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193Y1 - 무접촉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무접촉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193Y1
KR200421193Y1 KR2020060009638U KR20060009638U KR200421193Y1 KR 200421193 Y1 KR200421193 Y1 KR 200421193Y1 KR 2020060009638 U KR2020060009638 U KR 2020060009638U KR 20060009638 U KR20060009638 U KR 20060009638U KR 200421193 Y1 KR200421193 Y1 KR 200421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upply
power supply
load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6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현택
Original Assignee
오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현택 filed Critical 오현택
Priority to KR20200600096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1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2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technique;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H04B5/24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무접촉전원공급장치(90)는 케이블을 직접연결하지 않고서 이격된 상태에서 전력전달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부(100)와 상기 전원발생부(1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흡수부(200)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발생부(100)와 전원흡수부(200)를 수신부(160), 발신부(270)로 연결시켜 이동 가능한 부하장치에 적용하면, 상기 부하장치가 자동으로 전원발생부(100)로 이동되어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로 인한 활동의 지장이 방지되고, 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단락 내지 누전 현상이 예방되며, 콘센트와 플러그 내지 소켓과 잭 또는 연결단자 등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접촉부위의 부식이나,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원발생부(100)와 전원흡수부(200)를 난연성 절연재질인 케이스(140, 250)로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하면, 인화성 가스나 부식성 물질을 사용하는 위험한 장소에서도 화재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유독성 가스 내지 물질을 다루는 생산 현장에서도 부식이 방지되고, 무인 충전 기능이 가능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무접촉전원공급장치, 전원발생부, 전원흡수부

Description

무접촉전원공급장치{Non contact power supply}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교류전원과 부하 사이에 케이블이 연결된 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교류전원과 부하 사이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에 연결수단이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접촉전원공급장치의 전원발생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접촉전원공급장치의 전원흡수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접촉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원발생부에서 전원흡수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90: 무접촉전원공급장치 100: 전원발생부
120: 고주파스위칭회로 130: 1차코일부
140, 250: 케이스 150: 전자석회로부
160: 수신부 270: 발신부
220: 전원안정화회로 230: 직류전원회로
P, Q: 제어부
본 고안은 무접촉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발생부와 전원흡수부로 분리 구성하여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교류전원이 전원발생부로부터 전원흡수부로 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발생부는 교류전원 측에 연결되며, 상기 전원흡수부는 부하장치에 설치하여 상호간의 신호를 통하여 부하장치에 전원공급이나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무접촉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교류전원과 부하장치 사이에 케이블이 연결된 예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교류전원과 부하장치 사이에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에 연결수단이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부하장치(50)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서는 교류전원(10)에 직접적으로 케이블(20)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는 방식과 교류전원(10)에 케이블(20)로 연결되는 충전기(40)와 상기 충전기(40)에 연결되는 축전지(30)에 전기에너지를 저장한 후, 상기 축전지(30)를 부하장치(50)에 장착하여 충전된 전기 에너지를 공급받는 방식이 있는 데, 교류전원(10)과 케이블(20) 사이 내지 부하장치(50)와 케이블(20) 사이 그리고 충전기(40)와 케이블(20) 사이에는 플러그와 콘센트 또는 잭과 소켓 내지 연결단자 등의 연결수단(60)이 구비되어 상호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전자는 교류전원(10)으로부터 부하장치(50)에 직접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이고, 후자는 충전기(40)를 통해 전압이 가변된 전기에너지를 축전지(30)에 충전한 다음, 상기 축전지(30)를 부하장치(50)에 부착하여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 구성 모두 전기를 공급받거나 충전하기 위해서는 케이블(20)을 필요로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20)은 부하장치(50)까지의 거리와 부하장치(50)의 이동에 따라 설치에 제약을 받을 수 있어 특히,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용으로서 사용 시, 사람이 걸려서 넘어지는 등 활동하는 데,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주위 환경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20)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사람이 발로 밟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접촉함으로써 쉽게 손상되어 누전 내지 단락의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또한, 상기 케이블(20)을 전원 공급의 매개체로서 이동하는 부하장치(50)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할 경우, 연결수단(60)으로 플러그와 콘센트 또는 잭과 소켓 내지 연결단자를 필요로 하게 되는 데, 모두 접촉 내지 이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이지만, 잦은 접촉 또는 이탈로 인한 마모현상과 접촉면의 부식으로 견고한 접촉이 되지 않아 쉽게 이탈하게 되거나, 접촉 불량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사례가 많고, 접촉 시, 스파크가 발생함으로써, 인화성 가스를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화재의 요인이 된다. 특히, 유독성 가스 내지 물질을 다루는 생산 현장에서는 상기 연결수단(60) 또는 케이블(20)과 연결수단(60)의 연결부위에 부식현상이 발생하여 접촉불량 상태가 야기되고, 케이블의 반복 이동으로 유연성이 상실되어 케이블(20) 내부의 도선이 단락되는 예가 비일비재한 실정이다.
