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998B1 -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 Google Patents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998B1
KR101643998B1 KR1020140134238A KR20140134238A KR101643998B1 KR 101643998 B1 KR101643998 B1 KR 101643998B1 KR 1020140134238 A KR1020140134238 A KR 1020140134238A KR 20140134238 A KR20140134238 A KR 20140134238A KR 101643998 B1 KR101643998 B1 KR 10164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wire
energizing member
pressing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0829A (ko
Inventor
이문재
최은하
Original Assignee
이문재
최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재, 최은하 filed Critical 이문재
Priority to KR102014013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0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H01H71/0264Mountings or coverplates for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e.g. snap mounting in panel
    • H01H71/0271Mounting several complete assembled circuit breaker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8Terminals; Connection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의 구성은 차단기 바디(10); 상기 차단기 바디(10)에 구비된 전선 통전부재(20);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에서 돌출된 접속 지지돌부(26);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와 마주하는 위치에 가압편(34)이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 바디(10)에 배치된 가압 작동부재(30);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볼트 결합편(32)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 통전부재(20)를 기준으로 회전시에 상기 가압 작동부재(30)를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로 근접시켜서 전선(2)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3a)이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와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상기 가압편(34)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볼트(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Mini circuit breaker with improved wiring convenience and compatability}
본 발명은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의 종류에 관계없이 배선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는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편리하게 사용되는 만큼 취급 부주의나 과전류, 단락, 누전 등의 원인으로 대형화재나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유발시켜 인명과 재산의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기 위해 배선용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를 설치한다. 배선용 차단기는 교류 460V 이하의 저압 회로에 있어서 전기 선로 상에 과전류나 단락 등으로 인해 이상 전류가 발생할 때, 이를 감지하여 회로를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부하 기기 및 회로의 손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누전 차단기는 과전류 보호뿐만 아니라, 누설 전류 발생시 누전에 의한 인명 피해 및 화재를 동시에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즉, 가정이나 공장 등에 주로 설치되는 소형 차단기는 가정용 배전반에 설치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고, 부하 사용중에는 부하 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한다. 최근 들어, 배선용 차단기는 별도의 누전 차단 회로 및 누전 차단 부재를 더 채용하여 누전 차단을 겸용할 수 있게 개발된 바 있다. 즉, 누전 차단을 겸한 배선용 차단기는 단락 또는 누전시 차단기의 인위적인 개폐와는 상관없이 차단기 내에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시켜 주는데, 이를 통상의 '트립'이라 한다.
이러한 트립 장치로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열동식 트립 기구와, 오일 대쉬 포트(ODP: oil dash pot)를 이용한 전자식 트립 기구로 구분된다. 이 중에서, 열동식 트립 기구를 이용한 차단기는 과전류 또는 단락 사고 발생시 이상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열동형 과전류 검출소자의 바이메탈이 열 변형되고, 바이메탈이 열 변형되면서 트립 기구를 기계적으로 밀어 메인 스위치를 동작시킴으로써 전원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진다.
종래의 차단기는 열동식 트립 기구를 채용하여 과전류 또는 단락사고 발생시 바이메탈의 열변형에 의해 트립 기구를 연동시켜 전원을 차단함과 동시에, 누전 감지시 보빈에 권회된 누전 감지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을 이용하여 트립 기구를 연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전기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전기 사용처 사이의 배선을 소형 차단기에 연결하게 된다. 즉, 소형 차단기의 배선이 이루어지는 전선 접속 단자부에는 소형 차단기의 내부 전기 회로에 연결된 통전성의 전선 통전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 통전부재에는 볼트홀이 구비되어,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볼트홀에 고정볼트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선 통전부재에 배선용 전선을 거치시키고 고정볼트로 전선을 가압하여 전선 통전부재과 고정볼트에 의해 전선이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때, 전선에는 조건에 따라 링형상의 클립(O형 클립)이 연결되기도 하고 한쪽이 개방된 클립(Y형 클립)이 연결되어, 상기 통전성의 클립이 전선 통전부재과 고정볼트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볼트의 가압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전선의 배선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Y형 클립의 경우 소형 차단기의 전선 접속 단자부의 조건(예를 들어, 전선 접속 단자부에서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위쪽이 막혀 있는 경우나 고정볼트가 전선 통전부재에서 완전 분리되지 않는 구조 등의 경우)에 비교적 덜 제약을 받고 상기 전선 통전부재과 고정볼트의 헤드부 사이에 개재되어 접속될 수 있는 반면 Y형 클립 자체는 고정볼트의 볼트축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된 것이 아니라서 전선에 작용하는 외력 등에 의해 Y형 클립이 전선 통전부재과 고정볼트의 헤드부 사이에서 옆쪽으로 빠질 여지가 있고, O형 클립은 고정볼트의 볼트축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전선에 작용하는 외력 등에 의해 Y형 클립이 전선 통전부재과 고정볼트의 헤드부 사이에서 옆으로 빠질 여지는 없으나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위쪽이 막혀 있는 경우나 고정볼트가 전선 통전부재에서 완전 분리되지 않는 구조 등이 경우 고정볼트의 헤드부와 전선 통전부재 사이에 끼워서 접속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전선에 Y형 클립이 연결되어 있든 O형 클립이 연결되어 있든 관계없이 전선의 접속을 쉽게 할 수 있고, 상기 클립들이 접속된 상태에서 옆으로 빠지지 않도록 전선 접속 구조는 견고하게 구현할 수 있는 소형 차단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6-0019295호(2006.03.03 공개)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93498호(2007.09.19 공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1559호(2014.02.25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66485호(2002.02.18 등록)
본 발명은 전선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선의 배선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전선에 O형 클립이 연결되거나 Y형 클립이 연결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O형 클립이든 Y형 클립이든 관계없이 손쉽게 전선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클립들이 접속된 다음에는 전선 접속 단자부에서 전선이 옆으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새로운 구조의 소형 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기 바디; 상기 차단기 바디에 구비된 전선 통전부재;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하부에서 돌출된 접속 지지돌부;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상기 접속 지지돌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가압편이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 바디에 배치된 가압 작동부재 및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상부 콘택트편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 작동부재의 볼트 결합편에 결합되며, 상기 전선 통전부재를 기준으로 회전시에 상기 가압 작동부재를 상기 접속 지지돌부로 근접시켜서 전선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이 상기 접속 지지돌부와 상기 가압 작동부재의 상기 가압편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가 제공된다.
