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180A - 안과용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안과용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180A
KR20180095180A KR1020170021339A KR20170021339A KR20180095180A KR 20180095180 A KR20180095180 A KR 20180095180A KR 1020170021339 A KR1020170021339 A KR 1020170021339A KR 20170021339 A KR20170021339 A KR 20170021339A KR 20180095180 A KR20180095180 A KR 2018009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photographing
retina
exam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0924B1 (ko
Inventor
하태호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랩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랩,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랩
Priority to KR1020170021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9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과용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는 피검사자의 눈의 망막을 촬영하는 안과용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안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시선유도부, 상기 촬영부와 시선유도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촬영부 및 시선유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여, 피검사자의 눈의 망막을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안과용 촬영장치 {Ocular photographic apparatus}
본 발명은 안과용 촬영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시선을 적절히 유도하여 피검사자의 망막을 정확하게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는 안과용 촬영장치에 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각종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게임을 하거나 뉴스를 읽거나 다양한 미디어 영상매체를 시청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모바일 기기가 널리 퍼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 상의 각종 정보를 눈을 통해 받아들이게 되며, 이는 모바일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시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각종 눈과 관련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 시력이 저하되는 등의 눈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각종 눈 관련 질환이 발병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눈관련 질환에는 백내장과 같이 수정체 관련 질환과 녹내장, 황반변성, 황반 이상증, 망박 분리 등과 같은 망막 관련 질환이 있다. 이와 같이 눈과 관련된 질환이 발병한 경우, 피검사자는 시력검사, 안압검사 등을 할 수 있으며, 망망 관련 질환의 경우 눈의 망막을 촬영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눈 관련 질환이 발병한 경우뿐만 아니라 환자가 병원에 내원하기 전에 예방 진단 차원에서 눈의 망막을 스스로 손쉽게 촬영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망막 중에서 원하는 영역을 정확하게 촬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피검사자의 시선을 정확하게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나, 종래 망막 촬영 장치에서는 피검사자의 시선을 정확하게 유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는 경우에 피검사자의 시선을 정확하게 유도하여 망막의 미리 결정된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안과용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피검사자가 예방 진단의 차원에서 자신의 망막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는 안과용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는 경우에 숙련된 검사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부가 망막을 촬영하도록 하여 피검사자가 스스로 망막을 촬영할 수 있는 안과용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자의 눈의 망막을 촬영하는 안과용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안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시선유도부, 상기 촬영부와 시선유도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촬영부 및 시선유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영상은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를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이동하는 대상물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촬영부는 상기 안내영상에 따라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이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눈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영상의 변화시간에 대응하여 동기화되어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상기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중에 검사자가 상기 망막을 촬영할 수 있는 버튼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촬영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안내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복해서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촬영하지 못한 상기 망막의 해당 영역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영상이 편집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된다.
한편, 상기 촬영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어느 하나의 눈의 망막을 촬영하며, 상기 시선유도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다른 하나의 눈의 시선을 유도한다.
또한, 상기 시선유도부가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어느 하나의 눈의 시선을 유도하는 중에 상기 촬영부가 상기 시선이 유도된 눈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한다.
한편,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는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된다.
또한, 상기 시선유도부는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는 경우에 피검사자의 시선을 정확하게 유도하여 망막의 원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예방 진단의 차원에서 피검사자의 망막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는 경우에 숙련된 검사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자동화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부가 망막을 촬영하도록 하여 피검사자가 스스로 망막을 손쉽게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의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안과용 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도 1의 안과용 촬영장치의 시선유도부의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a)는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의 (b)는 피검사자가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100)의 몸체부(120)를 얼굴에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100)는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130)(도 2 참조),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도록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안내하는 안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144)(도 3 참조)를 구비하는 시선유도부(140)(도 2 참조), 상기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가 구비되는 몸체부(120), 상기 촬영부(130) 및 상기 시선유도부(14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14),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제2 디스플레이부(16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에 구비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몸체부(120)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사자는 착용 밴드(150)를 본인의 머리에 맞도록 조절하여 얼굴의 전면에 상기 몸체부(120)를 착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20)는 후술하는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를 구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부(120)는 최근 들어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VR 기기(virtual reality device)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몸체부(120)는 이러한 VR 기기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예로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살펴본다.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지만, 상기 몸체부(1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와 유선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전술한 몸체부(120)에 구비되는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114)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14)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종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114)에 의해 영상으로 구현되어 제2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디스플레이부(16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검사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에서 이격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에는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중에 상기 망막을 촬영하여 순간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버튼부(112)가 연결될 수 있다. 검사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피검사자의 망막을 영상 이미지로 확인하는 중에 원하는 망막의 영역을 상기 버튼부(112)를 눌러 촬영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검사자가 상기 버튼부(112)를 누르는 순간의 영상 이미지는 상기 본체부(110)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거나, 또는 전술한 제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100)의 몸체부(1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상기 몸체부(120)의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의 (b)는 피검사자가 바라본 상기 몸체부(120)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2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22)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22)에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가 장착된다.
