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790Y1 -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790Y1
KR200415790Y1 KR2020060003396U KR20060003396U KR200415790Y1 KR 200415790 Y1 KR200415790 Y1 KR 200415790Y1 KR 2020060003396 U KR2020060003396 U KR 2020060003396U KR 20060003396 U KR20060003396 U KR 20060003396U KR 200415790 Y1 KR200415790 Y1 KR 200415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lens
height
examinee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3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문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치나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치나광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치나광학
Priority to KR2020060003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7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83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means for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검안기에 관한 것으로, 검사자가 이동하지 않고도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맞추어 검안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검안기 사용시 검사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마 받침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턱받침을 구비하고, 턱받침에 올려지고 이마 받침구로 받쳐진 피검사자의 눈을 촬영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턱받침과 렌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이스틱과 렌즈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를 구비한 검안기에 있어서, 상기 이마 받침구의 측면에 피검사자의 눈을 모니터의 전방에 앉은 검사자가 볼 수 있도록 거울을 설치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검안기의 모니터 앞에 앉은 검사자는 몸을 이동시키지 않고 눈으로 거울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검안기, 촬영, 눈높이, 모니터

Description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Eye-level adjuster of auto REF/Keratometer}
도 1은 본 고안의 거울이 설치된 검안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거울이 설치된 검안기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거울이 설치된 검안기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턱받침이 이동되기 전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턱받침이 이동된 후 상태를 보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검안기 11 : 조이스틱
12 : 모니터 15 : 렌즈
20 : 이마 받침구 21 : 턱받침
30 : 거울
본 고안은 검안기에 관한 것으로, 검사자가 이동하지 않고도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맞추어 검안기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검안기 사용시 검사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 다.
검안기는 피검사자의 얼굴부위 중 눈을 찾아 촬영하여 검사자의 전방에 설치된 모니터로 디스플레이시켜 기본적인 검안을 하게 되는 것으로, 턱을 받치게 되는 턱받침의 높낮이와 렌즈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렌즈로 눈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검안기의 이마 받침대에 피검사자의 얼굴을 받치게 되면 턱부위는 턱받침에 받쳐지게 되고, 상기 턱받침은 검사자가 높낮이를 조작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검사자는 조이스틱을 이용하여 검안기의 렌즈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검사자의 눈을 렌즈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된 턱받침은 통상 7cm 정도로 조절되고, 렌즈는 3cm 정도로 조절되게 되므로, 턱받침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렌즈로 눈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후 렌즈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렌즈와 눈의 높이를 맞추어 주게 된다.
그러나 턱받침을 조절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렌즈로 촬영할 수 있는 범위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피검사자의 눈이 검안기로 가려 보이지 않으므로, 검안기의 측면으로 검사자가 고개를 돌리거나 몸을 이동한 후 검안기의 측면에서 검안기의 렌즈 높이와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보고 턱받침 높이를 조절해주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이 턱받침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검사자는 검안기의 화면을 정면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서 피검사자의 눈을 볼 수 없으므로 측면으로 빠져 앉거나 고개를 돌려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따르게 된다.
본 고안은 검안기의 화면을 마주보는 검사자가 몸을 돌리지 않고도 간단히 검사자의 눈높이를 렌즈로 촬영될 수 있는 높이로 이동시키도록 함으로서 피검사자는 움직이지 않고도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검안기의 렌즈 높이로 이동시켜 렌즈로 눈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이마 받침구의 하측에 설치되어 높낮이가 조절되는 턱받침을 구비하고, 턱받침에 올려지고 이마 받침구로 받쳐진 피검사자의 눈을 촬영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턱받침과 렌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이스틱과 렌즈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를 구비한 검안기에 있어서, 상기 이마 받침구의 측면에 피검사자의 눈을 모니터의 전방에 앉은 검사자가 볼 수 있도록 거울을 설치함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검안기의 모니터 앞에 앉은 검사자는 몸을 이동시키지 않고 눈으로 거울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검안기(10)의 모니터(12) 앞에 앉게 되는 검사자가 몸을 좌우로 이동시키지 않더라고 거울(30)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하여 렌즈(15)의 전방에 피검사자의 눈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으로, 조이스틱(11)으로 턱받침(21)의 높이를 조절하여 피검사자의 눈이 렌즈(15)로 촬영 가능한 위치까지 간단히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검안기(10)는 검사자 쪽으로 조이스틱(11)과 모니터(12)가 위치하고, 피검사자 쪽으로 피검사자의 턱을 받치는 턱받침(21)과 이마를 대주는 이마 받침구(20)를 위치시키는 한편 이마 받침구(20)에 받쳐진 피검사자의 눈을 촬영하는 렌즈(15)가 피검사자 쪽으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검안기(10)의 조이스틱(11)은 렌즈(1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한편 턱받침(21)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이스틱(11)은 공지의 기술에 따른다.
