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256Y1 -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 Google Patents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256Y1
KR200419256Y1 KR2020060008674U KR20060008674U KR200419256Y1 KR 200419256 Y1 KR200419256 Y1 KR 200419256Y1 KR 2020060008674 U KR2020060008674 U KR 2020060008674U KR 20060008674 U KR20060008674 U KR 20060008674U KR 200419256 Y1 KR200419256 Y1 KR 2004192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space
guide
fixed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해국
Original Assignee
류해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해국 filed Critical 류해국
Priority to KR2020060008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2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2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2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50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 E06B3/5045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more than one kind of movement specially adapted for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100)은 함체(110)의 수납공간(120) 상면(125)에 구동부(140)를 고정하고, 상기 구동부(140)에 도어(130)가 장착되며, 상기 수납공간(120) 저면(127)에는 수용된 도어(130)를 받치는 지지판(150)을 구성하여, 상기 도어(130)가 휘어지는 현상이 예방됨으로써, 좌우측으로 함체(110)를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140)에 있어서 각 가이드(143) 사이에 바(147)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도어(130)를, 한쪽으로 치우쳐진 일측지점(Z)에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서류보관함, 구동부, 도어, 레일, 가이드

Description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A filing cabinet having upside rails}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측방에 고정된 레일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국부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측방에 고정된 레일에 안내되어 수평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의 한쪽으로 치우친 일측 지점에 외력을 가하여 도어를 밀어넣을 때, 회전력이 작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측방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벤딩된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구동부를 도시한 국부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에 고정된 예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수평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하여 수납공간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 7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10: 함체 120: 수납공간
125: 상면 127: 저면
130: 도어 138: 하면
140: 구동부 141: 레일
143: 가이드 145: 지지구
147: 바 150: 지지판
본 고안은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벤딩현상이 방지되고, 도어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일측 지점에서 한손으로 개 폐가 가능하도록 함체의 수납공간 상면에 레일을 고정하고, 함체의 수납공간 내부에 지지판을 구성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측방에 고정된 레일에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국부분해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측방에 고정된 레일에 안내되어 수평이동하는 것을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의 일측에 외력을 가하여 밀어넣을 때, 회전력이 작용하는 예를 도시한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측방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휘어진 상태를 도시한 국부사시도에 관한 것으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관공서나 회사에서 서류를 보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서류보관함(1)은 실용공고 97-05325호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도어(20)를 내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도어(20)를 수납한 상태에서 서류를 열람할 수 있으며, 업무시간 이외에는 상기 도어(20)를 인출하여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이 적용된 서류보관함(1)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서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7)이 형성된 함체(10)와 상기 함체(10)의 수납공간(17) 내부에 수평 상태로 수납 및 인출되고 회동하여 개폐하도록 장착된 도어(20)와 상기 함체(10)와 도어(20) 사이에 개재되어 도어(20)의 수평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30)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30)는 함체(10)의 수납공간(17) 내부의 양 측면(15)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나란하게 고정된 각 레일(33)과, 상기 레일(33) 하단에서 레일(33)과 수납된 도어(20)를 지지하도록 상기 양 측면(15)에 고정되는 ㄱ형강 형상의 지지구(37)와, 상기 레일(33)에 삽입되어 전후이동하며 도어(20)의 양 측단(23)이 힌지연결되는 가이드(35)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작동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20)가 함체(10)의 수납공간(17)을 닫은 상태에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도어(20)는 레일(33)에 삽입되어 장착된 가이드(35)에 힌지연결되어 있으므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수평하게 들어올린 후, 밀어넣게 되면, 상기 가이드(35)가 레일(33)에 안내되어 내방으로 미끌어져 들어가므로, 도어(20)는 수납공간(17) 내부로 내장되게 되며, 상기 지지구(37)에 의해 받쳐지므로 하방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다시, 닫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20)를 인출한 후, 하방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함체(10)의 수납공간(17)을 닫게 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30)가 함체(10)의 수납공간(17) 내부의 양 측면(15)과 도어(20)의 양 측단(23)에 개재되므로, 상기 도어(20)는 양 측단(23)이 지지되는 구성이 된다. 