피검사자가 상기 몸체부(120)를 얼굴의 전면에 착용하게 되면 한 쌍의 눈동자 중에서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오른쪽 눈동자는 상기 시선유도부(140)를 향하게 되며, 다른 하나, 예를 들어 왼쪽 눈동자는 상기 촬영부(130)를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시선유도부(140)에 의해 피검사자의 오른쪽 눈동자의 시선을 유도하게 되면 피검사자의 왼쪽 눈동자도 오른쪽 눈동자와 함께 시선을 돌리게 된다. 사람의 한 쌍의 눈동자는 그 시선이 같은 곳을 향하도록 움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착용한 상태에서 왼쪽 눈동자의 망막 중에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선유도부(140)에 의해 피검사자의 오른쪽 눈동자의 시선을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피검사자의 왼쪽 눈동자도 오른쪽 눈동자와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왼쪽 눈동자의 망막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34'는 상기 촬영부(130)에 구비되어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134)에 해당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로서, 상기 몸체부(120)에 구비된 상기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촬영부(130)는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어느 하나의 눈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며, 상기 시선유도부(140)는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다른 하나의 눈의 시선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어, 피검사자가 도 3과 같이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100)를 착용한 경우 피검사자의 우측 눈이 촬영부(130)를 향하게 되고 피검사자의 좌측 눈이 시선유도부(140)를 향하게 된다. 상기 시선유도부(140)가 상기 좌측 눈의 시선을 유도하게 되면 상기 우측 눈도 상기 좌측 눈과 함께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우측 눈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촬영부(130)는 제1 대물렌즈(131), 결상렌즈(132) 및 카메라(134)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134)를 통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114)를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에 표시된다. 따라서, 검사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여 피검사자의 눈의 망막의 촬영이 정확하게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선유도부(140)는 상기 제어부(114)의 신호에 따라 안내영상을 표시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144)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에 표시되는 영상을 피검사자의 눈에 초점을 맞추는 제2 대물렌즈(14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사자는 상기 제2 대물렌즈(142)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에 표시되는 안내영상이 피검사자의 눈에 초점이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의 예시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해 표시되는 안내영상은 피검사자의 눈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상기 안내영상은 이동하는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대상물로써 단순한 사람 형상으로 형상화된 캐릭터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안내영상은 피검사자의 눈의 움직임 또는 눈의 시선을 안내하도록 미리 정해진 캐릭터(C)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의 미리 정해진 위치(P1, P2, P3, P4)를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C)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의 미리 정해진 위치(P1, P2, P3, P4)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피검사자의 시선은 상기 캐릭터(C)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시선이 움직이는 중에 상기 촬영부(130)는 상기 안내영상에 따라 상기 피검사자의 눈의 시선이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눈의 망막 중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전술한 제어부(114)는 상기 안내 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 영상에서 시선을 유도하는 변화, 즉 도 4에서 캐변릭터(C)가 위치를 바꾸어 이동하는 시간이 미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안내 영상의 변화 시간에 동기화(synchronization)되어 상기 촬영부(130)를 통해 망막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상기 캐릭터(C)가 4개의 위치(P1, P2, P3, P4)의 각각에서 미리 결정된 시간 T초 동안 머무르다가 다음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T'초에 동기화되어 상기 촬영부(130)를 통해 T초 간격으로 망막의 영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는 검사자가 제2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여 촬영하는 소위 '수동 촬영'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100)는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촬영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하는 소위 '자동 촬영'으로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촬영부(130)를 통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기준 이미지와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이미지는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영역에 대한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준 이미지는 망막의 황반 또는 시신경을 중심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해당 영역을 촬영하여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한다는 의미는 상기 획득된 영상 이미지 상에서 황반 또는 시신경의 위치가 상기 기준 이미지 상의 황반 또는 시신경의 위치에 대략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가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114)는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해당 영역을 촬영하지 않게 된다.
