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959Y1 -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959Y1
KR200416959Y1 KR2020060006197U KR20060006197U KR200416959Y1 KR 200416959 Y1 KR200416959 Y1 KR 200416959Y1 KR 2020060006197 U KR2020060006197 U KR 2020060006197U KR 20060006197 U KR20060006197 U KR 20060006197U KR 200416959 Y1 KR200416959 Y1 KR 2004169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ing apparatus
imager
body portion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1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숙
Original Assignee
이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숙 filed Critical 이은숙
Priority to KR20200600061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9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9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9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54Light-reflecting surface, e.g. conductors, substrates, coatings,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력공급장치를 구비하여 L.E.D 램프에 전력을 제공하고, 다양한 갯수와 색깔을 가진 L.E.D램프를 포함한 헤드부의 장·탈착 또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광도와 색깔의 빛을 만들어 제공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영상촬영기용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전지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3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단자(32a, 32b, 33)를 구비한 몸통부(30); 앞면에 엘이디(L.E.D)램프(14)가 집적된 기판(13)을 내포하고, 외측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11)와 후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접촉단자(12a, 12b)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30)와 결합되는 헤드부(10); 상기 몸통부(30)와 일체되어 사용시 편의에 따라 장탈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연결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L.E.D, 조명장치, 라이트, 캠코더, 영상촬영기

Description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Camcordor L.E.D Illuminating Device}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분해도,
도 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도조절회로기판을 구비한 영상촬영기용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광도조절회로기판의 개략적인 회로도,
도 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에 적용 가능한 헤드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와 영상촬영기가 삽입체와 삽입부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을 구비한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영상촬영기 2a : 삽입부
10 : 헤드부 11 : 스위치
12a, 12b : 접촉단자 13 : 기판
14 : L.E.D램프 15 :랜즈
16 : 결합부돌기 18 : 헤드부커버
20 : 광도조절회로기판 30 : 몸통부
32a, 32b : 접촉단자 31 : 수납공간
34 : 접촉단자고정판 36 : 전지
38 : 결합부돌기수용홈 40 : 뚜껑
50 : 연결부 51 : 지지대
52a: 삽입체 52b : 고정스토퍼
53: 조절 스토퍼(53) 53a, 53b: 볼트, 너트
60, 60a, 60b, 60c : 다양한 형상 및 색깔의 헤드부
70 : 고정너트 72 : 고정볼트
74 : 삼각대
본 고안은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전력공급장치를 구비하여 L.E.D 램프에 전력을 공급하고, 헤드부의 장·탈착과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다양한 광도의 빛을 만들어서 제공할 수 있는 영상촬영 기용 L.E.D 조명장치에 대한 것이다.
영상촬영기는 연속촬영시간과 촬영시 화면의 선명도가 성능을 결정짓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현재에는 개인의 사생활을 촬영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소형이고 비전문가라도 수준높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영상촬영기는 조명장치의 발광소자로서 주로 할로겐 램프와 형광등이 사용되어 왔다. 기술발달에 의해 할로겐 램프와 형광등의 경우에도 소형화에 성공하였으나, 여전히 전력의 소모량이 많고, 광도가 높지 않으며 발열량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할로겐 램프와 형광등에서 발산되는 빛은 방사되는 특징이 있어 피사체쪽으로 집중적인 빛을 조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촬영자가 원하는 다양한 색감의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피사체에 다양한 광도의 빛을 조사하여 촬영할 수 있어야 하는데 할로겐 램프와 형광등의 경우 자체적인 광도가 작아서 광도의 변화폭이 작을 수밖에 없어 다양한 광도의 빛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형광등의 경우 전원주파수가 50MHz인 곳에서 영상을 촬영한 후 재생시 촬영한 영상이 깜빡거리는 명멸현상(明滅現象, flicker)이 발생되는 불편함도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영상촬영장치의 조명장치의 경우 많은 전력을 소모하여 연속촬영시간이 짧고, 또한 광도가 낮고 광도의 변화폭이 작아서 다양한 광도의 빛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비전문가는 종래의 조명장치로는 기호에 따라 다양하고, 선 명한 색감의 영상을 촬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발광소자로서 L.E.D(발광다이오드)램프를 사용하여 높은 광도의 빛을 발생시키고 피사체에 집중적인 빛을 조사시킬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다양한 광도의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력 요구량이 작아서 연속촬영시간이 길며 내구성이 좋고 수명이 긴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내측으로 전지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3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단자(32a, 32b, 33)를 구비한 몸통부(30); 앞면에 엘이디(L.E.D)램프(14)가 집적된 기판(13)을 내포하고, 외측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11)와 후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접촉단자(12a, 12b)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30)와 결합되는 헤드부(10); 상기 몸통부(30)와 일체되어 사용시 편의에 따라 장탈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연결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영상촬영장치용 조명장치의 발광소자로써 L.E.D 램프를 사용하므로써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광도가 높으며 경량이며 소형의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양한 갯수와 색깔을 가진 L.E.D 램프를 포함한 헤드부를 용이하게 장·탈착할 수 있게 구비하므로써 다양한 광도를 얻을 수 있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L.E.D 램프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므로써 다양한 광도의 빛을 만들 수 있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영상촬영기뿐만 아니라 삼각대에 거치하여 고정조명으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영상촬영기용 L.E.D조명장치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분해도이다.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는 크게 몸통부(30), 헤드부(10), 연결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통부(30)는 전력을 발생시켜 헤드부(10)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헤드부(10)는 몸통부(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전력을 조절하여 L.E.D 램프(14)에 제공하므로써 빛을 만들어 조사하는 기능을 한다.
