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441B1 -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 Google Patents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441B1
KR101757441B1 KR1020150188149A KR20150188149A KR101757441B1 KR 101757441 B1 KR101757441 B1 KR 101757441B1 KR 1020150188149 A KR1020150188149 A KR 1020150188149A KR 20150188149 A KR20150188149 A KR 20150188149A KR 101757441 B1 KR101757441 B1 KR 10175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source
led module
hole
upp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8044A (ko
Inventor
이준택
이종석
성경한
장용동
이예진
박준희
백은희
양나영
Original Assignee
이준택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택,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준택
Priority to KR1020150188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4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78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8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8Illuminating devices or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14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for producing polarised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피사체의 정확한 명암, 채도,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도 및 색온도를 구현해 주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자연광원을 발광하는 복수개의 LED와 상기 복수개의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1 LED 헤드부가 구비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발광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LED 헤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LED모듈을 고정시키는 제2 LED 헤드부가 구비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마련된 배터리 설치 공간에 내삽되어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LED모듈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쉐이드 테이킹 작업을 언제나 동일한 최적의 조명환경에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오차가 적고 치과보철물 제작후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Description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MEDICAL NATURE LIGHTING GENERATOR USING LED}
본 발명은 LED를 통해 자연광원을 발광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 등의 피사체의 정확한 명암, 채도,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도 및 색온도를 구현해 주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치아를 치료하기 위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를 조명하는 치과용 조명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치과용 조명장치로는 치과 진료의자와 결합된 장착 아암에 설치되어 환자의 머리 위에서부터 구강 근처로 강한 빛을 조사하는 조명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치과용 조명장치에 사용되는 조명 램프에는 통상1,500 내지 2,500 럭스(lux)에 이르는 강한 조도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할로겐램프 또는 플라즈마램프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할로겐램프나 플라즈마램프는 수명이 짧고, 자연광에 비해 황색 빛을 포함하고 있어 치아의 색조를 판단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즉, 상기 할로겐램프 또는 플라즈마램프의 광원이 가지고 있는 연색성 및 색 온도의 차로 인하여 환자에게 적용하고자 하는 가공 치아와 고유 치아의 쉐이드 메칭이 어렵다. 따라서, 시술방식과 가공의 오류를 범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할로겐램프 또는 플라즈마램프는 빛을 발생함에 있어서 강한 전자파와 소음을 함께 발생시키므로 환자 및 의사에게 유해한 영향을 미치고, 발열량이 커서 조명 아래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의사의 체온상승을 유발시키며, 적절하지 못한 광원은 눈의 피로를 가중시켜 진료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피사체의 정확한 명암, 채도,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필요한 조도 및 색온도를 구현해 주는 조명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3081호(2012.06.04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99080호(2011.12.2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4581호(2013.01.1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료실이나 실험실의 조명 환경에서도 치아 등의 피사체의 명암, 채도, 색상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태양광이 조사되는 환경과 유사한 조명 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자연광원을 발광하는 복수개의 LED와 상기 복수개의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1 LED 헤드부가 구비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발광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LED 헤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LED모듈을 고정시키는 제2 LED 헤드부가 구비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마련된 배터리 설치 공간에 내삽되어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LED모듈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쉐이드 테이킹 작업을 언제나 동일한 최적의 조명환경에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오차가 적고 치과보철물 제작후의 만족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 발생기는 확실한 색조 선택을 위해 쉐이드 테이킹에 가장 적절한 광원인 5500K를 제공할 수 있고, 피사체의 색상선택에 가장 좋은 조건의 조도와, 피사체의 명도와 채도를 확인하는데 가장 적합한 조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 발생기는 스마트폰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로의 촬영이 가능하다. 이는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의료기기로 쉐이드 테이킹 이후 그동안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였던 것을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쉽게 촬영하고, 쉐이드 테이킹 과정을 사진으로 저장하여 기공소, 환자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어 확실한 작업과 상호만족을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 발생기는 반사방지 코팅렌즈를 부착하여 사진촬영 시 빛 반사 없는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자연광원 발생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제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의한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이하, '자연광원 발생기'라고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자연광원 발생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자연광원을 발생하는 LED모듈(100)과, 상기 LED모듈(1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상부 케이스(200)와, 상기 LED모듈(100)이 내장되도록 LED모듈(100)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 케이스(200)의 맞은편에 위치하여 상부 케이스(200)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300)와, 상기 LED모듈(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LED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00), 및 외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LED모듈(100)의 동작을 전환시키는 스위치(5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자연광원 발생기는 주로 치과에서 치아의 상태를 관찰하는데 이용되는 조명기기로 사용될 수 있으나, 비상용 손전등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LED모듈(100)을 포함한다.
