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592Y1 - 액체주입 원단 - Google Patents

액체주입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592Y1
KR200422592Y1 KR2020060012720U KR20060012720U KR200422592Y1 KR 200422592 Y1 KR200422592 Y1 KR 200422592Y1 KR 2020060012720 U KR2020060012720 U KR 2020060012720U KR 20060012720 U KR20060012720 U KR 20060012720U KR 200422592 Y1 KR200422592 Y1 KR 200422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ynthetic resin
liquid injection
fabric
injectio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복
여운순
Original Assignee
이춘복
여운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춘복, 여운순 filed Critical 이춘복
Priority to KR2020060012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5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겹의 합성수지패드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다수의 구획부가 형성되도록 원단을 구성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제품이 차별화되고 특별한 미감이 발휘되도록 하여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액체주입 원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은, 상하 합성수지패드가 공간부를 갖도록 융착되고 이 공간부내에 액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융착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경계부에 의해 액체가 수용된 다수 개의 구획부로 나누어져 구성된다.

Description

액체주입 원단 {A PAD WITH LIQUID}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액체주입 원단, 110:합성수지패드체,
110a:구획부, 112:상합성수지패드,
114:하합성수지패드, 116:경계부,
120:액체.
본 고안은 액체주입 원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로 구획되고 이와 같이 구획된 공간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합성수지재 원단을 구성하여 보다 차별화 되고 특별한 미감이 발휘되는 액체주입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품을 포장하는 포장재로 사용되는 쇼핑백, 박스 등은 그 원단으로 종이재질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그 외에도 천연섬유나 합성섬유 또는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원단을 이용한 포장재가 제품화 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상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그 내부가 투시되도록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재 원단을 이용하여 제작된 포장재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재 포장재는 대개 융착 방법에 의해 제조하게 되는 것으로, 예컨대 쇼핑백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정해진 크기로 합성수지재 원단을 재단하고, 이와 같이 재단된 원단을 서로 열융착 시켜 포장재몸체를 형성한 후, 이 포장재몸체에 손잡이를 융착하여 부착하거나 설치하여 포장재의 형태를 만든 상태에서 그 표면에 특정 문양이나 문자를 인쇄하여 제품을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합성수지재 포장재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투시됨으로써 투명 포장재로서의 일정한 기능과 효과를 발휘하게 되지만, 이와 같이 제작된 투명 포장재는 구조나 형상이 유사하여 그 표면에 인쇄되는 문양이나 문자를 다르게 하는 방법 외에는 포장재의 상품성을 향상시키거나 차별화시키는 방법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특정 제품을 돋보이도록 하는 고급 제품에는 합성수지재 포장재가 아닌 고가의 고급 원단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에 있으나, 이 또 한 전통적인 포장재이므로 개성이 중요시되고 다양한 형태로 개성을 표현하는 현대사회의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포장의 고급화 및 차별화가 특정 제품의 품질로 소비자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제품의 구매의욕을 자극하게 되는 현실을 고려할 때 보다 독특하고 차별화된 원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두겹의 합성수지패드 내부에 액체가 수용된 다수의 구획부가 형성되도록 원단을 구성함으로써 이를 이용한 제품이 차별화되고 특별한 미감이 발휘되도록 하여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액체주입 원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체주입 원단은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재 원단에 있어서, 상하 합성수지패드가 공간부를 갖도록 융착되고 이 공간부내에 액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융착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경계부에 의해 액체가 수용된 다수 개의 구획부로 나누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 구획부에는 액체의 주입과정에서 함께 주입되는 장식체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e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은 첨부도면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합성수지패드(112,114)가 융착된 경계부(116)에 의해 다수의 구획부(110a)가 형성된 합성수지패드체(110)와, 상기 구획부(110a)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120)로 구성된다.
상기 합성수지패드체(110)는 일정한 크기와 형상으로 재단된 투명 재질의 상하 합성수지패드(112,114)가 그 모서리부에 일정한 크기의 개구부(110b)를 갖도록 융착된 상태에서 이 개구부(110b)를 통해 액체(120)가 주입되고, 액체가 주입된 합성수지패드체(110)가 다수 개의 구획부(110a)로 나누어지도록 경계부(116)가 융착 형성된다.
상기 각 구획부(110a)에는 액체의 주입과정에서 함께 주입되는 장식체(미도시)가 더 구성되는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장식체는 귀금속, 악세사리, 발광체, 방수지 조각 등 다양한 소재와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선택되어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120)는 물과 같은 액체에 투입되어 혼합되면 일정한 색상이 나타나도록 안료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의 제조방법은,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1d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상,하 합성수지패드(112,114)를 재단하여 준비하는 단계(10)와, 상기 단계(10)에서 준비된 상하 합성수지패드(112,114)를 상하로 겹쳐서 일정 범위의 개구부(110b)를 제외한 나머지 모 서리부(110c)를 융착시키는 제1융착단계(20)와, 상기 제1융착단계(20)에서 형성된 개구부(110b)를 통해 일정량의 액체를 주입하는 액체주입단계(30)와, 상기 단계(30)에 의해 액체(120)가 주입되면 합성수지패드체(110)의 개구부(110b)를 융착시켜 수용된 액체(120)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제2융착단계(40)와, 상기 단계(40)에 의해 액체가 배출되지 않게 되면 합성수지패드체(110)가 일정 형상으로 구획되도록 경계부(116)를 융착시키는 제3융착단계(50)가 구성된다.
