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8072Y1 - 파이프 커넥터 - Google Patents

파이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8072Y1
KR200418072Y1 KR2020060007572U KR20060007572U KR200418072Y1 KR 200418072 Y1 KR200418072 Y1 KR 200418072Y1 KR 2020060007572 U KR2020060007572 U KR 2020060007572U KR 20060007572 U KR20060007572 U KR 20060007572U KR 200418072 Y1 KR200418072 Y1 KR 200418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nector piece
pipe
pipes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지테크
Priority to KR2020060007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8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8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80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20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for ends of members only, e.g. for connecting members in end-to-end relation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연결되는 2개 파이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수단(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커넥터편(100) 및 제2 커넥터편(200)과; 탄성수단(400)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커넥터편(100)에 설치된 가압분리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분리수단(500)에는, 제2 커넥터편(200)에 걸리는 걸림돌기(510)와 제1 커넥터편(100)의 설치구멍(110)을 통해 노출되게 형성된 누름부(5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2개의 파이프를 자유롭게 접고 펼 수 있으므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고,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파이프 정렬이 정확히 이루어지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도 있다.
파이프, 커넥터, 커넥터편, 작업대, 가압분리수단, 힌지수단, 탄성수단

Description

파이프 커넥터{A PIPE CONNECTOR}
도 1은, 일반적인 작업용 파이프 조립 작업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파이프 커넥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의 접혀진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의 조립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종단면도이다.
※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 제1 커넥터편
200... 제2 커넥터편
300... 힌지수단
400... 탄성수단
500... 가압분리수단
510... 걸림돌기
520... 누름부
1000... 파이프 커넥터
본 고안은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짧게 접을 수 있어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설치작업이 간단한 파이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작업용 파이프 조립 작업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조립 작업대는 다수개의 파이프를 종과 횡으로 연결하는 동시에 경사진 방향으로도 설치하여 조립함으로써 결합강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종방향 파이프의 경우, 기다란 파이프 단일체를 사용하면 중간에 변형이 발생하여 조립치수불량이나 조립강도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 보통이며 그 연결부위에는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보통 원터치 자동 잠금식으로 되어 있어 착탈이 자유롭다. 종래 커넥터의 대표적인 구조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되는 2개 파이프의 대향하는 단부에는 각각 커넥터(10)의 암수 한 쌍이 설치되어 있다. 커넥터(10)의 수부(10a)에는 테이퍼 형성된 가이드부(11)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가이드부(11)의 외면에는 결합봉(12)이 진퇴가 자유롭게 가로질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부(10a)와 결합하는 암부(10b)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봉(12)이 끼워지는 결합공(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조립시에는 상기 수부(10a)를 암부(10b)에 끼워서 조립하게 되며, 조립시에 수부(10a)의 결합봉(12)이 암부(10b)의 결합공(13)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3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7816호에 개시된 또 다른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T형 단관(10)은, 4개의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4개의 접속부(11',12,13,14)를 가지며, 작업대 등의 중간층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는 형상이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작업대 등의 다층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파이프 연결구는 확장구(11,23,25), 조임구(21,22,24) 및 T형 단관(1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구 및 조임구는 단관(10)과 일체로 제공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제작자의 편의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는 사항이거나, 결합상황에 따라 불가피하게 선택되는 사항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커넥터를 이용하게 되면 파이프가 단지 직선으로 연결될 뿐 접혀지는 구성이 불가능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대의 철거 또는 보관시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 프들을 완전히 분리해야 했으므로 그 철거 및 보관작업 자체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설치시에도, 연결되는 파이프를 각각 위쪽으로 별도로 이동시키면서 결합해야 했으므로 설치작업 자체가 어렵고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었다.
또한, 별도로 분리된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게 되므로 정확한 정렬이 필요하고, 정렬작업에도 2인 이상이 필요하게 되어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안의 목적은 파이프의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작업이 용이한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한 사람이 정렬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소요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파이프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는,
연결되는 2개 파이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커넥터편 및 제2 커넥터편과;
탄성수단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커넥터편에 설치된 가압분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분리수단에는, 제2 커넥터편에 걸리는 걸림돌기와 제1 커넥터편의 설치구멍을 통해 노출되게 형성된 누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커넥터편에는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의 양단은 각각 가압분리수단과 힌지수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분리수단에는 힌지 이동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수단의 일단이 상기 힌지 이동구멍 내에 형성된 스프링자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분리수단의 선단부는 둔각으로 꺽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편의 선단은 걸림돌기와 누름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커넥터(1000)는, 연결되는 2개 파이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제1 커넥터편(100) 및 제2 커넥터편(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이프와 커넥터편들과의 결합은 용접이나 클램프에 의한 통상적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커넥터편(100)과 제2 커넥터편(200)은 힌지수단(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호 힌지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커넥터편(100)과 제2 커넥터편(200)에는 상기 힌지수단(300)이 설치될 수 있도록 브라켓(700)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압분리수단(500)이 탄성수단(400)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커넥터편(100)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수단(400)으로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되었으며, 그 양단은 가압분리수단(500)과 힌지수단(300)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탄성수단(400)에 의해 가압분리수단(500)은 항상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며, 가압분리수단(500)이 제1 커넥터편(100)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타이트하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가압분리수단(500)에는 힌지 이동구멍(5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이동구멍(530)의 테두리 부분에는 스프링자리(54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탄성수단(400)의 일단이 상기 스프링자리(540)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힌지 이동구멍(530)은, 가압분리수단(500)이 이동할 때 힌지수단(300)과 상대 이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가압분리수단(500)에는, 제2 커넥터편(200)에 걸리는 걸림돌기(510)와, 제1 커넥터편(100)의 설치구멍(110)을 통해 노출되게 형성된 누름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걸림돌기(510)와 누름부(520)는 동일 평면상에서 정렬되어 있으며, 걸림돌기(510)는 앞쪽에, 누름부(520)는 뒤쪽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걸림돌기(510)가 걸리는 걸림구멍(210)이 제2 커넥터편(200)에 형성되어 있으나, 제2 커넥터편(200)의 안쪽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걸리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압분리수단(500)의 선단부는 둔각으로 꺽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누름부(520)를 누른 상태에서 커넥터편들을 결합하였을 때, 가압분리수단(500)이 제2 커넥터편(200)의 둘레면과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가 없이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편(100)의 선단은 걸림돌기(510)와 누름부(5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커넥터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6(a)는 연결되는 2개의 파이프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즉, 보관중에는 파이프들을 접어서 가능한 한 짧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 경우에, 힌지수단(300)을 통해 제1 커넥터편(100)과 제2 커넥터편(200)이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가압분리수단(500)이 제1 커넥터편(100)에만 설치되어 있으므로, 2개의 커넥터편들이 상대 회전이동할 때 가압분리수단(500)이 탄성수단(400)에 의해 제1 커넥터편(100)에 밀려서 고정되므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다음, 도 6(b)는 연결되는 2개의 파이프가 접혀진 상태로부터 다시 상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즉, 작업대를 설치할 경우에는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연장시키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커넥터편(100)의 설치구멍(110)을 통해 노출되게 형성된 가압분리수단(500)의 누름부(520)를 눌러서 가압분리수단(500)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제2 커넥터편(200)을 제1 커넥터편(100) 쪽으로 회전시키면 제1 커넥터편(100)과 제2 커넥터편(200)이 서로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부(520)로부터 힘을 제거하면 가압분리수단(500)의 걸림돌기(510)가 제2 커넥터편(200)의 걸림구멍(210)에 끼워지므로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b)의 구조에서 도 6(a)의 구조로 되돌리기 위해서는 누름부(520)를 누른 상태에서, 연결된 양 파이프를 단순히 꺽는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2개의 파이프가 파이프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자유롭게 접고 펼 수 있으므로 파이프를 용이하게 설치 및 보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사람의 작업자에 의해서도 파이프 정렬이 정확히 이루어지므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2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커넥터에 있어서,
    연결되는 2개 파이프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수단(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커넥터편(100) 및 제2 커넥터편(200)과;
    탄성수단(400)을 개재하여 상기 제1 커넥터편(100)에 설치된 가압분리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분리수단(500)에는, 제2 커넥터편(200)에 걸리는 걸림돌기(510)와 제1 커넥터편(100)의 설치구멍(110)을 통해 노출되게 형성된 누름부(5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2 커넥터편(200)에는 걸림돌기(510)가 걸리는 걸림구멍(2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400)의 양단은 각각 가압분리수단(500)과 힌지수단(300)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분리수단(500)에는 힌지 이동구멍(5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 이동구멍(530)의 테두리에는 상기 탄성수단(400)의 일단이 설치되는 스프링자리(54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분리수단(500)의 선단부는 둔각으로 꺽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편(100)의 선단은 걸림돌기(510)와 누름부(5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넥터.
KR2020060007572U 2006-03-21 2006-03-21 파이프 커넥터 KR200418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72U KR200418072Y1 (ko) 2006-03-21 2006-03-21 파이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572U KR200418072Y1 (ko) 2006-03-21 2006-03-21 파이프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8072Y1 true KR200418072Y1 (ko) 2006-06-09

