이터(20)의 타단(23)은 중심부(21)로부터 레버(33)를 향하여 연장되 어, 엑츄에이터(20)의 일단(22)으로부터의 회동력을 레버(33)에 전달한다.
엑츄에이터(20)의 일측에는 엑츄에이터(20)를 감지위치(도 3의 (나)참조)에서 초기위치(도 3의 (가)참조)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25)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걸림홈(24)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후드(130)가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경우 또는 개방되었다가 폐쇄되는 경우, 엑츄에이터(20)가 초기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엑츄에이터(20)는 후드(13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일단(이 (가)의 위치에서 제2록킹캠(143)과 맞물려 있으며, 타단(23)은 레버(33)를 하방으로 누르고 있는 상태에 있다.
한편, 후드(130)가 개방되어 제2록킹캠(143)이 회동하면, 이와 맞물린 엑츄에이터(20)의 일단(22) 및 타단(23)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어, 레버(33)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 스위치(30)
마이크로 스위치(30)는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엑츄에이터(20)의 회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스위치(30)는 예를 들어, 스위치본체(31)와, 레버(33)와, 접점단자(35)와, 접점판(37)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33)는 일단은 스위치본체(3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엑츄에이터(20)에 접촉되어 회동하도록 마련된다.
레버(33)의 일측에는 누름쇠(39)가 마련되어 있어서, 레버(33)의 회동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접점판(37)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레버(33)는 스위치본체(31)에 결합된 일측에 탄성부재를 마련하여 하방위치 (도 3의 (가))로부터 상방위치 (도 3의 (나))로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누름쇠(39)의 탄성에 의해 하방위치에서 상방위치로 복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접점단자(35)는 스위치본체(31)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케이블(50)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접점단자(35)는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접점판(37)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상시 연결된 공통단자(35a)와, 접점판(37)의 타측이 레버(33)의 회동에 따라 연결 또는 해제되는 제1단자(35b) 및 제2단자(35c)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단자(35a)는 접점판(37)에 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있으며, 제2단자(35c)는 엑츄에이터(20)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 즉, 후드(130)가 폐쇄상태에 있는 경우 접점판(37)과 전기적 연결이 되어 있으며, 엑츄에이터(20)가 감지위치, 즉, 후드(130)가 개방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전기적으로 해제되도록 마련된다(Normal Colsed 상태).
한편, 제1단자(35b)는 엑츄에이터(20)가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접점판(37)과 전기적으로 해제되어 있으며, 엑츄에이터(20)가 감지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접점판(37)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Nomal open상태).
따라서, 후드(13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공통단자(35a)를 통하여 흘러들어온 전류가 제2단자(35c)를 통하여 흘러나가게 되고, 후드(13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공통단자(35a)를 통하여 흘러들어온 전류가 제1단자(35b)를 통하여 흘러나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점단자(35)는 케이블(50)과 바로 연결될 수도 있고, 회로기판(40)을 통해서 연결될 수도 있다.
접점판(37)은 복수의 접점단자(35) 사이에 마련되어 레버(33)의 회동에 따라 복수의 접점단자(35) 중 어느 2개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스위치본체(31)는 외부에 레버(33)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며, 내부에 접점단자(35) 및 접점판(37)을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스위치본체(31)는 마이크로 스위치(30)의 내외부를 밀폐하도록 마련함으로써 외부의 물기 또는 습기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스위치본체(31)와 누름쇠(39) 사이에는 밀폐부재(38)를 개재시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는 누름쇠(39)의 상하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탄성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10)는 센싱부위 즉, 접점단자(35) 및 접점판(37)이 하우징(11) 및 스위치본체(31)에 의해 이중으로 보호되는 것이다.
따라서, 후드(130)를 개폐할 때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접점판(37) 및 접점단자(35)가 파손되어 전기적 연결이 불가능하게 되어 감지불능 또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충격 또는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이나 먼지 등이 접점단자(35) 사이 또는 접점판(37)에 들러붙어 감지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회로기판(40) 및 케이블(50)
회로기판(40)은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며, 마이크로 스위치(30)를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회로기판(40)에는 스위치본체(31)의 외부로 연장된 복수의 접점단자(35)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이에 의해, 각 접점단자(35)를 상기 관통공에 수용시킨 후, 솔더링(Soldering) 과정을 통해 고정시킨다.
