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839B1 -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839B1
KR100631839B1 KR1020040039094A KR20040039094A KR100631839B1 KR 100631839 B1 KR100631839 B1 KR 100631839B1 KR 1020040039094 A KR1020040039094 A KR 1020040039094A KR 20040039094 A KR20040039094 A KR 20040039094A KR 100631839 B1 KR100631839 B1 KR 100631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mobile communication
tube lamp
communication terminal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940A (ko
Inventor
정관하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83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장형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튜브램프; 상기 튜브램프의 뒷쪽에 구비된 반사경; 상기 튜브램프의 앞쪽에 구비된 플래시렌즈; 및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과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회로기판상에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휘도량를 크게 높일 수 있고 협소한 공간에 효율적으로 여러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플래시모듈, 카메라모듈, 플래시렌즈, 튜브램프

Description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type High Luminance Flash Modul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프레넬렌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의(a) 및 도 2의(b)는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분리형으로 내장된 카메라모듈 및 플래시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고휘도 플래시 모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플래시렌즈에 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일체형으로 내장된 카메라모듈 및 고휘도 플래시모듈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일체형으로 내장된 카메라모듈 및 고휘도 플래시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종래의 플래시 모듈 110... 종래의 플래시 조립체
111... 튜브램프 112... 반사경
113... 프레넬렌즈 120... 회로기판
130... 커넥터 140... 플래시커패시터
200... 종래의 카메라 모듈 210... 카메라렌즈
220... FPC 230... 커넥터
10... 본 발명에 의한 플래시조립체 11... 튜브램프
12... 반사경 13... 플래시렌즈
20, 20'... 회로기판 21, 21'... 커넥터
22, 22'... 플래시커패시터 30... 카메라렌즈
31... 카메라하우징 32... 이미지센서
40... FPC
본 발명은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flash module)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과 플래시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휘도량을 증가시키고,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과 플래시모듈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시켜 플래시커패시터(flash capacitor)의 고용량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 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은 통화에 국한되지 않고 인터넷, 동영상감상, 게임 등으로 기능의 폭을 점차 넓혀가고 있으며, 최근에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을 장착하는 경우가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이동통신단말기의 내장형 카메라 모듈 시장이 커짐에 따라, 다른 이동통신단말기 카메라와의 차별화가 요구되는 동시에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플래시 기능(어두운 곳이나 야간 촬영시의 조명), 렌즈의 매크로 기능(수동으로 렌즈초점을 변화시켜 근거리 촬영), 디지털 줌 기능(화상의 특정부분을 확대) 등이 있다.
휴대폰용 카메라는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빛을 이용하여 사물의 밝고 어두움을 이미지센서에 표현하는 것이 기본원리이므로, 빛은 사진 촬영 시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휴대폰용 내장형 카메라의 경우는 아날로그, 디지털 카메라와 달리 조리개나 셔터 스피드를 이용한 빛 조절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저조도에서 특히, 플래시 기능이 더욱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현재 휴대폰 업체들은 휴대폰에서 플래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저전력으로 작동가능하고 소형화가 가능한 LED(발광다이오드)를 휴대폰에 탑재해서 발광체로 사용한 휴대폰이 나오고 있다. 상기 LED는 반도체라는 특성으로 인해 처리속도, 전력소모, 수명 등의 제반사항에서 큰 장점을 보여 VGA(Video Graphics Array)폰 카메라에서는 각광받고 있으나, 메가(mega)급 이상의 큰 이미지 화면이 요구되는 메가폰 카메라에 있어서는 휘도가 낮아 한계가 있어, 큰 발광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큰 발광체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튜브램프(tube lamp)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경우 플래시모듈에 일반적으로 프레넬렌즈(freznel lens)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넬렌즈는 집광렌즈의 하나이며, 등대용으로 옛날부터 사용되었으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카메라의 파인더를 밝게 하는 핀트판에 이용하거나 오버헤드프로젝터(OHP) 등에 이용되며, 자동차 등의 미등에도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프레넬렌즈의 빛의 경로에 대해서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플래시 모듈에 있어서 플래시조립체(110)는 튜브램프(111)와, 반사경(112) 및 프레넬렌즈(113)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체로 사용되는 튜브램프(111)가 있고, 상기 튜브램프(111)의 뒷쪽에는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112)이 구비된다. 상기 튜브램프(111)의 앞쪽에는 프레넬렌즈(113)가 구비되는데, 상기 프레넬렌즈(113)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확산시킨다.
