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465B1 -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65B1
KR101942465B1 KR1020180011407A KR20180011407A KR101942465B1 KR 101942465 B1 KR101942465 B1 KR 101942465B1 KR 1020180011407 A KR1020180011407 A KR 1020180011407A KR 20180011407 A KR20180011407 A KR 20180011407A KR 101942465 B1 KR101942465 B1 KR 10194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ina
unit
position information
measurement position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1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루티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루티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루티헬스
Priority to US16/482,95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219366B2/en
Priority to JP2019542431A priority patent/JP2020507386A/ja
Priority to PCT/KR2018/001296 priority patent/WO2018143651A1/ko
Priority to KR1020180011407A priority patent/KR101942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65B1/ko
Priority to US17/544,701 priority patent/US2022008752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망막의 영상을 획득하는 망막 촬영 유닛, 상기 피검사자의 양안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및 이전 망막 촬영에서의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좌안에 대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제2 측정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바디 유닛을 장착하면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이 상기 좌안의 제1 측정위치 또는 상기 우안의 제2 측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Portable Retina Imaging Device of retina and method for imaging of retina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에 대한 것이다.
안저는 안구 속 망막의 후반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안저 검사를 통해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부, 시신경유두 그리고 망막혈관 등을 관찰할 수 있으며, 안저 검사를 통해 고혈압 환자의 병의 경중을 판단할 수 있고, 당뇨의 눈 합병증 검사를 할 수 있다. 시신경유두의 모양으로부터 녹내장, 뇌압상승, 시신경염, 허혈성신경병증 등 다양한 시신경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며 황반변성, 미숙아망막증 등의 망막질환에도 필수적이다. 특히 안저검사를 통해 3대 실명원인 중의 2가지인 녹내장과 황반변성의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한편, 종래의 안저 카메라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검사자의 안저를 검사하기 때문에, 피검사자는 안저 검사를 받기 위해서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 방문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의료기관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안저 검사를 받는 것조차 어려웠다.
상기한 문제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검사자의 최적 영상을 반복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망막의 영상을 획득하는 망막 촬영 유닛, 상기 피검사자의 양안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및 이전 망막 촬영에서 획득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좌안에 대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제2 측정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바디 유닛을 장착하면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이 상기 좌안의 제1 측정위치 또는 상기 우안의 제2 측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좌안에 대한 제1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우안에 대한 제2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 및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는 제1 축 및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에 대한 평면 좌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에 수직한 제3 축에 대한 제1 좌표 데이터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3 축에 대한 제2 좌표 데이터 및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거나,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좌안과 상기 우안 사이의 거리데이터를 더 제공받고,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이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한 후,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나머지 하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이전의 망막 촬영의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에 있어서, 이전 망막 촬영에서 획득한 피검사자의 좌안에 대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우안에 대한 제2 측정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망막 촬영 장치를 장착하면,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위치로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킨 후 망막을 촬영하여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 중 나머지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킨 후 망막을 촬영하여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이전의 망막 촬영에서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망막 촬영은, 구동 유닛에 의해, 바디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사전에 설정된 패턴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막 촬영 유닛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망막의 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가영상 및 상기 패턴 영상을 기초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망막 촬영 유닛에 의해, 상기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상기 망막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영상에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황반(fovea) 및 시신경유두(optic disc)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영상에서 상기 황반 및 상기 시신경유두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황반 및 상기 시신경유두 모두가 상기 가영상에서 존재하도록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패턴 영상의 중심과 상기 황반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좌안에 대한 제1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우안에 대한 제2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 및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는 제1 축 및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에 대한 평면 좌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에 수직한 제3 축에 대한 제1 좌표 데이터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3 축에 대한 제2 좌표 데이터 및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좌안과 상기 우안 사이의 거리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나머지 하나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은 재측정시 이전의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소 복잡한 정렬 과정을 생략하고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망막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망막 촬영 유닛의 광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망막 촬영 유닛의 광학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의 망막 촬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망막을 촬영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망막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유닛,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연결하다 또는 결합하다 등의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반드시 두 부재의 직접적 및/또는 고정적 연결 또는 결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 사이에 다른 부재가 개재된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10)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10)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는 바디 유닛(100), 망막 촬영 유닛(200), 구동 유닛(300) 및 제어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유닛(100)은 케이스(101) 및 거치부(102)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스(101)는 망막 촬영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망막 촬영 유닛(200) 및 구동 유닛(300)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01)에는 망막 촬영 유닛(200)이 피검사자의 좌안 및 우안의 망막을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피검사자의 양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개구(A1) 및 제2 개구(A2)가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 개구(A1) 및 제2 개구(A2)에는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되는 망막 촬영 유닛(200)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유리 또는 망막 촬영 유닛(2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집속하기 위한 광학 렌즈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 유닛(100)은 거치부(102)를 제외하고 케이스(101)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1)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피검사자가 직접 잡은 상태에서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나,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망막을 촬영할 수 있다.
