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213Y1 -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213Y1
KR860002213Y1 KR2019840006910U KR840006910U KR860002213Y1 KR 860002213 Y1 KR860002213 Y1 KR 860002213Y1 KR 2019840006910 U KR2019840006910 U KR 2019840006910U KR 840006910 U KR840006910 U KR 840006910U KR 860002213 Y1 KR860002213 Y1 KR 860002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plaster
elevator door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69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660U (ko
Inventor
이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400069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60002213Y1/ko
Publication of KR860001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2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사시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미장테 일부 사시도.
제6도는 종래 미장테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7도는 종래에 미장테를 사용하지 않고 방진고무를 도어에 직접 삽입 고정시킨 상태의 단면도.
제8도는 통상의 미장테 설치상태 평면도.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도어에 부착 사용하는 미장테에 관한 것으로, 미장테를 판재로 간편히 벤딩 제작토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면서 미장테의 자체 강도를 유지토록 하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동일한 재질의 미장테를 제작하여 부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A)에는 도면 제8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우측 개폐도어(5)가 설치되는 것이며, 이 도어(5)가 서로 닫히면서 맞닿게 될때 생기는 충격음을 줄이기 위해 도어(5)의 맞닿는 가장자리에 미장테(1)를 부착시키고 그 미장테(1)내에 충격흡수용 방진고무(6)를 삽입 고정시켜 주는 것이었다.
따라서 미장테(1)의 구조는 방진고무(6)를 삽입고정시키기 용이한 구조로 되어야 하며, 도어(5)의 외관적인 의장효과를 저해시키지 않아야 되는 것인 바,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는 도면 제5도에서와 같은 구성으로 알루미늄을 압출 성형하는 것이어서 도어를 알루미늄 재질이 아닌 특수재질(스테인레스 황동, 청동재 등)로 재작할 경우에는 도어와 알루미늄 미장테간의 이질감에 따른 의장효과를 저해시키게 되었고, 상기한 바와 같은 값비싼 특수재질로 미장테를 압출 성형하려면 그 제작방법이 까다로워 원가가 상당히 높아지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특수재질의 도어인 경우에는 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미장테를 사용하지 않고 도어(5)자체에 방진고무(6)를 끼워 고정토록 하는 것이었으나 이는 도어(5)의 구조가 그만큼 복잡하게 되어 그 제작이 까다롭게 됨에 따라 작업능률의 저하는 물론 원가상승의 한 요인이 되었고, 외관도 미려하지 못하여 의장효과 역시 감소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를 각종 금속박판을 소재로 하여 로울 성형(ROLL FORMING)하므로서 미장테의 제작을 보다 간편하게 하면서 미장테 자체의 강도를 유지하고,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황동, 청동 등 어떠한 도어 재질에도 구애받지 않고 이들과 조화될 수 있는 재질을 선택하여 염가로 미장테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엘리베이터 도어(5)에 부착하여 방진고무(6)를 삽입 고정시키도록 하는 미장테(1)를 구성함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각종 금속 재질의 박판을 적당한 폭(a)으로 대향절곡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걸림부(2)(3)를 형성하고, 일측 걸림부(3)가 계속 연장 절곡여여 도어안착편(4)을 형성시키되 양측 절곡편(2')(3')이 휨강도보강부가 되도록 구성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인 것이다.
첨부도면 중 미설명부호 7은 도어와 미장테의 체결용 리벳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미장테(1)가 부착되어지는 도어(5)의 두께부위가 두꺼울 경우에는 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절곡편(2')의 외측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또다른 절곡편(2'')을 이중으로 절곡형성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실시를 제한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 제3도와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장테(1) 내부로의 방진고무(6) 삽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절곡편(2')(2'')(3')에 의해 미장테(1) 자체의 강도가 충분히 보강 유지되는 것이어서 두께가 얇은 각종 금속박판으로 된 소재를 가지고 로울성형 작업으로 미장테를 간편히 절곡 제작할 수 있는 것이므로 알루미늄은 물론 스테인레스나 황동 또는 청동 등의 각종 도어재질에 따라 미장테의 재질을 도어재질과 조화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 제작하여 부착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인바, 미장테의 제작작업이 간편하고 그 제조원가도 보다 낮아지게 되는 것이며, 어떠한 재질의 도어일지라도 이에 적합한 미장테를 염가로 제작 부착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서 도어 자체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도어의 의장적 효과도 향상시켜 주게되는 매우 경제적이며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엘리베이터 도어(5)에 부착하여 방진고무(6)를 삽입 고정시키도록 하는 미장테(1)를 구성함에 있어서, 두께가 얇은 각종 금속재질의 박판을 적당한 폭(a)으로 대향절곡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는 걸림부(2)(3)를 형성하고, 일측 걸림부(3)는 계속 연장절곡하여 도어 안착편(4)을 형성시키되 양측 절곡편(2')(3')이 휨강도보강부가 되도록 구성한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KR2019840006910U 1984-07-19 1984-07-19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KR860002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910U KR860002213Y1 (ko) 1984-07-19 1984-07-19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40006910U KR860002213Y1 (ko) 1984-07-19 1984-07-19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660U KR860001660U (ko) 1986-03-05
KR860002213Y1 true KR860002213Y1 (ko) 1986-09-13

Family

ID=19236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6910U KR860002213Y1 (ko) 1984-07-19 1984-07-19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600022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606B1 (ko) * 2015-07-01 2016-03-10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도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606B1 (ko) * 2015-07-01 2016-03-10 박윤규 엘리베이터용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660U (ko) 1986-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08336A (en) Window muntin bar elements
US4854365A (en) Sectional-type door
EP0163374B1 (en) A double-glazed window
US4411111A (en) Window sash assembly
ATE102288T1 (de) Fenster zum einbau in einer oeffnung in einer sandwichwand.
KR860002213Y1 (ko) 엘리베이터 도어용 미장테
US2718291A (en) Metal doorframes
JPH044459Y2 (ko)
GB2185057A (en) Window
JPH0235999Y2 (ko)
KR19990005915U (ko) 압출성형재 문틀부재
EP0282461B1 (en) A synthetic plastics material window-frame for windows and the like applications
JPS6329599Y2 (ko)
KR200377467Y1 (ko) 슬라이딩도어의 포켓하우징
KR20040075631A (ko) 목재도어
EP0325900A1 (en) A coordinated section member assembly for making armoured window and door frames
JPS6035749Y2 (ja) 建具
JPH024206Y2 (ko)
FI69499C (fi) Foenster eller doerr
JPS5834226Y2 (ja) 格子戸
JP2565667Y2 (ja) 複層ガラス用組立サッシ部材
JPH025023Y2 (ko)
KR880003516Y1 (ko) 장식 판체
KR100207310B1 (ko) 건축용판재
KR920003739B1 (ko) 벽패널의 고정창 시공방법 및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