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950Y1 - 도어 구조 - Google Patents

도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950Y1
KR200419950Y1 KR2020060010204U KR20060010204U KR200419950Y1 KR 200419950 Y1 KR200419950 Y1 KR 200419950Y1 KR 2020060010204 U KR2020060010204 U KR 2020060010204U KR 20060010204 U KR20060010204 U KR 20060010204U KR 200419950 Y1 KR200419950 Y1 KR 200419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oor
web
fram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철
Original Assignee
유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철 filed Critical 유종철
Priority to KR2020060010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11Door leaves with easily replaceable or interchangeabl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59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 E06B2003/7092Specific frame characteristics with frame members not directly or resili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웨브의 일측면에 제 1결합체가 설치되고, 그 웨브의 양측 종단부에서 일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되 그 일측면이 내측면이 되는 틀부; 그 틀부에 외곽부위가 삽입되되, 상기 웨브의 일측면과 맞닿는 면에 상기 제 1결합체와 결합되는 제 2결합체가 삽입설치된 속판; 및 그 속판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맞대어지고, 외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플랜지 접촉홈이 형성된 제 1 및 제 2겉판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속판의 전면/후면에 문양을 달리하는 겉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석을 이용하여 속판과 틀부를 상호 결합시키므로 별도의 구멍 형성 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내구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도어 구조{Door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도어 구조에서 교체형 패널을 도어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도,
도 5는 도 4의 B-B선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제 1결합체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속판 52 : 제 2결합체
60 : 제 1겉판 62, 72 : 플랜지 접촉홈
70 : 제 2겉판 80 : 틀부
81 : 웨브 82 : 제 1결합체
83 : 플랜지
본 고안은 도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겉판의 교체 등이 용이하도록 한 도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구를 형성하는 도어는 여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로 크게 나뉜다. 도어는 재질에 따라 목재, 금속 등으로 제작되는 바, 일반 사무실이나 가정에 설치되는 여닫이 도어에는 목재로 제작된 도어가 대부분이며, 도어의 전면/후면에 사각 또는 원형 등의 간단한 문양이 표현된다. 이는 도어 자체의 전면에 그 문양을 새기거나 부착처리하거나 돌출된 문양에 나무결 모양지의 필름을 부착하여 도어의 질감 상태를 부각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상기한 도어가 갖는 실내적인 배경에 있어서는 그 색상 문양의 패턴이 거주자의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디자인의 폭이 매우 넓게 차지하고 있음을 감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다른 방식으로는 목재상의 도어에 다양한 문양의 패턴이 음각, 양각처리된 합성수지계열로 성형제작에 의한 패널을 부착하여 도어의 전면/후면을 형성시키도록 고안된 제품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의 전면/후면 패널에 표현된 패턴은 장기간동안 설치된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함에 있어, 퇴색된 상태에서 색상처리하여 재사용하는 예가 대부분으로 그 패널이 가지는 패턴은 항상 고정적이다. 그로 인해 보는 이로 하여금 도어로부터 표현되는 실내디자인(인테리어)의 폭을 작게 생각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이러한 점은 실내의 구조 및 기본적인 인테리어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다세대 주택, 아파트의 실내 각 도어의 교체 경우를 들 수 있는데, 도어와 함께 도어 틀을 동시에 교체하여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따랐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어의 전면 및 후면에 다양한 양식 패턴을 갖도록 한 패널 및 패널이 부착되는 도어를 개선하여 다양한 문양의 패널을 용이하면서 경제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거주자의 취향에 맞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내용이 2000년 1월 14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된 바 있다(출원번호; 20-2000-0000996)(명칭; 교체형 패널을 갖는 도어구조).