거치부(102)는 케이스(101)에 연결되며 피검사자의 머리에 착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02)는 피검사자의 양 귀에 거치되어 바디 유닛(100)을 지지하는 안경 다리(eyeglass temples)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거치부(102)는 바디 유닛(100)을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10)가 피검사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든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거치부(102)는 탄성 소재로 형성된 밴드, 헬멧(helmets) 또는 스트랩(straps)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거치부(102)는 피검사자의 이마에 접촉하여 상기 바디 유닛(100)을 지지하는 이마 지지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02)는 이마 지지부(105)를 통해 망막 촬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망막 촬영 장치(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바디 유닛(100)은 피검사자의 안면에 대향되는 케이스(101)의 일 영역에 배치되며, 피검사자의 양안에 외부광을 차광하는 차광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160)는 망막 촬영 장치(10)를 피검사자가 착용하는 경우, 피검사자의 안면에 접촉되는 부분일 수 있다. 차광부(160)는 피검사자의 안면의 굴곡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차광부(160)는 피검사자의 안면과 안정적으로 밀착되며, 피검사자의 양안에 외부광을 효과적으로 차광하기 위하여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160)에는 일부 영역에 피검사자의 코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차광부(160)는 망막 촬영 중에 피검사자의 양안에 암실을 제공할 수 있어 동공 반사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는 피검사자의 망막 영상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바디 유닛(100)은 피검사자가 망막 촬영함에 있어 케이스(101)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케이스(101)의 일측에 배치되는 손잡이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유닛(100)은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부(110)에 인접한 케이스(101)의 표면에 요철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 유닛(100)은 외부의 동작에 의해 망막 촬영 장치(10)에 전원 온/오프(on/off)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부(140) 및 망막 촬영 장치(10)의 전원 입력 여부, 고장 여부 등의 동작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동작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을 외부에 표시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LED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망막 촬영 유닛(200)은 케이스(101)의 내부에 배치되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망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동 유닛(300)은 피검사자의 양안을 측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101)의 내부에서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유닛(300)은 망막 촬영 유닛(200)과 연결되며, 망막 촬영 유닛(200)을 피검사자의 좌안 및 우안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나머지 하나의 촬영을 위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P1↔P2). 예를 들면, 구동 유닛(300)은 리니어 엑츄에이터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동 유닛(300)은 망막 촬영 유닛(200)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동력 전달 장치든 적용이 가능하다.
