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360Y1 - 자전거의 절첩기구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절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360Y1
KR200417360Y1 KR2020060000470U KR20060000470U KR200417360Y1 KR 200417360 Y1 KR200417360 Y1 KR 200417360Y1 KR 2020060000470 U KR2020060000470 U KR 2020060000470U KR 20060000470 U KR20060000470 U KR 20060000470U KR 200417360 Y1 KR200417360 Y1 KR 2004173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am
frame
lever
connection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중욱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0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3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3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3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절첩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 및 제2 프레임파이프의 서로 대응되는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힌지구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측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를 관통하여 제2힌지구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잠금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 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연결바아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바아의 단부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중심공에서 외면까지의 거리가 변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와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연결바아를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시키는 캠레버와, 상기 연결바아가 그 중앙을 관통하고 상기 걸쇠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상기 걸쇠가 상기 제2힌지구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테이퍼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전거, 프레임, 접기

Description

자전거의 절첩기구{A frame folding mechanism for bicy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접는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절첩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개략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힌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 힌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테이퍼가이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캠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캠슬라이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힌지구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힌지구가 상대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제1프레임파이프 52: 제2프레임파이프
54: 제1힌지구 56: 제2힌지구
58: 힌지축 60,60': 축하우징
62: 걸쇠공 70,70': 결합요철
72; 걸쇠 74: 걸이턱
76: 연결바아 78: 테이퍼가이드
80: 가이드경사면 84: 캠레버
86: 손잡이부 88: 캠부
90: 간섭회피슬롯 94: 레버박스
94': 수납공간 98: 레버축
99: 캠슬라이더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휴대와 보관의 편리를 위해 자전거의 프레임을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된 접는 자전거의 절첩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접는 자전거의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골격을 프레임(1)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의 선단에 구비된 헤드튜브(3)를 관통하여서는 핸들스템(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스템(5)의 선단에는 핸들(7)이 구비된다. 상기 핸들(7)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전거가 주행하는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 핸들(7)에는 브레이크 손잡 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스템(5)의 상단에는 핸들(7)을 포함하는 핸들스템(5)을 상기 헤드튜브(3)에 착탈가능하게 하는 고정기구(9)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기구(9)에는 잠금레버(1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핸들스템(5)을 헤드튜브(3)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에는 절첩기구(12)가 구비된다. 상기 절첩기구(12)는 상기 프레임(1)을 접고 펴는 동작을 위한 중심이 된다. 상기 절첩기구(12)에는 잠금레버(13)가 구비되어 절첩기구(12)가 잠금 또는 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여 프레임(1)을 접고 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1)에는 안장(15)이 구비된다. 상기 안장(15)은 사용자가 앉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1)의 선단에 구비된 헤드튜브(3)에는 상기 핸들스템(5)과 연결되어 앞포크(17)가 설치된다. 상기 앞포크(17)는 상기 핸들스템(5)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앞포크(17)에는 앞바퀴(18)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의 후단에는 뒷바퀴(1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사용자의 답력을 상기 뒷바퀴(19)로 전달하기 위한 페달(20)과 체인(22)이 상기 프레임(1)에 구비된다. 상기 체인(22)은 상기 페달(2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스프라켓(21)과 상기 뒷바퀴(19)의 회전중심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23)에 걸어 감아져 이들 사이에서 동력을 전달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접는 자전거는, 상기 절첩기구(12)를 중심으로 프레임(1)의 선단과 후단이 서로 겹쳐지게 접는 것이고, 상기 핸들스템(5)을 상기 헤 드튜브(3)로부터 상기 고정기구(9)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절첩기구(12)는 프레임(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프레임(1)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절첩기구(12)가 프레임(1)에 돌출되어 구비됨으로 인해 프레임(1)의 외관 디자인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첩기구(12) 자체도 상기 프레임(1)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자전거의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내리는 과정이나 자전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신체의 일부가 걸려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절첩기구(12)의 잠금레버(13)는 외부로 더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자전거를 사용하는 중에 걸려 상해를 입는 주 요인이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잠금레버(13)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절첩기구(12)에 의해 프레임(1)이 바로 접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사용자가 잠금레버(13)의 잠금상태를 해제함과 동시에 프레임(1)이 접어지면서 사용자가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자전거의 절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의 절첩기구에서 캠레버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더라도 대응되는 프레임파이프가 임의로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파이프 사이의 결합을 위한 걸쇠의 위치조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제1 및 제2 프레임파이프의 서로 대응되는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힌지구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측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를 관통하여 제2힌지구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잠금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 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연결바아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바아의 단부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중심공에서 외면까지의 거리가 변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와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연결바아를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시키는 캠레버와, 상기 연결바아가 그 중앙을 관통하고 상기 걸쇠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상기 걸쇠가 상기 제2힌지구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테이퍼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의 내부에는 상기 캠레버가 수납되는 레버박스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레버박스에는 상기 테이퍼가이드가 수납되는 가이드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가이드와 가이드요홈에는 각각 가이드경사면과 연동경사면이 상기 걸쇠가 상기 제2힌지구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걸쇠를 관통하여서는 조절너트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너트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바아의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조절너트와 연결바아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정함에 의해 상기 걸쇠의 설치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제2힌지구에는 상기 걸쇠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걸쇠의 걸이턱과 제2힌지구의 걸이턱이 결합됨에 의해 제1 및 제2 힌지구가 서로 잠금된다.