그 20-2000-0000996호의 도어구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를 형성하기 위한 내부 내측 보강판재(1)의 길이방향 일측면을 제외한 상,하부면 가장자리 전, 후측에 소정의 공간(2)을 갖는 상태에서 체결부재(3)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 일측에는 힌지를 두어 구비되는 도어 틀(4)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디긋자 형의 지지틀(10)과, 상기 내측 보강판재(1)와 지지틀(10) 사이의 전, 후면측 공간(2)에 안내 설치되는 도어패널(20)과, 상기 내측 보강판재(1)의 일측 길이방향에서 체결부재(5)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지지틀(10)과 함께 도어의 외곽을 형성하는 마감틀(10-1)과, 상기 내측 보강판재(1) 및 도어패널(20) 일측면에 다수 개 부착 설치되어 도어패널(20)과 내측 보강판재(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착부재(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어구조에 의하면, 도어의 전,후면측에 문양을 달리할 수 있는 도어패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음은 물론, 교체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며 다양한 문양의 도어패널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종래의 도어구조(출원번호; 20-2000-0000996)는 체결부재(3, 5)를 이용하여 내측 보강판재(1)와 도어패널(20)을 지지틀(10) 및 마감틀(10-1)에 고정설치하였는데, 그 도어패널(20)의 교체횟수가 많다보면 체결부재(3)의 삽입/탈출 역시 많아지게 되어 그 체결부재(3)에 대응되게 내측 보강판재(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삽입공) 역시 초기의 상태에서 많은 변형이 가해지게 된다. 그로 인해 정상적으로 도어 조립을 하였다고 하더라도 그 체결부재(3, 5)가 헐겁게 체결되어 내측 보강판재(1) 또는 도어패널(20) 등이 약간의 충격에도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그 체결부재(3)가 헐겁게 체결됨에 따라 체결부재(3)가 탈거되기도 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틀(10) 및 마감틀(10-1)이 내측 보강판재(1)의 가장자리와 도어패널(20)의 가장자리를 덮고 있는 형상이어서 그 지지틀(10) 및 마감틀(10-1)이 도어패널(20)의 수평면과 수평면을 형성하지 못하고 마치 튀어나온 것처럼 보여진다. 그로 인해, 그 지지틀(10) 및 마감틀(10-1)을 감싸는 도어틀(4)은 그 지지틀(10) 및 마감틀(10-1)의 폭보다 더 큰 폭을 가지게 되어 외부에서 보면 도어의 가장자리가 매우 많이 튀어나온 것처럼 보인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도어패널의 교체를 더욱 편리하게 할 뿐만 아니라 도어의 훼손율 및 도어패널의 교체에 따른 도어의 조립/분해 공정을 줄일 수 있도록 한 도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는, 웨브의 일측면에 제 1결합체가 설치되고, 상기 웨브의 양측 종단부에서 일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되 그 일측면이 내측면이 되는 틀부; 상기 틀부에 외곽부위가 삽입되되, 상기 웨브의 일측면과 맞닿는 면에 상기 제 1결합체와 결합되는 제 2결합체가 삽입설치된 속판; 및 상기 속판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맞대어지고, 외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플랜지 접촉홈이 형성된 제 1 및 제 2겉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결합체는, 1개의 금속판으로 되어 상기 웨브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다수개의 금속판으로 되어 상호 등간격으로 상기 웨브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결합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도어 구조는, 웨브(81)의 일측면에 제 1결합체(82)가 설치되고 상기 웨브(81)의 양측 종단부에서 일방향으로 플랜지(83)가 형성되되 그 제 1결합체(82)가 설치된 웨브(81)의 일측면이 내측면이 되는 틀부(80); 상기 틀부(80)에 외곽부위가 삽입되되, 상기 웨브(81)의 일측면(즉, 내측면)과 맞닿는 면에 상기 제 1결합체(82)와 접촉결합되는 제 2결합체(52)가 삽입설치된 속판(50); 및 상기 속판(5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맞대어져서 가장자리부위(외곽부위)가 상기 틀부(80)의 플랜지(83)와 속판(50) 사이에 끼워지고, 일측면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플랜지 접촉홈(62;72)이 형성된 제 1 및 제 2겉판(60;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속판(50)은 합판 또는 화염에 견딜 수 있는 내화판재로 구성된다. 물론, 그 합판에 심재를 보강시켜도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겉판(60, 70)은 MDF(Midium Density Fiber)로 이루어진다. 그 제 1 및 제 2겉판(60, 70)은 시트지 및 무늬목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양과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다.
상기 제 1겉판(60)의 플랜지 접촉홈(62) 및 제 2겉판(70)의 플랜지 접촉홈(72)은 상기 틀부(80)의 플랜지(83)의 두께만큼 NC를 사용하여 깍은 것으로서, 접촉되는 플랜지(83)의 돌출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틀부(80)는 부식을 고려하여 황동재질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겠으나, 외표면은 알루미늄 피막이 코팅된다. 물론, 그 틀부(80) 자체를 알루미 늄으로 제작하여도 된다. 도면에는 틀부(80)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바람직하게는 그 틀부(80)는 4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결합체(82)는, 1개의 금속판(예컨대, 철판)으로 상기 웨브(81)의 일측면(즉,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다수개의 금속판으로 상호 등간격으로 상기 웨브(81)의 일측면(즉,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도면에는, 상기 제 1결합체(82)가 1개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 2결합체(52)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는 그 자석이 속판(50)에서의 설치위치(즉, 틀부(80)의 웨브(81)와 맞닿는 부위)마다 2개 또는 3개의 자석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그 설치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되어도 된다.
도 5에서는 상기 제 1결합체(82)의 폭과 웨브(81)의 의 내측면의 폭을 동일한 것으로 하였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 1결합체(82)의 폭을 웨브(81)의 내측면의 폭보다 작게 하여도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의 설치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도어 구조의 조립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같이 분해되어 있는 상태에서, 속판(50)을 중앙에 두고서 그 속판(50)의 장폭의 길이방향을 갖는 일측면(예컨대, 전면)에 제 1겉판(60)을 대고 그 속판(50)의 장폭의 길이방향을 갖는 타측면(예컨대, 후면)에 제 2겉판(70)을 댄다. 이때, 그 제 1겉판(60)의 플랜지 접촉홈(6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하고, 제 2겉판(70)의 플랜지 접촉홈(72)이 외측으로 노출되게 한다.