제어 유닛(400)은 이전 망막 촬영에서의 피검사자의 좌안에 대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우안에 대한 제2 측정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는 이전 망막 촬영에서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영상을 획득할 때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정보로서, 외부의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망막 촬영 장치(10)는 통신 유닛(미도시)을 통해 획득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면,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는 피검사자 식별 정보에 대응되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피검사자 또는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상기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를 망막 촬영 장치(10)로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 유닛(400)은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지 않고,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가 미리 저장된 메모리부(402)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어 유닛(400)은 피검사자가 바디 유닛(100)을 장착하면 제1 측정위치정보 또는 제2 측정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이 좌안의 제1 측정위치 또는 우안의 제2 측정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망막 촬영 장치(10)는 피검사자가 이전에 망막 촬영 장치(10)를 이용하여 망막을 촬영하였을 때,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였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망막을 촬영하는 경우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였던 위치로 망막 촬영 유닛(200)을 바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망막 촬영 장치(10)는 검사할 때마다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어, 피검사자의 검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망막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는 피검사자에 대한 이전의 망막 촬영에서 획득한 최적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제1 측정위치정보는 좌안에 대한 제1 동공중심좌표(x1, y1)를 포함하고, 제2 측정위치정보는 우안에 대한 제2 동공중심좌표(x2, y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동공중심좌표(x1, y1) 및 제2 동공중심좌표(x2, y2)는 제1 축(x축) 및 제1 축(x축)에 수직한 제2 축(y축)에 대한 평면좌표데이터(x-y)일 수 있다.
또한, 제1 측정위치정보는 제1 축(x축)과 제2 축(y축)에 수직한 제3 축(z축)에대한 제1 좌표데이터(z1)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f1)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측정위치정보는 제3 축(z축)에 대한 제2 좌표데이터(z2) 및 제2 초점위치데이터(f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는 x-y-z-f의 4축에 관한 좌표데이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 유닛(400)은 망막 촬영 유닛(200)을 제1 동공중심좌표(x1, y1)로 이동시킨 후, 제1 좌표데이터(z1)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f1)를 이용하여 재조정하거나, 망막 촬영 유닛(200)을 제2 동공중심좌표(x2, y2)로 이동시킨 후, 제2 좌표데이터(z1)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f1)를 이용하여 재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 유닛(400)은 제1 측정위치정보 또는 제2 측정위치정보의 4축 좌표데이터를 이용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를 바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망막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보다 동공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이 다소 용이하기 때문에, 제어 유닛(400)은 망막 촬영 유닛(200)이 x-y 평면 상의 동공중심좌표로 이동한 후 z축으로 이동하고 초점(f)을 맞춤으로써, 망막 촬영 유닛(200)의 조정 용이성 및 위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 유닛(400)은 피검사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거리데이터를 메모리부(402)에 더 저장할 수 있다. 제어 유닛(400)은 망막 촬영 유닛(200)이 좌안 및 우안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한 후, 상기한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대편 눈으로 이동하도록 구동 유닛(3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망막 촬영 장치(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외부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유닛(미도시) 및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피검사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 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유닛(미도시)은 유선 통신 또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랜(Wireless La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에서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스피커 유닛(130)은 피검사자의 귀에 인접하도록 바디 유닛(100)의 거치부(102)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 유닛(130)은 일 실시예로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골전도(bone conduction)로 출력하는 골전도 스피커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스피커 유닛(130)은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공기를 통해 피검사자에게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망막 촬영 장치(10)는 피검사자가 바디 유닛(100)을 장착하면 장착여부에 관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 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유닛(미도시)은 피검사자가 수동으로 장착여부를 알리거나 검사 시작을 알릴 수 있는 스위치 또는 버튼과 같은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입력 유닛(미도시)은 피검사자가 버튼을 누르면 입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 유닛(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입력 유닛(미도시)은 피검사자가 바디 유닛(100)을 장착하면 이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미도시)는 피검사자의 착용 동작을 감지하거나 신체 일부를 감지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미도시)는 GPS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등을 더 구비하여 상기한 센서들로부터 제공되는 망막 촬영 장치(10) 자체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400)은 상기한 위치정보 및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피검사자가 망막 촬영 장치(10)를 제대로 장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정상 장착하였다고 판단되면 망막 촬영을 시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망막 촬영 유닛(2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망막 촬영 유닛(200)의 광학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망막 촬영 유닛(200)은 제1광원부(211), 제2광원부(213), 검출부(220) 및 광학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광원부(211)는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제1광을 조사하고, 제2광원부(213)는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제2광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광은 제1광과 다른 파장대역을 가질 수 있다. 