상기 캠레버의 캠부에는 상기 연결바아가 관통하는 간섭방지슬롯이 형성되는데, 상기 간섭방지슬롯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아가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캠레버의 회전에 따라 연결바아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절첩기구에 의하면 프레임의 외부로 절첩기구가 돌출되지 않아 프레임의 외관이 좋아지고 사용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첩기구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더라도 임의로 프레임파이프가 상대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으며, 양측의 프레임파이프를 실질적으로 결합하는 걸쇠의 위치를 쉽게 조절할 있어 부품들의 마모나 조립 공차 등에 의해 잠금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쉽게 해소 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절첩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절첩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개략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힌지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테이퍼가이드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캠레버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캠슬라이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프레임파이프(50)와 제2프레임파이프(52)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서로 절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와 제2프레임파이프(52)의 서로 대응되는 선단에는 각각 제1힌지구(54)와 제2힌지구(56)가 구비된다. 이들 힌지구(54,56)는 상기 파이프(50,52)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힌지구(54,56)는 상기 파이프(50,52)에 다른 체결구, 예를 들면 체결나사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구(54,56)는 힌지축(58)에 의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힌지구(54)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몸체판(54')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54')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몸체판(54')에는 원통형상의 축하우징(60)이 구비된다. 상기 축하우징(60)은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54')을 관통하여서는 걸쇠공(62)이 천공된다. 상기 걸쇠공(62)은 아래에서 설명될 걸쇠(72)가 관통하는 부분으로, 걸쇠(72)의 횡단면보다는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힌지구(56)에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파이프(52) 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몸체판(56')이 구비된다. 상기 몸체판(56')이 상기 제2프레임파이프(52)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몸체판(56')에는 축하우징(60')이 구비된다. 상기 축하우징(60')은 상기 제1힌지구(54)의 축하우징(6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힌지구(56)의 몸체판(56')을 관통하여서는 걸쇠공(64)이 형성된다. 상기 걸쇠공(64)은 상기 제1힌지구(54)의 걸쇠공(62)과 대응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된다. 상기 걸쇠공(64)에는 걸이턱(66)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턱(66)은 상기 몸체판(56')의 일면보다 더 요입되는 걸이홈(68')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제1힌지구(54)와 제2힌지구(56)의 서로 대응되는 몸체판(54',56')의 표면에는 결합요철(70,7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요철(70,70')은 서로 형합되는 형상으로 되어 제1힌지구(54)와 제2힌지구(56)가 서로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한다.
걸쇠(72)는 상기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쇠(72)는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 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파이프(52)에 구비되는 제2힌지구(56)에 걸어져 제1힌지구(54)와 제2힌지구(56), 다시 말해 제1프레임파이프(50)와 제2프레임파이프(52)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걸쇠(72)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걸이턱(7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74)은 걸쇠(72)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2힌지구(56)의 걸이홈(68)에 안착되어 걸이턱(66)과 걸어진다.
상기 걸쇠(72)는 조절너트(75)에 의해 연결바아(76)와 연결된다. 상기 조절 너트(75)는 일단부에 육각너트홈이 형성되어 공구에 의해 조작가능한 것으로, 타단부의 내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암나사부에는 상기 연결바아(76)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가 결합된다. 상기 조절너트(75)는 상기 걸쇠(72)에 형성된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연결바아(76)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바아(76)는 일단부가 상기 걸쇠(72)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테이퍼가이드(78)를 관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캠레버(84)의 레버축(98)에 체결된다.
상기 테이퍼가이드(78)는 그 구성이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가이드(78)는 쐐기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중앙을 관통하여 관통공(78')이 천공된다. 상기 관통공(78')은 연결바아(76)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테이퍼가이드(78)의 일면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가이드경사면(80)으로 된다.
