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714Y1 - 일회용 종이봉투컵 - Google Patents

일회용 종이봉투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714Y1
KR200420714Y1 KR2020060010650U KR20060010650U KR200420714Y1 KR 200420714 Y1 KR200420714 Y1 KR 200420714Y1 KR 2020060010650 U KR2020060010650 U KR 2020060010650U KR 20060010650 U KR20060010650 U KR 20060010650U KR 200420714 Y1 KR200420714 Y1 KR 200420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aper bag
disposable paper
bag cup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6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감병국
Original Assignee
감병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병국 filed Critical 감병국
Priority to KR20200600106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7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7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봉투컵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봉이 편리하면서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일회용 종이봉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은 상호 밀착된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접혀진 접철부가 마련된다.

Description

일회용 종이봉투컵{ONE-TIME PAPER ENVELOPE CUP}
도 1은 종래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개구부가 개봉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개구부가 개봉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일회용 종이봉투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을 제작하기 위한 원지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접철부가 형성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이 개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일회용 종이봉투컵 10': 원지
11: 개구부 12: 수용공간
13: 합성수지층 20: 전면부
30: 후면부 40: 접철부
41: 제1접철부 41a: 제1접철선
42: 제2접철부 42a: 제2접철선
본 고안은 일회용 종이봉투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봉이 편리하면서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일회용 종이봉투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과 같은 음료를 마실 때는 유리, 플라스틱, 금속, 사기 등 다양한 재질의 컵이 사용되고 있으며, 관공서나 사무실과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곳에 설치된 식수시설의 경우에는 바이러스 감염이나 컵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일회용 종이컵이나 일회용 종이봉투컵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중 일회용 종이컵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컵과 같이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일회용 종이봉투컵은 통상적인 봉투와 같이 양면이 밀착되고 일단이 개방된 봉투의 형태를 갖도록 마련되는데, 최근에는 소량의 음료를 받아 마시기에 적당하고 제작비용도 저렴한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사용량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구조 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회용 종이봉투컵(1)은 상호 밀착된 전면부(2)와 후면부(3)를 구비한다.
전면부(2)와 후면부(3) 사이의의 상단은 개구부(1a)를 형성하게 되고, 하단과 양측단은 각각 폐쇄되도록 마련되며, 이러한 종이봉투컵(1)은 전면부(2)와 후면부(3) 사이가 상호 밀착되어 있던 상태에서 벌어지면서 그 사이가 수용공간(1b)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면부(2)와 후면부(3)가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개구부(1a)를 통해 수용공간(1b) 내부로 음료를 받은 상태에서 음료를 음용하게 된다.
여기서 일회용 종이봉투컵(1)은 종이로 마련되는 만큼 강도면에서 다소 약하기 때문에, 상기 전면부(2)와 후면부(3)의 내면에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층(1c)이 코팅되어 수용공간(1b)에 채워진 음료가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종이봉투컵(1)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일회용 종이봉투컵(1)은 상기 합성수지층(1c)이 종이재질에 비해 상호 밀착되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전면부(2)와 후면부(3) 사이를 벌려 개구부(1a)를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호 밀착되어 있는 개구부(1a) 쪽 전면부(2)와 후면부(3)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개구부(1a)가 다소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다시 입으로 바람을 불어 넣어 개구부(1a)가 확실하게 벌어지도록 하는 등 개구부(1a)의 개봉이 극히 어려웠다.
또 이와 같이 손가락을 개구부(1a)를 통해 종이봉투컵(1) 내부에 집어넣게 될 때는 수용공간(1b) 내부가 손가락에 의해 오염될 우려 또한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개봉이 편리하면서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일회용 종이봉투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은 상호 밀착된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게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접혀진 접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철부는 접철시 상호 포개어지도록 마련된 상기 전면부 쪽 제1접철부와 상기 후면부 쪽 제2접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접철부는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철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단 쪽에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통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는 낮은 단 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을 제작하기 위한 원지의 전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접철부가 형성되기 전 상태의 일회용 종이봉투컵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 7 내지 도 9는 일회용 종이봉투컵이 개봉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1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을 갖는 종이재질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도록 마련된 전면부(20)와 후면부(30)를 구비하여 길이방향 측 일단에 개구부(11)가 형성된 봉투 형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종이봉투컵(10)은 전면부(20)와 후면부(30) 사이가 벌어지면서 그 사이가 수용공간(12)을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수용공간(12) 내부에 음료를 채워 음용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데, 상기 수용공간(12)의 형성을 위해 개구부(11) 반대 쪽 길이방향 측 타단과 양 측단은 폐쇄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1)의 일단에는 상기 개구부(11)의 개봉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면서도 종이봉투컵(10)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12) 내측으로 접혀진 접철부(40)가 형성된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일회용 종이봉투컵(10)은 종이로 마련되는 만큼 강도면에서 다소 약하기 때문에, 상기 전면부(20)와 후면부(30)의 내면에는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합성수지층(13)이 코팅되어 수용공간(12)에 채워진 음료의 