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774Y1 -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 Google Patents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774Y1
KR200316774Y1 KR20-2003-0006405U KR20030006405U KR200316774Y1 KR 200316774 Y1 KR200316774 Y1 KR 200316774Y1 KR 20030006405 U KR20030006405 U KR 20030006405U KR 200316774 Y1 KR200316774 Y1 KR 2003167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ed glass
glass door
main body
sides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20-2003-0006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7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7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7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개방구를 갖고, 그 내부에 안착공간이 구비된 채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구측의 양 단부상에는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양 측면에 철심이 각각 매입되는 본체와;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금속재질의 지지체가 매입되며,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외부면상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안착공간의 양 측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면에 일측에 테이프가 구비되는 판상체형상의 철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성이 간단하고, 장착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압출성형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져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문이 여닫힐 때 손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문틈 사이를 밀폐시켜 방음, 방수, 방풍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주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Description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A protective device of tempered glass}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화유리도어 등의 유리문 측면상에 장착되어 아이들의 출입시 부주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방음이나 방풍 및 불필요한 에너지의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학교, 유치원 등의 건물 현관문으로 강화유리도어 등의 유리문이 사용된다. 이러한 강화유리도어는 강도가 강하면서도 도어의 내측을 볼 수 있는 투명함을 제공하기 때문에 현대식 빌딩 및 학교 등의 현관문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강화유리도어의 출입시 도어를 여닫는 과정에서 아이들의 부주의에 의하여 손, 손가락, 머리 등이 강화유리도어와 강화유리도어 사이 및 강화유리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끼어 타박상 및 찰과상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이 높으며, 또한 강화유리도어와 강화유리도어의 사이 및 강화유리도어와 프레임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를 통하여 외기가 유입되거나 내기가 유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냉, 난방시 에너지의 손실이 많으며, 이러한 틈새를 통하여 외부의 소음이나 먼지 등이 내부로 들어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장착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압출성형공정에 의하여 일체로 이루어져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문이 여닫힐 때 손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문틈 사이를 밀폐시켜 방음, 방수, 방풍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주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가 강화유리도어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도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3...강화유리도어,
10...본체, 11...개방구,
13...고정턱, 15...안착공간,
17...철심, 19...삽입홈,
30...완충부재, 31...지지체.
33...완충공간, 51...마그네트,
53...철판, 55...테이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상에 장착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에 개방구를 갖고, 그 내부에 안착공간이 구비된 채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구측의 양 단부상에는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양 측면에 철심이 매립되는 본체와;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금속재질의 지지체가 매립되며,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외부면상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본체 안착공간의 양 측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로 구성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면에는 일측에 접착수단이 구비되는 판상체형상의 철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는 본체(10)와 완충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강화유리도어(3)에 내삽되기 위하여 일측에 개방구(11)를구비한 채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구(11)측의 양 단부상에는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가 강화유리도어(3)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고정 및 지지를 위하여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쐐기형상의 고정턱(1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개방구(11)의 내부에는 삽입된 강화유리도어(3)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15)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 내부에는 판체형상의 철심(17)이 각각 매립되고, 상기 철심(17)은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위치까지 연장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철심(17)이 본체(10)의 양 측면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매립되어 있으나,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매립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완충부재(30)는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상기 완충부재(30)의 단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지지체(31)가 매립되며,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 외부면상에 다수개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체(31)는 상기 완충부재(30)를 지지하거나 완충부재(30)가 충격을 완화하고 본래의 모습으로 복원되기 쉽도록 상기 완충부재(30)의 내부에 매립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30)의 내측에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쿠션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완충공간(33)이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양 측면 외부면상에 상호 대칭되도록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완충부재(30)가 상기 본체(10)의 외부면상에 각각 2개씩으로 구비되어 있으나, 2개 이상의 다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0) 양측면 외부면상에 구비되는 각각의 완충부재(30)의 크기는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구(11)측에 구비된 완충부재(30)의 크기가 그 후방측에 구비된 완충부재(3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형성되거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안착공간(15) 양 측면상의 소정위치에는 마그네트(51)가 상호 대칭되게 각각 구비되고, 상기 마그네트(51)의 내측면에는 일측에 테이프(55)가 구비되는 판상체형상의 철판(53)이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양 측면에 접착성을 갖는 양면 테이프(55)가 사용되지만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면 기타 접착성을 갖는 수단 및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강화유리도어(3) 일측의 양 측면상에 양면 테이프(55)에 의하여 판상체형상의 철판(53)이 고착되며, 상기 철판(53)의 외부면상에 마그네트(51)를 구비한 상기 본체(10)가 삽입,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철심(17), 마그네트(51)와 상기 완충부재(30)에 구비되는 철판(53)은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나,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로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본체(10)는 경질재질로 형성되고, 완충부재(30)는 연질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나, 고무 등의 기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와 완충부재(30)는 압출성형공정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가 강화유리도어에 장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강화유리도어에 강화유리도어 보호대가 장착되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강화유리도어(3)의 일측 양 측면상에 양면 테이프(55)가 구비된 철판(53)을 부착한다. 이렇게 양면 테이프(55)가 구비된 철판(53)을 상기 강화유리도어(3)에 부착한 다음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 본체(10)의 개방구(11)측을 상기 강화유리도어(3)에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 일측에 형성되는 개방구(11)는 상기 강화유리도어(3)의 측면상에 슬라이딩되면서 끼움결합되고, 상기 개방구(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안착공간(15)상에 상기 강화유리도어(3)에 안착되면서 결합이 완료된다.