연결부(50)는 영상촬영기에 조명장치를 용이하게 결함 또는 분리할 수 있게 하고 빛이 조사되는 각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 몸통부(30), 헤드부(10), 연결부(50)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몸통부(30)는 수납공간(31), 접촉단자(32a, 32b, 33), 접촉단자고정판(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납공간(31)은 전지(36)를 수납하는 공간으로 L.E.D 램프(14)에는 3볼트의 전압을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율이 좋은바 1.5볼트의 전지(36)를 직병렬로 연결시켜 3볼트의 전압을 만들어 L.E.D램프(14)에 공급함이 바람직하다.
접촉단자(32a, 32b, 33)는 전지에서 발생한 전력을 헤드부(10)에 공급하거나 전지(36)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접촉단자고정판(34)은 전지(36)를 연결하는 접촉단자(33)가 견고하게 전지(36)와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몸통부(30)의 전면에는 헤드부(10)가 결합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는 헤드부결합면(37)이 구비되고, 헤드부결합면(37)의 소정 위치에는 헤드부(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돌기수용홈(38)이 구비된다.
헤드부(10)는 스위치(11), 접촉단자(12a, 12b), 기판(13), L.E.D 램프(14), 랜즈(15), 결합부돌기(16), 헤드부커버(18), 광도조절회로기판(20), 및 전선(11a, 1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위치(1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광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L.E.D 램프를 켜거나 끌수 있도록 구비된다.
접촉단자(12a, 12b)는 몸통부(30)의 접촉단자(32a, 32b)와 연결되어 전지(36)에서 발생한 전력을 L.E.D 램프(14)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기판(13)은 L.E.D 램프(14)가 납땜되어 연결되는 곳이다. 기판(13)은 PCR(printed circuit board; 인쇄기판)기판을 사용하고 기판을 반사코팅하므로써 L.E.D 램프에서 발생하는 빛을 손실없이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13)은 원하는 광도에 따라서 다수의 L.E.D 램프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원,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와 다양한 크기로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L.E.D 램프(14)는 발광다이오드(L.E.D)램프로서 요구에 따라 청색, 적색, 백색 또는 각각의 색깔을 혼합하여 사용하므로써 다양한 색깔의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L.E.D 램프(14)에서 발생한 빛은 직진하여 피사체에 집중적으로 조사된다.
렌즈(15)는 청색, 적색, 백색, 투명색등 여러가지 색으로 구비하여 다양한 색의 빛을 낼 수 있으며, 또한 오목렌즈 또는 볼록렌즈 등을 사용하여 빛을 굴절시킴으로써 피사체에 조사되는 광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결합부돌기(16)와 결합부돌기수용홈(38)은 몸통부(30)과 헤드부(1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돌기(16)를 구비 하여 헤드부(10)를 회전시켜 결합부돌기수용홈(38)에 끼움으로써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결합부돌기(16)와 결합부돌기수용홈(38)을 구비하여 체결시킴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헤드부(10)는 몸통부(30)에 장탈착이 용이하고 빠른시간내에 장탈착을 완료될 수 있게 한다.
헤드부커버(18)는 랜즈(15)와 기판(13)이 견고하게 헤드부(10)에 결속시키는 기능을 한다.
광도조절회로기판(20)은 촬영자의 조작을 스위치(11)에 의해 입력받아 회로에서 처리후 조절된 전력을 L.E.D 램프(14)에 공급하여 조명장치에서 만들어지는 빛의 광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대한 회로도는 도 4에서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연결부(50)는 지지대(51), 삽입체(52a), 고정스토퍼(52b), 볼트(53a)와 너트(53b)로 구성된 조절스토퍼(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지지대(51)는 영상촬영기용 LED조명장치를 지지하고 하부에 볼트(53a)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을 구비한다.