이러한 프레넬렌즈(113)를 구비하는 플래시모듈이, 조리개나 셔터 스피드를 이용한 빛 조절이 불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사용되는 경우 그 빛이 확산됨에 따 라 선명한 사진을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시말해, 상기와 같은 프레넬렌즈를 구비한 플래시모듈은 휘도가 약해 대상사물에 집중적으로 고른 빛을 보내기 어렵고, 이로인해 선명한 사진을 구현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내장형 카메라와 내장형 플래시렌즈가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이동통신단말기내에 내장되었으며, 이는 도 2의(a) 및 (b)에서 도시되고 있다.
도 2의(a)에서는 플래시모듈(100)이 도시되고 있으며,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램프와, 반사경 및 프레넬렌즈로 구성된 플래시조립체(110)가 구비된다. 또 플래시구동 회로와, 상기 회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mother board 또는 main board, 미도시)에 연결되는 커넥터(connecter, 130)가 구비된 회로기판(120)을 구비하여 상기 튜브램프를 구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래시 구동회로는 플래시 커패시터(140)를 포함한다.
도 2의(b)에서는 카메라모듈(200)이 도시되고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렌즈(210)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220)상에 구비되고 FPC저면에 이미지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FPC의 연장된 일단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와 연결될 커넥터(23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이미지센서 부분은 PCB(Printed Circuit Board)위에 실장하고, FPC를 PCB에 연결하는 방법을 쓸 수도 있으며, PCB와 FPC를 일체화한 Rigid-Flexible PCB를 이용하여 모듈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카메라 모듈과 플래시모듈이 각각 별도의 모듈로 내장되었고, 이로 인해 소요되는 공간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상기 플래시 구동회로에 포함된 플래시커패시터의 용량을 더 이상 크게 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발광량도 적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가 당해 기술분야에서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플래시모듈에 플래시렌즈(flash lens)를 구비함으로써 확산되는 빛을 막고 대상 사물에 고르게 빛을 집중시켜줄 수 있고, 또한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내장형 플래시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주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플래시커패시터의 고용량화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장형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튜브램프; 상기 튜브램프의 뒷쪽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상기 튜브램프의 앞쪽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피사체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플래시렌즈; 및 상기 튜브램프를 구동하는 플래시구동 회로와 상기 회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mother board 또는 main board)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장형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튜브램프; 상기 튜브램프의 뒷쪽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상기 튜브램프의 앞쪽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피사체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플래시렌즈; 및 상기 튜브램프를 구동하는 플래시구동 회로와 상기 회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렌즈; 상기 카메라렌즈에 의해 맺힌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과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회로기판상에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서, 상기 플래시 렌즈는 상기 튜브 램프측을 향하는 안쪽면은 편평하고, 피사체측을 향하는 바같쪽 면은 볼록하며, 상기 튜브램프의 중심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플래시 렌즈의 바깥쪽 면은 튜브 램프의 중심축에서 가까운 중심부의 곡률반경이 크고, 상기 튜브램프의 중심축에서 먼 양단부의 곡률반경이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램프는 큰 발광량을 갖는 크세논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플래시모듈을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플래시렌즈의 빛 경로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로서 튜브램프, 반사경 및 플래시렌즈로 이루어진 플래시조립체(10) 및 상기 튜브램프를 구동하는 플래시구동 회로와 상기 회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21)가 구비된 회로기판(20)을 포함한다. 이때, 플래시 구동회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램프에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플래시 커패시 터(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발광량이 높은 튜브램프와 또한 이로부터 발산된 빛을 집중시켜주는 플래시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대상물체 즉, 피사체에 빛을 집중적으로 보낼 수 있고, 종래에 비해 휘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좀 더 상세하게,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플래시조립체(10)는 튜브램프(11)가 가운데 구비되고, 상기 튜브램프(11)의 뒷쪽에 반사경(12)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경(12)은 상기 튜브램프(11)로부터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튜브램프(11)의 앞쪽에는 플래시렌즈(13)가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튜브램프(11)로부터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 및 반사경(12)으로부터 반사되어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피사체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튜브램프르 사용함으로써 LED에 비해 큰 발광체를 갖고, 뿐만 아니라 플래시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약 3배 이상 높은 휘도량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튜브램프(11)는 회로기판에 연결된 플래시구동 회로 및 플래시커패시터에 의해 구동되고, 또한 상기 상기 회로기판에 연결된 커넥터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될 것이다(도 3참조).