이와 같이 속판(50)과 겉판(60, 70)을 맞접촉시킨 것을 결합판이라고 하였을 경우, 이후에는 그 결합판과 틀부(80)를 결합시키면 된다. 즉, 그 결합판의 4면에 각각 틀부(80)를 결합시킨다. 이때, 그 틀부(80)의 내측면에 설치된 자석으로 된 제 1결합체(82)와 속판(50)의 제 2결합체(52)가 상호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틀부(80)에 의해 속판(50) 및 겉판(60, 70)이 유동없이 결합되고, 특히 틀부(80)의 플랜지부분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상 수려할 뿐만 아니라 그 틀부(80)를 지지하게 될 도어틀을 종래보다는 작은 사이즈로 제작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게 되면 간편하게 본 고안의 도어 구조의 조립이 완료된다.
반대로, 본 고안의 도어 구조의 분해는 상술한 조립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겉판(60, 70)중에서 어느 한 겉판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술한 조립 과정의 역순으로 분해한 후에 교체하고자 하는 겉판을 새로운 겉판으로 바꾼 후에 상술한 조립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4와 같이 도어의 조립이 완료된다.
통상적으로, 도어(예를 들어, 방문)는 한쪽 면이 파손되면 도어 자체를 교체하게 되지만, 본 고안의 겉판(60, 70)과 속판(50)은 직접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 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겉판(60, 70)의 교체가 가능하다.
그리고, 종래의 20-2000-0000996호의 도어구조에서는 내측 보강판재(1)와 지지틀(10) 및 마감틀(10-1)에 구멍을 뚫고 체결부재를 삽입/탈거시켰으나, 본 고안에서는 속판(50) 및 틀부(80) 등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그리고, 종래에는 도어패널의 교체에 따른 조립/분해시 매번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삽입/탈거를 하였는데, 본 고안에서는 종래와 체결부재(볼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증대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에 비해 도어패널의 교체에 따른 도어의 조립/분해 공정이 더욱 수월해진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속판의 전면/후면에 문양을 달리하는 겉판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석을 이용하여 속판과 틀부를 상호 결합시키므로 별도의 구멍 형성 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내구성이 증대된다.
특히, 종래에 비해 작업 공정이 간편하고 도어의 조립/분해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3)

  1. 웨브의 일측면에 제 1결합체가 설치되고, 상기 웨브의 양측 종단부에서 일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되 그 일측면이 내측면이 되는 틀부;
    상기 틀부에 외곽부위가 삽입되되, 상기 웨브의 일측면과 맞닿는 면에 상기 제 1결합체와 결합되는 제 2결합체가 삽입설치된 속판; 및
    상기 속판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맞대어지고, 외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각각 플랜지 접촉홈이 형성된 제 1 및 제 2겉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결합체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금속판으로 되어 상기 웨브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결합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
KR2020060010204U 2006-04-17 2006-04-17 도어 구조 KR200419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204U KR200419950Y1 (ko) 2006-04-17 2006-04-17 도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204U KR200419950Y1 (ko) 2006-04-17 2006-04-17 도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950Y1 true KR200419950Y1 (ko) 2006-06-26

Family

ID=4448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204U KR200419950Y1 (ko) 2006-04-17 2006-04-17 도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9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99B1 (ko) 2010-02-24 2013-05-27 주식회사 이건창호 프레임 및 창살과 이를 이용한 창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99B1 (ko) 2010-02-24 2013-05-27 주식회사 이건창호 프레임 및 창살과 이를 이용한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623B2 (en) Adjustable garage door window frame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419950Y1 (ko) 도어 구조
CN205348471U (zh) 一种成品隔断墙
CA2317464A1 (en) Rail and stile kitchen cabinet and utility doors with interchangeable/reversible raised panel
KR200186929Y1 (ko) 교체형 패널을 갖는 도어구조
KR102113777B1 (ko) 메탈 마감재의 교체가 가능한 인테리어용 마감패널
US8561368B2 (en) Carved solid face door and method of fabrication
US8225579B2 (en) Carved solid face doors having inlaid overlays and methods of fabrication
CN1183311C (zh) 装配式门套骨架及门套
KR200236285Y1 (ko) 문짝판
KR102284857B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RU198540U1 (ru) Металлический дверной блок со съемной декоративной накладкой
KR102631835B1 (ko) 가구용 도어틀
EP1146194A2 (en) Profiled door, window or the like
WO2011021961A1 (en) Platband assembly
CN215106305U (zh) 一种具有展示布展的模块框架型龙骨
KR20000007108A (ko) 날개부착형 방음 방화문
JP3898161B2 (ja) 押入・床の間建築ユニット
KR20170017319A (ko) 가구용 문판 조립체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CN2525193Y (zh) 组装式成品门、窗套的木装饰结构
JP4649071B2 (ja) 間仕切り壁の設置構造
KR860002213Y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CN205637434U (zh) 一种芯板套接式木饰面
KR200350090Y1 (ko) 문짝용 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