제1광은 450nm 내지 650nm 파장 대역의 백색광일 수 있으며, 제2광은 750nm 내지 950nm 파장 대역의 적외선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광원부(213)는 복수의 파장대역을 조사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파장대역 중 둘 이상을 조합하여 제2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혈당 수치(glucose level)를 파악하기 위하여, 제2 광원부(213)는 650 내지 670nm 파장대역 및 800 내지 1300nm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자가형광 촬영을 위해서, 제2 광원부(213)는 470 내지 490 nm 파장대역, 790 내지 810 nm 파장대역 및 450nm의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470 내지 490 nm 파장대역, 790 내지 810 nm 파장대역 및 450nm의 파장의 광은 각각 리포푸신(Lipofuscin), 멜라닌(melanin) 및 황색 단백질(Flavoprotein)의 자가형광 촬영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최종당산화물(AGEs)의 측정을 위해서, 제2 광원부(213)는 370 내지 400 nm 파장대역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는, 산소포화도(Hemoglobin, Deoxyhemoglobin) 측정을 위해서, 제2 광원부(213)는 570 내지 580nm의 파장대역의 광, 750nm 파장의 광 및 800nm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2 광원부(213)는 파장대역이 다른 광을 한번에 조사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조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는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2광원부(213)를 이용하여 망막 또는 안구(E)의 위치를 파악하고, 백색광을 조사하는 제1광원부(211)를 이용하여 망막을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광원부(213)를 이용하여 망막을 촬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검출부(220)는 상기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제1광 및/또는 제2광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220)는 제1광 및 제2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부(220)는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원 및/또는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광학부(230)는 하나 이상의 렌즈(lens) 및 프리즘(prism) 또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와 같은 광경로변경수단을 구비하며, 제1광원부(211)로부터 조사된 제1광을 망막으로 안내하고,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제1광을 검출부(220)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광학부(230)는 제1광원부(211)로부터 조사된 제1광뿐만 아니라 제2광원부(213)로부터 조사된 제2광을 망막으로 안내하고,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제2광을 검출부(220)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광원부(211) 및 제2광원부(213)를 광원부(210)로 정의하고, 제1광 및 제2광을 동일한 광 경로를 갖는 광(L)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광학부(230)는 제1 광경로변경수단(S1)을 이용하여 광원부(210)으로부터 조사된 광(L)의 경로를 변경하여 피검사자 안구(E)의 망막으로 조사하고, 망막에서 반사되어 출사되는 광(L)을 검출부(2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광학부(230)는 광(L) 경로 상에 광(L)을 집속시켜 망막으로 제공하거나 검출부(220)로 제공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230)는 검출부(220)로 제공되는 광(L) 경로 상에 배치되는 렌즈(L1)와 연결되어 렌즈(L1)가 자동으로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Auto focusing actuator, M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오토 포커싱 엑츄에이터(M1)가 하나의 렌즈(L1)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에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예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는 케이스(101) 내부에 배치되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으로 사전에 설정된 패턴을 포함하는 패턴 영상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유닛(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영상은 망막을 촬영하는 동안 피검사자의 눈을 고정하기 위한 시선고정점(fixation point)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패턴 영상은 피검사자의 색맹/색약 검사와 같은 시력 검사에 사용되는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광학부(230)는 디스플레이 유닛(240)로부터 제공되는 패턴 영상(D)을 피검사자의 망막으로 더 안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40)은 바디 유닛(100)의 케이스(101) 내부에 광원부(210)와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부(230)는 디스플레이 유닛(240)으로부터 제공되는 패턴 영상(D)의 경로를 변경하여 망막으로 안내하는 제2 광경로변경수단(S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학부(230)는 각막 반사(cornea reflection) 및 백 스캐터링(back-scattering)을 방지하기 위한 제1 편광판(F1) 및 제2 편광판(F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광판(F1)은 제1 광경로변경수단(S1)과 안구(E)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편광판(F2)은 디스플레이 유닛(240)과 제2 광경로변경수단(S2)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망막 촬영 유닛(200)의 광학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형태의 망막 촬영 유닛(200)은 상기한 디스플레이 유닛(240)이 검출부(2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는 점, 제1광원부(211) 및 제2광원부(213)를 포함하는 광원부(210)가 오프 액시스(off-axis) 방식으로 광을 조사한다는 점에서 도 5의 망막 촬영 유닛(200)과 차이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는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광원부(211)는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제1광을 조사하고, 제2광원부(213)는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제2광을 조사할 수 있다. 제1광원부(211) 및 제2 광원부(2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 액시스(off-axis) 방식으로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광을 조사함으로써, 조사된 광이 망막이 아닌 동공으로부터 반사되어 검출부(220)로 진입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검출부(220)는 상기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제1광 및/또는 제2광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220)는 제1광 및 제2광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부(220)는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원 및/또는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영상을 촬영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일 수 있다.