여기서, 상기 플래시 렌즈(13)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튜브 램프(11)측을 향하는 안쪽면은 편평하고, 피사체측을 향하는 바같쪽 면은 볼록하며, 상기 튜브램프(11)의 중심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빛을 확산시키지 않고 피사체로 집중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상기 플래시 렌즈(13)의 바깥쪽 면은 상기 튜브램프(11)의 중심축에서 가까운 중심부의 곡률반경이 크고, 상기 튜브램프(11)의 중심축에서 먼 양단부의 곡률반경이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튜브램프(11)는 큰 발광량을 갖는 크세논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크세논 램프는 각종의 광원 중에서 자연광에 가장 가까운 빛을 내며, 석영관 속에 한 쌍의 전극을 넣고 이 전극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게 한다. 크세논 램프는 수 kW에 이르는 대형램프도 있으며, 점등(點燈) 중의 가스압이 20atm 이상에 달하고, 발광효율이 1W당 20~40 lm에 달할 수 있다. 이것은 백열전구의 효율이 1 W당 10~20 lm 인것에 비해 훨씬 높은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가 메가급으로 가면서 기존 LED의 발광량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튜브램프를 구비함과 동시에, 빛을 집중시키는 플래시렌즈를 구비하여 상기 튜브램프로부터 발산된 빛을 모아서 다시 피사체로 재분배함으로써 휘도량을 크게 증가시키고, 선명한 사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에 일체형으로 내장된 카메라모듈 및 고휘도 플래시모듈의 상면 및 측면을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내장형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일체형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는 플래시모듈내의 플래시 커패시터의 용량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하고, 동시에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방안이기도 하다.
즉, 본 발명은 도 5및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과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회로기판(20')상에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2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5 및 6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튜브램프와 반사경 및 플래시렌즈로 이루어진 플래시조립체(10')와,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는 커넥터(21') 및 플래시커패시터(22')가 FPC(40)에 실장되고, 이들은 연장된 상기 FPC(40)을 통해 상기 튜브램프를 구동하는 플래시구동 회로가 구비된 회로기판(20')으로 연결된다.
특히 이경우, 종래에 별도의 회로선상에 별도로 장착해야했던 플래시커패시터(22')를 상기 회로기판(20')에 장착할 수 있음으로써 소요공간을 줄일 수 있고, 또한 그에 따라 상기 플래시커패시터(22')의 용량을 줄일 필요가 없어 고전압을 위한 고용량의 커패시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렌즈(30)와 상기 카메라렌즈(30)에 의해 맺힌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32) 및 상기 이미지 센서(32)가 실장되고,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21')를 구비하는 회로기판(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렌즈(30)는 카메라 하우징(31)에 의해 상기 FPC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과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회로기판(20')상에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21')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0')상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내장되는 여러가지 부품(50)들을 실장할 수 있어, 여러가지 부품(50)들을 별도로 내장하는데 소요되는 면적을 크게 줄여 소형화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20')상에 플래시모듈 등 여러가지 부품은 SMT(Surface Mounted Technology, 표면실장기술)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실장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플래시모듈과 카메라 모듈이 일체형으로 하나의 회로기판을 통해 내장됨으로써, 종래에 플래시모듈의 회로기판과 튜브램프 및 플래시커패시터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고, 카메라 모듈 역시 별도의 공간을 차지함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경우도 마찬가지로 튜브램프 및 플래시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빛을 집중 시켜 휘도량을 크게 증가시키고, 선명한 사진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플래시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과, 종래 프레넬렌즈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휘도량을 비교 실험해본 결과는 다음 [표1] 내지 [표3]과 같다.
[표1]
Figure 112004023352306-pat00001
[표2]
Figure 112004023352306-pat00002
[표3]
Figure 112004023352306-pat00003
상기 [표1] 내지 [표3]은 휘도량 측정기까지의 거리를 50cm, 100cm, 150cm로 각각 달리하여 측정한 것이며, 전압은 모두 3.3V로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표1] 내지 [표3]에서는 상기와 같은 각각의 조건하에서 구동전류를 20, 30, 40, 50, 60, 80, 100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고, 빛의 각도는 45°, 50°에서 각각 실험하였다.
