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824Y1 - 과일 순환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순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824Y1
KR200418824Y1 KR2020060006780U KR20060006780U KR200418824Y1 KR 200418824 Y1 KR200418824 Y1 KR 200418824Y1 KR 2020060006780 U KR2020060006780 U KR 2020060006780U KR 20060006780 U KR20060006780 U KR 20060006780U KR 200418824 Y1 KR200418824 Y1 KR 2004188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conveyor
box
return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7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Priority to KR20200600067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8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8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8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07C5/22Sorting according to weight using a plurality of stationary weigh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65B35/243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using cooperating conveyors engaging the article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2Packag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ts
    • B65B25/04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 B65B25/046Packaging fruit or vegetables in crate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과일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이송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다가 미쳐 박스에 포장되지 못하고 흘러간 과일을 다시 처음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이송시키는 과일리턴컨베이어가 설치됨으로써, 흘러간 과일이 적재함에 낙하되어 손상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소하고, 적재함을 수작업으로 초기의 위치로 옮기는 등의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장용 박스를 이송시키는 박스공급대와, 상기 박스공급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과일이 일정량씩 담긴 포장된 박스를 이송시키는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박스를 올려 일정량의 과일을 담아 계량하는 저울이 설치된 계량대와, 상기 계량대의 아래 위치에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과일이 연속하여 공급되는 과일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된 과일 포장장치에 있어서, 회전방향이 과일이송컨베이어와 반대인 과일리턴컨베이어가 상기 과일이송컨베이어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과일이송컨베이어의 끝부분에 과일리턴컨베이어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가이드판이 설치되며; 과일리턴컨베이어의 끝부분에는 과일이송컨베이어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가이드판이 설치된 과일 순환장치가 제공된다.
과일 순환장치, 과일이송컨베이어, 과일리턴컨베이어, 계량대

Description

과일 순환장치{A circulation apparatus for fruits}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리턴컨베이어의 설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리턴컨베이어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박스 2 : 박스공급대
3 :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 4 : 계량대
5 : 과일이송컨베이어 6 : 과일리턴컨베이어
7a, 7b : 가이드판 8 : 격벽
본 고안은 과일 순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일이송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다가 미쳐 박스에 포장되지 못하고 흘러간 과일을 다시 처음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이송시키는 과일리턴컨베이어가 설치됨으로써, 흘러간 과일이 적재함에 낙하되어 손상이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소하고, 적재함을 수작업으로 초기 의 위치로 옮기는 등의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과일 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확된 과일은 크기별로 선별된 후 포장용 박스에 일정량씩 담겨 포장되어 출하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과일은 크기별로 선별되는 선별기와, 선별된 과일을 일정량씩 박스에 담아 출하하는 과일 포장장치 등 일련의 장치들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일 포장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은 포장용 박스를 이송시키는 박스공급대와, 상기 박스공급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과일이 일정량씩 담긴 포장된 박스를 이송시키는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와, 상기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의 양측에 각각 빈 박스를 올려 일정량의 과일을 담아 계량하는 저울이 설치된 계량대와, 상기 계량대의 아래 위치에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과일이 연속하여 공급되는 과일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중 박스공급대는 컨베이어 구조이거나 다수의 롤러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구조일 수 있는 등 이의 실시예는 다양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과일이송컨베이어와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선별된 과일들이 과일이송컨베이어에 적재되어 이송되고, 상부의 박스공급대에서는 빈 박스가 공급된다.
양측에 위치한 작업자가 이송되는 빈 박스를 계량대에 올려 놓고, 이송되는 과일들을 박스에 담으면서 저울을 확인하여 적량이 담겨지면 포장을 행한 후 포장박스이송컨테이너로 옮겨 놓게 된다.