또한, 충전기(40)를 통해 축전지(30)에 전기에너지를 충전한 후, 상기 축전지(30)를 부하장치(50)에 장착하여 전기를 상기 부하장치(50)에 공급하는 경우, 방전의 때를 염두에 두고 있다가 방전 시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충전기(40)를 직접 전원에 연결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일례로 무인청소기나 그 외, 여러 형태의 다양한 용도의 로보트 등 부하장치(50)의 경우, 작동하다가 방전되면 사람이 다시 전원에 연결시켜 충전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을 연결시키지 않고서도 이격된 상태에서 부하장치에 전원의 공급이나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용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부와 상기 전원발생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흡수부를 구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흡수부와 전원발생부는 수신부, 발신부를 통하여 자동으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무인운전이 가능하고, 또한 위치이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에 전원흡수부를 연계시키면 자동으로 전원발생부의 위치로 근접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운용자의 부재 시에도 대기하는 시간이 필요없고, 무인운전으로 경제적 효과가 뛰어나며, 케이블로 인한 활동의 지장이 방지되고, 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단락 내지 누전현상이 예방되며,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써, 접촉부위에서 발생하는 부식과 접촉 불량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어, 인화성 가스가 존재하는 공간이나 유독성 가스 내지 물질을 다루는 생산현장에서도 사용 가능하며, 항상 무접촉으로 전원 공급이나 무인 충전이 가능한 무접촉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예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접촉전원공급장치의 전원발생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접촉전원공급장치의 전원흡수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접촉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전원발생부에서 전원흡수부로 전원이 공급되는 예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부하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원과 부하장치 상간에 케이블을 매개체로 구성할 때에 가능하지만, 본 고안에서는 상기 케이블의 직접적인 연결없이 전원에서 부하장치로 전기에너지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발생부(100)와 상기 전원발생부(1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무접촉으로 공급받도록 상 기 전원발생부(100)와는 분리 대응되게 구성되어 전력을 공급받아 부하장치에 전기를 인가하는 전원흡수부(2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부하장치는 레일 등 일정 궤도를 따라 이동하거나,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한 무인청소기 내지 그 외, 여러 형태의 다양한 용도의 로보트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기 자유자재로 이동이 가능한 부하장치는 자체 제어부가 구동부를 제어하여 원하는 위치까지 이송이 가능한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전원발생부(100)는 전원흡수부(200) 쪽으로 전력 전달 시에 상용전원의 주파수로도 이용 가능하지만, 더욱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용 주파수보다 높은 고주파의 교류전원으로 변환되도록,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고주파의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주파스위칭회로(120)를 구성시키고,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120)의 동작으로 자계에너지가 발생하도록,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120)에, 1차코어(135)에 코일이 권취된, 1차코일부(130)를 연계시킨다. 또한, 상기 전원흡수부(200)를 전원발생부(100)로 밀착시켜, 자계에너지의 전달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전원흡수부(200)가 전원발생부(100)에 근접 시에 용이하게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밀착시키는 전자석회로부(150)를 전원발생부(100)의 교류전원에 연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전자석회로부(150)에는 자력을 전달하도록 전자석(155)을, 전원흡수부(200)의 밀착 유지되는 부분과 함께 알맞은 형태로서 내장시킨다.
