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24Y1 - 용기 진공 구조 - Google Patents

용기 진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24Y1
KR200423624Y1 KR2020060012982U KR20060012982U KR200423624Y1 KR 200423624 Y1 KR200423624 Y1 KR 200423624Y1 KR 2020060012982 U KR2020060012982 U KR 2020060012982U KR 20060012982 U KR20060012982 U KR 20060012982U KR 200423624 Y1 KR200423624 Y1 KR 200423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vacuum
button
vess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 첸
Original Assignee
신-유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유 첸 filed Critical 신-유 첸
Priority to KR2020060012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65D51/16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by means of a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의 캡에 위치된 용기 진공 구조를 제공한다. 캡은 리세스 포트와 스트럿 형태의 버튼을 수납하기 위하여 리세스 포트의 바닥면에 형성된 틈을 가진다. 버튼은 캡의 바닥 벽을 가압하기 위하여 보다 낮은 면에서 보유 플랜지를 가진다. 큼 부위에는 공기 구멍들이 있다. 또한 버튼은 공기 구멍들을 덮기 위해 외측으로 연장하는 멤브레인을 가진다. 진공 실린더는 진공 상태를 형성하도록 용기 속의 공기를 배출하는 리레스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진공 및 압력 해제 구조를 하나의 본체에 보다 작은 사이즈로 일체화 시킴으로써,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의 저장 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작은 용기에 사용될 수 있다.
용기, 진공, 표시, 캡, 버튼