상기 LED모듈(100)은 외부로 공급된 전원을 기반으로 빛을 생성하여 전면으로 발광하는 것으로서, 자연광원을 발광하는 복수개의 LED와 상기 복수개의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LED모듈(100)은 쉐이드 테이킹(Shade Taking)에 적합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해 5000K 내지 6000K, 바람직하게는 5500K의 색온도를 갖는 LED가 포함된다. 이를 위해, LED로는 PLUS5050 SMD LED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쉐이드 테이킹이란 제작될 치과보철물을 위하여 기존 환자의 고유 치아색을 바탕으로 수복될 치아의 색을 선택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색온도 범위의 조명을 사용하면, 수복될 치아의 색상 선택에 대한 오차가 적어지므로, 제작 후 사용자의 치과보철물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LED모듈(100)은 치아의 명도와 채도를 확인하는 경우와 치아의 색상을 확인하는 경우에 각각 최적의 조도를 발현하도록 이중 조명모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중 조명모드는 스위치(500)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치아의 명도와 채도를 확인할 수 있는 조도를 700 내지 800Lux로 발광하는 1차 치아 대상 조명모드와, 치아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도를 1400 내지 1600Lux로 발광하는 2차 치아 대상 조명모드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LED가 점등된 상태 하에서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500)로 1차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LED모듈(100)은 1차 치아 대상 조명모드로 700 내지 800Lux의 빛을 발광하고, 스위치(500)로 2차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LED모듈(100)은 2차 치아 대상 조명모드로 1400 내지 1600Lux의 빛을 발광하며, 스위치(500)로 3차 터치신호가 입력되면 LED모듈(100)은 오프(OFF)모드로 LED를 점등시킨다.
아울러, 상기 LED모듈(1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LED는 입체형상의 치아 전체를 원활히 관찰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원형을 이루도록 PCB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PCB로는 LED로부터 발생된 열을 신속히 배출할 수 있는 METAL PCB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상부 케이스(2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200)는 하부 케이스(300)와 함께 자연광원 발생기의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LED모듈(1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1 LED 헤드부(210)와 제1 LED 헤드부(210)의 일측에 연결설치된 제1 손잡이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LED 헤드부(210)와 제1 손잡이부(22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이후 조립 과정을 통해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LED 헤드부(210)는 LED모듈(10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치아를 촬영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이때,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상기 중앙부에 배치되어 LED모듈(100)로부터 발광된 조명에 의해 밝아진 치아를 촬영한다.
상기 제1 손잡이부(220)는 사용자가 손을 통해 자연광원 발생기를 잡을 수 있다면 어떠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평판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손잡이부(220)의 모서리 부분은 긁힘을 방지하기 위해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하부 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케이스(300)는 상부 케이스(200)와 함께 자연광원 발생기의 외형을 제공하는 것으로, LED모듈(100)의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발광홀(31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LED 헤드부(210)에 결합되어 상기 LED모듈(100)을 고정시키는 제2 LED 헤드부(31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300)는 LED모듈(10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2 LED 헤드부(310)와 제2 LED 헤드부(310)의 일측에 연결설치된 제2 손잡이부(320) 및 제2 LED 헤드부(3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발광홀(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2 LED 헤드부(310)와 제2 손잡이부(32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이후 조립 과정을 통해 결합되거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발광홀(312)은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외부로 원활히 방출될 수 있도록 상기 LED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2 LED 헤드부(310)는 LED모듈(100)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치아를 촬영할 수 있도록 그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손잡이부(320)는 사용자가 손을 통해 자연광원 발생기를 잡을 수 있다면 어떠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손잡이부(220)와 마주보는 면이 개방된 직육면체형 블록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손잡이부(320)의 모서리 부분은 그립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LED 헤드부(210)와 제2 LED 헤드부(310)는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의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LED가 배치된다.