한편, 회로기판(40)은 케이블(50)과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연결부(미도시)를 포함하며, 각 연결부와 접점단자(35)를 연결하기 위한 배선이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된다.
보호층(45)은 마이크로 스위치(30)와 케이블(50) 사이에 방수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 3참조), 회로기판(40)이 마이크로 스위치(30)와 케이블(50) 사이에 더 마련되는 경우에는, 회로기판(4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방수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도 5참조).
보호층(45)은 부전도체로 마련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0)와 회로기판(40)의 결합부위 또는 회로기판(40)의 하부면 일부 또는 전체에 소정의 두께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의 내부로 물기나 습기가 침투되는 경우에도 접점단자(35)사이 또는 회로 배선 사이에 단락이 이루어져 감지불능 또는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45)은 전술한 방수기능에 더하여, 회로기판(40)과 마이크로 스위치(30) 사이 또는 마이크로 스위치(30)와 하우징(11) 사이에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후드(130)의 개폐에 따른 충격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30)와 회로기판(40) 또는 케이블(50)과 회로기판(40) 사이의 기계적 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먼지 또는 파편에 의한 작동불능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수재질은 다양한 재료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Silicone)으로 할 수 있다.
케이블(50)은 회로기판(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 스위치(3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케이블(50)의 일측에는 외부와 전기적인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5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10)의 감지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후드(130)가 폐쇄되어 있는 상태를 설명하면, 후드 스트라이커(150)는 후드(130)와 함께 차체(100)의 전방으로 하강하여 후드래치(140)의 제2록킹캠(143)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다.
이때, 제2록킹캠(143)의 양단은 각각 제1록킹캠(142)과 엑츄에이터(20)와 맞닿아 있으며, 엑츄에이터(20)는 도 3의 (가)위치에 정지해 있다.
이 상태에서 엑츄에이터(20)의 타단(23)은 마이크로 스위치(30)의 레버(33)를 하방으로 가압한 상태에 있으며, 레버(33)의 하부에 위치한 누름쇠(39)는 레버(33)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 있다.
도 4는 후드(130)가 폐쇄된 상태의 마이크로 스위치(30)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스위치본체(31)의 내부에는 공통단자(35a), 제1단자(35b) 및 제2단자(35c)가 마련되어 있으며, 누름쇠(39)와 연결된 접점판(37)은 일측은 공통단자(35a)에 상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제2단자(35c)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공통단자(35a)를 통하여 흘러들어온 전류는 제2단자(35c)를 통하여 외부로 흐르게 되므로 제어부에는 이와 같은 전류의 흐름으로부터 후드(130)가 폐쇄된 상태에 있음을 판단하게 된다.
다음은, 후드(130)가 개방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감지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후드(130) 개방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운전자는 차체(100) 내부에서 후드 개방 손잡이(162)를 조작하여 후드(130)를 1차 개방한다. 즉, 후드 개방 손잡이(162)의 조작은 연결부(161)에 의해 서 제1록킹캠(142)에 전달되는 데, 이 때, 연결부(161)의 전달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또는 기구적인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드 개방 손잡이(162)를 조작하는 경우, 후드래치(140)에 있는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와 연결된 제1록킹캠(142)을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록킹캠(142)과 맞물린 제2록킹캠(143)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후드 스트라이커(150)를 1차적으로 해제하게 되는데, 이때, 1차 해제된 후드 스트라이커(150)는 제2록킹캠(143)의 상부에 위치한 후크(144)에 걸림유지된다.
한편, 제2록킹캠(143)은 이와 맞물린 엑츄에이터(20)를 회동시켜 도 3의 (가) 위치에서 (나)위치로 이동시킨다.
이 때, 마이크로 스위치(30)의 레버(33)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엑츄에이터(20)의 타단(23)도 일체로 회동하면서 레버(33)를 상방으로 해제한다(도 3의 (나)참조).