Description

용기 진공 구조{container vacuuming structur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진공 저장 캔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개략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다른 사용 상태의 개략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단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진공 상태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기 20...캡 21...리세스 포트
22...틈 23...공기 구멍 30...30
31...보유 플랜지 32...멤브레인 33...굴곡 테두리
40...진공 실린더 34...관통홀 35...진공 표시 부재
본 발명은 진공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보다 작은 용기들을 최소 크기로 진공과 감압을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이다.
종래의 진공 저장 캔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개구를 가진 캔(1)과 캔(1)의 상부에 위치되는 캡(2)을 구비한다. 상기 캡(2)은 중공의 베이스(3)와 베이스(3)의 상부에 연결되는 뚜껑(4)을 가진다. 상기 베이스(3)는 캔(1)과 연통되는 2개의 흡입 덕트들(5)를 포함한다. 또한, 2개의 흡입 덕트들(5)은 캔(1)의 내부가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여 캔(1) 내부에 저장된 물품들이 공기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물품의 보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캔(1) 내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호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당김 바(6)에 연결된다. 캔(1)에 저장된 물품을 꺼내기 위해 사용할 때에는, 뚜껑(4) 위의 압력 릴리스 버튼(7)을 누르면, 외기가 캔(1) 속으로 들어갈 수 있어 물품을 꺼내기 위해 캡(2)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캔(1) 내부가 진공 상태인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하여 표시 버튼(8)이 베이스(3)에 설치된다. 캔(1)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당김 바(6)가 움직이는 동안, 표시 버튼(8)은 압력에 의해 뚜껑(4)에 형성된 틈(9) 속으로 가라앉게 됨으로써, 캔(1)의 진공 상태는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캔(1)과 캡(2)은 흡입 덕트(5), 당김 바(6), 압력 릴리스 버튼(7) 및 표시 버튼(8)을 수납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할당되어야 한다. 실제로, (약통과 같은) 많은 작은 캔들은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저장 기간을 연장하기 위해 진공으로 되어야 한다. 캔들이 너무 작아지게 되면, 전술한 진공 설비들을 캡에 포함시키기가 어렵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종래의 구조는 소형 캔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없다.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용기의 캡에 설치된 용기의 진공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캡은 상부에 있는 리세스 포트, 리세스 포트의 바닥 측면에 있는 틈, 및 틈에 유지된 스트럿 형태의 버튼을 가진다. 상기 버튼은 캡의 바닥 벽을 누르기 위하여 하측에 보유 플랜지를 가진다. 또한 상기 리세스 포트는 틈 주위에 공기 구멍들을 가진다. 버튼은 공기 구멍들을 덮기 위한 주위에 멤브레인을 가진다. 진공 상태를 형성하기 위해 용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도록 진공 실린더가 리세트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진공 및 감압 기능은 하나의 본체에서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는 용기 내부에 저장된 물품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하여 대형 및 소형 용기에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버튼의 멤브레인 위에 위치된 캡 형태의 진공 표시 부재를 가진 용기 진공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버튼은 중심에 관통 홀을 가진다. 따라서, 진공 표시 부재는 용기 내부의 진공 상태를 표시하기 위하여 압력 하에서 가라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들 뿐만 아니라 전술한 특징 및 장점은 이어지는 상세한 설명 및 그에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더 명백해 질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진공 구조는 용기(10)의 캡(20)에 설치된다. 상기 캡(20)은 중앙에 내측과 외측을 연통시키는 틈(22)을 가 진 리세스 포트(21)를 구비한다. 또한, 리세스 포트(21)는 틈(22) 주위에 복수의 공기 구멍들(23)을 가진다.
스트럿 형태의 버튼(30)이 상,하 방식으로 틈(2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버튼(30)은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다박에 형성된 보유 플랜지(31) 및 그 중앙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된 멤브레인(32)을 구비한다. 상기 멤브레인(32)은 공기 구멍들(23)을 덮고도 남을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멤브레인(32) 및 버튼(30)은 움푹 들어간 굴곡 테두리(33)를 가진 접점에서 연결된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보유 플랜지(31)가 캡(20)의 바닥 벽을 가압하여 고정 상태를 형성한 상태에서, 버튼(30)은 틈(22)을 통한 힘에 의해 캡(20) 속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사용시, 진공 실린더(40)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리세스 포트(21)를 덮는다. 멤브레인(32)은 흡입력으로 인하여 상승되어 질 것이다. 따라서, 용기(10) 내의 공기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 포트(21)의 공기 구멍들(23)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용기(10)의 내부가 진공이 되면, 진공 실린더(40)를 제거하고, 버튼(30)의 멤브레인(32)은 용기(10)가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공기 구멍들(23)의 상면을 단단하게 덮도록 압력하에서 하방으로 움직인다. 따라서, 용기(10)에 저장된 물품의 저장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용기(10) 속의 물품을 꺼내기 위하여 캡(20)을 개방하기 위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30)을 낮춘다. 굴곡 테두리(33)는 멤브레인(32)이 용이하게 상승되고 리세스 포트(21)의 공기 구멍들(23)로부터 떨어져서 움직이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캡(20)이 쉽게 제거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외부 공기가 용기(10) 속으 로 들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위하여 도 6a를 참조한다. 본 실시예는 멤브레인(32) 위에 유연한 진공 표시 부재(35)가 부가된 점에서 전기 실시예와 구별된다. 상기 진공 표시 부재(35)는 멤브레인(32)의 상부 측면을 덮도록 하방으로 향하는 개구를 가진 중공의 캡이다. 진공 표시 부재(35)의 상부가 보다 낮은 위치로 내려갈 수 있도록 진공 표시 부재(35)의 상부는 버튼(30)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버튼(30)은 상,하로 뻗어 있는 관통 홀(34)을 가진다.
상기 용기(10)가 진공 상태에 있으면, 유연한 진공 표시 부재(35)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아 들여 가라앉을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용기(10)의 내부가 진공 상태인지 여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에는 (의약품 캔과 같이) 복수의 작은 용기들(10a)을 수납할 수 있는 보다 큰 용기(10)를 가진다. 상기 큰 용기(10)는 작은 진공 실린더(40a)가 보관될 수 있는 내벽의 상단에 2개의 보관부(11)를 가진다. 사용시, 작은 용기들(10a)이 먼저 진공으로 된 후, 큰 용기(10) 내부에 보관된다. 그 후, 큰 용기(10)는 캡(20)에 의해 덮여지고, 진공 실린더(40)를 통해 진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은 용기들(10a) 내부에 보관된 물품들은 장시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큰 용기(10)를 진공시킴으로써, 큰 용기(10)에 보관된 작은 용기(10a)는 내부의 공기를 큰 용기(10) 속으로 압력 하에 방출되고, 큰 용기(10)의 진공 실린더(40)를 통해 다시 진공된다. 따라서, 2개의 용기들(10)(10a)은 진공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특징은 캡(20)의 상단 측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최소의 크기로 용기(10)의 캡에 진공 및 압력 해제 구조를 집적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진공 표시 부재(35)는 버튼(30)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캡(20)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진공, 압력 해제 및 진공 표시 구조는 하나의 본체에 위치된다. 본 발명은 보다 큰 용기(10)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의약품 캔과 같은) 작은 용기들(10a)에도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실용성이 보다 강화된다.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예들이 개시의 목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개시된 실시예들의 개량 뿐만 아니라 다른 개량들은 당업자에 의해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들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모든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용기의 캡에 위치된 용기 진공 구조에 있어서,
    상기 캡의 상부에 위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공기 구멍이 그 주위에 형성된 틈; 및
    상기 틈에 삽입되며 상기 캡의 바닥면을 누르도록 하측에 위치된 보유 플랜지 및 상기 공기 구멍을 덮도록 그 중앙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멤브레인을 가진 스트럿 형태의 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진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하방으로 상기 상부에서 리세스 포트를 가지며, 상기 틈은 상기 리세스 포트 위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진공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과 상기 멤브레인은 움푹 들어간 굴곡 테두리를 가진 접점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진공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중앙에서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멤브레인은 캡 형태의 진공 표시 부재에 의해 덮혀지고, 상기 진공 표 시 부재의 상부가 가라앉을 수 있도록 상기 버튼의 상부로부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진공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복수의 보다 작은 용기들을 수납하도록 보다 큰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진공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큰 용기는 상기 작은 용기들에 사용될 진공 실린더를 보관하도록 내부 벽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보관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진공 구조.
KR2020060012982U 2006-05-16 2006-05-16 용기 진공 구조 KR200423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982U KR200423624Y1 (ko) 2006-05-16 2006-05-16 용기 진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982U KR200423624Y1 (ko) 2006-05-16 2006-05-16 용기 진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24Y1 true KR200423624Y1 (ko) 2006-08-10

