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090Y1 - 에어 플러그 - Google Patents

에어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090Y1
KR200421090Y1 KR2020060010149U KR20060010149U KR200421090Y1 KR 200421090 Y1 KR200421090 Y1 KR 200421090Y1 KR 2020060010149 U KR2020060010149 U KR 2020060010149U KR 20060010149 U KR20060010149 U KR 20060010149U KR 200421090 Y1 KR200421090 Y1 KR 2004210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tube
air
head
plate
ai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1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근
Original Assignee
문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근 filed Critical 문정근
Priority to KR20200600101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0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0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0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2Solid tyres ; Moul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7Venting devices, e.g. vent plugs or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 몰드의 공기배출구(vent)에 설치되는 에어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관(200)과,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몸체부(202)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02)의 일단에는 깔대기형 머리(206)로 형성되고, 타 일단은 판형 머리(204)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머리(204)가 상기 중공관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판형 머리와 상기 중공관 내주면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중공관 내에서 자유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중공관에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에어플러그, 타이어, 가류

Description

에어 플러그{An air plug}
도 1 내지 도 7은 종래 기술에 관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관한 설명>
200 : 중공관 202 : 몸체부
204 : 판형 머리 206 : 깔대기형 머리
208 : 세봉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 금형의 에어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가류시 몰드의 내면과 그린 케이스의 외주면 사이에 공기가 갇혀서 발생하는 베어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류 몰드의 방사측 방향으로 형성한 다수의 벤트(vent)를 천공하여 가류금형을 형성하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다수의 벤트에 개재하여 결합하는 에어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 가류 몰딩 공정에 있어서 드릴 벤트 방법(drill vent method)을 사용한다. 드릴 벤트 방법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류 몰드의 방사 방향으로 다수의 벤트(12)를 관통시켜 형성함으로써 그린 케이스와 금형(10) 사이에 정체되어 있는 잔존 공기를 벤트(12)를 통해 몰드 외부로 배출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드릴 벤트 방법을 통한 가류 몰딩에 있어서, 가류 벤트를 통해 공기가 배출됨과 동시에 트레드 부분을 이루는 고무가 벤트 측으로 유출되어 식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이와 같이 고무가 식출되어 타이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식출된 고무(20)는 타이어의 외관을 나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면에서 타이어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가류 몰드에서 타이어를 꺼낼 때 식출된 고무(20)가 벤트 내에 남아 있게 되면 다음 번의 가류시 벤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아니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식출고무(20)가 차후에 생산되는 타이어의 불특정 부위에 붙어서 나오는 경우도 있어 불량률이 높아지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에어 플러그를 금형의 내주면측 벤트 부분에 삽입하여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류 금형(34)의 내주면측 벤트(32) 부분에 에어 플러그(30)를 삽입하여 가류시 벤팅이 이루어지더라도 식출고무가 형성되는 현상이라든지 식출된 고무의 절상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종래 금형의 내주면측 벤트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에어 플러그로는 다양한 형태의 에어 플러그가 제안되었다.
간단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통형 파이프 형상의 플러그(40)의 내부에 중공(42)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는 것이 있다. 이러한 에어 플러그를 통해 식출고무의 형성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10-236126호에 개시된 기술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내부를 테이퍼 가공하여 경사진 중공(52)를 형성하여 특히 몰드 내측의 그린 케이스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한 구조의 에어플러그가 제안되었다.
한편 한국 특허공개 2003-69698호에 개시된 기술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된 심재(63)와 중공관(62)을 결합한 형태의 에어플러그(60)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핀(74)이 외주면 전체에 형성된 심재(73)와 중공관(72)을 결합한 형태의 에어플러그(70)가 제안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형태의 에어플러그가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에어플러그는 모두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에어플러그는 공기배출공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식출고무의 생성이 어느 정도 방지되나 공기 배출공이 크기가 작고 그 길이가 플러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길게 형성됨으로써 고무의 유입에 의해 배출공이 막혀 공기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됨으로써 타이어 가류 몰딩 공정시 불량의 원인이 된다.
한편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에어플러그는 심재의 주연에 스플라인이나 톱니를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용이하지 아니하며 제조 단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각각의 공기 배출구가 톱니나 스플라인 구조에 의하여 각각 분리되어 있어서 공기 배출구의 배출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단점이 있고 고무에 의해 공기 배출구가 막히기 쉽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어 가류 몰딩시 식출고무가 형성되는 현상이라든지 식출된 고무의 절상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이 점차로 누적되어 공기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며 제조공정이 매우 단순하여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에어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타이어 가류 몰드의 공기배출구(vent)에 설치되는 에어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중공관(200)과,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몸체부(202)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02)의 일단에는 깔대기형 머리(206)로 형성되고, 타 일단은 판형 머리(204)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머리(204)가 상기 중공관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판형 머리와 상기 중공관 내주면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중공관 내에서 자유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중공관에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깔대기형 머리(206)와 판형 머리(204)는 세봉(208)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깔대기형 머리(206)의 최대 직경(D3)는 상기 중공관의 내경(D1)보다 미세하게 작고 상기 판형 머리의 너비(D2)는 상기 중공관의 내경(D1)보다 같거나 미세하게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중공관과 몸체부의 결합에 의하여 에어플러그를 형성한다. 몸체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는 깔대기형상의 깔대기형 머리(206)이 형성되고 반대측으로는 판형 머리(204)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깔대기형 머리(206)의 최대 직경(D3)는 상기 중공관의 내경(D1)보다 약간 작 게 형성된다. 따라서 깔대기형 머리의 끝단이 막고 있기 때문에 식출고무의 생성이 방지된다. 그러면서도 공기는 빠져 나갈 수 있는 틈이 있게 된다. 한편, 판형 머리의 너비(D2)는 상기 중공관의 내경(D1)보다 같거나 미세하게 더 크게 형성되어 중공관에 몸체부를 삽입할 때, 판형 머리가 내주면에 접촉 압박되면서 마치 끼움 결합하는 것과 같이 되어 몸체부의 유동이 방지되면서 몸체부가 중공관에 결합되게 한다.
한편 깔대기형 머리(206)와 판형 머리(204)는 세봉(208) 즉 가는 막대로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타이어 몰딩시 깔대기형 머리부에 의하여 식출고무가 생성되는 것이 방지될 뿐 아니라, 깔대기형 머리부와 중공관 내주면 사이의 공기가 배출되는 틈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몸체부와 중공관 내주면 사이에 쌓이게 되는 이물질은 판형 머리(204)측의 넓은 배출공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되게 되어 이물질 퇴적에 의해 배출공이 막히는 등의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요컨대, 식출고무가 유입되지 못하도록 유입구 측은 깔대기형 머리로 봉쇄하되 공기 배출 공극은 확보하고, 타 일측에서 는 판형 머리를 통하여 내주면에 끼움 접촉되면서도 동시에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커다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고안의 몸체부는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즉, 환봉의 주위를 절개하여 제거한 후 아래 부분만 프레스하여 판형을 생성 함으로써 간단히 만들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 절삭, 프레스 등의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몸체부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타이어 가류 몰딩시 식출고무가 형성되는 현상이라든지 식출된 고무의 절상으로 인한 문제점 등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이물질이 점차로 누적되어 공기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에서는 중공관과 몸체부라는 매우 단순한 형태의 부품을 형성하고 몸체부는 환봉을 절삭하고 프레스하기만 하면 에어플러그의 제조가 완성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의 에어플러그에 비해서 제조가 간단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Claims (3)

