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546Y1 - 보호용덮개 - Google Patents

보호용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546Y1
KR200418546Y1 KR2020060008200U KR20060008200U KR200418546Y1 KR 200418546 Y1 KR200418546 Y1 KR 200418546Y1 KR 2020060008200 U KR2020060008200 U KR 2020060008200U KR 20060008200 U KR20060008200 U KR 20060008200U KR 200418546 Y1 KR200418546 Y1 KR 2004185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skin
skin complex
ben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관수
Original Assignee
장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관수 filed Critical 장관수
Priority to KR202006000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5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5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54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63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4Coverings, e.g. protecting against weather, for decorative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문틀이나 창틀 또는 계단과 같은 곳에 임시적으로 부착하여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보호용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부착물의 긁힘이나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보호용덮개에 있어서, 피부착물의 외형과 같이 양단부 또는 어느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걸림턱을 이루며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중공의 격실이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판재와; 상기 폴리프로필렌판재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피부착물과 접촉되며 쿠션을 갖추고 있는 완충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부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덮개에 관한 것이다.
보호용덮개, 완충시트, 폴리프로필렌판재, 문틀, 창틀, 계단

Description

보호용덮개{PROTECTING COVER}
도1 -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알미늄샷시 보호용카바에 대한 설치 예시도.
도2 -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창문틀 보호덮개에 대한 사시도.
도3 -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용덮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4 -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용덮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5 -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용덮개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폴리프로필렌판재 150 : 걸림턱
200 : 완충시트 300 : 접착테이프
본 고안은 문틀이나 창틀 또는 계단과 같은 곳에 임시적으로 부착하여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보호용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사를 하거나 새로운 가구 등을 실내로 옮기는 경우 뜻하지 않은 충돌로 인해 창틀이나 문틀에 흠집이 쉽게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은 조그마한 부주의 때문에 새롭게 도색을 하거나 심한 경우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건물을 시공하는 경우 콘크리트 타설 후 완전히 양생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조그마한 외력에도 움푹 파이게 되고 흠집이 그대로 남게 된다. 특히, 계단의 모서리부는 돌출되어있어 이와 같은 문제는 더욱 심하다. 따라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완전히 건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사 등을 하는 경우 계단의 모서리부에 가구 등이 부딪히면 가구에 손상이 발생되므로 가구 등을 옮기기에 앞서 계단의 모서리부에 적절한 보호덮개를 해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제시된 종래기술을 살펴보기로 하며, 먼저 실용신안출원번호 제1985-0017339호의 "건축용알미늄샷시 보호용카바"가 공지되어있다. 도1은 상기 종래기술에 대한 설치 예시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의 형상과 같은 홈을 두어 문틀에 보호용카바를 삽입하도록 한 것이었다. 하지만 이것의 경우 문틀의 특수한 형태대로 보호용카바를 가공해야 하므로 제작비용이 높고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출원번호 94-24604호의 "창문틀 보호덮개"가 있으며, 도2는 이에 따른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창문틀 보호덮개의 경우에는 창문틀에 보호덮개를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고정구(5)가 필요하게 되고 보호덮개에 사각형의 개구부(2,3)를 형성시켜야만 하는 등 설치에도 어려움이 있고 특수한 문틀에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기술들에서는 단지 창문틀 등을 덮을 수 있도록 한 것이었고 창틀과의 접촉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스크래치 등에 대한 대비책이 없다는 문 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문틀의 형상에 크게 구애받지않고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보호용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보호용덮개가 설치될 피부착물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않도록 쿠션을 두도록 하며 피부착물에 대한 고정도 용이한 보호용덮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피부착물의 긁힘이나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보호용덮개에 있어서, 피부착물의 외형과 같이 양단부 또는 어느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걸림턱을 이루며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중공의 격실이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판재와; 상기 폴리프로필렌판재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피부착물과 접촉되며 쿠션을 갖추고 있는 완충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부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덮개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보호용 덮개는 상기 완충시트의 하면에 다수의 접착테이프가 결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걸림턱은 접히는 선을 따라 부분적인 컷팅이 되어 절곡되며 열융착에 의해 요구되는 각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 부되는 도면들은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단순한 형태의 변경이나 재질의 변화 등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보호용덮개의 개략적인 사시도에 해당되며, 도4는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에 해당된다.
제1실시예에서는 계단에 사용될 수 있는 보호용덮개를 설명한 것이며, 본 고안의 기본구성으로는 폴리프로필렌판재(100)와 완충시트(200)를 포함한다. 폴리프로필렌판재(100)는 판상의 부재로서 그 좌우 양단부 혹은 어느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걸림턱(150)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판재는 일반적으로 말하는 단프라시트이며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중공의 격실이 구비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계단의 형상과 같이 "ㄱ" 형을 이루도록 폴리프로필렌판재를 성형하는데 사용될 장소에 따라 폴로프로필렌판재를 피부착물의 외형과 유사한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판재에 형성되는 걸림턱(150)은 다양한 각도를 갖도록 절곡할 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90도로 직각되게 절곡시켜 걸림턱을 이루도록 하였다.
상기 폴리프로필렌판재(100)에 구비되는 걸림턱(150)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걸림턱으로 접히게 되는 선을 따라 부분적인 컷팅을 하여 굽히도록 하며 요구되는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열을 가해 열융착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성형하도록 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폴리프로필렌판재(10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완충시트(200) 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완충시트(200)는 피부착물과 직접 접촉되는 부위로서 쿠션을 갖추고 있어 충격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폴리프로필렌판재에 비교하여 연질이므로 피부착물의 표면과 접촉되더라도 스크래치와 같은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상기 완충시트로서 폴리에틸렌(PE)폼을 이용하여 넓은 판상으로 성형한 것을 사용하였다. 완충시트를 폴리프로필렌판재에 부착하는 것은 통상의 접착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완충시트의 하면에는 다수의 접착테이프(300)를 부착하도록 한다. 완충시트(200)의 하면부가 피부착물과 접하는 면이 되며 피부착물에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접착테이프(300)를 두도록 한다. 상기 접착테이프로는 양면테이프가 적합하며 완충시트 전면에 골고루 양면테이프를 두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완충시트 하면에 접착테이프로서 양면테이프를 둠에 따라 피부착물에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를 설치할 시에 유동없도록 부착시킬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되는 도5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보호용덮개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문틀에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를 설치한 경우를 보여준다.
본 제2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판재(100)의 좌우 양단부가 절곡되어 걸림턱(150)을 형성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문틀(a)의 경우 좌우가 대칭이므로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는 좌우 양측 모두에 걸림턱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의 각도는 90도를 이루도록 했으며 폴리프로필렌판재(100) 내측에는 완충시트(200)가 결합되고 상기 완충시트(200)에는 접착테이프(300)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호용 덮개는 문틀이나 창틀에 있어 레일부가 있는 경우라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걸림턱의 각도를 90가 아닌 45도 혹은 60도 등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이것은 피부착물의 외형에 맞게 적절히 변경하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는 좌우 양단부에 걸림턱을 두는 것 외에 피부착물의 외형과 동일한 형태로 여러개의 절곡부를 두어 성형할 수도 있다. 즉, 다수의 요철이 있는 경우 그 요철과 같은 형태로 폴리프로필렌판재를 절곡하며 여기에 완충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는 성형이 용이한 폴리프로필렌이나 완충시트로서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므로 피부착물의 외형과 같은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에 의하면 성형이 쉽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생산성이 좋고 저렴한 가격으로 대량제작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피부착물의 형태에 따라 쉽게 변형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범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의 사용으로 피부착물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력에 의해 피부착물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도 가진다. 한편, 본 고안의 보호용덮개는 피부착물에 대한 탈부착도 용이하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피부착물의 긁힘이나 외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보호용덮개에 있어서,
    피부착물의 외형과 같이 양단부 또는 어느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걸림턱(150)을 이루며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중공의 격실이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판재(100)와;
    상기 폴리프로필렌판재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피부착물과 접촉되며 쿠션을 갖추고 있는 완충시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피부착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용 덮개는,
    상기 완충시트(200)의 하면에 다수의 접착테이프(300)가 결합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50)은,
    접히는 선을 따라 부분적인 컷팅이 되어 절곡되며 열융착에 의해 요구되는 각도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용덮개.
KR2020060008200U 2006-03-28 2006-03-28 보호용덮개 KR2004185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00U KR200418546Y1 (ko) 2006-03-28 2006-03-28 보호용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200U KR200418546Y1 (ko) 2006-03-28 2006-03-28 보호용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546Y1 true KR200418546Y1 (ko) 2006-06-12

