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773Y1 - 트랜스포머 - Google Patents

트랜스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773Y1
KR200418773Y1 KR2020060008921U KR20060008921U KR200418773Y1 KR 200418773 Y1 KR200418773 Y1 KR 200418773Y1 KR 2020060008921 U KR2020060008921 U KR 2020060008921U KR 20060008921 U KR20060008921 U KR 20060008921U KR 200418773 Y1 KR200418773 Y1 KR 200418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ll
secondary coil
transformer
winding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립전기
(주)에네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립전기, (주)에네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립전기
Priority to KR2020060008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7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6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with special arrangement or spacing of turns of the winding(s), e.g. to produce desired self-reson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2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디(11)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된 구획벽(12)을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층간 권선영역(14)들을 확보토록 함으로써 특별히 절연지를 요구치 않으면서 보다 신속 정확하게 2차코일(C2)의 권선을 완료할 수 있으며,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이 구획벽(12)을 이월하여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처음 시작될 수 있도록 다름 아닌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구획벽(12)을 절개하여 이월홈(13)을 마련함으로써 2차코일(C2)의 이월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이웃의 급격한 전압차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트랜스포머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
도 1은 트랜스포머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 및 절연 케이스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에 적용된 이월홈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1 : 1차코일 C2 : 2차코일
10 : 보빈 11 : 바디
11a : 내면 11b : 돌기
12 : 구획벽 13 : 이월홈
13a : 경사로 13b : 절개편
14 : 층간 권선영역 ST : 계단형
15 : 원통형 서포터 15a : 절곡홈
16 : 격판 20 : 출력 케이블
31 : 스타트 터미널 32 : 엔드 터미널
40 : 절연 케이스 41 : 내측 사각통
42 : 외측 사각통 43 : 격리판
50 : 에폭시 수지 60 : 접속 케이블
1 : 코어
본 고안은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층간 권선영역에 권선된 2차코일이 구획벽을 이월하여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처음 시작될 수 있도록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구획벽을 절개하여 이월홈을 마련토록 한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온관은 네온가스나 아르곤가스의 글로방전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관형(管形)의 방전관으로 얇은 관형일수록 소비전력이 많고 밝기도 밝으며 아울러 구부러짐의 정도가 심할수록 소비전력이 높고 전극 개수가 많을수록 소비전력이 많은 특징이 있고 특히 부하조건이 일정하지 않아 누설 변압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ELECTRODE 혹은 CATHODE라는 필라멘트는 특수 코팅되어 있으며 램프가 점등되었을 때 필라멘트가 가열되고 계속적으로 높은 열을 발산하여 빛을 밝힐 수 있게 된다. 이때, 형광등을 핫 캐소드(HOT CATHODE)라고 하는 반면 점등되었을 때 형광등의 필라멘트 전극에 비하면 낮은 온도로 작동되기 때문에 콜드캐소드라고 하며, 이 콜드캐소드 램프 역시 트랜스포머의 한 종류인 누설 변압기를 사용한다.
도 1은 트랜스포머의 한 종류인 누설 변압기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는 1차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2차코일에 권선비에 비례하는 전압이 유기되는데 2차코일에 유기된 전력을 충분히 소비할 수 있을 경우에는 최대 효율을 발생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1차코일에 유기된 자력선이 누설코어를 통해 흐르게 되어 2차코일에는 부하(네온관 또는 콜드캐소드 램프)에 필요한 만큼만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때, 부하를 적게 물리면 부하에 필요한 전력 이외에는 누설코어로 빠져 없어져 버리는데, 이를 다시 해석하면 부하를 많이 물릴 때나 적게 물릴 때나 상관없이 입력전류는 동일하게 되며 이것을 누설전류라 한다.