상기 전선 통전부재는, 상기 상부 콘택트편과 상기 하부 콘택트편이 연결 통전편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 통전편에 대해 상기 상부 콘택트편과 하부 콘택트편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콘택트편의 저면으로 하향 돌출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압 작동부재는, 상기 볼트 결합편과 상기 가압편이 연결편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은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상기 하부 콘택트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의 상면에는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상기 하향 돌출부와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단기 바디에 구비된 전선 통전부재를 고정볼트가 관통하여 가압 작동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부와 전선 통전부재의 상부 콘택트편 사이에 상측 전선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하부 콘택트편에서 접속 지지돌부가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가압 작동부재의 볼트 결합편이 고정볼트의 볼트축에 결합되어 전선 통전부재의 상부 콘택트편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은 접속 지지돌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콘택트편과 가압편 사이에 하측 전선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기 바디는 하측 전선 접속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투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 전선 접속 단자부에 전선을 접속할 때에는 상기 차단기 바디의 전선 투입홀을 통해 전선의 클립을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하측 콘택트편과 가압 작동부재의 가압편 사이에 투입하게 되는데, 상기 전선 통전부재의 하측 콘택트편에는 본 발명의 특징부인 접속 지지돌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차단기 바디의 전선 투입홀을 통해 Y형 클립은 물론 O형 클립도 투입하여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주요부인 전선 통전부재에 구비된 접속 지지돌부가 O형 클립의 내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가압 작동부재의 가압편에 형성된 돌부 삽입부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O형 클립 자체는 전선 통전부재의 하부 콘택트편과 가압 작동부재의 가압편에 의해 위아래가 가압 고정된다. 즉, O형 클립이 가압 작동부재의 돌부 삽입부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 지지돌부에 의해 걸려져 있으므로, 전선과 O형 클립을 옆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O형 클립과 전선이 전선 통전부재와 가압 작동부재에서 빠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선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이 Y형이든 O형 클립이든 관계없이 모든 종류의 클립을 접속하여 전선을 연결할 수 있으므로, 배선의 편리성과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차단기 바다의 옆으로 개구되어 있는 전선 투입홀을 통해 전선의 O형 클립을 투입한 상태에서 고정볼트에 의해 주요부인 가압 작동부재를 상승시키면, 상기 차단기 바디에 구비된 전선 통전부재의 하부 콘택트편과 가압 작동부재의 가압편 사이에 O형 클립이 가압되고 동시에 O형 클립은 상기 하부 콘택트편에 구비된 접속 지지돌부에 걸려져서 차단기 바디의 전선 투입홀로 빠지지 않도록 접속되므로, Y형 클립이든 O형 클립이든 관계없이 접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선 통전부재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형 차단기가 복수개로 겹쳐져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전선 통전부재와 가압 작동부재의 분해하여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선 통전부재와 가압 작동부재 및 고정볼트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부를 구비한 소형 차단기의 일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주요부인 전선 통전부재와 가압 작동부재 및 고정볼트에 의해 전선을 접속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전선 통전부재와 가압 작동부재 및 고정볼트에 의해 전선을 접속한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측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형 차단기에서 차단기 바디(10)는 상기한 기존의 소형 차단기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전기 회로 부품들이 내장되어 전선(2)이 흐를 수 있는 전기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차단기 바디(10)의 상면으로는 스위칭 레버가 구비되어, 무부하 상태에서는 스위칭 레버가 부하측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개폐장치의 역할을 하도록 내부의 전기 회로와 단락된 상태로 유지되고, 부하 사용중에 부하 전로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여 부하 전류를 초과하는 대전류가 흐를 경우 전로의 전선(2) 및 부하측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위칭 레버가 전기 회로를 개방(오픈)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차단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차단기 바디(10)의 정면에서 볼 때에 상단부와 하단부에 인접된 부분에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이 구비된다.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는 한 쌍의 나란한 격벽(14)이 구비된다. 또한,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는 후술하는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삽입홀(12)이 형성된다.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은 차단기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인접한 상면에서 아래로 일정 깊이가 있는 공간 형태를 이룬다.