한편, 상기 걸쇠(72)와 테이퍼가이드(78)의 사이에는 탄성부재(81)가 설치된다. 상기 탄성부재(81)는 상기 걸쇠(72)와 상기 테이퍼가이드(78)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탄성부재(81)로는 원통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상기 연결바아(76)의 외주면을 둘러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탄성부재(81)는 상기 테이퍼가이드(78)가 아래에서 설명될 가이드홈(95)의 내부에 항상 수납되어 있을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캠레버(84)가 잠금해제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걸쇠(72)의 걸이턱(74)이 임의로 상기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캠레버(84)는 상기 걸쇠(72)를 잡아당겨 제2힌지구(56)와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이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캠레버(84)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손잡이부(86)가 일측에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86)는 대략 'T'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86)와 연결되게 캠부(88)가 구비된다. 상기 캠부(88)는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상기 손잡이부(86)에 직교하게 연결된다. 상기 캠부(88)를 관통하여서는 회전중심공(88')이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중심공(88')은 상기 캠부(88)의 기하학적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중심공(88')의 중심에서 상기 캠부(88)의 외주면까지의 거리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가면서 점차로 커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캠부(88)에는 간섭회피슬롯(90)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슬롯(90)은 상기 캠레버(84)가 회전될 때, 상기 연결바아(76)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캠부(88)의 외면에서 상기 회전중심공(88')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슬롯(90)의 끝부분은 상기 캠부(88)의 외면에 대해 상대적으로 요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간섭회피슬롯(90)의 단부는, 상기 캠레버(84)가 상기 레버축(98)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연결바아(76)를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의 내부에는 레버박스(94)가 설치된다. 상기 레버박스(94)는 상기 캠레버(84)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레버박스(94)는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의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어 위치된다. 상기 레버박스(94)의 내부에는 수납공간(94')이 형성된다.
상기 레버박스(94)의 선단면중 상기 제2프레임파이프(52)와 대응되는 위치에 는 가이드요홈(9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요홈(95)에는 상기 테이퍼가이드(78)가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요홈(95)의 내부에는 연동경사면(96)이 형성되어 상기 테이퍼가이드(78)의 가이드경사면(80)과 서로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요홈(95)과 수납공간(94')을 서로 연통시키도록 관통공(9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95')은 상기 연결바아(76)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요홈(95)중 연동경사면(96)의 방향은 상기 걸쇠(72)가 상기 걸이턱(66)에 걸어지는 방향과 같은 방향이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요홈(9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요홈(95)에 테이퍼가이드(78)가 안착되어 있어 상기 테이퍼가이드(78)가 상기 탄성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요홈(95)의 내부로 자꾸 들어가려는 경향을 가짐에 의해 상기 걸쇠(72)의 걸이턱(74)이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상기 레버박스(94)의 내면 양측에는 가이드슬롯(97)이 상기 가이드슬롯(97)은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축(98)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슬롯(97)은 상기 레버박스(94)의 입구까지 개구되어 있는데, 이는 레버축(98)이 캠레버(84)에 삽입된 상태에서 레버박스(94)에 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캠레버(84)의 회전중심공(88')을 관통하여서는 레버축(98)이 설치된다. 상기 레버축(98)은 그 중앙에서 상기 연결바아(76)와 연결된다. 즉, 상기 연결바아(76)가 상기 레버축(98)을 횡으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레버박스(94)의 내면과 상기 캠레버(84)의 캠부(88) 외면과의 사이에는 캠슬라이더(99)가 설치된다. 상기 캠슬라이더(99)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상기 캠슬라이더(99)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져 캠부(88)와 상기 레버박스(94)의 내면과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로 되어 캠레버(84)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캠슬라이더(99)의 중심을 관통하여서는 상기 연결바아(76)가 관통하는 관통공(99')이 천공되어 있다. 상기 캠슬라이더(99)는 상기 캠부(88)의 외면과 대응되는 면에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이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절첩기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이 펼쳐진 상태, 즉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파이프(50,52)가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힌지구(54,56)가 서로 결합된 상태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파이프(50,52)에 결합된 제1 및 제2힌지구(54,56)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다. 이때, 상기 결합요철(70,70')은 서로 형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걸쇠(72)의 걸이턱(74)은 상기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 걸어진 상태이고, 상기 연결바아(76)는 상기 캠레버(84)에 의해 최대로 당겨진 상태이다. 즉, 상기 캠레버(84)의 회전중심공(88')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가장 긴 부분이 상기 캠슬라이더(99)에 접촉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걸쇠(72)가 상기 캠레버(84) 방향으로 잡아당겨지면서, 상기 걸이턱(74)이 상기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 걸어진 상태가 된다.