그 결과, [표1]에서 빛의 각도 45°, 구동전류 20인 경우를 예를 들어 보면, 프레넬렌즈를 사용한 경우 휘도량은 6.6 lux 인 반면 플래시렌즈를 사용한 경우는 휘도량이 21.2 lux 로 약 3~4배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표 2]에서 빛의 각도 45°, 구동전류 20인 경우를 보면, 프레넬렌즈를 사용한 경우 휘도량은 1.7 lux 인 반면 플래시렌즈를 사용한 경우는 휘도량이 5.3 lux 로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표3]에서도 빛의 각도 45°, 구동전류 20인 경우를 보면, 프레넬렌즈를 사 용한 경우 휘도량은 0.73 lux 인 반면 플래시렌즈를 사용한 경우는 휘도량이 2.4 lux 로 약 3배 이상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실험을 통해 플래시렌즈를 구비한 플래시모듈은 그 휘도량이 종래 프레넬렌즈 보다 약 3~4배 이상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본 발명은 튜브램프 및 플래시렌즈를 구비함으로써 빛을 집중 시켜 휘도량을 크게 증가시키고, 선명한 사진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으로, 이는 예시이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는 튜브램프 및 플래시렌즈를 구비함으로써 큰 발광량을 갖는 동시에 상기 튜브램프로부터 나오는 빛을 피사체로 집중시켜 휘도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내장형 플래시 모듈이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주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플래시커패시터의 고용량화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내장형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튜브램프;
    상기 튜브램프의 뒷쪽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상기 튜브램프의 앞쪽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피사체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플래시렌즈; 및
    상기 튜브램프를 구동하는 플래시구동 회로와 상기 회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렌즈는 상기 튜브램프측을 향하는 안쪽면은 편평하고, 피사체측을 향하는 바같쪽 면은 볼록하며, 상기 튜브램프의 중심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한 형상을 갖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렌즈의 바깥쪽 면은 튜브램프의 중심축에서 가까운 중심부의 곡률반경이 크고, 상기 튜브램프의 중심축에서 먼 양단부의 곡률반경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램프는 크세논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내장형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과 연동되는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은, 튜브램프;
    상기 튜브램프의 뒷쪽에 구비되어 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
    상기 튜브램프의 앞쪽에 구비되어 전방으로 발산되는 빛을 피사체 방향으로 집중시키는 플래시렌즈; 및
    상기 튜브램프를 구동하는 플래시구동 회로와 상기 회로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 회로기판; 을 포함하고,
    상기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렌즈;
    상기 카메라렌즈에 의해 맺힌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는 회로기판; 을 포함하며,
    상기 내장형 플래시 모듈과 내장형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는 하나의 회로기판상에 하나의 모듈로 형성되고,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주제어부에 연결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렌즈는 상기 튜브 램프측을 향하는 안쪽면은 편평하고, 피사체측을 향하는 바같쪽 면은 볼록하며, 상기 튜브램프의 중심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는 두께가 일정한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렌즈의 바깥쪽 면은 튜브 램프의 중심축에서 가까운 중심부의 곡률반경이 크고, 상기 튜브램프의 중심축에서 먼 양단부의 곡률반경이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램프는 크세논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40039094A 2004-05-31 2004-05-31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1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94A KR100631839B1 (ko) 2004-05-31 2004-05-31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094A KR100631839B1 (ko) 2004-05-31 2004-05-31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40A KR20050113940A (ko) 2005-12-05
KR100631839B1 true KR100631839B1 (ko) 2006-10-09

Family

ID=3728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094A KR100631839B1 (ko) 2004-05-31 2004-05-31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8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42B1 (ko) * 2006-09-06 2007-03-14 크루셜텍 (주) 휴대폰 카메라용 플래쉬 엘이디 렌즈
KR101971231B1 (ko) * 2012-09-27 2019-04-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이동단말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40A (ko) 2005-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622B1 (en) Underwater lights for divers
US7551848B2 (en) Photographic light system, imag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different types of photographic light using a single multifunctional light module
CN1279738C (zh) 带照相机的便携式电子设备
US20070041199A1 (en) Illuminator, led illuminator, and imaging device with illuminator
US7630014B2 (en) Ligh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camera's tripod mount and method of use
US8021006B2 (en) LED array flash for cameras
JP4866558B2 (ja) 画像撮影用照明装置
JP2005210723A (ja) Ledとストロボの複合照明装置
WO2021227778A1 (zh) 补光透镜、补光灯模组、镜头组件及电子设备
JP2006278889A (ja) 半導体ランプおよび電子機器
KR100631839B1 (ko) 고휘도 내장형 플래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90141164A1 (en) Reduced-component flash assembly for a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a digital image captur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12887462A (zh) 电子设备
JP2009109665A (ja) カメラ撮影用光選択照射装置
CN104869289A (zh) 摄像模块及电子装置
CN220205514U (zh) 光学件、光源组件及电子设备
KR20020012735A (ko) 내외장 및 착탈식 플래쉬 기능을 추가한 영상 통화용단말기
KR200416959Y1 (ko) 영상촬영기용 엘이디 조명장치
US11347135B1 (en) Double-sided on-camera light
CN218729056U (zh) 带有改进结构的二维影像式扫描引擎
CN110780510A (zh) 基于半导体激光器的闪光灯
KR100725971B1 (ko) 휴대폰용 플래쉬모듈
KR20100068584A (ko) 엘이디 플래시 렌즈 유닛
KR200385689Y1 (ko) 폐쇄회로 카메라용 발광다이오드 보드
US20090122542A1 (en) Auxiliary illumin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