  1. 타이어 가류 몰드의 공기배출구(vent)에 설치되는 에어 플러그에 있어서,
    중공관(200)과,
    상기 중공관에 삽입되는 몸체부(202)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부(202)의 일단에는 깔대기형 머리(206)로 형성되고, 타 일단은 판형 머리(204)로 형성되고 상기 판형 머리(204)가 상기 중공관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판형 머리와 상기 중공관 내주면의 접촉에 의하여 상기 몸체부가 상기 중공관 내에서 자유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기 중공관에 상기 몸체부가 결합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러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형 머리(206)와 판형 머리(204)는 세봉(208)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러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깔대기형 머리(206)의 최대 직경(D3)는 상기 중공관의 내경(D1)보다 작고 상기 판형 머리의 너비(D2)는 상기 중공관의 내경(D1)보다 같거나 큰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에어 플러그
KR2020060010149U 2006-04-17 2006-04-17 에어 플러그 KR2004210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49U KR200421090Y1 (ko) 2006-04-17 2006-04-17 에어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149U KR200421090Y1 (ko) 2006-04-17 2006-04-17 에어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090Y1 true KR200421090Y1 (ko) 2006-07-10

Family

ID=4176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149U KR200421090Y1 (ko) 2006-04-17 2006-04-17 에어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0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78Y1 (ko) 2009-12-07 2012-05-0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몰드용 벤팅 플러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078Y1 (ko) 2009-12-07 2012-05-02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가류 몰드용 벤팅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2488B2 (en) Forming mold
CN103171161B (zh) 空气保持轮胎构造方法
KR200421090Y1 (ko) 에어 플러그
KR10038372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피스
KR200436675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배출 플러그
KR100573879B1 (ko) 에어 플러그 및 그 제조 방법
KR100443645B1 (ko) 벤트 플러그 및 그 벤트 플러그를 구비한 타이어 가류 몰드
KR100391545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피스
KR101346718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0354893Y1 (ko) 에어 플러그
KR200470588Y1 (ko) 타이어 가류 금형의 밴트장치
KR101010802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에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공기 배출구조
US20170361553A1 (en) Sipe blade venting structure
JPS6321112A (ja) タイヤ製造方法および装置
KR200442824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필터벤트
KR10040508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피스
KR101384920B1 (ko)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타이어 가황 금형
KR0139263B1 (ko) 공기배출홈을 가진 타이어 금형
KR100771689B1 (ko) 벤트 식출방지를 위한 타이어 가류금형의 미니 플러그
KR200490911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200339765Y1 (ko) 타이어 가류몰드의 공기배출 플러그
KR100873786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필터벤트
KR200493906Y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벤트장치
KR19990070798A (ko) 유공수로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345210B1 (ko) 타이어 가류금형의 블레이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