아울러, 상기 전원발생부(100)에는 전원흡수부(200)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160)가 구성되며, 상기 전자석회로부(150)를 작동 내지 정지시키고, 고주파스위칭회로(120)를 작동하여 전력을 공급 내지 차단하도록 컨트롤하며, 상기 수신부(160)를 통해 전원흡수부(200)의 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P)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각 구성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난연성이며 절연재질인 케이스(140)가 구성되는 데, 상기 전자석(155)이 케이스(140) 내부에 형성되며, 형성되는 위치와 형태는 전원흡수부(200)의 구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원발생부(100)에는 제어부(P)와 함께 연계되어 동작상태와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는 경보표시제어부(S)가 구성되고, 상기 경보표시제어부(S)는 전원발생부(100)의 동작상태와 정보를 수신부(160)를 통하여 수신되는 전원흡수부(200)의 정보와 동작기능 상태를 함께 사용자가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LED 또는 LCD로 구성되며,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흡수부(200)는 상기 1차코일부(130)와 분리이격된 상태에서 대응하여 유도되는 자계에너지의 흡수가 용이하도록 2차코어(215)에 코일이 권취된 2차코일부(210)가 구성되고, 상기 2차코일부(210)에 연결되어 유도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교류전원을 안정시키는 전원안정화회로(22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안정화회로(220)는 직접적으로 부하장치에 유도된 교류전원을 공급하며,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직류전원회로(230)가 연계구성되어 부하장치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직류전원회로(230)에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저장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축전지(240)가 구성되는 데, 상기 전원안정화회로(220)에서 직접적으로 부하장치로 교류전원이 인가되거나, 상기 직류전원회로(230)에서 직접적으로 부하장치로 직류전원의 인가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전원흡수부(200)에는 전원발생부(100)에 신호를 발신할 수 있 는 발신부(270)가 구비되며, 상기 발신부(270)를 제어하거나 부하장치와의 정보를 공유하며 요구되거나 검출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Q)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Q)는 부하장치에 연계구성되어서 부하장치의 작동 시, 축전지(240)의 방전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Q)는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부하장치에 신호를 보내며 부하장치는 전원발생부(100)의 위치를 추적하고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부하장치를 통하여 전원발생부(100) 쪽으로 근접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흡수부(200) 또한 각 구성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도록 난연성이며 절연재질인 케이스(250)가 감싸도록 구성되는 데, 상기 전원발생부(100)의 전자석(155)에 대응하도록 케이스(250)에 자성의 금속재인 고정금속부(260)가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전원흡수부(200)가 부하장치에 의하여 전원발생부(100)로 근접 시에 상기 전자석(155)과 고정금속부(260)가 밀착됨으로써, 용이하게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전원흡수부(200)에는 동작기능이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R)가 구성되고, 상기 표시부(R)는 부하장치나 전원흡수부(200)에 연계 구성된 축전지(240)의 전압, 사용시간, 불량상태 등의 정보와 전원흡수부(200)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Q)에서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신부(270)는 예로서, 소리 또는 빛 내지 전파, 자력 등 신호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면 가능하고, 상기 발신부(270)의 신호를 받는 수신부(160)는 상기 신호수단들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면 무방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용 교류전원에 전원발생부(100)를 연결하고, 전원흡수부(200)는 일반적인 위치가 고정된 부하장치보다는 이동에 의해 직접 접촉이 어려운 부하장치에 설치 연계되어 사용된다.
상기 부하장치는 고정레일 등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것이나, 이동이 자유로운 경우가 모두 해당되는 데, 자유롭게 이동하는 부하장치의 경우,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다가 축전지(240)에 전기에너지가 방전되면, 부하장치에 연계된 전원흡수부(200)의 제어부(Q)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부하장치에 특정 신호를 보내고, 부하장치는 자체 제어기능에 의해, 전원발생부(10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부하장치의 이동에 의해 전원흡수부(200)가 전원발생부(100)에 근접하게 되고, 전원흡수부(200)에서는 전원발생부(100)로 전력공급 신호를 상기 전원흡수부(200)에 구성된 발신부(270)를 통하여 전원발생부(100)로 신호를 보내게 되며, 상기 전원발생부(100)에 구성된 수신부(160)에서 전원흡수부(200)에서 발생된 신호를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는 상기 전원발생부(100)에 구성된 제어부(P)로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P)는 신호를 분석하고 요구되는 신호에 응답동작을 하며 제어부(P)에 연계된 전자석회로부(150)를 통하여 전자석(155)에 자력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고정금속부(260)가 밀착되도록 하여 전원흡수부(200)와 전원발생부(100)가 밀착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준비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P)가 고주파스위칭회로(120)를 동작시키면, 전원발생부(100)에서 전원흡수부(200)로 전력이 전달되며, 전원흡수부(200)의 제어부(Q)는 공급되거나 충전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분석하고 분석 처리된 신호를 발신부(270) 를 통하여 신호를 전원발생부(100)로 보내며 전원발생부(100)의 수신부(160)는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P)로 보내어 신호를 분석하여 전력 공급을 개시하거나 중지하며, 전력공급량이 제어될 수 있도록 전원흡수부(200)에서 요구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하며, 전력공급이 종료된 신호이면 전력공급을 중지하고 전자석회로부(150)를 제어하여 전자석(155)의 자력이 상실되게 하여 전원흡수부(200)는 전원발생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본래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부하장치가 레일 등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에서 전자석회로부(150)와 전자석(155) 그리고 고정금속부(260)가 구성되지 않는다.