Family

ID=41767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572U KR200418072Y1 (ko) 2006-03-21 2006-03-21 파이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80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337B1 (ko) * 2023-03-27 2023-08-22 이무성 스카이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337B1 (ko) * 2023-03-27 2023-08-22 이무성 스카이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8081B2 (ja) 可撓性ブリストルタングを持つフロアパネルの機械的係止
EP2087183B1 (en) A set of floor panels provided with a locking system with a separate displaceable tongue
US6413004B1 (en) Tubular connector
US20020069611A1 (en) Method of laying panels
JP4659152B2 (ja) 管継手
EP3275736A1 (en)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US7207112B2 (en) Combination hairdressing scissor assembly
TW201843077A (zh) 結構總成及裝配其之方法
KR200418072Y1 (ko) 파이프 커넥터
KR101598761B1 (ko) 각관 삽입식 암수 결합구를 이용한 집성 원목 결합체
JP4589990B2 (ja) 光コネクタアダプタ
JP4782729B2 (ja) 光コネクタ
JP6230804B2 (ja) 組立什器及び組立什器の製造方法
JP2008014132A (ja) 管継手
JP4296699B2 (ja) 構造材の結合構造
KR100784808B1 (ko) 사각파이프 연결용 조인트
JP5009086B2 (ja) 管継手
KR101928298B1 (ko) 케이블 트레이에서 렁의 구조를 이용한 4단 체결구조
KR101449036B1 (ko) 튜브 연결용 커넥터
US20090117760A1 (en) Terminal connecting structure
KR102309623B1 (ko) 하나의 연결브라켓으로 프레임바를 다방향으로 상호 연결하여 조립할 수 있는 다방향 연결브라켓
KR102591375B1 (ko) 패널 결합 구조체
JP6956976B2 (ja)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JP5546840B2 (ja) 連結具
JP4865576B2 (ja) 螺旋状ケーブル支持具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