삽입체(52a)는 조명장치와 영상촬영기(2)의 분리 또는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결합방식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설명한다.
고정스토퍼(52b)는 나사를 돌려서 조명장치와 영상촬영기(2)의 간격을 멀어지게 하므로써 조명장치와 영상촬영기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조절스토퍼(53)는 볼트(53a)와 너트(53b)를 풀어서 각도 조정후 다시 조이는 방법으로 각도를 조절하여 빛을 비추는 각도를 조절한다.
한편, 뚜껑(40)과 스프링(41)은 몸통부(30)에 포함되는 부재로서 접촉단자고정판(34)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여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유기적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지(36)에서 발생한 전력은 접촉단자(32a, 32b)를 통해 스위치(11)에 전달되고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서 기판(13)에 전력이 공급될지 결정된다. 촬영자가 스위치를 On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전력은 기판(13)에 공급되고 L.E.D램프(14)에서 빛이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빛은 렌즈(15)를 통해서 직진하여 피사체에 조사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도조절회로기판을 구비한 영상촬영기용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광도조절회로기판을 구비한 영상촬영기용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유기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지(36)에서 발생한 전력은 접촉단자(32a, 32b, 33)를 통해서 스위치(11)를 통과해서 광도조절회로기판(20)에 공급된다. 스위치(11)와 광도조절회로기판(20)의 작동에 의해서 L.E.D 램프(14)가 연결된 기판(13)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작은 양의 전류가 L.E.D 램프(14)에 공급이 되는 경우에는 낮은 광도의 빛이 발생하고, 많은 양의 전류가 L.E.D 램프(14)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높은 광도의 빛이 발생 하게 된다. L.E.D 램프(14)에서 발생한 빛은 렌즈(15)를 통과해서 피사체에 조사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도조절회로기판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전지(36)에서 발생하여 입력된 전압 Vin은 스위치(11)의 동작에 의해서 가변저항기 Ra의 저항에 의해 바뀌게 된다. 따라서 연산증폭기 OP1의 -단자에 걸리는 전압은 바뀌게 된다. 저항값 Ra가 커지는 경우에는 가장 전압강하가 커서 OP1에 유입되는 전압이 작아지고, Ra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전압강하가 작아져 OP1에 걸리는 전압이 커진다.
R1, R2, R3은 제1 연산 증폭기 OP1의 증폭도를 결정하기 위한 저항기들, R4, R5는 제2 연산 증폭기 OP2의 입력 기준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저항기들, 그리고 R6, R7은 조명등 L1, L2, L3으로부터의 귀환 전류(feedback current)량을 조정하기 위한 저항기들이다.
트랜지스터 TRb의 컬렉터 전류는, 조명등 L1, L2, L3에 흐르는 한편 그 일부는 저항기 R7을 통하여 귀환된다. 여기서 제1 연산 증폭기 OP1은, 반전 증폭기(Inverting amplifier)로서 작용하므로, 그 출력 전위가 접지 전위보다 낮은 마이너스(-) 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접지 및 저항기 R7로부터 제1 연산 증폭기 OP1의 출력단으로 전류가 흐른다. 제1 연산 증폭기 OP1으로부터 출력되는 마이너스(-) 전압에서 저항기 R6에 강하되는 마이너스(-) 전압을 빼면, 그 결과가 제2 연산 증폭기 OP2의 플러스(+) 단자에 입력되는 마이너스(-) 전압이 된다. 한편 제2 연산 증폭기 OP2는,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로서 작용하므로, 그 출력 전압은, 플러스(+) 단자에 입력되는 마이너스(-) 전압에 비례한 마이너스(-) 전압이 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 TRb는 PNP형이므로, 그 컬렉터 전류는 제2 연산 증폭기 OP2로부터 출력되는 마이너스(-) 전압에 비례한다.
따라서, 가변저항 Ra가 큰 경우에는 전압강하가 커서 OP1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이 낮고 제1 연산 증폭기 OP1 및 제2 연산 증폭기 OP2로부터의 마이너스(-) 출력 전압이 작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TRb의 컬렉터 전류 및 조명등 L1, L2, L3으로 흐르는 구동 전류 또한 가장 작다. 즉, L.E.D 램프인 L1, L2, L3의 광도가 가장 작다.
이와 반대로 가변저항 Ra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전압강하가 작아져 OP1의 마이너스(-)단자의 전압이 커진다. 이에 따라 제1 연산 증폭기 OP1 및 제2 연산 증폭기 OP2로부터의 마이너스(-) 출력 전압이 커지고, 트랜지스터 TRb의 컬렉터 전류 및 조명등 L1, L2, L3으로 흐르는 구동 전류가 커진다. 즉, L.E.D 램프(14)인 L1, L2, L3의 광도는 커진다.