마지막으로, 레버(33)에 의해 눌려있던 누름쇠(39)가 상승하면서 접점판(37)을 제2단자(35c)로부터 제1단자(35b)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공통단자(35a)로부터 흘러 들어온 전류가 제1단자(35b)로 흐르게 되며, 제어부에서는 이를 기초로 후드(130)의 개방을 판단하여 별도의 표시부, 예를 들어, 경고등(미도시) 또는 경고음을 통하여 운전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10)에 의하면, 후드(130)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운전자가 알 수 있으므로, 후드(130)가 개방된 채 로 운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10)는 센싱부위가 하우징(11) 및 스위치본체(31)의 이중 보호구조로 되어 있어, 후드(130) 개폐시의 충격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센싱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 또는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이나 먼지 등에 의해 감지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방수재질의 보호층(4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雨)나 세차에 의한 물기 또는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에도 회로기판의 배선사이, 회로기판과 마이스크로 스위치 사이 또는 회로기판과 케이블 사이의 단락에 의한 감지불능,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에 의하면, 후드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운전자가 알 수 있으므로, 후드가 개방된 채로 운전하는 경우 발생하는 불의의 사고, 고장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따른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는 센싱부위가 하우징 및 스위치본체의 이중 보호구조로 되어 있어, 후드 개폐시의 충격 또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센싱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격 또는 파손에 의해 발생되는 파편이나 먼지 등에 의해 감지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에 방수재질의 보호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雨)나 세차에 의한 물기 또는 습기가 침투하는 경우에도 회로기판의 배선사이, 회로기판과 마이 스크로 스위치 사이 또는 회로기판과 케이블 사이의 단락에 의한 감지불능, 오작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자동차의 전방차체를 개폐하는 후드의 개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에 있어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엑츄에이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엑츄에이터의 회동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각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스위치본체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본체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엑츄에이터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레버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접점단자와,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접점단자 중 어느 2개를 선택적으로 전기적 연결하는 접점판과, 상기 레버와 상기 접점판 사이에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레버의 회동력을 상기 접점판에 전달하는 누름쇠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단자는, 상기 접점판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상시 연결된 공통단자와, 상기 접점판의 타측이 상기 레버의 회동에 따라 연결 또는 해제되는 제1단자 및 제2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는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본체와 상기 누름쇠 사이에 마련된 탄성재질의 밀폐부재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의 각 단자와 상기 케이블의 연결부위에 방수재질의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재질은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케이블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가 상기 케이블에 전기적접속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하부면에는 방수재질의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KR2020060013010U 2006-05-16 2006-05-16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KR2004236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010U KR200423627Y1 (ko) 2006-05-16 2006-05-16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010U KR200423627Y1 (ko) 2006-05-16 2006-05-16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27Y1 true KR200423627Y1 (ko) 2006-08-10

Family

ID=4177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010U KR200423627Y1 (ko) 2006-05-16 2006-05-16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6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7388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7938460B2 (en)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US7297884B2 (en) Switching arrangement
JP2013527559A (ja) 自動車用の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施錠装置および方法
US8616081B2 (en) Shift lever device
KR100999966B1 (ko) 엠블럼 일체형 트렁크 개폐장치
US10407947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US20210118285A1 (en) Switching Assembly and Use Thereof in a Handheld Wireless Device For Remotely Activating A Remote Controlled System
KR200423627Y1 (ko) 차량용 후드 개방 감지장치
JP2000159036A (ja) コンビネーションスイッチ装置
CN101379371B (zh) 检测装置以及包括一个该装置的座
CN109767933B (zh) 包括开关的交通工具控制面板
JP4578403B2 (ja) ドアハンドル構造
JP2010095164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20040118666A1 (en) Fail-safe automotive switch
CN104141425B (zh) 一种解锁装置
CN220672885U (zh) 连接器组件
KR100795696B1 (ko) 자동차용 후드 스위치 구조
KR100630497B1 (ko) 접속단자와 이를 이용한 배전반
JP2005327697A (ja) 自動車用スイッチ装置
KR100383945B1 (ko) 자동차의 도어스위치
JP5078403B2 (ja) 車両用アウトハンドル装置
KR200210632Y1 (ko) 자동차의 도어록 스위치
KR100380931B1 (ko) 차체 개폐부의 개폐감지 스위치
KR20240077272A (ko) 가전기기의 와이어 하네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