따라서, 도어(20) 자체의 무게에 의해 중앙부가 하방으로 휘게 되는 벤딩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벤딩현상에 의해 좌우측으로 함체(10)를 길게 형성할 경우, 도어(20)도 따라서 길어져야 하므로, 상기 벤딩현상은 더 심하게 되어, 함체(10)를 좌우측으로 길게 형성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도 5에서처럼, 상기 도어(20)를 수평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한 손으로 밀게 될 경우, 주로 한쪽으로 치우쳐진 일측지점(Z)에서 외력(P)을 가하게 되는 데, 이 경우, 상기 일측지점(Z)에서 가까운 가이드(35)는 많은 외력을 받게 되고, 상대측 가이드(35)는 적은 외력을 받게 되어, 각 가이드(35)의 속도에는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에는 속도차로 인한 회전력(Q)이 발생하게 되므로 수평이동에 많은 힘이 소요되어 큰 불편이 따른다. 물론, 상기 일측지점(Z)에서 외력을 가하여 인출할 때, 역방향의 회전력이 발생하여 인출이 여의치 않은 것은 물론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함체의 수납공간 상면에 구동부를 고정하고, 상기 구동부에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수납공간 저면에는 수용된 도어를 받치는 지지판을 구성하여, 상기 도어가 휘어지는 현상이 예방됨으로써, 좌우측으로 함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에 있어서 각 가이드 사이에 바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한쪽으로 치우쳐진 일측지점에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예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을 도시한 사시 도,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구동부를 도시한 국부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레일에 안내되는 가이드에 고정된 예를 도시한 국부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수평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하는 예를 도시한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에 있어서, 도어가 회동하여 수납공간을 닫은 상태를 도시한 도 7의 B-B'선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관공서나 회사에서 서류를 보관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서류보관함(100)은 서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20)이 형성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수납공간(120) 내부에 수평 상태로 수납 및 인출되고 회동하여 개폐하도록 장착된 도어(130)와 상기 함체(110)와 도어(130) 사이에 개재되어 도어(130)의 수평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14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40)는 수납공간(120)에 고정되는 레일(141)과 상기 레일(141)에 삽입되어 안내되며 상기 도어(130)가 힌지연결되는 가이드(143)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도어(130)의 벤딩현상이 예방되고, 도어(130)에서 한 쪽으로 치우친 일측지점(Z)에서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상기 함체(110)의 수납공간(120) 상면(125)에 구동부(140)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부(140)에 도어(130)가 장착되며, 상기 함체(110)의 수납공간(120)에는 내부로 수용된 도어(130)를 받칠 수 있도록 저면(127)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납공간(120)의 상면(125)과는 이격되는 지지판(150)이 고정된다.
상기 구동부(140)는 함체(110)의 수납공간(120)의 상면(125)에 고정되도록 상기 레일(141) 다수개가 함체(110)의 수납공간(120) 상면(125)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나란하게 고정되고, 상기 레일(141)에 삽입되어 안내되는 가이드(143)의 하면(144)에, U자형으로 만곡되고 가이드(143) 전방으로 그 선단이 돌출되어 상기 선단에 도어(130)가 힌지연결되는 아암(146)이 구성되며, 상기 아암(146)의 선단에 도어(130)의 후방 하면(138)이 힌지연결되거나, 상기 하면(138)에 홈(139)을 형성한 후, 상기 홈(139)에 아암(146)의 선단이 수용된 상태에서 힌지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140)의 각 가이드(143)는 나란하게 병행하도록 바(147, bar)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동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어(130)가 함체(110)의 수납공간(120)을 닫은 상태에서, 도어(13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아암(146)의 선단에 힌지연결된 도어(130)는 용이하게 회동하게 되는 데, 도어(130)의 하면(138)이 가이드(143) 전방으로 돌출된 아암(146)의 선단에 힌지 연결됨으로써, 도어(130)의 회동이 용이하게 됨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어(130)의 상면에 상기 아암(146)이 힌지 연결되거나, 상기 도어(130)의 상면이 가이드(143)에 바로 힌지 연결된다면 수납공간(120)을 닫도록 회동이 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130)를 수평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수납공간(120) 내부로 밀어넣게 되면, 가이드(143)가 레일(141)에 안내되어 미끌어지며 도어(130)는 수평으로 수납된 후, 상기 지지판(150)에 얹어져서 하방으로의 회동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수납공간(120)을 닫기 위해서는 도어(130)를 가이드(143)가 레일(141) 끝까지 도달하도록 당긴 후, 도어(130)를 하방으로 회동시켜 수납공간(120)을 닫게 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에 의한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부(140)가 함체(110)의 수납공간(120)의 상면(125)에서 도어(130)를 지지함으로써 도어(130)의 자체 하중에 의한 벤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데, 도어(130)를 양 측단에서 지지하는 것보다, 상방에서 다수의 지점에서 지지할 경우 벤딩률이 작은 것은 물론이다.