이는 전술한 시선유도부(140)에 의해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더라고 피검사자의 시선 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검사자의 시선이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지 않아서 상기 눈의 망막 중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을 촬영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안내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해 반복해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검사자에 의해 수동으로 촬영되는 경우에는 상기 검사자가 상기 촬영부(130)를 통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확인하여 망막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한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은 경우 안내영상을 다시 표시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부(130)를 통해 피검사자의 망막의 복수의 영역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중에 일부 영역은 정확하게 영상 이미지가 획득되어 촬영된 반면에 나머지 영역에 대해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검사자의 망막의 복수의 영역에 대한 모든 촬영을 다시 할 필요는 없으며 제대로 촬영되지 않은 영역만을 다시 찍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피검사자의 시선이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지 않아서 상기 눈의 망막 중에서 미리 정해진 영역을 촬영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촬영하지 못한 상기 망막의 해당 영역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눈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영상을 편집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검사자가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촬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망막의 영역을 확인하여 상기 안내영상을 편집하여 다시 표시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14)가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상기 안내영상을 편집하여 다시 표시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캐릭터(C)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의 4개의 위치(P1, P2, P3, P4)를 따라 순차적으로 또는 무작위적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도시는 일예에 불과하며 상기 캐릭터(C)가 이동하는 위치는 도면에 도시된 4개보다 작거나 또는 더 많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릭터(C)가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144)를 따라 이동하는 위치는 피검사자의 망막 중에 촬영하고자 하는 미리 정해진 영역과 관련이 있다. 즉, 피검사자의 망막 중에 미리 정해진 영역의 개수에 대응하여 상기 캐릭터의 이동위치의 개수가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검사자의 망막 중에 미리 정해진 영역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캐릭터(C)의 이동위치가 정해진다. 즉, 피검사자의 시선이 캐릭터(C)를 향하는 경우에 상기 촬영부(130)에 의해 촬영되는 망막의 영역이 미리 정해진 영역에 대응하도록 상기 캐릭터(C)의 이동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도 1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100)를 사용하여 피검사자의 어느 한 쪽의 눈의 망막을 촬영한 후 다른 쪽의 눈의 망막의 촬영이 필요할 수 있다. 이 경우, 첫번째 촬영을 마친 다음 상기 몸체부(120)의 촬영부(130)와 시선유도부(140)가 각각 다른 눈을 향하도록 다시 착용하여 두번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검사받는 피검사자측에서 바라본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200)의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200)는 프레임(214)에 고정되며 제어부(216)를 구비하는 본체부(210)를 구비한다. 이때, 몸체부(220)는 상기 본체부(2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피검사자의 얼굴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된다. 상기 몸체부(220)는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222A),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도록 피검사자의 눈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선유도부(222B)를 구비한다.
즉, 상기 몸체부(220)는 회전부(230)를 통해 상기 본체부(210)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230)는 관절부(211)를 통해 상기 본체부(210)에 미리 결정된 각도만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피검사자가 상기 몸체부(220)를 착용하는 경우에 상기 관절부(211)를 중심으로 상기 몸체부(220)를 회동시킴으로써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20)를 통해 첫번째 촬영을 마친 다음 상기 몸체부(220)를 상기 회전부(230)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상기 촬영부(222A)와 시선유도부(222B)가 각각 다른 눈을 향하도록 착용함으로써 두번째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촬영부(222A)에서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216)에 의해 영상으로 구현되어 제2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10)에는 상기 촬영부(222A)에 의해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에 영상 이미지를 순간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버튼부(212)가 연결될 수 있다. 검사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확인하는 중에 원하는 영상 이미지를 상기 버튼부(212)를 눌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어부(216)가 상기 촬영부(222A)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촬영 여부를 판단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상기 촬영부(222A)와 시선유도부(222B)의 구성 및 동작과,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200)를 통해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는 동작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300)를 도시한다. 도 6의 (a)는 측면도, 도 6의 (b)는 피검사자가 바라본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3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피검사자의 얼굴에 착용하지 않고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손에 들고 촬영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소형화가 가능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300)를 사용하는 경우에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에 비해 보다 편하고 빠르게 촬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안과용 촬영장치(300)는 손잡이(316)를 구비하는 몸체부(31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310)는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314),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도록 상기 피검사자의 눈의 움직임을 안내하는 안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시선유도부(330)를 구비한다.