상기 상,하 합성수지를 재단하는 단계(10)는 투명 재질로 형성된 합성수지패드(필름 형태)를 제작 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재단기로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제1융착단계(20)는 재단된 상,하 합성수지패드(112,114)에서 개구부(110b)를 제외한 모서리부(110c)가 모두가 열융착되어 서로 접합되도록 모서리부와 대응되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된 가압금형(미도시)에 합성수지패드(112,114)에 열을 인가시키는 히터부(미도시)가 구비된 융착장치(미도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융착장치의 가압금형에 형성된 가압돌출부를 상,하 합성수지패드(11,114)의 모서리부(110c)에 가압 밀착시키게 되면 히터부에서 인가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모서리부(110c)는 서로 열융착되어 접합된다.
상기 액체주입단계(30)는 액체의 공급부로부터 연결된 호스나 액체가 채워진 주입기를 상기 제1융착단계(20)에서 형성된 합성수지패드체(110)의 개구부에 투입하여 액체를 주입하게 되는데, 이때 귀금속, 악세사리, 발광체 등으로 된 장식체를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액체주입단계(30)에서 주입되는 액체(120)는 물과 같은 액체에 안료를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써 일정한 색상이 형성되도록 하는 바람직하다.
상기 제2융착단계(40)는 제 1융착단계(20)와 같이 모서리부(110c)를 부착시키는 가압돌출부가 형성된 가압금형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지만 두겹의 합성수지패드를 부착할 수 있는 수공구에 의해서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3융착단계(50)는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패드체(1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등분포 되도록 평면 작업대상에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경계부(116)에 해당되는 가압돌출부(62)가 형성된 가압금형(60)을 이용하여 가압 밀착시키게 되면 히터부의 열로 가열된 가압돌출부(62)에 의해 열융착 작용이 수행되면서 액체주입 원단(100)이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서는 경계부(116)를 형성하는 가압금형(60)의 가압돌출부(62)를 격자형으로 형성하여 융착 후 격자형태의 구획부(110a)가 얻어지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획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3융착단계(50)에서 합성수지패드체(110)의 내부에 액체 외에 장식체가 더 투입되어 있고 이와 같이 투입된 장식체가 각 구획부 마다 동일한 수량이나 모양으로 배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가압금형(60)에 의해 경계부(116)를 형성하는 가압동작 전에 각 구획부로 구획될 부분에 해당되는 위치에 장식체를 위치시키는 작업을 먼저 수행한 후 상기 단계(50)를 수행하여야 한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 핑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200)은 전면(211), 후면(212), 좌측면(213), 우측면(214) 및 바닥면(215)이 서로 접속되어 내부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부(210)와, 이 몸체부(210)의 전면 및 후면상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10)는 열융착이 가능하고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한편 하나 이상의 면이 액체주입 원단(100)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액체주입 원단(100)은 상하 합성수지패드(112,114)가 융착된 경계부(116)에 의해 다수의 구획부(110a)가 형성된 합성수지패드체(110)와, 상기 구획부(110a)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120)로 구성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에서는 도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만 액체주입 원단(100)으로 형성한 쇼핑백을 형성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좌우 측면 및 저면도 액체주입 원단으로 형성된 쇼핑백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200)은 상술한 액체주입 원단의 제조방법을 통해 다수 개의 액체주입 원단(100)을 제조한 상태에서 쇼핑백을 구성하는 전면 및 후면의 크기에 맞게 재단하고 단면의 일반 합성수지 원단에 의해 좌우 측면 및 저면이 형성되도록 각 모서리부를 서로 융착하여 쇼핑백의 몸체부(21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쇼핑백(200)의 몸체부(210)의 전면(211) 및 후면(212)에 형성되는 손잡이부(220)는 상기 전면(211) 및 후면(212)상에 고정홀을 천공한 상태에서 이 고정홀상에 연결고리 형태의 손잡이부(220)를 설치할 수도 있고, 상기 전면(211) 및 후면(212)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손잡이부(220)를 열융착 방식으로 고정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체주입 원단(100)을 이용하여 제작된 쇼핑백(200)은 각 구획부(110a)에 수용된 액체(120)에 의해 입체감이 표현되므로 종래의 평면 원단에 의해 제작된 제품에 비해 차별화되고 독특한 미감이 얻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은 투명한 원단의 내부에 물과 같은 액체가 수용되어 태양광을 받게 되면 조사되는 빛의 방향에 따라 다양한 미감이 연출되는 한편 쇼핑백의 내부에 수용된 상품이 물속에 들어 있는 듯한 신비감과 시원함을 느끼게 되므로 이와 같은 기능에 부합하는 상품을 투입하게 되면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획부에 수용되는 액체의 색상을 사용목적이나 사용상품 및 계절에 맞게 특정한 색상으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장식체를 투입하게 되면 보다 더 특별한 미감이 얻어지므로 상품성을 배가시키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액체주입 원단의 외면상에 별도의 천이나 장식물을 덧씌우거나 부착하여 또 다른 형태의 원단을 형성한 후 이를 의류용이나 생활용품 등의 원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액체주입 원단에 의하면, 내부가 투시되는 투명 재질로서 액체가 수용된 다수의 구획부가 구성되어 입체적이고 동적인 특별하면서도 독특한 미감이 표현되고 차별화된 원단이 얻어지므로 이를 이용하여 고급화 및 차별화된 포장재와 같은 다양한 상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재 원단에 있어서,
    상하 합성수지패드가 공간부를 갖도록 융착되고 이 공간부내에 액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융착공정을 통해 형성되는 경계부에 의해 액체가 수용된 다수 개의 구획부로 나누어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획부에는 액체의 주입과정에서 함께 주입되는 장식체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주입 원단.
KR2020060012720U 2006-05-12 2006-05-12 액체주입 원단 KR200422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20U KR200422592Y1 (ko) 2006-05-12 2006-05-12 액체주입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20U KR200422592Y1 (ko) 2006-05-12 2006-05-12 액체주입 원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2280 Division 2006-05-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592Y1 true KR200422592Y1 (ko) 2006-07-27