누수가 방 지되도록 하면서 종이봉투컵(10)의 강성이 보강되도록 하는데, 상기 합성수지층(13)은 종이재질에 비해 상호 밀착되는 성질이 강하여 전면부(20)와 후면부(30) 사이가 벌이지도록 하는 개구부(11)의 개봉작업이 어렵게 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개구부(11)의 일단에 수용공간(12) 내측으로 접혀진 상기 접철부(40)가 형성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용공간(12) 외측의 접철부(40) 내부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접철부(40)를 양측으로 펼칠 경우 개구부(11)가 자동적으로 개폐되기 때문에, 개구부(11)를 통해 수용공간(12) 내부로 손가락을 집어넣지 않더라도 상기 개구부(11)를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때는 개구부(11) 내부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지 않더라도 개구부(11)의 개봉이 용이하게 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인해 수용공간(12) 내부가 오염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일회용 종이봉투컵(10)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철부(40)는 간단한 접기방식을 통해 간편하게 형성되는데, 접철부(40)의 형성과정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일회용 종이봉투컵(10)은 먼저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절단된 원지(10')를 통해 제작되는데, 도면에 있어서 원지(10)의 내측에는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개의 접음선(10-1,10-2)이 형성되고, 좌우 양 측단은 각각 서로 포개어지도록 마련된 측단접착부(10-3,10-4)를 형성하게 된다. 또 각 접음선 내측 하단과 각 접음선 외측 하단은 측단접착부(10-3,10-4)가 접착된 상태에서 상호 접착되도록 마련된 하단접착부(10-5.10-6)를 형성하게 되고, 일측 접음선(10-2)의 상단 양측에는 상기 접 철부(40)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대칭이되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접철선(41a,42a)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5 상태의 원지(10)는 상기 각 접음선(10-1,10-2)을 기준으로 양측을 안쪽으로 접은 상태에서 먼저 각 측단접착부(10-3,10-4)를 상호 접착시킨 뒤 하단접착부(10-5,10-6)를 상호 접착시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개방되고 좌우 양측단과 하단이 폐쇄된 봉투 형태를 취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접철선(41a,42a) 쪽 개구부(11) 일단을 수용공간(12) 내측으로 밀어 넣어 접철선(41a,42a)이 접혀지도록 하면 상기 접철부(40)가 형성되며 도 4와 같이 최종적인 일회용 종이봉투컵(10)으로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철부(40)는 개구부(11) 일단 쪽 상기 전면부(20)와 후면부(30)가 서로 만나게 되는 모서리 부분을 수용공간(12) 안쪽으로 밀어 넣어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마련되는데, 이에 따라 접철부(40)는 전면부(20) 쪽 개구부 일단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1접철선(41a)과 접음선(10-2) 사이에 마련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1접철부(41)와 후면부(30) 쪽 개구부(11) 일단의 모서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2접철선(42a)과 접음선(10-2) 사이에 마련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2접철부(42)를 구비하며, 접철부(40)가 형성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접철부(41,42)는 상호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접철부(41,42)는 상호 완전히 포개어질 수 있도록 대칭을 이루게 형성되어 개봉 전 종이봉투컵(10)의 미관이 말끔해 보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11)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높은 단 쪽으로 물을 마실 경우 종이봉투컵을 소정 각도 이상 기울인 상태에서도 물을 흘리지 않고 마시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접철부(40)가 개구부(11)의 높은 단 쪽에 형성될 경우에는 접철부(40)의 형상으로 인해 수용공간(12) 내부의 물이 따라지는 과정에서 접철부(40) 양측을 통해 외부로 쏟아지는 등 배출되는 물의 흐름이 바뀔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접철부(40)는 개구부(11)의 낮은 단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10)의 개봉동작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10)을 개봉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12) 외부 접철부(40) 측면에서 접철부(40) 내부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제1 및 제2접철부(41,42) 사이가 다소 벌어지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접철부(41,42) 사이가 완전히 펼쳐지도록 제1 및 제2접철선(41a,42a) 쪽 제1 및 제2접철부(41,42)를 뒤로 젖혀지도록 누르게 된다. 그러면 제1 및 제2접철부(41,42) 사이의 접음선(10-2)이 제1 및 제2접철선(41a,42a)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데, 이 상태에서 도 9와 같이, 제1 및 제2접철선(41a,42a)을 각각 수용공간(12) 안쪽으로 누르게 되면 상기 개구부(11)는 제1 및 제2접철부(41,42)가 제1 및 제2접철선(41a,42a) 외측으로 완전히 나오게 되면서 간편하고도 자연스럽게 개봉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상태에서 바로 개봉된 개구부(11)를 통해 수용공간(12) 내부로 음료를 채워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러한 개구부(11)의 개봉 동작시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상기 수용 공간(12) 안쪽으로 들어갈 우려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수용공간(12) 내부가 오염될 우려가 없게 되므로, 일회용 음료봉투컵(10)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종이봉투컵은 상기 접철부와 같은 간단한 구성을 추가를 통해 개구부의 개봉시 사용자의 손가락을 수용공간 안쪽으로 집어넣을 필요가 없게 되어 개구부의 개봉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됨음 물론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수용공간이 오염될 우려가 없게 되어 일회용 종이봉투컵을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상호 밀착된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가 벌어지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일단이 개방되게 마련된 일회용 종이봉투컵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일단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접혀진 접철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봉투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접철시 상호 포개어지도록 마련된 상기 전면부 쪽 제1접철부와 상기 후면부 쪽 제2접철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접철부는 상호 대칭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봉투컵.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부는 상기 개구부의 일단 쪽에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가 만나는 모서리부분을 통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봉투컵.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접철부는 낮은 단 쪽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종이봉투컵.
KR2020060010650U 2006-04-20 2006-04-20 일회용 종이봉투컵 KR200420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50U KR200420714Y1 (ko) 2006-04-20 2006-04-20 일회용 종이봉투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650U KR200420714Y1 (ko) 2006-04-20 2006-04-20 일회용 종이봉투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714Y1 true KR200420714Y1 (ko) 2006-07-06