광학부(230)는 하나 이상의 렌즈(lens) 및 프리즘(prism) 또는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와 같은 광경로변경수단(250)을 구비하며, 제1광원부(211) 및 제2광원부(213)로부터 조사된 광을 망막으로 안내하고,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부(220)로 안내할 수 있다.
광학부(230)는 광경로변경수단(25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240)으로부터 제공되는 패턴 영상(D)을 피검사자의 망막으로 더 안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닛(240)은 도 5의 망막 촬영 유닛(200)과 달리 검출부(2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광경로변경수단(250)은 디스플레이 유닛(240)으로부터 제공되는 패턴 영상(D)의 경로를 변경하여 망막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통과시켜 검출부(220)로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1의 망막 촬영 장치(10)를 이용하여 망막을 촬영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피검사자가 바디 유닛, 망막 촬영 유닛, 구동 유닛, 디스플레이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 먼저, 구동 유닛에 의해, 바디 유닛의 내부에서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킨다(S100).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은 망막 촬영 유닛과 연결되며 피검사자의 한쪽 눈의 망막을 촬영한 후 다른 눈의 망막을 촬영하도록 바디 유닛의 내부에서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 다시 말해 망막 촬영 유닛이 이동하여 촬영할 한쪽 눈에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패턴 영상을 제공한다(S200). 상기한 패턴 영상(D)은 피검사자의 눈을 고정하기 위한 시선고정점(FP)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광원부, 광학부 및 검출부를 포함하는 망막 촬영 유닛에 의해,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망막의 가영상을 촬영한다(S300). 망막의 가영상은 실시간(real-time)으로 촬영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에 의해, 가영상 및 패턴 영상을 기초로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은 상기한 가영상에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황반(fovea, F) 및 시신경유두(optic disc, OD)가 모두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400). 가영상에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황반 및 시신경유두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황반 중심과 패턴영상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 있다(S600). 이때, 패턴 영상은 시선고정점(FP)을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제어 유닛은 패턴영상의 중심에 배치되는 시선고정점(FP)과 황반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만약, 가영상에 황반(F) 및 시신경유두(OD)가 모두 존재하지 않거나 둘 중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제어 유닛(400)은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S500). 제어 유닛은 가영상에 황반(F) 및 시신경유두(OD)가 모두 존재할 때까지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거시적으로 조정한 후, 황반(F)의 중심과 시선고정점(FP)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망막 촬영 유닛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렇게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정렬된 망막 촬영 유닛을 이용하여 정확하고 선명한 망막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700).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10)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망막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 및 도 8의 망막 촬영 장치(10)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은 피검사자가 망막 촬영 장치(10)를 이용하여 처음 망막을 촬영하거나 망막의 위치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의 망막 촬영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을 통해 망막의 영상을 획득하는 최적 위치 정보가 저장되면, 이하 망막 촬영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히 망막 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유닛은 상기한 도 7의 망막 촬영 방법에 의해 도출된 최적 위치 정보인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T100). 이때,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는 이전 망막 촬영의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최적 초점 조건은 자동 초점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최적 초점 조건은 외부의 판독업체 또는 외부의 검사자에 의해 수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외부의 판독업체 또는 외부의 검사자는 피검사자에 대한 복수의 망막 영상들을 판독하고, 그 중 가장 초점이 정확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한 최적 초점 조건은 가장 초점이 정확한 영상을 촬영한 경우의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 정보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최적 초점 조건이 자동 초점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자동 초점 알고리즘은 컨트라스트(contrast) 검출 방식 또는 위상차(Phase difference) 검출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이러한 자동 초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망막 영상을 획득하고, 이때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피검사자가 다시 망막을 촬영하기 위해 망막 촬영 장치(10)를 장착하면,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위치(P11)로 망막 촬영 유닛(200)을 이동시킨 후 망막을 촬영하여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우안(RI)에 대한 망막영상 획득 후 좌안(LE)에 대한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순서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우안(RI) 촬영 후 좌안(LE)을 촬영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은 제1 측정위치정보에 포함된 제1 동공중심좌표(x1, y1)로 망막 촬영 유닛(200)을 이동시킨다(T210). 