검사자 또는 피검사자가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300)를 사용하여 촬영을 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316)를 손으로 파지하고 상기 촬영부(314) 및 시선유도부(330)가 피검사자의 두 개의 눈을 각각 향하도록 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선유도부(330)는 상기 몸체부(310)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선유도부(330)는 회전축(332)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332)이 상기 몸체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300)를 사용하여 첫번째 촬영을 마친 다음 상기 시선유도부(330)를 도 6의 (b)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상기 몸체부(31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촬영부(314)와 시선유도부(330)가 각각 다른 눈을 향하도록 하여 두번째 촬영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31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제어부(313)가 구비된 본체부(35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14)에서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한 경우에 제2 디스플레이부(312)를 통해 영상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디스플레이부(312)는 상기 몸체부(310)의 일측, 정확하게는 상기 몸체부(310)에서 상기 촬영부(314)의 반대편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자가 상기 촬영부(314)를 통해 피검사자의 망막을 촬영하는 중에 실시간으로 망막의 영상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상기 제어부(313)가 상기 촬영부(314)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촬영 여부를 판단하여 촬영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4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400)는 피검사자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421)와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부(430)를 구비한 몸체부(420), 상기 촬영부(421) 및 시선유도부(4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12), 상기 촬영부(421)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제2 디스플레이부(49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12)는 본체부(4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410)는 상기 몸체부(4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시선유도부(430)가 피검사자의 눈 중에 어느 하나의 눈의 시선을 유도하는 중에 상기 촬영부(421)가 시선이 유도된 상기 눈의 망막을 촬영하게 된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시선유도부에 의해 시선이 유도되는 눈과 촬영부에 의해 망막이 촬영되는 눈이 서로 상이했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시선유도부에 의해 시선이 유도되는 눈과 촬영부에 의해 망막이 촬영되는 눈이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부(421)와 시선유도부(430)가 함께 구비되는 몸체부(42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간편하고 용이하게 촬영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며 촬영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촬영부(421)는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카메라부(441)와, 상기 망막을 향해 피검사자의 망막이 인식하지 못하는 광(예를 들어 적외선광)을 조사하는 제1 조명부(460)와, 상기 망막을 향해 백색광을 조사하는 제2 조명부(450)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부(441)에 의해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조명부(460)에 의해 광을 조사하여 피검사자의 눈부심을 방지하며, 상기 카메라부(441)에 의해 망막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조명부(450)에 의해 광을 조사하여 선명한 영상을 촬영하게 된다.
상기 제1 조명부(460)는 제1 광원(462)과, 제1 조사렌즈(46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462)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1 조사렌즈(464)를 거쳐 제1 반사렌즈(466)에 이르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광은 상기 제1 반사렌즈(466)에서 그 방향이 꺽여 비구면렌즈(422)를 거쳐 피검사자의 망막을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은 상기 망막에서 반사되어 상기 비구면렌즈(422)를 거쳐 제3 반사렌즈(446)에서 상기 카메라부(441)를 향해 꺽이게 된다.
상기 카메라부(441)는 편광판(polarizer)(444)과, 이미지 렌즈(442)와, 카메라(4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반사렌즈(446)에서 반사된 광은 상기 편광판(444) 및 이미지 렌즈(442)를 처겨 상기 카메라(440)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부(441)에 의해 획득된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는 상기 제2 디플레이부(490)를 통해 표시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412)는 상기 카메라부(441)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가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우에 촬영하여 저장하게 되며,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촬영하지 않고 안내 영상을 다시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구동에 대해서는 이미 앞선 실시예들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부(441)에 의해 촬영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백생광을 조사하는 제2 광원(452)에서 방사된 백색광은 제2 조사렌즈(454)를 거쳐 제2 반사렌즈(456)에 도달한다. 상기 제2 반사렌즈(456)에서 반사된 백색광은 상기 비구면렌즈(422)를 거쳐 망막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망막에서 반사된 백색광은 상기 편광판(444) 및 이미지 렌즈(442)를 처겨 상기 카메라(440)에 도달하게 되며, 이에 의해 망막에 대한 영상이 촬영되어 저장된다.
한편, 상기 시선유도부(430)는 안내영상이 표시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424)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424)의 전방에는 복수개의 렌즈(470, 48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피검사자의 망막과 제1 디스플레이부(424) 사이에는 제1 반사렌즈(466), 제2 반사렌즈(456) 및 제3 반사렌즈(446)가 위치하지만, 이러한 반사렌즈는 광을 투과시키면서 반사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반사렌즈(466), 제2 반사렌즈(456) 및 제3 반사렌즈(446)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424)에 표시되는 영상을 피검사자의 망막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제1 조명부(460) 및 제2 조명부(450)에서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게 된다.