본 고안에서는 누설 변압기와 같은 트랜스포머의 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바디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된 구획벽을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층간 권선영역들을 확보토록 하여 2차코일을 보다 신속 정확하게 권선시킬 수 있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층간 권선영역에 권선된 2차코일이 구획벽을 이월하여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처음 시작될 수 있도록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구획벽을 절개하여 이월홈을 마련토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이월홈의 구성이 되는 경사로의 양측에 구비된 절개편에 의하여 2차코일이 내장된 상태로 보호되면서 구획벽을 이월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2차코일이 스타트 터미널에서 엔드 터미널에 이르기까지 층간 권선영역들을 경유하면서 고속으로 신속 정확하게 권선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원통형 서포터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이 지지되면서 절곡홈에 꺽여진 상태로 엔드 터미널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코일이 권선된 보빈과 코어의 결합으로 입력전원의 전압을 승압시켜 출력 케이블로 고전압을 제공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코어를 끼움 받아들이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되어 층간 권선영역들을 제공하는 구획벽들과,
상기 층간 권선영역에 권선된 상기 코일이 상기 구획벽을 이월(移越)하여 상기 이웃 층간 권선영역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시작되도록 상기 바디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상기 구획벽을 절개하여 마련된 이월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 명하기로 하고,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에 결합된 1차코일(C1)에 전류를 흘려 고전압이 2차코일(C2)에 유기되도록 하면서 출력 케이블(20)에 제공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미 도시된 하우징 속에 충진제(폴리에스테르와 석분을 합성시킨 상온 경화형 합성수지로서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호마이카나 타르 또는 우레탄 폼 등)와 함께 내장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핵심은 2차코일(C2)의 보빈(10)에 관한 것이어서 편의상 이들 구성에 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10) 및 절연 케이스(40)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10)을 각각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핵심 구성이 되는 보빈(10)은 도 3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1)를 끼움 받아들이는 바디(11)를 기본 구성으로 하며, 이 바디(11)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되어 층간 권선영역(14)들을 제공하는 구획벽(12)들을 구비하며, 이들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이 구획벽(12)을 이월(移越)하면서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처음 시작되도록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구획벽(12)을 절개하여 이월홈(13)을 마련한다.
통상적으로 보빈(10)은 바디(11) 외주연에 2차코일(C2)과 절연지(미 도시됨)를 교번적으로 권선하고 씌우면서 그 권선과정을 완료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구조와 과정은 권선하는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절연지의 위치가 바르지 않을 경우 트랜스포머의 불량으로 이어져 생산성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바디(11)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된 구획벽(12)을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층간 권선영역(14)들을 확보토록 함으로써 특별히 절연지를 요구치 않고 보다 신속 정확하게 2차코일(C2)의 권선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10)에 적용된 이월홈(13)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도이다.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을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으로 이월시켜 권선시키고자 할 때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구획벽(12)의 중간지점에서 이월홈(13)이 형성될 경우 2차코일(C2)이 구획벽(12)을 이월하면서 권선방향으로 길게 기울어져 바디(11)의 모서리에 이르러서야 그 권선이 시작될 수밖에 없어, 즉 구획벽(12)의 중간지점에서 이웃 층간 권선영역(14) 내의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에 이르기까지 2차코일(C2)이 길게 기울어지면서 이월하게 되어 그 이월 길이만큼 이웃의 급격한 전압차의 영향을 받게 되어 트랜스포머의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이 구획벽(12)을 이월하여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처음 시작될 수 있도록 다름 아닌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구획벽(12) 을 절개하여 이월홈(13)을 마련함으로써 2차코일(C2)의 이월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이웃의 급격한 전압차의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트랜스포머의 효율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보빈(10)에 적용된 이월홈(13)은 구획벽(12)의 외곽에서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로(13a)를 이루게 하면서 구획벽(12)의 절개에 따라 경사로(13a)를 양측에서 보호토록 하는 2개 1조의 절개편(13b)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월홈(13)의 구성이 되는 경사로(13a)의 양측에 구비된 절개편(13b)에 의하여 2차코일(C2)이 내장된 상태로 보호되면서 구획벽(12)을 이월할 수 있게 되어 층간 권선영역(14) 및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의 전압차, 즉 이웃의 급격한 전압차의 영향으로부터 더욱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2차코일(C2)의 시작단이 접속되도록 보빈(10)의 구획벽(12)들 중 최하위 구획벽(12)의 하부에 스타트 터미널(31)을 구비하고, 2차코일(C2)의 끝단이 접속되도록 보빈(10)의 구획벽(12)들 중 최상위 구획벽(12)의 상부에 엔드 터미널(32)을 구비시켜 2차코일(C2)이 스타트 터미널(31)에서 엔드 터미널(32)에 이르기까지 층간 권선영역(14)들을 경유하면서 고속으로 신속 정확하게 권선될 수 있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엔드 터미널(32)에 출력 케이블(20)을 견고하게 접속시킬 있도록 원통형 서포터(15)를 구비하는데, 이 원통형 서포터(15)는 상하 및 일측 방향으로 연이어 절개된 절곡홈(15a)을 구비하여 출력 케이블(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최상위 구획벽(12)의 상부에 직립 형성된다.