Family

ID=4176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200U KR200418546Y1 (ko) 2006-03-28 2006-03-28 보호용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5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27135B2 (ja) 固定された車両のウィンドウガラスに部品を接合するための成形要素
US6826877B1 (en) Door frame guard
JP2015502291A5 (ko)
EP1924753A1 (en) Panel installation set and method of installing panel using the same
CA2816346C (en) Window mull system
TWM463096U (zh) 用於裝設及保護捲簾配件之裝置
US5802785A (en) Aluminum framed window molding
KR200418546Y1 (ko) 보호용덮개
JP6596468B2 (ja) コーナー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JP6270095B2 (ja) ユニットルーム
KR200397838Y1 (ko) 창문유리 실리콘 오염방지캡
KR20140004502U (ko) 창호용 방풍부재
CN215045849U (zh) 装饰件、竖梁组件以及置物系统
CN205532071U (zh) 一种窗扇护角
CN114852565A (zh) 装饰件、竖梁组件以及置物系统
JP4977098B2 (ja) 浴室ユニットと窓との接続部における止水構造
KR200316774Y1 (ko)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KR100893586B1 (ko) 폼 마스커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1323739A (ja) 板 体
JPS6030358Y2 (ja) 敷居畳間の隙間閉塞部材
KR102010622B1 (ko) 사이드 실 몰딩 고정용 클립
US20090065157A1 (en) Connection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a panel assembly
CN202248780U (zh) 防护条
ITTO20120215A1 (it) Struttura di guarnizione per vani porta di veicoli e suo metodo di realizzazione.
JP5308740B2 (ja) 枠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