한편, 프레임을 접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캠레버(84)를 상기 레버축(98)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88)의 회전중심공(88')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부분이 캠슬라이더(76)에 접촉하도록 되면, 상기 걸이턱(74)은 상기 제2힌지구(67)의 걸이턱(66)에서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하지만, 상기 탄성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동경사면(96)이 가이드경사면(80)을 안내함에 의해 상기 테이퍼가이드(78)가 상기 가이드요홈(95)의 내부로 들어가려는 경향을 가짐에 의해 상기 연결바아(76)에 의해 연결된 걸쇠(72)도 그 걸이턱(74)이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 걸어지려는 방향으로 이동하려한다. 하지만, 상기 연결바아(76)가 이미 상기 제2힌지구(56)쪽으로 약간 이동한 상태이므로 상기 걸쇠(72)와 연결바아(76)는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이다.
즉, 실제로 도 9의 상태는 상기 힌지구(54,56)가 상대 회전을 할 수는 없는 상태이다. 이는 상기 걸쇠(72)가 상기 제2힌지구(56)가 회전하는 궤적 내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9의 상태는 잠금은 해제되었지만 힌지구(54,56)의 상대 회전은 일어날 수 없는 걸림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캠레버(84)를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켜 주면, 상기 연결바아(76)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연결바아(76)의 선단에 있는 걸쇠(72)가 함께 회전하여 그 걸이턱(74)이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서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캠레버(8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결바아(76)가 회전하는 것은 상기 연결바아(76)가 상기 간섭방지슬롯(90)의 일단부에 걸 어짐에 의해 일어난다. 즉, 상기 간섭방지슬롯(90)의 일단부에 걸어진 연결바아(76)가 캠레버(84)의 회전에 의해 밀려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상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힌지구(56)는 제1힌지구(54)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힌지구(54)와 제2힌지구(56)가 힌지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어,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와 제2프레임파이프(52)가 서로 겹쳐지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와 제2프레임파이프(52)를 다시 일직선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와 제2프레임파이프(52)가 서로 밀착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캠레버(84)를 당겨 수납공간(94')의 내부로 수납시키면, 도 3의 상태로 되면, 상기 걸쇠(72)의 걸이턱(74)이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 걸어져 제1프레임파이프(50)와 제2프레임파이프(52)가 서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걸쇠(72)의 걸이턱(74)이 상기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 제대로 걸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조절너트(75)를 조절하여 주면 된다. 상기 걸쇠(72)의 걸이턱(74)과 제2힌지구(56)의 걸이턱(66)에서 상대적으로 멀리 있으면, 상기 조절너트(75)를 죄어 상기 걸쇠(72)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쪽으로 더 이동하도록 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상기 조절너트(75)를 풀어 상기 걸쇠(72)가 상기 제2프레임파이프(52)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50) 내부의 레버박스(94)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가이드요홈(95)과 관통공(95')이 형성된 부분과 상기 레버축(9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만 있다면 별도의 레버박스(94)가 없어도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박스(94)가 개구된 상태이나, 별도의 커버를 씌워 상기 레버박스(94)의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캠레버(84)자체가 하나의 커버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의 절첩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절첩기구의 대부분이 프레임파이프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고 극히 일부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절첩기구가 프레임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되면서 프레임의 외관디자인이 좋아지고 사용자가 돌출된 부분에 의해 다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캠레버의 회전에 의해 연결바아가 이동되면서 걸쇠가 제2힌지구의 걸이턱에서 해제될 수 있는 상태가 되더라도 탄성부재와 테이프가이드에 의해 걸쇠가 제2힌지구의 걸이턱에 약간 걸어진 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캠레버를 젖혀 연결바아의 선단에 있는 걸쇠가 걸이턱에서 분리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절첩기구는 프레임을 펼쳐 잠금시킨 상태가 2단계에 걸쳐 해제되므로 한번에 잠금상태가 해제되면서 급작스럽게 프레임 이 접어져 사용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걸쇠가 조절너트에 의해 연결바아에 연결되어 있어 조절너트를 조정하면 걸쇠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걸쇠가 제2힌지구의 걸이턱에 보다 확실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쉽게 조정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제1 및 제2 프레임파이프의 서로 대응되는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힌지구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측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를 관통하여 제2힌지구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잠금되는 걸쇠와,