한편, 상부 케이스(200)나 하부 케이스(300) 중 어느 한 곳에는 배터리(400)를 내삽시킬 수 있는 배터리 설치 공간이 구비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케이스(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400)를 내삽시킬 수 있는 배터리 설치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설치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배터리 덮개(35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터리 설치 공간의 내부에는 내삽된 배터리(400)의 양극에 접촉되는 배터리 거치용 스프링(360)이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상부 케이스(200)나 하부 케이스(300) 중 어느 한 곳에는 도 2와 같이 배터리(400)의 충전 상태를 외부로 알려주는 배터리용 LED(3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용 LED(370)는 배터리(400)가 방전된 상태인 경우에 빨간색을 발광하고, 배터리가 완충되기 전 상태인 경우에 녹색을 발광하며, 배터리가 완충된 상태인 경우에 파란색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배터리(400)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400)는 상부 케이스(200) 또는 하부 케이스(300)에 마련된 배터리 설치 공간에 내삽되어 LED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충전식 건전지나 1회용 건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충전식 건전지를 직접 충전하기 위한 구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200)나 하부 케이스(300) 중 어느 한곳에는 외부의 상용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충전식 건전지를 충전하기 위한 접속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접속단자로는 일반적인 스마트폰 충전 케이블을 통해 상용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마이크로 5핀 충전단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스위치(500)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500)는 사용자로부터 LED모듈(100)의 온/오프 신호를 입력받아 LED모듈(100)로 제공하는 구성으로, LED모듈(100)의 조명모드를 2가지 이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입력신호를 구분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500)는 사용자의 1차 터치를 감지하여 700 내지 800Lux로 발광하도록 요구하는 1차 점등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LED모듈(100)로 전송한다. 이어서, 스위치(500)는 사용자의 2차 터치를 감지하여 1400 내지 1600Lux로 발광하도록 요구하는 2차 점등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LED모듈(100)로 전송한다. 그 다음, 스위치(500)는 사용자의 3차 터치를 감지하여 LED를 OFF시키도록 요구하는 소등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LED모듈(1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스위치(500)는 상부 케이스(200) 또는 하부 케이스(300)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500)는 상부 케이스(200)의 제1 손잡이부(220)나 하부 케이스(300)의 제2 손잡이부(320)에 설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500)는 사용자가 자연광원 발생기를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통해 간편히 터치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LED 헤드부(310)에 인접한 제2 손잡이부(320)에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랜즈어댑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즈어댑터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한 사진촬영 시 빛 반사 없는 깨끗한 사진을 얻을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제2 LED 헤드부(3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덮개(610)와 편광필터(620) 및 제2 덮개(630)로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덮개(610)는 제2 덮개(630)와 함께 편광필터(620)를 제2 LED 헤드부(310)의 전방에 배치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제2 LED 헤드부(310)의 외경에 대응된 내경을 갖는 끼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편광필터(620)의 안착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1 덮개(610)는 그 중심부에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1 발광홀이 상기 제1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1 관통홀은 제1 LED 헤드부(210)와 제2 LED 헤드부(3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홀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홀은 제2 LED 헤드부(3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광홀(312)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이는, 스마트폰 카메라의 촬영범위를 넓혀주고,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원활히 전방으로 방출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편광필터(620)는 카메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제2 LED 헤드부(310)의 전방에 배치된 것으로, 제1 관통홀의 안착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제2 덮개(630)는 제1 덮개(610)와 함께 편광필터(620)를 제2 LED 헤드부(310)의 전방에 배치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편광필터(620)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덮개(61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2 덮개(630)는 그 중심부에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복수개의 제2 발광홀이 상기 제2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제2 관통홀은 제1 LED 헤드부(210)와 제2 LED 헤드부(3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홀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발광홀은 제2 LED 헤드부(3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발광홀(312) 및 복수개의 제1 발광홀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1 LED 헤드부(210)와 제2 LED 헤드부(310)는 