출력 케이블(20)이 엔드 터미널(32)에 단순히 접속(용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상호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서로 쉽게 분리되어 트랜스포머의 불량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지만, 본 고안에서는 원통형 서포터(15)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20)이 지지되면서 절곡홈(15a)에 꺽여진 상태로 엔드 터미널(32)에 접속(용접)될 수 있게 되어 출력 케이블(20)과 엔드 터미널(32)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보빈(10)의 스타트 터미널(31)에 2차코일(C2)의 시작단을 접속시킨 후 최하위 구획벽(12)의 이월홈(13)을 경유하여 이월시켜 첫 번째 층간 권선영역(14)에 2차코일(C2)의 권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첫 번째 층간 권선영역(14)에 2차코일(C2)의 권선이 완료되면 이웃 구획벽(12)의 이월홈(13)을 경유하여 다시 이월시켜 두 번째 층간 권선영역(14)에 2차코일(C2)의 권선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순서로 마지막 층간 권선영역(14)의 권선까지 완료한 다음 최상위 구획벽(12)의 엔드 터미널(32)에 2차코일(C2)의 끝단을 접속시킨다.
그리고, 출력 케이블(20)의 심선이 절곡홈(15a)을 따라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서 출력 케이블(20)을 원통형 서포터(15)에 삽입시킨 후 엔드 터미널(32)에 심 선을 견고하게 접속(용접)시킨다.
그 후, 2차코일(C2)이 권선된 보빈(10)을 2개 1조로 준비하여 접속 케이블(60)로서 상호간의 스타트 터미널(31)을 접속한 후 절연 케이스(40)에 수납시키고, 에폭시 수지(50)를 충진하여 경화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절연 케이스(40)에 2차코일(C2)이 권선된 2개1조의 보빈(10)을 일체로서 코어(1)에 결합시키고, 이어서 1차코일(C1)을 끼운 다음 하우징에 삽입시키면서 충진제를 채워넣으면 트랜스포머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면 중 미 설명된 부호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도록 동일자 출원의 "트랜스포머"의 실용신안등록이중출원의 청구범위를 도면 부호와 함께 기술하고, 미 설명 부호 60은 2차코일(C2)이 권선된 2개 1조의 보빈(10)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접속 케이블을 지시한다.
[동일자 실용신안등록이중출원의 트랜스포머의 청구범위]
[청구항 1]
2차코일(C2)이 권선된 보빈(10)과 코어(1)의 결합으로 1차코일(C1)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켜 출력 케이블(20)에 공급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은 상기 코어(1)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점점 멀어지는 내면(11a)을 갖는 상광하협의 바디(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의 내면(11a) 하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두꺼워지는 돌기(11b)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되어 층간 권선영역(14)들을 제공하는 구획벽(12)들과,
상기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상기 2차코일(C2)이 상기 구획벽(12)을 이월(移越)하여 상기 이웃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되도록 상기 구획벽(12)을 절개하여 마련된 이월홈(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 권선영역(14) 별로 상기 바디(11)의 두께를 계단형(ST)으로 제공하여 상기 2차코일(C2)이 순차적으로 균일하게 권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2차코일(C2)의 시작단이 접속되는 스타트 터미널(31)과,
상기 바디(11)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2차코일(C2)의 끝단 및 상기 출력 케이블(20)이 접속되는 엔드 터미널(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1)의 상부에 돌출되어 상기 코어(1)와 출력 케이블(20)을 서로 격리시키는 격판(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은 2개 1조로 구성되어 상기 코어(1)에 조립되며,
상기 2개 1조의 보빈(10)은 절연 케이스(40)에 수납된 후 에폭시 수지(50)로 몰딩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케이스(40)는
상기 보빈(10)의 내면(11a)이 마주하면서 상기 코어(1)를 끼움 받아들이는 2개 1조의 내측 사각통(41)과,
상기 2개 1조의 내측 사각통(41)에 끼워진 상기 2개 1조의 보빈(10)을 한꺼번에 감싸는 외측 사각통(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청구항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사각통(42)의 상부로 더 돌출되어 상기 출력 케이블(20)의 절연을 보장하는 격리판(4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디(11)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된 구획벽(12)을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층간 권선영역(14)들을 확보토록 하여 특별히 절연지를 요구치 않으면서 보다 신속 정확하게 2차코일(C2)의 권선을 완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이 구획벽(12)을 이월하여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처음 시작될 수 있도록 다름 아닌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구획벽(12)을 절개하여 이월홈(13)을 마련함으로써 2차코일(C2)의 이월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어 이웃의 급격한 전압차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랜스포머의 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월홈(13)의 구성이 되는 경사로(13a)의 양측에 구비된 절개편(13b)에 의하여 2차코일(C2)이 내장된 상태로 보호되면서 구획벽(12)을 이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층간 권선영역(14) 및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의 전압차, 즉 이웃의 급격한 전압차의 영향으로부터 극히 자유로울 수 있 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2차코일(C2)의 시작단이 접속되도록 보빈(10)의 구획벽(12)들 중 최하위 구획벽(12)의 하부에 스타트 터미널(31)을 구비하고, 2차코일(C2)의 끝단이 접속되도록 보빈(10)의 구획벽(12)들 중 최상위 구획벽(12)의 상부에 엔드 터미널(32)을 구비시켜 2차코일(C2)이 스타트 터미널(31)에서 엔드 터미널(32)에 이르기까지 층간 권선영역(14)들을 경유하면서 고속으로 신속 정확하게 권선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원통형 서포터(15)에 의하여 출력 케이블(20)이 지지되면서 절곡홈(15a)에 꺽여진 상태로 엔드 터미널(32)에 접속(용접)될 수 있도록 하여 출력 케이블(20)과 엔드 터미널(32) 상호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목적, 구성 및 작용효과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은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2차코일(C2)이 구획벽(12)을 이월하여 이웃하는 층간 권선영역(14)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처음 시작될 수 있도록 다름 아닌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구획벽(12)을 절개하여 이월홈(13)을 마련하는 것을 가장 큰 핵심기술로 하고, 기타 변화 가능한 구성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변화 가능한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해석 또한 이에 준하는 것으로 한다.