Family

ID=41769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650U KR200420714Y1 (ko) 2006-04-20 2006-04-20 일회용 종이봉투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71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217B2 (en) Spill-proof disposable cup with integral sealing flap
KR101083984B1 (ko) 분기형 스탠딩 파우치
TW200535060A (en) Container having an integral lid
JP2010532732A (ja) 包装材を兼ねる使い捨てコッ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52145B2 (ja) 自立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501036A (ja) 薄膜飲料容器用注出帯アセンブリ
JP5847836B2 (ja) 容器、特に飲料容器
CN100434345C (zh) 可折叠容器
JP2004075148A (ja) ガゼット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4617866B2 (ja) 分岐型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KR200420714Y1 (ko) 일회용 종이봉투컵
JP2002145287A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容器
WO2021117158A1 (ja) 紙製容器
KR200317779Y1 (ko) 공기 유입 요철부를 갖는 빨대
JP4069703B2 (ja) 注出機能付き袋状容器
JP2018127267A (ja) スパウト付きパウチ
KR200360177Y1 (ko) 포장용 봉투
JP3741335B2 (ja) ツイン圧潰容器
KR20160001208U (ko) 음료 배출구의 개봉이 용이한 음료 팩
JP3911325B2 (ja) 口栓付きパウチ容器
JPH06247435A (ja) 飲料容器
KR200165986Y1 (ko) 음료수용 팩
JP2006199329A (ja) 収納袋
KR200318531Y1 (ko) 자립용기
KR20220002324U (ko) 빨대 일체형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