복수개의 나사를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2 LED 헤드부(310)에 접촉되는 제1 덮개(610)의 표면에는 제2 LED 헤드부(31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의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자석은 복수개의 나사와 접촉될 수 있도록 제1 덮개(610)의 표면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스마트폰 클립(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클립(700)은 한정된 크기의 스마트폰을 상부 케이스(20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부 케이스(200)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마트폰 클립(700)은 도 4와 같이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을 원통형 관통홀에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클립(700)은 스마트폰의 하면과 동일하거나 조금 넓은 면적의 갖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의 테두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 및 상기 평판부에 상부 케이스(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평판부에 결합되며 상부 케이스(200)에 끼움 결합되는 체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부는 그 상하방향의 단면이 "
Figure 112015128026717-pat00001
Figure 112015128026717-pat00002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클립(7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의 하면과 동일하거나 조금 넓은 면적의 갖는 평판부(710)와, 상기 상부 케이스(200)를 평판부(7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평판부(710)의 일측면에 구비되며 상부 케이스(20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상부 케이스(200)의 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설치된 체결부(720)와, 상기 스마트폰(P)을 평판부(710)에 고정시키기 위해 평판부(710)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고정형 걸림부(730)와, 상기 고정형 걸림부(730)와 함께 스마트폰(P)을 평판부(7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형 걸림부(730)에 이격된 위치에서 평판부(710)에 구비되는 이동형 걸림부(740)와,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 상기 이동형 걸림부(7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평판부(710)에 설치되고 이동형 걸림부(740)에 연결된 간격조절부(7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간격조절부(750)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면 이동형 걸림부(740)도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간격조절부(750)와 이동형 걸림부(740)가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간격조절부(750)의 이동이 정지되는 경우 이동형 걸림부(740)가 초기 위치로 회동하도록 간격조절부(750)와 이동형 걸림부(740)의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광원 발생기는 스마트폰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결합부는 제한적인 크기의 스마트폰만을 거치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클립(700)과 달리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을 상부 케이스(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자석판(810)과 금속판(820) 및 부착수단(8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결합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 사이에 설치되는 자석판(810)과, 상기 자석판(810)에 의해 상부 케이스(200)의 표면에 부착된 금속판(820), 및 상기 금속판(820)의 표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을 금속판(820)에 결합시키는 부착수단(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결합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200)와 하부 케이스(300)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판(820)과, 상기 금속판(820)에 의해 상부 케이스(200)의 표면에 부착된 자석판(810), 및 상기 자석판(810)의 표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을 자석판(810)에 결합시키는 부착수단(8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수단(830)은 스마트폰을 자석판(810) 또는 금속판(820)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스마트폰의 오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면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LED모듈 200 : 상부 케이스
210 : 제1 LED 헤드부 300 : 하부 케이스
310 : 제2 LED 헤드부 350 : 배터리 커버
400 : 배터리 500 : 스위치
610 : 제1 덮개 620 : 편광필터
630 : 제2 덮개 700 : 스마트폰 클립
810 : 자석판 820 : 금속판
830 : 부착수단

Claims (9)

  1. 복수개의 LED와 상기 복수개의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LED모듈과, 상기 LED모듈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는 제1 LED 헤드부가 구비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발광홀이 구비되며 상기 제1 LED 헤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LED모듈을 고정시키는 제2 LED 헤드부가 구비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마련된 배터리 설치 공간에 내삽되어 상기 LED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부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LED모듈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은 자연광원을 발광하되, 상기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치아의 명도와 채도를 확인할 수 있는 조도를 700 내지 800Lux로 발광하는 1차 치아 대상 조명모드와, 치아의 색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조도를 1400 내지 1600Lux로 발광하는 2차 치아 대상 조명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조명모드를 2가지 이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입력신호를 구분하여 입력받고, 1차 점등신호와 2차 점등신호 및 소등신호를 생성하여 LED모듈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LED모듈은