Claims (4)

  1. 2차코일(C2)이 권선된 보빈(10)과 코어(1)의 결합으로 1차코일(C1)로부터 유기된 전압을 고전압으로 승압시켜 출력 케이블(20)에 공급하는 트랜스포머에 있어서,
    상기 보빈(10)은
    상기 코어(1)를 끼움 받아들이는 바디(11)와,
    상기 바디(11)의 하부로부터 상부에 이르기까지 층층이 외향 돌출되어 층간 권선영역(14)들을 제공하는 구획벽(12)들과,
    상기 층간 권선영역(14)에 권선된 상기 2차코일(C2)이 상기 구획벽(12)을 이월(移越)하여 상기 이웃 층간 권선영역(14)의 모서리에서 권선이 시작되도록 상기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한 상기 구획벽(12)을 절개하여 마련된 이월홈(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월홈(13)은
    상기 구획벽(12)의 외곽에서 상기 바디(11)의 모서리 부분을 향하여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로(13a)를 이루게 하면서 상기 구획벽(12)의 절개에 따라 상기 경사로(13a)를 양측에서 보호토록 하는 2개 1조의 절개편(13b)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벽(12)들 중 최하위 구획벽(12)에 형성되어 상기 2차코일(C2)의 시작단이 접속되는 스타트 터미널(31)과,
    상기 구획벽(12)들 중 최상위 구획벽(1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2차코일(C2)의 끝단이 접속되는 엔드 터미널(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하 및 일측 방향으로 연이어 절개된 절곡홈(15a)을 구비하여 상기 출력 케이블(20)을 지지하도록 상기 최상위 구획벽(12)에 직립 형성된 원통형 서포터(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KR2020060008921U 2006-04-04 2006-04-04 트랜스포머 KR200418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921U KR200418773Y1 (ko) 2006-04-04 2006-04-04 트랜스포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921U KR200418773Y1 (ko) 2006-04-04 2006-04-04 트랜스포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583A Division KR100789861B1 (ko) 2006-04-04 2006-04-04 트랜스포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773Y1 true KR200418773Y1 (ko) 2006-06-13

Family

ID=4176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921U KR200418773Y1 (ko) 2006-04-04 2006-04-04 트랜스포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7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7638A (ja) * 2018-07-25 2020-01-3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17638A (ja) * 2018-07-25 2020-01-3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
JP7169108B2 (ja) 2018-07-25 2022-11-10 株式会社タムラ製作所 リアクト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5846B (zh) 高压放电灯
US5847518A (en) High voltage transformer with secondary coil windings on opposing bobbins
US8179223B2 (en) Sheet type transformer and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US20060071584A1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US7652550B2 (en) High-voltage generating transformer for 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JPH08124760A (ja) 電磁装置
US8106738B2 (en) Ballast for multiple lamp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624596B1 (en) Device for lighting discharge lamp
US7084562B2 (en) Electrodeless discharge lamp
KR20120076299A (ko) 트랜스포머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US20060227482A1 (en) Transformer and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KR200418773Y1 (ko) 트랜스포머
KR100727456B1 (ko) 트랜스포머
JP2006108721A (ja) 電磁装置
KR100789861B1 (ko) 트랜스포머
KR200418774Y1 (ko) 트랜스포머
JPH1174135A (ja) 高圧トランス
US20210074473A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gnition device
CN101283418B (zh) 照明应用的变感扼流圈
JPH0869931A (ja) 電磁装置
JP2004207375A (ja) 放電灯点灯装置
JP4797337B2 (ja) ボビン、インダクタンス、トランス、およびパルス発生装置
JP2006140527A (ja) 電磁装置
JP2008177312A (ja) トランス
JP2001126935A (ja) 高圧放電灯の高電圧発生コイル及びその巻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