제1 동공중심좌표(x1, y1)는 x-y 평면(PA) 상의 좌표데이터로서, 망막의 중심과 망막 촬영 유닛(200)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PA) 상의 좌표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 제어 유닛은 제1 좌표데이터(z1)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f1)를 이용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220). 다음, 망막 촬영 유닛(200)은 우안(RI)의 망막을 촬영하여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4축 데이터인 제1 측정위치정보(x1, y1, z1, f1)을 이용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이 이전 망막 촬영 시 최적 영상을 획득하였던 제1 위치(P11)로 바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망막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보다 동공의 위치를 탐색하는 것이 다소 용이하기 때문에, 제어 유닛은 망막 촬영 유닛(200)이 x-y 평면(PA) 상의 제1 동공중심좌표(x1, y1)로 이동한 후 제1 좌표데이터(z1)를 이용하여 z축으로 이동하고 제1 초점위치데이터(f1)를 이용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를 통해, 망막 촬영 장치(10)는 망막 촬영 유닛(200)의 조정 용이성 및 위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은 메모리부에 저장된 거리데이터(l)를 이용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을 반대편 눈, 즉 좌안(L)으로 이동시킨다(T300). 여기서, 거리데이터(l)는 제1 동공중심좌표(x1, y1)와 제2 동공중심좌표(x2, y2) 사이의 거리일 수도 있으나, 망막 촬영 유닛(200)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x축 상의 거리로 나타낼 수 있다. 다시 말해, 거리데이터(l)는 |x1-x2|로 나타낼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은 제2 측정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제2 위치(P22)로 망막 촬영 유닛(200)을 이동시킨 후 망막을 촬영하여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유닛은 제2 측정위치정보에 포함된 제2 동공중심좌표(x2, y2)로 망막 촬영 유닛(200)을 이동시킨다(T410). 제2 동공중심좌표(x2, y2)는 x-y 평면(PA) 상의 좌표데이터로서, 망막의 중심과 망막 촬영 유닛(200)의 중심을 연결하는 연장선에 대하여 수직한 평면(PA) 상의 좌표데이터일 수 있다. 다음, 제어 유닛은 제2 좌표데이터(z2) 및 제2 초점위치데이터(f2)를 이용하여 망막 촬영 유닛(2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T420). 다음, 망막 촬영 유닛(200)은 좌안(LE)의 망막을 촬영하여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은 상기한 제1 망막 영상 또는 제2 망막 영상을 이전에 촬영된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영상과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제2 측정위치정보가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정보이나, 피검사자의 신체 변화 또는 망막 촬영 장치의 장착 습관 등의 변화에 의해 위치가 틀어질 수도 있다. 제어 유닛은 상기한 변화들에 의해 제1 망막 영상 또는 제2 망막 영상이 이전 최적 초점 조건에서 촬영된 영상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도 5의 망막 촬영 방법에 의해 망막을 재촬영하고, 이때의 제1 초점위치정보 및 제2 초점위치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시켜 보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는 거치부를 이용하여 바디 유닛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어디서든 휴대하여 망막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정확하고 선명한 망막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망막 촬영 장치는 바디 유닛의 내부에서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한번의 장착으로 피검사자의 양안 모두 동일한 환경 조건에서 촬영이 가능하여 정확한 검사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의 망막 촬영 방법은 가영상을 촬영하면서 피검사자의 황반 및 시신경유두가 모두 존재하도록 망막 촬영 유닛을 거시적으로 이동시킨 후 황반의 중심에 망막 촬영 유닛이 위치하도록 미세하게 조정함으로써, 망막 촬영 유닛을 빠르고 정확하게 망막에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망막 촬영 장치는 재측정시 이전의 최적 초점 조건에서의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다소 복잡한 정렬 과정을 생략하고 정확하면서도 빠르게 망막을 촬영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망막 촬영 장치 100: 바디 유닛
101: 케이스 102: 거치부
105: 이마 지지부 110: 손잡이부
115: 요철부 130: 스피커 유닛
140: 스위치부 150: 표시부
160: 차광부 200: 망막 촬영 유닛
210: 광원부 211: 제1광원부
213: 제2광원부 220: 검출부
230: 광학부 240: 디스플레이 유닛
300: 구동 유닛 400 : 제어 유닛

Claims (14)

  1.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바디 유닛;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망막의 영상을 획득하는 망막 촬영 유닛;
    상기 피검사자의 양안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 및
