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176Y1 -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176Y1
KR200415176Y1 KR2020060002633U KR20060002633U KR200415176Y1 KR 200415176 Y1 KR200415176 Y1 KR 200415176Y1 KR 2020060002633 U KR2020060002633 U KR 2020060002633U KR 20060002633 U KR20060002633 U KR 20060002633U KR 200415176 Y1 KR200415176 Y1 KR 2004151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crew
terminal block
auxiliary contact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2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1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1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1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1Details concerning assembly of relays
    • H01H50/045Details particular to cont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20);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단자대(30); 단자대(30)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단부가 단자대(30)와 접촉되는 스크류(40); 스크류(40)에 결합되며, 스크류(40)의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되어 단자대(3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접속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단자를 단자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프레임, 단자대, 스크류, 단자접속부재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AUXILIARY CONTACT UNIT OF MAGNETIC CONTACTOR}
도 1은 종래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단자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단자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단자부의 단자대 구조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단자부의 동작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조접점유닛 20 : 프레임
22 : 커버부 30 : 단자대
32 : 스크류접촉부 34 : 단자지지부
40 : 스크류 50 : 단자접속부재
52 : 스크류홀 60 : 단자부
70 : 본체 80 : 외부단자
본 고안은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접촉기에 연결 설치되어 보조접점 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접촉기는 전기회로를 기계적으로 직접 차단하거나 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기기기의 일종으로, 과부하계전기 또는 전자개폐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전자접촉기는 최근 설비의 자동화가 진행되면서 PCB 또는 PLC와 함께 사용됨에 따라 제어 또는 통신 신호의 온/오프를 위하여 1∼2개의 보조접점이 구비되어 있으나, 시스템이 점점 커지고 복잡해짐으로 인해 1∼2개의 보조접점으로는 그 기능을 완전히 수행할 수 없어 보조접점유닛을 결합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보조접점유닛은 전자접촉기 본체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를 온/오프한다.
종래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단자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2); 단자대(2)에 관통 결합되는 스크류(4); 단자대(2)와 스크류(4)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크류(4)를 일부 푼 상태에서 단자대(2)와 와셔(6) 사이에 외부단자(미도시)를 위치시킨 후, 스크류(4)를 다시 견고하게 조임으로써 외부단자가 단자대(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보조접점유닛의 단자부는 외부단자로 전선 또는 U형 압착단자가 사용될 경우에는, 스크류(4)를 일부 풀었다가 다시 조이는 방법으로 외부단자를 단자대(2)에 간편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외부단자로 링형 압착단자가 사용될 경우에는, 스크류(4)와 와셔(6)를 단자대(2)에서 완전히 이탈시킨 상태에서 링형 단자를 단자대(2)에 올려놓고 스크류(4)를 다시 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링형 압착단자의 단자대(2) 접속작업이 상대적으로 복잡해짐은 물론이고 작업공수 및 작업시간이 증가되어 조립성 및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외부단자를 단자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단자대; 상기 단자대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단부가 상기 단자대와 접촉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단자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접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단자대에는 상기 스크류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크류접촉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단자접속부재와 접촉되는 단자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접속부재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스크류가 결합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박스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본체(70)는 상·하부프레임(72,74)에 의해 외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각종 전자부품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접점유닛(10)은 프레임(20); 프레임(20)에 설치되는 단자부(6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70)의 상부프레임(72) 양측에는 걸림돌기(73)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접점유닛(10)의 프레임(20) 양측에는 걸림돌기(73)에 대응 결합되는 걸림후크(1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후크(16)는 프레임(20)의 양측 중앙영역에 형성되어, 보조접점유닛(10)을 본체(70)에 결합하였을 때 보조접점유닛(10)의 상·하부가 균형있게 록킹된다.
이에 따라, 보조접점유닛(10)의 결합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체(70)의 하부프레임(74)에는 일정 크기의 고정홈(75,76)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조접점유닛(10)의 프레임(20) 내면에는 본체(70)의 하부프레임(74)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홈(75,76)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고정돌기(12,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보조접점유닛(10)의 프레임(20)은 대칭형의 좌우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프레임(20)의 형상 및 크기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프레임(20)의 외측에는 단자부(60)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2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접점유닛(10,도3참조)의 단자부(60)는 프레임(20,도3참조)에 설치되는 단자대(30); 단자대(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스크류(40); 스크류(40)에 나사 결합되는 단자접속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자대(30)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전선 또는 U형 압착단자 또는 링형 압착단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외부단자(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단자대(30)에는 스크류(40)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크류접촉부(32)가 형성됨과 아울러 그 하부면에는 단자지지부(34)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접촉부(32)는 스크류(30)의 회전동작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홀(Hole) 형상을 가진다. 스크류접촉부(32)의 형상은 스크류(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그 유동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단자지지부(34)는 외부단자를 견고하게 밀착 지지할 수 있도록 단자대(30)의 하부면, 즉 단자접속부재(50)와 대응 접촉되는 면에 사각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지지부(34)의 형상은 물론이고 그 설치개수 및 배치구조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스크류(40)는 회전동작에 의해 단자접속부재(5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며, 그 하단부가 단자대(30)와 접촉되어 있다. 단자대(30)와 접촉되는 스크류(40)의 하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류(40)는 회전동작되더라도 단자대(30)에 의해 그 위치는 변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단자접속부재(50)는 스크류(40)의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되어 단자대(30)에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단자를 단자대(30)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수 행한다.