한편, 이렇게 강화유리도어(3)에 장착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는 다음에 상술하는 구조에 의하여 고정된다. 먼저, 상기 강화유리도어(3)에 양면 테이프(55)를 이용하여 고착된 철판(53)과 그 외측면상에 구비되는 마그네트(51)는 자력에 의하여 상호 고정되며, 상기 마그네트(51)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매입되는 철심(17)과 자력에 의하여 상호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는 강화유리도어(3)에 장착된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는 상기 본체(10)의 개방구(11)측의 양 단부상에 형성되는 고정턱(13)에 의하여 강화유리도어(3)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10)의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구성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10)의 안착공간(15) 양 측면 소정위치에 삽입홈(19)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19) 내부에 마그네트(51)가 내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는 강화유리도어(3)의 측면상에 삽착되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1)는 강화유리도어(3)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안착공간(15) 양 측면상에 장착된 각각의 마그네트(51)의 자력에 의하여 강화유리도어(3)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구성이 간단하고, 기타 체결수단의 필요없이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의 편의성을 제공하며, 압출성형공정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문이 여닫힐 때 손에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문틈 사이를 밀폐시켜 방음, 방수, 방풍의 효과를 극대화시켜 주거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상에 장착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에 개방구를 갖고, 그 내부에 안착공간이 구비된 채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방구측의 양 단부상에는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양 측면에 철심이 매립되는 본체와;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금속재질의 지지체가 매립되며,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외부면상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본체 안착공간의 양 측면 소정위치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로 구성되며,
    상기 마그네트의 내측면에는 일측에 접착수단이 구비되는 판상체형상의 철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경질재질로 형성되고,상기 완충부재는 연질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3. 강화유리도어의 측면상에 장착되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에 있어서,
    일측에 개방구를 갖고, 그 내부에 안착공간이 구비된 채널형상의 단면으로이루어지고, 상기 개방구측의 양 단부상에는 내향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턱이 상호 대칭되게 구비되며, 상기 안착공간의 양 측면 소정위치에 삽입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삽입홈에 마그네트가 각각 내삽되도록 이루어지는 본체와;
    반원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금속재질의 지지체가 매립되며, 상기 본체의 양 측면 외부면상에 다수개로 구비되는 완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KR20-2003-0006405U 2003-03-05 2003-03-05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KR2003167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05U KR200316774Y1 (ko) 2003-03-05 2003-03-05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405U KR200316774Y1 (ko) 2003-03-05 2003-03-05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774Y1 true KR200316774Y1 (ko) 2003-06-18

Family

ID=4940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405U KR200316774Y1 (ko) 2003-03-05 2003-03-05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77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54B1 (ko) 2007-05-01 2007-12-07 태성이엔씨(주) 선택적 충격흡수성능의 조정이 가능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KR101403736B1 (ko) * 2012-11-21 2014-06-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방문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354B1 (ko) 2007-05-01 2007-12-07 태성이엔씨(주) 선택적 충격흡수성능의 조정이 가능한 투명 방음판의프레임 구조
KR101403736B1 (ko) * 2012-11-21 2014-06-11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방문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2317588A (ja) 防風・防音及び安全を兼備したガラスドアの安全装置
JP522261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KR102100231B1 (ko) 창호 충격방지용 스토퍼
KR200447014Y1 (ko) 완충기가 설치된 미닫이 창호 장치
KR200316774Y1 (ko)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KR101321711B1 (ko) 미닫이문용 기밀재
KR101422813B1 (ko) 전후 양방향 여닫이식 단열 도어장치
KR101581203B1 (ko) 방풍이 가능한 도어용 안전장치
KR101671929B1 (ko) 문틀의 측벽용 모헤어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미닫이 창호
KR100712936B1 (ko) 강화유리 도어의 안전장치
KR100904761B1 (ko) 안전부재가 장착된 미닫이문
KR20110011128U (ko) 여닫이문의 완충장치
KR200316775Y1 (ko) 강화유리도어의 보호대
KR101531274B1 (ko) 미닫이 창호
KR200409908Y1 (ko) 방화문 밀폐용 패킹
KR101928737B1 (ko) 창문틀방풍장치
KR20180117395A (ko) 슬라이딩 창호의 필링피스 설치구조
KR102027831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
KR102027837B1 (ko) 기밀성을 갖는 창호용 도어
KR20140004502U (ko) 창호용 방풍부재
KR102030494B1 (ko) 창호의 창짝 완충용 조립체
KR200312111Y1 (ko) 출입문용 문풍대
KR100579473B1 (ko) 건축용 도어 방음구조
KR200382025Y1 (ko) 도어의 안전부재
KR200340540Y1 (ko) 방화문 밀폐용 패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