Family

ID=4177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720U KR200422592Y1 (ko) 2006-05-12 2006-05-12 액체주입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5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13B1 (ko) * 2010-03-01 2013-02-12 조연수 에어로젤 충진 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313B1 (ko) * 2010-03-01 2013-02-12 조연수 에어로젤 충진 소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6790B (zh) 双组元注射成型的分配部件
KR100923660B1 (ko) 표면 장식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22592Y1 (ko) 액체주입 원단
KR200423617Y1 (ko) 액체주입 원단을 이용한 쇼핑백
JP2008290416A (ja) 加飾成形体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って得られる加飾成形体
CN108297607A (zh) 立体布艺产品及其制造方法
KR101157957B1 (ko) 싸개 단추의 제조 방법
JPH0655496B2 (ja) 内装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16422B1 (ko) 컬러 캐릭터 그림의 인쇄방법 및 컬러 캐릭터 그림이인쇄된 입체 딱지
KR200423949Y1 (ko) 투명 입체감을 가지는 원단
KR100200027B1 (ko) 의류용 입체패치 및 그 제조방법
JPS6052237B2 (ja) 隅どり模様を有する不織布
KR200284505Y1 (ko) 렌티큘러 액세서리
KR920001481B1 (ko) 복지원단상에 고주파 접착으로 합성수지 입체무늬와 벨크로를 동시 접착한 벨크로 입체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4773A (ko) 합성피혁의 입체무늬 성형방법
KR200244513Y1 (ko) 합성수지 용기
KR101803262B1 (ko) 다층의 문양을 갖는 비누 제조 방법
KR200208425Y1 (ko) 자개 장식판이 결합된 휴대용 가방
JPH03257250A (ja) タイル
KR200437051Y1 (ko) 깔개류용 패널의 부착판
CN202908340U (zh) 简易成型多变化展示框
KR200287707Y1 (ko) 고주파 작업을 통한 홀로그램과 결합된 렌티큘러원단
KR200375156Y1 (ko) 컬러 캐릭터 그림이 인쇄된 입체 딱지
KR101474336B1 (ko) 좌변기용 커버 제작방법
KR100617918B1 (ko) 이중 엠보싱이 형성된 전자제품용 패널의 제조장치 및 그장치에 의해 제조된 이중 엠보싱이 형성된 전자제품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