이에 따라, 외부단자가 단자대(30)와 단자접속부재(50)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단자접속부재(50)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부에 스크류(40)가 결합되는 스크류홀(52)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박스 구조를 가진다. 스크류홀(52)의 벽면에는 스크류(40)와 대응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단자접속부재(50)는 스크류(40)의 회전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되어 단자대(30)에 밀착 접촉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그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단자부 동작상태를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6a에서와 같이 외부단자(80)를 단자대(30)에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외부단자(8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단자접속부재(50)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단자(80)를 단자대(30)와 단자접속부재(50) 사이에 확보된 공간에 위치시킨 다음 스크류(40)를 회전시킴에 따라, 스크류(40)의 나사산과 단자접속부재(50)의 나사산이 상호 작용하여 단자접속부재(50)가 상승하게 됨으로써 도 6b에서와 같이 외부단자(80)가 단자대(30)에 안정적으로 접속된다.
즉, 스크류(40)를 회전시키면 단자접속부재(50)가 상승하여 단자대(30)의 하부면과 단자접속부재(50)의 내면 사이에서 외부단자(80)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 때, 단자대(3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지지부(34,도5참조)가 외부단자(80)를 밀착 지지함으로써 단자대(30)로부터 외부단자(8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스크류(40)를 반대로 회전시키면 상승 상태의 단자접속부재(50)가 다시 하강함으로써 외부단자(80)의 접속상태를 간편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전선이나 U형 압착단자 뿐 아니라 링형 압착단자도 단자대에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로 인해, 외부단자 접속에 따른 작업공정 및 작업시간을 기존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접점유닛의 프레임 형성되어 있는 커버부를 통해 안전사고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Claims (4)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단자대;
    상기 단자대의 상부에 마련되며, 하단부가 상기 단자대와 접촉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의 회전동작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단자대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단자접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에는 상기 스크류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스크류접촉부가 형성되고, 하부면에는 상기 단자접속부재와 접촉되는 단자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접속부재는 전·후방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상기 스크류가 결합되는 스크류홀이 형성되어 있는 사각박스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KR2020060002633U 2006-01-27 2006-01-27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KR2004151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33U KR200415176Y1 (ko) 2006-01-27 2006-01-27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33U KR200415176Y1 (ko) 2006-01-27 2006-01-27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176Y1 true KR200415176Y1 (ko) 2006-05-02

Family

ID=4176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33U KR200415176Y1 (ko) 2006-01-27 2006-01-27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1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46Y1 (ko) 2008-12-03 2010-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의 전선 접속장치
KR20160040829A (ko) * 2014-10-06 2016-04-15 이문재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0346Y1 (ko) 2008-12-03 2010-09-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접촉기의 전선 접속장치
KR20160040829A (ko) * 2014-10-06 2016-04-15 이문재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KR101643998B1 (ko) 2014-10-06 2016-07-29 이문재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US9230765B2 (en) Modular overload relay assembly with mechanically isolated connector
KR100333935B1 (ko) 전자접촉기
JP5702314B2 (ja) 切り替え可能なヒューズ付き配電ブロック
EP2731121B1 (en) Modular overload relay assembly with preformed coil interface
US20020182913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having a protecting function
US20140133109A1 (en) Field replaceable auxiliary switch and control circuit assembly for an electrical contactor
KR200415176Y1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JP4456519B2 (ja) 電気接続箱
US9559513B2 (en) Voltage sensor contact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7282401A (ja) 電気接続箱
KR200483105Y1 (ko) 조인트 커넥터 및 어스 터미널 결합장치
KR101439144B1 (ko) 퓨즈박스 커버의 체결 이상 알림 구조
KR100370106B1 (ko) 전동기 보호용 계전기
CN205303799U (zh) 一种稳定端子位置度的电气盒
JP2020061916A (ja) 電気接続箱
CN217822627U (zh) 具有智能检测功能的断路器
KR20110058486A (ko) 인쇄회로기판 조립체
KR200450936Y1 (ko) 정션박스의 신호전달장치
US20040079626A1 (en) Smart/variable circuit breaker for automotive and other applications
KR200247037Y1 (ko) 전자접촉기의 코일터미널 유동방지구조
KR101997213B1 (ko) 부정 분해 방지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JP4696005B2 (ja) 電力量計
WO2014065200A1 (ja) 電気接続箱
KR100645582B1 (ko) 전기단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