포장박스이송컨테이너는 계속 운동하고 있는 상태로써 이를 따라 이송되는 포장박스는 출하를 위한 창고 등으로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미쳐 박스에 담지 못한 과일들은 과일이송컨베이어를 따라 계속 이송된 후 이들을 담는 적재함에 낙하되어 쌓이게 된다. 일정량이 쌓이게 되면 작업자는 적재함을 들고 과일이송컨베이어의 시작점으로 돌아가서 다시 과일을 올려 놓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경우는 포장되지 못하고 이송되는 과일이 적재함으로 낙하될 때 상처가 생겨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고, 이를 다시 처음의 위치로 옮겨야 하는 불편함과 노동력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되지 못하고 지나친 과일들을 다시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 오게 함으로써, 상품성의 저하와 노동력 상실 등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과일이송컨베이어와 나란히 과일리턴컨베이어를 설치하되 그 이동 방향을 서로 반대되게 설치하고, 과일이송컨베이어의 끝단부에 과일리터컨베이어로 향하도록 경사진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포장되지 못한 과일들이 과일리턴컨베이어로 아동되게 하며, 과일리턴컨베이어의 끝단부에는 과일이송컨베이어로 향하도록 경사진 가이드판이 설치되어 되돌아온 과일들을 다시 과일이송컨베이어의 시작부분으로 되돌리도록 고안된 과일 순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포장용 박스(1)를 이송시키는 박스공급대(2)와, 상기 박스공급대(2)의 하부에 설치되어 과일이 일정량씩 담긴 포장된 박스(1)를 이송시키는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와, 상기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의 양측에 각각 박스(1)를 올려 일정량의 과일을 담아 계량하는 저울이 설치된 계량대(4)와, 상기 계량대(4)의 아래 위치에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과일이 연속하여 공급되는 과일이송컨베이어(5)로 구성된 종래의 과일 포장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측부에 과일리턴컨베이어(6)가 설치되어 구성된 과일 순환장치가 구비됨에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은 회전방향이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반대인 과일리턴컨베이어(6)가 상기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끝부분에 과일리턴컨베이어(6)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가이드판(7a)이 설치되며;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끝부분에는 과일이송컨베이어(5)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가이드판(7b)이 설치된 구조로써 과일 순환장치가 구성된다.
그리고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사이에는 격벽(8)이 설치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모든 구동하는 부분 즉 과일이송컨베이어(5), 과일리턴컨베이어(6), 박스공급대(2),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 등은 모두가 모터 등의 일반적인 장치로써 구동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를 가진 본 고안의 정면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어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설치위치를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는 과일리턴컨베이어(6)와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설치관계 및 그 작동 관계를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박스공급대(2)에서는 빈 박스(1)가 다수개 연속하여 공급되는 것으로, 이는 컨베이어 구조 또는 롤러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과일이송컨베이어(5)는 선별된 과일을 계속하여 이송시키는 장치이고, 계량대(4)는 박스(1)에 정량의 과일을 담을 수 있도록 계량하는 장치이며,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는 정량이 담겨 포장된 박스(1)를 출하를 위한 위치로 이송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송된 하나의 빈 박스(1)를 계량대(4)에 올려 놓은 후, 이송되는 과일을 적량이 될 때까지 박스(1)에 담는다. 계량대(4)에는 저울이 설치되어 있어, 박스(1)에 담기는 과일의 양에 따라 적량인지를 지시하게 되고, 작업자는 저울에 의해 적정 용량만큼 담을 수 있게 된다.
적정 용량이 되면 작업자는 박스(1)를 포장하고, 이를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에 올려 놓게 되면, 하나의 박스 작업은 끝나게 된다. 이후 포장된 박스(1)는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에 의해 출하를 위한 위치로 자동 이송된다.