또한, 수납된 도어(130)를 하방에서 지지판(150)이 받치므로써, 휘어질려고 하는 현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함체(110)를 좌우측으로 길게 제작할 경우, 디자인에 제한을 받지않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130)를 수납공간(120) 내부로 밀어넣을 경우, 한쪽으로 치우친 일측지점(Z)에서 한 손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도어(130)는 용이하게 수납되는 데, 그 이유는 상기 일측지점(Z)에서 외력(P)을 가하더라도 각 가이드(143)는 바(147, bar)로 연결되어 있어서, 동일한 속도로 병행하게 되므로, 각 가이드(143)의 속도 차로 인한 도어(130)의 회전현상이 방지되기 때문이며, 상기 도어(130)의 인출 시에도 동일한 현상이 발생함은 물론이다.
상기 구성과 작동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하면, 함체의 수납공간 상면에 구동부를 고정하고, 상기 구동부에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수납공간 저면에는 수용된 도어를 받치는 지지판을 구성하여, 상기 도어가 휘어지는 현상이 예방됨으로써, 좌우측으로 함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에 있어서 각 가이드 사이에 바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도어를, 한쪽으로 치우쳐진 일측지점에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서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120)이 형성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수납공간(120) 내부에 수평 상태로 수납 및 인출되고 회동하여 개폐하도록 장착된 도어(130)와,
    상기 함체(110)와 도어(130) 사이에 개재되어 도어(130)의 수평이동 및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동부(14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40)는 수납공간(120)에 고정되는 레일(141)과,
    상기 레일(141)에 삽입되어 안내되며 상기 도어(130)가 힌지연결되는 가이드(143)로 구성되는 서류보관함(100)에 있어서;
    상기 함체(110)의 수납공간(120) 상면(125)에 레일(141)이 고정됨으로써 구동부(140)가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140)의 가이드(143)에 도어(130)가 장착되어 구성되도록, 가이드(143)의 하면(144)에, U자형으로 만곡되고 가이드(143) 전방으로 그 선단이 돌출되어 상기 선단에 도어(130)가 힌지연결되는 아암(146)이 구성되고,
    상기 아암(146)의 선단에 도어(130)의 후방 하면(138)이 힌지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도어(130)가 수납되어 지지되도록 지지판(150)이 수납공간(120)의 저면(127)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수납공간(120)의 상면(125)과는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30)의 일측지점(Z)에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가이드(143)가 바(147, bar)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30)의 후방 하면(138)에 홈(139)이 구성되고,
    상기 홈(139)에 아암(146)의 선단이 수용되어 힌지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KR2020060008674U 2006-03-31 2006-03-31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KR2004192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74U KR200419256Y1 (ko) 2006-03-31 2006-03-31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674U KR200419256Y1 (ko) 2006-03-31 2006-03-31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256Y1 true KR200419256Y1 (ko) 2006-06-16

Family

ID=4176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674U KR200419256Y1 (ko) 2006-03-31 2006-03-31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2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30A (ko) * 2014-11-27 2016-06-07 유한회사 효성환경 우수 비점오염물 여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630A (ko) * 2014-11-27 2016-06-07 유한회사 효성환경 우수 비점오염물 여과장치
KR101690674B1 (ko) * 2014-11-27 2017-01-09 유한회사 효성환경 우수 비점오염물 여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05B1 (ko) 서랍식 인출장치
KR100756887B1 (ko) 냉장고의 접이식 선반
JP5224844B2 (ja) 棚構造
KR100936381B1 (ko) 도어 지지장치
KR200419256Y1 (ko) 상부레일고정형 서류보관함
KR101647630B1 (ko) 슬라이드식 가변선반이 구비된 하물 보관 박스구조체
KR101221108B1 (ko) 열람대를 갖는 모빌랙
KR200457813Y1 (ko) 가변식 선반이 구비된 서가
JP4951287B2 (ja) 昇降吊戸棚
JP5193571B2 (ja) フロアユニット
CN210300131U (zh) 一种用于纸质文档存储的存储柜
KR101279556B1 (ko) 슬라이드식 붙박이형 수납가구
KR200288889Y1 (ko) 싱크대용 수납선반 인출장치
JP2005296085A (ja) 収納装置
JP2006296605A (ja) 収納庫
JP4677578B2 (ja) 案内具
JP2005312514A (ja) 昇降キャビネット
CN220675558U (zh) 一种具有任意角度斜开功能的抽屉
KR200325103Y1 (ko) 책상
CN215776474U (zh) 一种可利用高层空间的智能储物柜
CN213524459U (zh) 一种多功能书架
US20080284294A1 (en) Piece of Furniture
JP5611073B2 (ja) 収納庫
JP2007222263A (ja) キャビネット
JP2001017245A (ja) 昇降ボックスを備えた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