본 고안의 턱받침(21)은 피검사자의 턱을 받치게 되는 것으로, 피검사자의 턱을 턱받침(21)에 받치게 하고 이마를 이마 받침구(20)에 받쳐지도록 한 후 조이스틱(11)을 조작하여 턱받침(21)의 높이를 조작함으로서 피검사자의 눈이 렌즈(15)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마 받침구(20)의 양쪽에 거울(30)을 설치하되 상기 거울(30)은 모니터(12)의 전방에 앉게 되는 검사자의 눈에 턱받침(21)에 올려진 상태의 피검사자의 눈이 보일 수 있도록 한다.
즉 검사자는 검안기(10)의 모니터(12)를 확인하는 통상의 위치에 앉은 상태에서 눈만 측면으로 돌려 마치 자동차의 리어미러(rear mirror)를 보는 것과 같이 거울(30)을 보게 되면 피검사자의 눈을 거울(3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같이 본 고안은 검안기(10)의 이마 받침구(20)에 양쪽으로 거울(30)을 돌출되게 설치하되 상기 거울(30)은 모니터(12)의 정면에 앉아있는 검사자가 거울(30)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피검사자의 눈을 비추도록 한다
본 고안의 거울(30)은 이마 받침구(20)의 외측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자바라 같은 결합구를 이용하여 결합되게 되는 것으로, 어떠한 경우든 모니터(12) 앞에 앉은 검사자가 앉은 채로 피검사의 눈높이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검사자가 몸을 외측으로 이동하거나 움직이지 않고도 거울(30)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할 수 있어 검안기(10)를 이용할 때 검사자의 수고를 덜어주는 것이다.
검안기(10)의 받침턱(21)에 피검사자의 턱을 올려놓게 한 후 검사자는 거울(30)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피검사자의 눈높이가 높을 경우 받침턱(21)을 하강시켜 눈높이를 낮추어주고, 피검사자의 눈높이가 낮을 경우 받침턱(21)을 올려주어 눈높이를 높여준다.
즉 피검사자의 눈높이가 낮게 있을 경우 도 4의 점선 표시와 같이 렌즈(15)로 눈을 촬영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하여 렌즈(15)로 촬영될 수 있는 위치(도 5의 점선 표시)로 눈높이를 이동시킨 후 렌즈(1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렌즈(15)의 정면에 눈이 위치하도록 한다.
즉 렌즈(15)의 정면에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맞추어주기 위해서는 먼저 턱받침(2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렌즈(15)로 촬영될 수 있는 위치에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위치시킨 후 렌즈(15)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렌즈(15)의 정면에 피검사자의 눈이 위치되게 하는 것으로, 렌즈(15)의 높낮이 조절은 모니터(12)의 화면을 보아가며 정확히 렌즈(15)의 정면에 눈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나, 초기에 렌즈(15)로 촬영될 수 있는 위치로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피검사자의 눈을 검안 기(10)의 측면을 통하여 확인하여야 한다.
그러나 검사자와 피검사자 사이에는 검안기(10)가 위치하고 있어 피검사자의 눈높이는 피검사자가 검안기(10)를 피하여 외측으로 이동하여야만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 검사자가 이동하게 되어 검안기(10) 활용시 어려움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검사자가 움직이지 않고 거울(30)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맞추어주도록 함으로서 간단히 검안기(10)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같이 본 고안은 초기에 검안기(10)의 턱받침(21)에 턱을 올려놓은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검사자는 검안기(10)의 모니터(12) 정면에 앉은 채로 거울(30)을 통하여 확인한 후 턱받침(21)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렌즈(15)로 촬영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고(도 4의 점선 표시에서 도 5의 점선표시), 이후부터는 렌즈(15)로 촬영되는 피검사자의 눈을 보며 렌즈(15)의 위치를 이동시켜 정확히 렌즈(15)의 정면에 눈높이를 맞추어주게 된다.