상기 부하장치가 레일 등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더욱 간편하게 구성되는 데, 상기 제어부(P)의 신호를 받고, 서행하거나 정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전제로 한다.
상기 전원흡수부(200)에서 축전지(240)의 방전상태가 감지되면, 제어부(Q)는 부하장치에 신호를 보내어 전원발생부(100) 근접 시, 부하장치가 서행하거나 정지하도록 하며, 이 때, 전원흡수부(200)의 발신부(270)에서는 전원공급요청이나 방전상태를 알리는 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전원발생부(100)의 수신부(160)에서는 상기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P)에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P)는 고주파스위칭회로(120)를 구동하여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충전이나 공급이 완료되면, 전원흡수부(200)의 제어부(Q)는 발신부(270)를 통해 공급종료신호를 발신하게 되고, 전원발생부(100)의 수신부(160)가 이를 제어부(P)에 전송하게 되면, 고주파스위칭회 로(120)의 작동을 정지시켜, 전원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이 때, 전원흡수부(200)의 제어부(Q)는 부하장치에 동작 신호를 보내어 다시 구동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상기 두 실시예 모두 경보표시제어부가(S) 및 표시부(R)를 통해 전압, 사용신간, 불량상태 등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상기 경보표시제어부(S)의 스위치는 온, 오프 등 단속이나 정보설정에 관한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케이블로 인한 활동의 지장이 방지되고, 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단락 내지 누전 현상이 예방되며, 콘센트와 플러그 내지 소켓과 잭 또는 연결단자 등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원발생부(100)와 전원흡수부(200)를 난연성 절연재질인 케이스(140, 250)로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함으로써, 인화성 가스나 부식성 물질을 사용하는 위험한 장소에서도 화재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유독성 가스 내지 물질을 다루는 생산 현장에서도 부식이 방지되므로 사용 가능하며, 무인 충전 기능이 가능한 효과가 이점이 있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무접촉전원공급장치는 케이블을 직접연결하지 않고서 이격된 상태에서 전원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발생부와 상기 전원발생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흡수부로 구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발생부와 전원흡수부를 수신부, 발신부로 연결시켜 이동 가능한 부하장치에 적용하면, 자동으로 전원발생부와 연계되어 전력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케이블로 인한 활동의 지장이 방지되고, 케이블의 손상으로 인한 단락 내지 누전 현 상이 예방되며, 콘센트와 플러그 내지 소켓과 잭 또는 연결단자 등 연결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접촉부위의 부식이나,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전원발생부와 전원흡수부를 난연성 절연재질로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하면, 인화성 가스나 부식성 물질을 사용하는 위험한 장소에서도 화재의 원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유독성 가스 내지 물질을 다루는 생산 현장에서도 부식이 방지되므로 사용 가능하며, 무인 충전 기능이 가능하며, 특히, 위치 이동이 가능한 부하장치에 적용하면, 전원 공급 필요 시, 자동으로 전원 발생부의 위치로 근접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자동으로 전원 공급(충전) 기능이 가능하여, 운영자의 부재 시에도 무인 운전으로 운용자를 기다리는 대기 시간이 필요 없고, 무인 운전으로 경비가 절감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격된 상태에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접촉전원공급장치(90)를 구성함에 있어서,
    교류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을 발생시키도록 1차코일부(130)가 형성된 전원발생부(100)와,
    상기 전원발생부(10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부하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2차코일부(210)가 형성된 전원흡수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발생부(100)는 고주파의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고주파스위칭회로(120)와,
    상기 고주파스위칭회로(120)의 전원이 공급되어 자계에너지가 발생하도록 1차코어(135)에 코일이 권취된 1차코일부(130)와,
    상기 전원흡수부(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160)와,
    상기 수신부(160)를 통해 전원흡수부(200)의 신호를 전송받아 전자석회로부(150)를 작동 내지 정지시키고, 고주파스위칭회로(120)를 작동하여 전력의 공급 내지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제어부(P)와,
    상기 전원발생부(100)를 커버하여 보호하는 케이스(140)로 구성되고,
