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7170Y1 -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7170Y1
KR200417170Y1 KR2020060002786U KR20060002786U KR200417170Y1 KR 200417170 Y1 KR200417170 Y1 KR 200417170Y1 KR 2020060002786 U KR2020060002786 U KR 2020060002786U KR 20060002786 U KR20060002786 U KR 20060002786U KR 200417170 Y1 KR200417170 Y1 KR 200417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uct
tire
air condition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욱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2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7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7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71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 B60B39/026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in gas form
    • B60B39/027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in gas form the gas being heated on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1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by application of heat for melting snow or ice, whether cleared or not, combined or not with clearing or removing mud or water, e.g. burners for melting in situ, heated clearing instruments; Cleaning snow by blowing or suction only
    • E01H5/102Self-contained devices for melting dislodged snow or ice, e.g. built-in melting chambers, movable meltin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에 타이어 방향으로의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지면의 얼음과 타이어에 붙는 얼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 조화 케이스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디프로스트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배출구가 차량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벤트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배출구가 차량의 좌우측 타이어 상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방향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테이크 덕트가 일측에 구비된 송풍기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따뜻한 공기가 차량의 타이어로 직접 공급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및 지면의 얼음을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인해 신속하게 차량의 타이어 및 지면의 온도를 높여 얼음 혹은 눈을 제거할 수 있게되어 차량의 타이어의 지면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덕트, 타이어, 미끄러짐, 얼음, 공기조화 장치