하나의 박스(1) 작업이 끝나면, 작업자는 이송된 다른 빈 박스(1)를 박스공급대(2)로 부터 취출하여, 이를 계량대(4)에 올려 놓게 된다. 그리고 과일이송컨베이어(5)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들을 박스(1)에 정량을 담는 상기와 같은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물론 계량대(4)는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나 과일이송컨베이어(5)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고, 또한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나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양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여러명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행하더라도 이송되는 과일이 많을 경우 포장되지 못한 여분의 과일들은 과일이송컨베이어(5)를 따라 끝부분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장점이 발휘되는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끝부분에 가이드판(7a)이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상부에 가로질러 설치되되, 과일리턴컨베이어(6)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이송되어 온 과일들은 가이드판(7a)에 의해 진행 방향이 변경되어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끝단부에서 낙하되지 않고 과일리턴컨베이어(6)로 이송되게 된다.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회전방향은 과일리턴컨베이어(6)와 반대로 되어 있으므로, 과일리턴컨베이어(6)로 이송된 과일은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시작부분으로 다시 이동되어 진다. 그리고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끝부분으로 이송되어 온 과일들은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판(7b)에 의하여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시작 부분으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따라서 처음으로 과일이송컨베이어(5)에 실리는 과일과 되돌아온 과일이 함께 과일이송컨베이어(5)를 따라 이송되고, 다수의 작업자는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은 포장작업을 계속하면서 되돌아 온 과일도 함께 박스(1)에 담을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사이에 격벽(8)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작업자를 다 거치지 않은 과일이 과일리턴컨베이 어(6)로 넘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나란하게 과일리턴컨베이어(6)를 설치하되 그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게 설치하고,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끝부분에서 과일리턴컨베이어(6)로 과일을 안내하는 가이드판(7a)이 설치되며,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끝부분에 과일을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시작 부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판(7b)이 설치됨으로써, 포장되지 못한 과일이 다시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시작부분으로 되돌려져 다시 포장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종래의 낙과에 의한 상품성 저하를 방지하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포장용 박스(1)를 이송시키는 박스공급대(2)와, 상기 박스공급대(2)의 하부에 설치되어 과일이 일정량씩 담긴 포장된 박스(1)를 이송시키는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와, 상기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의 양측에 각각 박스(1)를 올려 일정량의 과일을 담아 계량하는 저울이 설치된 계량대(4)와, 상기 계량대(4)의 아래 위치에 포장박스이송컨베이어(3)와 나란하게 설치되어 다수개의 과일이 연속하여 공급되는 과일이송컨베이어(5)로 구성된 과일 포장장치에 있어서, 회전방향이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반대인 과일리턴컨베이어(6)가 상기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과일이송컨베이어(5)의 끝부분에 과일리턴컨베이어(6)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가이드판(7a)이 설치되며;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끝부분에는 과일이송컨베이어(5)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가이드판(7b)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 순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과일이송컨베이어(5)와 과일리턴컨베이어(6)의 사이에는 격벽(8)이 설치된 과일 순환장치.
KR2020060006780U 2006-03-14 2006-03-14 과일 순환장치 KR2004188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80U KR200418824Y1 (ko) 2006-03-14 2006-03-14 과일 순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80U KR200418824Y1 (ko) 2006-03-14 2006-03-14 과일 순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824Y1 true KR200418824Y1 (ko) 2006-06-14

Family

ID=41768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780U KR200418824Y1 (ko) 2006-03-14 2006-03-14 과일 순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8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69860T3 (es) Estación de empaque separada.
US20040191049A1 (en) Load-carrier loading apparatus
US3513623A (en) Apparatus for end-loading cartons
CA2641394A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order-picking or consolidating articles
JP2007210773A (ja) 荷の保管処理設備
JP7151026B2 (ja) 物品取出装置及び物品搬送システム
AU6075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articles and feeding the stacks to a discharge site
KR200418824Y1 (ko) 과일 순환장치
CN205293136U (zh) 一种食品物料快速包装用计量分装一体装置
CN100460295C (zh) 物品分类设备
JP7294628B2 (ja) 果菜自動箱詰め排出方法、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方法、果菜自動箱詰め排出装置、果菜収容箱自動積み重ね排出装置
CN210063469U (zh) 一种点数分装机
SG190221A1 (en) Picking and shipping method
KR101965141B1 (ko) 2개의 간추림용 로봇을 구비하는 적재시스템
JP3495778B2 (ja) 長物野菜の選別箱詰装置
JP3232978B2 (ja) 個装単位切出し装置
CN102892675A (zh) 产品装箱的装置与方法
JP2016000661A (ja) パック保管デバイスに装填するための装置
US3009301A (en) Cigarette package handling apparatus
KR102061204B1 (ko) 망패드 자동 적재 장치
JPH06199325A (ja) 箱体からの内収容物取出装置
JP2000043823A (ja) 農産物選別装置における空箱供給装置
CN210708102U (zh) 一种装盒机推头装置
US3416681A (en) Can sorting apparatus
JPH07329906A (ja) 長物野菜のパレット詰め装置及び長物野菜の箱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