    상기 전원흡수부(200)는 상기 1차코일부(130)와 이격된 상태에서 대응하여 자계에너지의 흡수가 가능하도록 2차코어(215)에 코일이 권취되는 2차코일부(210)와,
    상기 2차코일부(210)에 연결되어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안정화회로(220)와,
    상기 전원안정화회로(220)에 연계되어 직류전원을 발생시키는 직류전원회로(230)와,
    상기 직류전원회로(230)에 연결되어 전기에너지를 충전하는 축전지(240)와,
    상기 전원발생부(100)에 신호를 발신할 수 있는 발신부(270)와,
    상기 축전지(240)의 상태를 감지하여 발신부(270)를 통해 축전지(240)의 상태를 전원발생부(100)에 알리고, 자체적으로 전원발생부(100)로 근접하도록 구성된 부하장치에 구동신호를 보내는 제어부(Q)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촉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흡수부(200)와 전원발생부(100)의 밀착 내지 이탈이 가능하도록 전원발생부(100)에 구성되는 전자석회로부(150)와,
    상기 전자석회로부(150)에 연계되어 자력이 발생 내지 소멸되는 전자석(155)과,
    상기 전원흡수부(200)에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155)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금속재로 구성되는 고정금속부(26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촉전원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P)에 연계되어 전원발생부(100)와 전원흡수부(200)의 동작상태와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LED 또는 LCD로 구성되는 경보표시제어부(S) 및 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Q)에 연계되어 축전지(240)의 전압, 사용시간, 불량상태 등의 정보와 전원흡수부(200)의 동작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Q)에서 신호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LED 또는 LCD로 구성되는 표시부(R)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촉전원공급장치.
KR2020060009638U 2006-04-11 2006-04-11 무접촉전원공급장치 KR200421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638U KR200421193Y1 (ko) 2006-04-11 2006-04-11 무접촉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638U KR200421193Y1 (ko) 2006-04-11 2006-04-11 무접촉전원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819A Division KR100740769B1 (ko) 2006-04-11 2006-04-11 무접촉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193Y1 true KR200421193Y1 (ko) 2006-07-13

Family

ID=41769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638U KR200421193Y1 (ko) 2006-04-11 2006-04-11 무접촉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1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150B1 (ko) * 2009-01-30 2011-06-13 황인태 휴대폰 무접점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150B1 (ko) * 2009-01-30 2011-06-13 황인태 휴대폰 무접점 충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068303U (zh) 一种充电系统、供电装置及飞行器
CN100475461C (zh) 具有移动式操作部的机器人控制装置
KR102114671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공용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3871894U (zh) 充电器及充电系统
US10110062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CN201584471U (zh) 电子装置
JP5821031B2 (ja) 電動車両用充電装置
JP2013225962A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
CN103887891A (zh) 机械的控制设备
CN105762898A (zh) 一种智能手机充电器
KR20160031808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장치
CN102638115B (zh) 无线充电方法及装置
CN105226782A (zh) 电动车充电桩和电动车充电方法
WO2013031054A1 (ja) 充電システム、電子機器、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790570A (zh) 一种水下机器人电源磁控开关装置及控制方法
KR200421193Y1 (ko) 무접촉전원공급장치
KR100740769B1 (ko) 무접촉전원공급장치
CN105826623A (zh) 一种充电方法、充电器及被充电装置
KR101610523B1 (ko) 휴대용 완속충전기의 스파크 방지장치
KR101820476B1 (ko) 모바일단말의 배터리 충전 감시 장치
CN209581189U (zh) 一种agv对接式充电桩
CN107359664A (zh) 机器人大电流自动充电接口控制电路
CN109318731B (zh) 一种电动汽车充电接头
KR101229941B1 (ko) 전기자동차의 무인충전 전원공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6300580A (zh) 一种非接触充电装置控制输出功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