스위치(11)가 off되는 경우에는 회로가 개방되어 L.E.D 램프(14)는 꺼지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에 적용 가능한 헤드부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헤드부(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부돌기(16)를 몸통부(30)의 결합돌기수용홈(38)에 결함시킴에 따라 몸통부(30)에 고정되므로, 장탈착이 용이하도록 구성 되어 있어 색깔과 갯수를 변화시킨 L.E.D램프(14)를 헤드부(10, 60, 60a, 60b, 60c)에 장·탈착할 수 있다. 이로써 다양한 광도와 색깔을 가진 빛을 만들어서 피사체에 조사시켜 촬영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고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와 영상촬영기가 삽입체와 삽입부에 의해 체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의 삽입체(52a)와 영상촬영기(2)의 삽입부(2a)는 용이하게 창·탈착이 될 수 있도록 삽입체(52a)의 크기와 같은 홈을 삽입부(2a)에 구비하여 용이하게 장·탈착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삼각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을 구비한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를 삼각대(74)에 구비된 고정볼트(72)와 연결부(50)의 중앙내부에 구비된 고정너트(70)를 체결하여 고정조명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삼각대(74)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고정볼트(72)와 고정너트(70)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도 6에서 도시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영상촬영기용 조명장치에는 삽입체(52a)를 구비하고 삼각대에는 삽입부(2a)을 구비하므로써 고정시키는 방법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영상촬영기용 엘이디(L.E.D)조명장치는 간단한 스위치의 조작으로 광도를 바꿀 수 있으며 다양한 색깔과 광도를 제공하여 촬영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하고 선명한 화질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조명장치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어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피사체에 집중적인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영상촬영기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내측으로 전지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31)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단자(32a, 32b, 33)를 구비한 몸통부(30);
    앞면에 엘이디(L.E.D)램프(14)가 집적된 기판(13)을 내포하고, 외측에는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스위치(11)와 후면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접촉단자(12a, 12b)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부(30)와 결합되는 헤드부(10); 및
    상기 몸통부(30)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시 편의에 따라 상기 영상촬영기의 상부에 장탈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연결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는
    상기 몸통부(30)과 일체되는 지지대(51);
    상기 지지대상에 나사식으로 고정되는 조절스토퍼(53); 및
    상기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형성되어 삽입체(52a)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스위치(11)의 조작에 의해서 광도를 조절할 수 있는 광도조절회로기판(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0)는 일측에 단턱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몸통부(30)의 결합부돌기수용홈(38)과 체결되는 결합부돌기(16)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부(10)를 상기 몸통부(30)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L.E.D)램프(14)가 집적된 상기 기판(13)에 반사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50)의 중앙내부에 구비되어 삼각대(74)의 고정볼트(72)와 체결될 수 있는 고정너트(7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촬영기용 L.E.D 조명장치.
KR2020060006197U 2006-03-08 2006-03-08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169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97U KR200416959Y1 (ko) 2006-03-08 2006-03-08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197U KR200416959Y1 (ko) 2006-03-08 2006-03-08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959Y1 true KR200416959Y1 (ko) 2006-05-23

Family

ID=4176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197U KR200416959Y1 (ko) 2006-03-08 2006-03-08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9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06Y1 (ko) * 2007-07-06 2009-12-09 (주)영재안전 작업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906Y1 (ko) * 2007-07-06 2009-12-09 (주)영재안전 작업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358B2 (ja)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US8025417B2 (en) Camera-mounted dimmable lighting apparatus
US6461025B1 (en) Lamp assembly with snap fit components
US7630014B2 (en) Ligh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camera&#39;s tripod mount and method of use
US7551848B2 (en) Photographic light system,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 types of photographic light using a single multifunctional light module
JP4168617B2 (ja) 撮像装置用閃光装置、閃光装置付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100289942A1 (en) Feedback system for optimizing exposure
KR20130101836A (ko)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시스템
KR200416959Y1 (ko)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KR101757441B1 (ko)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US20090141164A1 (en) Reduced-component flash assembly for a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7133316A (ja) カメラアクセサリ及びカメラ
JP2008124913A (ja) テレビレンズ装置
KR100631839B1 (ko)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3686417B2 (ja)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CN217503294U (zh) 一种稳定器
KR101607304B1 (ko)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
JP4324132B2 (ja) 放送用照明器具
KR20110067856A (ko) 카메라 플래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단말기
CN114688438A (zh) 一种稳定器
JP3814622B2 (ja)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JP3686416B2 (ja)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KR200339164Y1 (ko) 다용도 조립식 조명 기기
JP3814623B2 (ja) 撮影機能を有した携帯電話機
JPH11252424A (ja) ビデオライ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