Description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Air Conditioning Duct Device for a car with tire direction duct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의 일 구현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3: 공기조화 케이스
24,26: 제 1 및, 제 2 사이드 벤트 덕트
27,28: 제 1 및, 제 2 디프로스트 덕트
32,33 : 타이어 방향 덕트
본 고안은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에 타이어 방향으로의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지면의 얼음과 타이어에 붙는 얼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 유니트(blower unit)와, 냉매를 이용하여 냉기를 발생시키는 에어 콘디셔너 장치와, 자동차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열기를 발생시키는 히터 장치와, 자동차 실내의 각각의 부위로 에어를 분배하기 위하여 설치된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및, 상기 덕트를 통해서 선택적으로 냉기 또는 열기를 분배하기 위한 공기 조화 케이스를 포함한다. 공기 조화 케이스의 내부에는 에어 컨디셔너 장치의 일 구성 요소인 증발기 및, 히터 장치의 일 구성 요소인 히터 코어가 각각 소정 부위에 설치된다.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는 공기 조화 케이스를 통하여 분배되는 외부 공기, 증발기에서 냉기, 또는 히터에서 발생되는 온기를 차량의 각 부위에 전달하는 유동 통로의 기능을 수행한다.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는 통상적으로 디프로스트 덕트(defrost duct), 벤트 덕트(vent duct) 및, 플로어 덕트등을 구비하는데, 공기 조화 케이스에는 상기 각 덕트들에 대한 공기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됨으로써, 공기 조화 모드에 따라 각 덕트에 대한 공기 공급이 선택된다.
차량에서 운전자가 선택할 수 있는 공기 조화 모드는 4 가지로 구분될 수 있 다. 플로어 모드에서는 플로어 덕트를 통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다른 덕트를 통한 공기의 공급은 차단된다. 디프로스트 모드에서는 디프로스트 덕트에 대한 공기의 공급만이 이루어진다. 바이레벨(bi-level) 모드에서는 벤트 덕트와 플로어 덕트에 대한 공기의 공급이 가능하고, 믹스모드(mix-mode) 에서는 디프로스트 덕트 및, 플로어 덕트에 대한 공기 공급이 가능하다.
도 1 에 도시된 것은 통상적인 차량용 공기 조화 장치의 덕트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 케이스(13)의 일측에는 송풍기 유니트(12)가 설치되고, 송풍기 유니트(12)의 상부 일측에는 인테이크 덕트(11)가 구비된다. 인테이크 덕트(11)의 외기 도입구(11a)는 차량의 엔진룸(미도시)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형성된 카울 오프닝(cowl opening)에 대하여 맞추어짐으로써 차량 외부의 외기를 인테이크 덕트(11)를 통해 공기 조화 케이스(13)로 송풍할 수 있다. 이때 송풍기 유니트(12)에 내장된 블로어(미도시)는 외기를 강제 송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 조화 케이스(13)의 내부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증발기(미도시) 및, 히터 코어(미도시)들이 구비됨으로써 냉기 또는 온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 케이스(13)의 내부에는 공기 조화 케이스(13)에 형성된 취출구를 개폐할 수 있는 각종의 도어(미도시)들이 구비됨으로써, 공기 조화 케이스(13)로부터 연장된 디프로스트 덕트(17), 센터 벤트 덕트(15), 제 1 및, 제 2 사이드 벤트 덕트(14,16)로의 공기 유출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프로스트 덕트(18)는 도시되지 않은 차량의 전면 유리(즉, 윈드 시일드(wind shield)의 하단에 근접하게 설치되며, 디프로스트 그릴(19)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는 전면 유리의 하단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센터 벤트 덕트(15)와 제 1 및, 제 2 사이드 벤트 덕트(14,16)는 승객의 가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플로어 덕트는 차량의 바닥을 따라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공기 조화 케이스(13)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기 조화용 덕트장치는 차량내의 냉난방을 위해 설치된 것으로써, 차량의 외부에는 영향을 줄 수 없는 구조로 되어있었다.
한편, 겨울철 실외에서 지면이 눈으로 덮여있거나 얼음이 얼어 있는 경우, 주차된 차량을 출발시키려면, 타이어가 지면으로부터 헛도는 현상이 발생되었으며, 운전자는 얼음이 얼은 지면에 흙 등을 살포하여 녹인 후에 차량을 출발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공기 조화 장치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겨울철 타이어와 지면에 붙는 얼음을 제거하여 겨울철 빙판에서의 출발시 타이어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인해 차량의 출발이 용이해지고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예에 따르면, 공기 조화 케이스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 디프로스트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배출구가 차량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사이드 벤트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배출구가 차량의 좌우측 타이어 상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방향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테이크 덕트가 일측에 구비된 송풍기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이 제공된다.
삭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이하 첨부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의 일 구현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장치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다. 즉, 공기조화 케이스(23)의 일측에 송풍기 유니트(22)가 설치되고, 송풍기 유니트(22)의 일측에는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인테이크 덕트(intake duct, 21)가 구비된다. 인테이크 덕트(21)의 외기 도입구(21a)는 차체에 형성된 카울 오프닝(cowl opening,미도시)에 대하여 설치됨으로써 엔진룸으로부터 외기를 도입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케이스(23)의 상부로부터 센터 벤트 덕트(25), 제 1 및, 제 2 사이드 벤트 덕트(24,26)가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디프로스트 덕트(27,28)가 연장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은 플로어 덕트(floor duct)가 공기 조화 케이스의 하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송풍기 유니트(22)의 내부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모터(미도시)로 작동되는 블로어(미도시)가 설치되어서 인테이크 덕트(21)을 통해서 유입된 외부 공기 또는 차량 내부의 공기를 공기 조화 케이스(23)로 강제 송풍할 수 있다.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 케이스(23)의 내부에는 증발기(미도시)와 히터 코어(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냉기와 온기를 발생시킬 수 있고 다수의 도어(미도시)들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각각의 덕트들에 대한 공기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차량의 공기 조화 케이스(23)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제 1 및 제 2 디프로스트 덕트(27,28)과 유사하게 하방으로 타이어 방향 덕트(32,33)가 연장형성되어있다. 상기 타이어 방향 덕트(32,33)의 저면 개구부는 각각 좌측 및 우측 타이어를 향하게 설치되어있다. 이로인해, 타이어 및 타이어가 접촉된 지면에 실내의 히터를 통한 따뜻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및 지면의 얼음을 녹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개략적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참조부호 280은 조작패널을 나타낸 것으로서, 차량의 공기 조화장치의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하는 각종 조작 버튼들(도시안됨)을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타이어 방향 덕트(32,33)의 방향을 포함하여 각종 덕트들의 방향을 선택하기 위한 방향 선택스위치(282) 및 온도(냉기 혹은 온기)를 선택하기 위한 온도선택 스위치(284)를 구비하고 있다.
참조부호 260은 차량의 공기조화 장치을 제어하는 제어기로서, 사용자의 조작패널(280)의 신호에 따라 송풍기 구동모터(230), 냉방기 및 히터가동 솔레노이드(130,2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킨다.
기타 공기 조화용 전자장치의 상세한 구성은 종래에 일반적인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차량 실내에서 시동키로 차량의 엔진을 기동시킨 상태에서, 조작패널(280)의 온도 및 방향선택 스위치 신호를 입력하면(ST-10), 이후 공기조화 장치이 가동되며 특히 온기를 선택한 경우에는 히터를 가동시킨다. 상기 단계 ST-10이후에,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히터가 온되었는지를 판단하여(ST-12), 선택온도 및 방향으로 고온 공기를 전달한다. 만약 사용자가 타이어 방향 덕트를 선택한 경우에는 히터의 공기는 타이어 방향 덕트(32,33)를 통해 타이어 및 지면을 향해 전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 화용 덕트 장치는 종래 공기조화용 케이스에 타이어방향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공기 조화 장치을 통한 따뜻한 공기가 차량의 타이어로 직접 공급될 수 있으므로 타이어 및 지면의 얼음을 녹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로인해 신속하게 차량의 타이어 및 지면의 온도를 높여 얼음 혹은 눈을 제거할 수 있게되어 차량의 타이어의 지면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첨부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토대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공기 조화 케이스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차량의 전면 유리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2디프로스트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배출구가 차량의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및 제 2사이드벤트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배출구가 차량의 좌우측 타이어 상단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타이어 방향 덕트와;
    상기 공기 조화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며, 인테이크 덕트가 일측에 구비된 송풍기 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2. 삭제
KR2020060002786U 2006-01-31 2006-01-31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KR200417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786U KR200417170Y1 (ko) 2006-01-31 2006-01-31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786U KR200417170Y1 (ko) 2006-01-31 2006-01-31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7170Y1 true KR200417170Y1 (ko) 2006-05-25

Family

ID=41766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786U KR200417170Y1 (ko) 2006-01-31 2006-01-31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71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482B1 (ko)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JP2008184154A (ja) 自動車の環境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2032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JP3956848B2 (ja) ステアリング空調装置
KR101097612B1 (ko) 자동차용 콘솔 공조장치
KR10149215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17170Y1 (ko) 타이어 방향 덕트를 구비한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장치
KR1014672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1507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KR10131358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9980050724A (ko) 자동차 시트 공조장치
KR10217045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12278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041094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331314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성에 제거 방법
KR20240056063A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82078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019983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76492B1 (ko) 차량 시트용 공기조화장치
JP370984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2005992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18972A (ko) 차량 공기 조화용 덕트 시스템
KR2010002770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에어커튼시스템
KR101429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5225412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