    이전 망막 촬영에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으로부터 획득하여 저장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좌안에 대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제2 측정위치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바디 유닛을 장착하면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또는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이 상기 좌안의 제1 측정위치 또는 상기 우안의 제2 측정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좌안에 대한 제1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우안에 대한 제2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 및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는 제1 축 및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에 대한 평면 좌표 데이터인, 망막 촬영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에 수직한 제3 축에 대한 제1 좌표 데이터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3 축에 대한 제2 좌표 데이터 및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1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거나,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로 이동한 후, 상기 제2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망막 촬영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좌안과 상기 우안 사이의 거리데이터를 더 제공받고,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이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어느 하나를 측정한 후,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나머지 하나로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망막 촬영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이전의 망막 촬영의 초점 조건에서의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정보인, 망막 촬영 장치.
  7.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에 있어서,
    이전 망막 촬영에서 상기 망막 촬영 장치의 망막 촬영 유닛으로부터 획득하여 저장된 피검사자의 좌안에 대한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우안에 대한 제2 측정위치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망막 촬영 장치를 장착하면,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위치로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킨 후 망막을 촬영하여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 중 나머지 하나를 이용하여 제2 위치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킨 후 망막을 촬영하여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 및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피검사자에 대한 이전의 망막 촬영의 초점 조건에서의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정보인,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의 망막 촬영은,
    구동 유닛에 의해, 바디 유닛의 내부에서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키는 단계;
    디스플레이 유닛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에 사전에 설정된 패턴 영상을 제공하는 단계;
    망막 촬영 유닛에 의해,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망막에 광을 조사하고 상기 망막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상기 망막의 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가영상 및 상기 패턴 영상을 기초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망막 촬영 유닛에 의해, 상기 초점 조건에서의 상기 망막의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가영상에 상기 피검사자의 좌안 또는 우안의 황반(fovea) 및 시신경유두(optic disc)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가영상에서 상기 황반 및 상기 시신경유두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황반 및 상기 시신경유두 모두가 상기 가영상에서 존재하도록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의 위치를 조정한 후, 상기 패턴 영상의 중심과 상기 황반의 중심을 일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11.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좌안에 대한 제1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우안에 대한 제2 동공중심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 및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는 제1 축 및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에 대한 평면 좌표 데이터인,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에 수직한 제3 축에 대한 제1 좌표 데이터 및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정위치정보는 상기 제3 축에 대한 제2 좌표 데이터 및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더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1 동공중심좌표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1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상기 제2 동공중심좌표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좌표데이터 및 상기 제2 초점위치데이터를 이용하여 재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14.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자의 상기 좌안과 상기 우안 사이의 거리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망막영상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제1 망막영상을 획득한 후 상기 거리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나머지 하나로 상기 망막 촬영 유닛을 이동시키는, 망막 촬영 장치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KR1020180011407A 2017-02-01 2018-01-30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KR10194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82,956 US11219366B2 (en) 2017-02-01 2018-01-30 Retin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tina photographing method using same