    상기 걸쇠가 일단부에 설치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 측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연결바아와,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의 내부에서 상기 연결바아의 단부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중심공에서 외면까지의 거리가 변하는 캠부와 상기 캠부와 일체로 회전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상기 캠부에 의해 상기 연결바아를 직선이동 및 회전이동시키는 캠레버와,
    상기 연결바아가 그 중앙을 관통하고 상기 걸쇠와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받아 상기 걸쇠가 상기 제2힌지구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테이퍼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절첩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파이프의 내부에는 상기 캠레버가 수납되는 레버박스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레버박스에는 상기 테이퍼가이드가 수납되는 가이드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가이드와 가이드요홈에는 각각 가이드경사면과 연동경사면이 상기 걸쇠가 상기 제2힌지구에 걸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자전거의 절첩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를 관통하여서는 조절너트가 설치되고, 상기 조절너트의 내부에는 상기 연결바아의 일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조절너트와 연결바아가 체결되는 정도를 조정함에 의해 상기 걸쇠의 설치위치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절첩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구에는 상기 걸쇠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이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걸쇠의 걸이턱과 제2힌지구의 걸이턱이 결합됨에 의해 제1 및 제2 힌지구가 서로 잠금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절첩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레버의 캠부에는 상기 연결바아가 관통하는 간섭방지슬롯이 형성되는데, 상기 간섭방지슬롯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아가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캠레버의 회전에 따라 연결바아가 회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절첩기구.
KR2020060000470U 2006-01-06 2006-01-06 자전거의 절첩기구 KR2004173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70U KR200417360Y1 (ko) 2006-01-06 2006-01-06 자전거의 절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470U KR200417360Y1 (ko) 2006-01-06 2006-01-06 자전거의 절첩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360Y1 true KR200417360Y1 (ko) 2006-05-26

Family

ID=4176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470U KR200417360Y1 (ko) 2006-01-06 2006-01-06 자전거의 절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3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39B1 (ko) 2009-10-16 2010-02-12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2절 힌지 구조를 갖는 자전거의 접철장치
CN109693749A (zh) * 2019-01-28 2019-04-30 广西瑞祺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解锁结构的折叠自行车
CN114852239A (zh) * 2022-04-28 2022-08-05 岳阳市爱达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结构的车用折叠机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439B1 (ko) 2009-10-16 2010-02-12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2절 힌지 구조를 갖는 자전거의 접철장치
WO2011046280A1 (ko) * 2009-10-16 2011-04-21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2절 힌지 구조를 갖는 자전거의 접철장치
CN109693749A (zh) * 2019-01-28 2019-04-30 广西瑞祺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解锁结构的折叠自行车
CN109693749B (zh) * 2019-01-28 2024-02-23 广西瑞祺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具有解锁结构的折叠自行车
CN114852239A (zh) * 2022-04-28 2022-08-05 岳阳市爱达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结构的车用折叠机构
CN114852239B (zh) * 2022-04-28 2024-03-29 岳阳市爱达兴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改进结构的车用折叠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8447B (zh) 带有偏置同步的盘式斜倚器组件
US5745963A (en) Adjustable fastening device for sports footwear
US7487884B2 (en) Open-type tray having a door configured to be received within an inner side thereof
US7575280B2 (en) Latch mechanism and a vehicle seat having a latch mechanism
JP5944804B2 (ja) 乗物用ラッチ装置
JPS6216558U (ko)
BR112013032243B1 (pt) dispositivo de travamento para veículos
US20020108406A1 (en) Cuff lock and push button locking mechanism
KR200417360Y1 (ko) 자전거의 절첩기구
KR101220114B1 (ko) 자전거용 잠금장치
KR100921982B1 (ko) 자전거용 접이식 크랭크아암 조립체
KR100753889B1 (ko) 래치 어셈블리
US6330736B1 (en) Buckle joint
CN216660134U (zh) 用于辅助把手的安装件和用于辅助把手的安装系统
CN109123923A (zh) 调节扣
WO2002102192A1 (en) Chair with a table
KR20110004275U (ko) 허리띠용 버클
JP2009112678A (ja) 連結具およびネックストラップ
KR200345762Y1 (ko) 자전거용 접이식 핸들스템
JP2003013649A (ja) 自転車用リング錠
WO2012173083A1 (ja) ラッチ装置
EP0883531B1 (en) Motor vehicle anti-theft device
JP3796395B2 (ja) 車両用シート係合装置
JP3074617U (ja) キック・ボードの折畳み構造
KR200449259Y1 (ko) 자전거용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