Family

ID=41772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982U KR200423624Y1 (ko) 2006-05-16 2006-05-16 용기 진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6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16B1 (ko) 2006-02-02 2010-11-15 전자빔기술센터 주식회사 전자 칼럼용 진공 차등 유지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516B1 (ko) 2006-02-02 2010-11-15 전자빔기술센터 주식회사 전자 칼럼용 진공 차등 유지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1887B2 (en) Rubber seal for vacuum receptacle and lid for the receptacle using the same
US20190009967A1 (en) Vacuum sealed container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KR101388092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JP2009530193A (ja) 真空貯蔵容器
WO2008154774A1 (fr) Capuchon de scellement
KR20140064716A (ko)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JP4545601B2 (ja) 複合容器
KR200423624Y1 (ko) 용기 진공 구조
US20070265587A1 (en) Vacuum container and method of using thereof
KR101430721B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JP2019055804A5 (ko)
JP2016097978A (ja) 高粘性液体用二重容器
JP3171600U (ja) 蓋体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JP5164114B2 (ja) 錠剤容器
WO2009033313A1 (fr) Soupape d&#39;évacuation d&#39;air
JP2007320628A (ja) 空気抜き取り真空容器の使用方法
KR20160140110A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JP3124084U (ja) 容器用エアー抜き構造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JP2017154752A (ja) 吐出ポンプ付き容器
TWI702356B (zh) 真空容器閥
KR20100125050A (ko) 보관용기
KR200406683Y1 (ko) 체적 가변형 밀폐 용기
KR100554354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