JP2019542431A JP2020507386A (ja) 2017-02-01 2018-01-30 網膜撮影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網膜撮影方法
PCT/KR2018/001296 WO2018143651A1 (ko) 2017-02-01 2018-01-30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KR1020180011407A KR101942465B1 (ko) 2018-01-30 2018-01-30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US17/544,701 US20220087527A1 (en) 2017-02-01 2021-12-07 Retin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tina photographing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1407A KR101942465B1 (ko) 2018-01-30 2018-01-30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465B1 true KR101942465B1 (ko) 2019-01-28

Family

ID=65269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1407A KR101942465B1 (ko) 2017-02-01 2018-01-30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6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01A1 (ko) * 2019-04-10 2020-10-15 주식회사 루티헬스 안구촬영장치
WO2021150055A1 (ko)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씨엠랩 양안 촬영 장치
WO2022030683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휴대 가능한 망막측정장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WO2022107922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시력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력 측정 시스템
KR102498594B1 (ko) * 2022-05-09 2023-02-10 한국전기연구원 생체조직의 다파장 분광신호 측정 방법 및 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5945A (ja) * 2012-11-30 2016-06-16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撮影装置
JP2016221075A (ja) * 2015-06-01 2016-12-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用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5945A (ja) * 2012-11-30 2016-06-16 株式会社トプコン 眼底撮影装置
JP2016221075A (ja) * 2015-06-01 2016-12-28 株式会社ニデック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用プログラム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09401A1 (ko) * 2019-04-10 2020-10-15 주식회사 루티헬스 안구촬영장치
KR20200120488A (ko) * 2019-04-10 2020-10-21 (주)루티헬스 안구촬영장치
KR102283939B1 (ko) * 2019-04-10 2021-07-30 (주)루티헬스 안구촬영장치
WO2021150055A1 (ko) * 2020-01-23 2021-07-29 주식회사 씨엠랩 양안 촬영 장치
WO2022030683A1 (ko) * 2020-08-07 2022-02-10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휴대 가능한 망막측정장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안과질환 측정 시스템 및 안과질환 관리방법
WO2022107922A1 (ko) * 2020-11-20 2022-05-27 주식회사 에덴룩스 시력 측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력 측정 시스템
KR102498594B1 (ko) * 2022-05-09 2023-02-10 한국전기연구원 생체조직의 다파장 분광신호 측정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465B1 (ko)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US10178948B2 (en) Self operatable ophthalmic device
US20240215818A1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for ocular misalignment measurement
US20220087527A1 (en) Retin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retina photographing method using same
US9770168B2 (en) Device for imaging an eye
US9357914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ophthalmolog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21164840A (ja) 撮像装置
US20130271727A1 (en) Ophthalmic apparatus
JP6641730B2 (ja) 眼科装置、および眼科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930924B1 (ko) 안과용 촬영장치
KR101911441B1 (ko) 휴대용 망막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망막 촬영 방법
JP6355438B2 (ja) 眼科測定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51107B2 (ja) 光学系の位置合わせ装置及び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三次元観察状態測定装置及び方法
JP7266375B2 (ja) 眼科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US20220160230A1 (en) Fundus oculi imaging device and fundus oculi imaging method using same
US20230014952A1 (en) Retinal imaging system
JPH11313800A (ja) 眼科装置
EP3440990A1 (en) System for imaging a fundus of an eye
US20220151486A1 (en) Ophthalmologic device and ophthalmologic system
JP2005087548A (ja) 眼科装置
WO2023145638A1 (ja) 眼科装置及び眼科プログラム
JPH10234672A (ja) 眼科撮影装置
KR20200063480A (ko) 휴대용 안진기 및 이의 캘리브레이션 방법
JP2024006535A (ja) 検眼装置および検眼プログラム
JP2021027876A (ja) 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