즉 본 고안은 렌즈(15)로 촬영될 수 없는 위치에 피검사자의 눈높이가 위치할 때 검사자가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한 후 턱받침(21)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나, 이 경우 검사자가 검안기(10)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불편을 없애기 위하여 거울(30)을 이용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검안기의 렌즈로 피검사자의 눈을 촬영함에 있어서, 검안기의 렌즈로 피검사의 눈을 촬영할 수 있는 위치로 피검사자의 눈을 이동시킬 때 검사자가 검안기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확인하지 않고도 검안기의 모니터 앞에 앉은 채로 이 마 받침구에 설치된 거울을 통하여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확인한 후 렌즈로 촬영될 수 있는 위치로 피검사자의 눈높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검사자가 간편하게 피검사자의 눈을 렌즈로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마 받침구(20)의 하측에 설치되어 피검사자의 턱이 받쳐지고 높낮이가 조절되는 턱받침(21)을 구비하고, 상기 턱받침(21)에 턱이 받쳐진 상태에서 이마 받침구(20)로 받쳐진 피검사자의 눈을 촬영하며 높낮이가 조절되는 렌즈(15)를 구비하며, 상기 턱받침(21)과 렌즈(1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이스틱(11)을 구비하는 한편 렌즈(15)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모니터(12)를 구비한 검안기(10)에 있어서,
    상기 턱받침(21)에 턱이 받쳐진 피검사자의 눈을 모니터(12)의 전방에 앉은 검사자가 확인할 수 있는 거울(30)을 이마 받침구(20)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마 받침구(20)의 측면에 설치된 거울(30)은 반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KR2020060003396U 2006-02-07 2006-02-07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KR200415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96U KR200415790Y1 (ko) 2006-02-07 2006-02-07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3396U KR200415790Y1 (ko) 2006-02-07 2006-02-07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790Y1 true KR200415790Y1 (ko) 2006-05-08

Family

ID=41765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396U KR200415790Y1 (ko) 2006-02-07 2006-02-07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79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1104A (zh) * 2018-09-18 2018-12-28 宁波法里奥光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全自动一体式验光仪设备及其验光方法
KR20190058984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포텍 환자 안구 자동 검출 기능을 갖는 검안기
KR102119397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틸팅형 제어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KR102119395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피검자 맞춤형 조작부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8984A (ko)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포텍 환자 안구 자동 검출 기능을 갖는 검안기
CN109091104A (zh) * 2018-09-18 2018-12-28 宁波法里奥光学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全自动一体式验光仪设备及其验光方法
KR102119397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틸팅형 제어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KR102119395B1 (ko) 2019-10-11 2020-06-05 주식회사 이수메디 피검자 맞춤형 조작부가 구비되는 검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4383B1 (es) Dispositivo captador de movimientos oculares.
US9585552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at least one objective ocular refraction characteristic of a patient for a plurality of visual ranges
US10564432B2 (en) Head-mounted display unit and head-mounted display fixing stand
JP7100503B2 (ja) 眼科装置
KR200415790Y1 (ko) 검안기의 눈높이 조절장치
US11471049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KR20180095180A (ko) 안과용 촬영장치
JP7437555B2 (ja) 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7300950B2 (ja) 被検者情報取得装置、眼科装置及び眼科システム
JP7394671B2 (ja) 眼科装置
JPH07213482A (ja) 検眼装置
TWI548394B (zh) 影像偵測裝置及影像偵測方法
JP6962765B2 (ja) 眼科装置
CN112057037A (zh) 一种自动化眼科检查机器人
JP6862685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制御プログラム
CN214906728U (zh) 一种斜视检测装置
JP7166080B2 (ja) 眼科装置
CN220293812U (zh) 眼部训练装置
Wassill et al. Binocular 3-D video-oculography
JPH02193636A (ja) 眼科装置
JP2023136953A (ja) 視標提示装置及び眼科装置
JP2023142781A (ja) 眼科システム
JP2001046341A (ja) 眼科測定装置
WO2019103631A1 (en) Portable gonioscope
Sheehan et al. Design of a versatile clinical aberro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