    5000K 내지 6000K의 색온도를 갖는 LED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 헤드부와 제2 LED 헤드부는 중앙부에 원형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LED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LED 헤드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편광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랜즈어댑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랜즈어댑터는
    상기 제2 LED 헤드부의 외경에 대응된 내경을 갖는 끼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편광필터의 안착공간을 제공하고, 그 중심부에 상기 원형의 관통홀에 마주보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발광홀에 마주보는 복수개의 제1 발광홀이 형성된 제1 덮개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편광필터, 및
    상기 편광필터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 덮개의 하부에 결합되고, 그 중심부에 상기 제1 관통홀에 마주보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 발광홀에 마주보는 복수개의 제2 발광홀이 형성된 제2 덮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에 설치되며,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상기 스마트폰의 카메라모듈을 상기 원형의 관통홀에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스마트폰 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자석판과, 상기 자석판에 의해 상부 케이스의 표면에 부착된 금속판, 및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을 금속판에 결합시키는 부착수단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에 의해 상부 케이스의 표면에 부착된 자석판, 및 상기 자석판의 표면에 구비되어 스마트폰을 자석판에 결합시키는 부착수단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KR1020150188149A 2015-12-29 2015-12-29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KR10175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49A KR101757441B1 (ko) 2015-12-29 2015-12-29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149A KR101757441B1 (ko) 2015-12-29 2015-12-29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44A KR20170078044A (ko) 2017-07-07
KR101757441B1 true KR101757441B1 (ko) 2017-07-11

Family

ID=5935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149A KR101757441B1 (ko) 2015-12-29 2015-12-29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86A (ko) 2018-02-02 2019-08-12 이준택 의료용 쉐이드 라이트
WO2020045899A1 (ko) * 2018-08-29 2020-03-05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06610A1 (it) * 2019-05-07 2020-11-07 Alan Ferioli Illuminatore fotografico per telefoni cellulari
KR102574519B1 (ko) 2021-09-07 2023-09-07 권용찬 의료용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84Y1 (ko) * 2012-07-20 2014-01-07 남정만 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용 핸드폰 액세서리
CN203710181U (zh) * 2013-12-25 2014-07-16 俞育铭 牙齿比色仪
US20150173624A1 (en) * 2013-11-11 2015-06-25 Joshua Friedman Dental shade matching method and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684Y1 (ko) * 2012-07-20 2014-01-07 남정만 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용 핸드폰 액세서리
US20150173624A1 (en) * 2013-11-11 2015-06-25 Joshua Friedman Dental shade matching method and device
CN203710181U (zh) * 2013-12-25 2014-07-16 俞育铭 牙齿比色仪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986A (ko) 2018-02-02 2019-08-12 이준택 의료용 쉐이드 라이트
KR102057580B1 (ko) * 2018-02-02 2019-12-19 이준택 의료용 쉐이드 라이트
WO2020045899A1 (ko) * 2018-08-29 2020-03-05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비문 획득을 위한 조명 장치
US11650622B2 (en) 2018-08-29 2023-05-16 Iscilab Corporation Lighting device for acquiring nose pattern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8044A (ko) 2017-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441B1 (ko) Led를 이용한 의료용 자연광원 발생기
US10495946B2 (en) Illumination device
US9593842B2 (en) Illumination device
JP6588451B2 (ja) 照明装置
JP2014503840A (ja) ダイバー用水中ライト
JP2009020298A (ja) 照明装置、照明装置に対する装着物、カメラ、照明システム、及び、カメラシステム
WO2017120705A1 (zh) 一种发光部分可模块组装的拍摄用led照明灯
US11209721B2 (en) Imaging device and optical unit
JP2012130710A (ja) 歯科医療用処置照明器具
EP1559381A1 (en) Lamp and method for dental shade selection
KR102057580B1 (ko) 의료용 쉐이드 라이트
KR101061058B1 (ko) 휴대용 후레쉬
JP2016145949A (ja) フラッシュ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写真撮影システム
JP2016035875A (ja) 照明装置
WO2020034996A1 (zh) 用于移动电子设备的辅助摄像装置及其组装方法
US8275252B1 (en) Camera
KR102574519B1 (ko) 의료용 조명 장치 및 조명 시스템
JP3082549U (ja) 歯科用口腔内カメラの外部補助光源装置
US11864293B2 (en) Hard and soft light module with ambient light sensing
JP5156522B2 (ja)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KR101089705B1 (ko) 광량 및 배광제어가 가능한 엘이디 플래시램프
CN207674182U (zh) 一种壁灯
KR20170043807A (ko) 휴대용 엘이디 랜턴
JP2022102646A (ja) 肌測定装置
KR200470265Y1 (ko) 렌즈의 탈장착이 가능한 돋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