한편 도 7에서는 피검사자의 하나의 눈의 망막만을 촬영하는 경우를 도시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피검사자의 양쪽 눈에 모두 도 7과 같은 장치가 구비되어 동시에 양쪽 눈의 망막을 모두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따른 안과용 촬영장치(400)의 구성은 도 1,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 형상을 가지는 촬영장치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200, 300, 400..안과용 촬영장치
110, 210, 350, 410..본체부
120, 220, 310, 420..몸체부
130, 222A, 314, 429..촬영부
140, 222B, 330, 424..시선유도부
144..제1 디스플레이부
160, 250, 312, 490..제2 디스플레이부
114, 216, 313, 412..제어부

Claims (14)

  1. 피검사자의 눈의 망막을 촬영하는 안과용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안내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시선유도부;
    상기 촬영부와 시선유도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촬영부 및 시선유도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보여주는 제2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영상은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안내하도록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를 따라 미리 정해진 순서에 의해 이동하는 대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안내영상에 따라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이 미리 정해진 방향을 향하는 경우에 상기 눈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내 영상의 변화시간에 대응하여 동기화되어 상기 촬영부에 의해 상기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의해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중에 검사자가 상기 망막을 촬영할 수 있는 버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기준 이미지와 비교하여 촬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는 경우에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여 저장하며, 상기 촬영부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가 미리 정해진 상기 기준 이미지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안내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반복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촬영하지 못한 상기 망막의 해당 영역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피검사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영상이 편집되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어느 하나의 눈의 망막을 촬영하며, 상기 시선유도부는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다른 하나의 눈의 시선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부가 상기 피검사자의 눈 중에 어느 하나의 눈의 시선을 유도하는 중에 상기 촬영부가 상기 시선이 유도된 눈의 망막에 대한 영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구비되는 본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선유도부는 상기 몸체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촬영장치.
KR1020170021339A 2017-02-17 2017-02-17 안과용 촬영장치 KR101930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39A KR101930924B1 (ko) 2017-02-17 2017-02-17 안과용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339A KR101930924B1 (ko) 2017-02-17 2017-02-17 안과용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180A true KR20180095180A (ko) 2018-08-27
KR101930924B1 KR101930924B1 (ko) 2018-12-20

Family

ID=6345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339A KR101930924B1 (ko) 2017-02-17 2017-02-17 안과용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7021A1 (ko) * 2018-12-07 2020-06-11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자가 안저 영상 촬영 장치, 자가 안저 영상 촬영 및 판독 장치 및 자가 안저 영상 촬영 및 판독 시스템
WO2021150055A1 (ko)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씨엠랩 양안 촬영 장치
KR20210095759A (ko) * 2020-01-23 2021-08-03 주식회사 씨엠랩 양안 촬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276B1 (ko) * 2020-11-09 2021-04-26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화상통화자 시선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625B2 (ja) * 2000-01-31 2005-06-02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眼球運動検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7021A1 (ko) * 2018-12-07 2020-06-11 인더스마트 주식회사 자가 안저 영상 촬영 장치, 자가 안저 영상 촬영 및 판독 장치 및 자가 안저 영상 촬영 및 판독 시스템
KR20200069547A (ko) * 2018-12-07 2020-06-17 서울대학교병원 자가 안저 영상 촬영 장치, 자가 안저 영상 촬영 및 판독 장치, 및 자가 안저 영상 촬영 및 판독 시스템
WO2021150055A1 (ko)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씨엠랩 양안 촬영 장치
KR20210095759A (ko) * 2020-01-23 2021-08-03 주식회사 씨엠랩 양안 촬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924B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44945B1 (en) Optometric device
CN104427924B (zh) 用于针对多个视觉范围测量患者的至少一个客观眼折射特征的装置和方法
ES2946253T3 (es) Aparato oftalmológico
US9357914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930924B1 (ko) 안과용 촬영장치
US20180206720A1 (en) Head-mounted indirect opthalmoscope camera
KR101942465B1 (ko)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JP7320662B2 (ja) 眼科装置
JP7100503B2 (ja) 眼科装置
JP2021164840A (ja) 撮像装置
JP6641730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用プログラム
US20220087527A1 (en) Retin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tina photographing method using same
KR20200067398A (ko) 가상현실 기반의 휴대용 안진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검진 방법
KR101911441B1 (ko) 휴대용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JPH06217938A (ja) 眼屈折計
JP7391178B2 (ja) 眼科装置
JP7227812B2 (ja) 眼科装置
JP4494075B2 (ja) 検眼装置
KR102169674B1 (ko) 혼합 현실 안저카메라
JP6788445B2 (ja) 眼科装置
JPH11309114A (ja) 検眼装置
JP7263985B2 (ja) 自覚式検眼装置
JP7227811B2 (ja) 眼科装置
JP7216562B2 (ja) 眼科装置
US20220369921A1 (en)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