상기 차단기 바디(10)에 전선 통전부재(20)가 구비된다. 차단기 바디(10)의 상단부측과 하단부측의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 전선 통전부재(20)가 내장된다. 전선 통전부재(20)는 연결 통전편(23)과 상부 콘택트편(22) 및 하부 콘택트편(24)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이 연결 통전편(2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연결 통전편(23)에 대해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은 차단기 바디(10)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있다. 차단기 바디(10)의 두 개의 격벽(14) 사이에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이 배치되어 차단기 바디(10)의 상면 쪽으로 노출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부 콘택트편(22)에는 상하면으로 관통된 볼트 삽입홀이 구비된다.
상기 전선 통전부재(20)는 상부 콘택트편(22)이 차단기 바디(10)의 두 개의 격벽(14) 사이에서 차단기 바디(10)의 상면으로 노출됨과 동시에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 삽입된 상태로 차단기 바디(10)에 고정된다.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 형성된 고정 지지홈에 전선 통전부재(20)의 연결 통전편(23) 양쪽에 돌출된 고정편이 결합됨으로써 상기 전선 통전부재(20)가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으로 접속 지지돌부(26)가 돌출된다. 접속 지지돌부(26)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서,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 아래로 볼록한 돔형상으로 접속 지지돌부(2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는 하부 콘택트편(24)을 상면에서 아래로 프레싱하는 가공에 의해 하부부 콘택트편의 저면에서 아래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 지지돌부(26)의 상부 콘택트편(22)과 마주하는 상면은 아래로 오목하고 접속 지지돌부(26)의 상부 콘택트편(22)과 마주하는 면에 반대되는 저면은 아래로 볼록하게 돌출된 돔형상을 이루는 것이다.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를 하부 콘택트편(24)의 상면에서 저면 방향으로 눌러주는 가공에 의해 형성할 경우, 접속 지지돌부(26)를 형성하기가 쉽고 간편하다.
본 발명은 전선 통전부재(20)에 구비된 접속 지지돌부(26)와 마주하는 위치에 가압편(34)이 구비되어 차단기 바디(10)에 배치된 가압 작동부재(30)를 포함한다. 가압 작동부재(30)는 차단기 바디(10)에 형성된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 내장된다. 가압 작동부재(30)는 연결편(3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볼트 결합편(32)과 가압편(34)이 연결된 구조이다.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연결편(33)은 한 쌍의 서로 마주하는 제1연결편(33a)과 제2연결편(33b)을 포함한다.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삽입홀(12)이 형성된 측면에서 볼 때에 제1연결편(33a)과 제2연결편(33b)은 각각 좌측과 우측에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 좌우측에 가압 작동부재(30)의 제1연결편(33a)과 제2연결편(33b)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볼트 결합편(32)은 연결편(33)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상부 볼트 결합편(32a)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볼트 결합편(32a)의 기단부는 제1연결편(33a)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연결편(33a)에는 걸침홈(33g1)이 구비된다. 정확하게 제1연결편(33a)과 상부 볼트 결합편(32a)이 이어지는 부분에는 걸침홈이 구비된다. 걸침홈은 제1연결편(33a)의 내외측면으로 연통된 사각홀 구조이다. 또한, 상기 상부 볼트 결합편(32a)의 선단부에는 하향 걸침편(32c)이 구비된다. 이때, 하향 걸침편(32c)은 소경 걸침편과 대경 걸침편을 포함한다. 소경 걸침편은 제1연결편(33a)과 상부 볼트 결합편(32a)이 이어지는 부분에서 제2연결편(33b)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대경 걸침편은 소경 걸침편의 하단부에 이어진 대략 마름모꼴 형상의 조각편으로 구성되며 소경 걸침편에 비하여 전후단 폭이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 하부 볼트 결합편(32b)의 기단부는 제2연결편(33b)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2연결편(33b)에는 걸침홈(33g2)이 형성된다. 정확하게 제2연결편(33b)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이 이어지는 부분에서 제2연결편(33b)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걸침홈(33g2)이 구비된다. 이때, 제2연결편(33b)의 걸침홈은 소경 홈부와 대경 홈부로 구성된다. 소경 홈부는 제2연결편(33b)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이 이어지는 부분에서 제2연결편(33b)의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대경 홈부는 대략 마름모꼴 형상의 홈으로 구성되어 소경 홈부의 하단부에 이어지며 동시에 소경 홈부에 비하여 전후단 내경이 더 크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볼트 결합편(32b)의 선단부에는 걸침편(32d)이 구비된다. 하부 볼트 결합편(32b)의 걸침편(32d)의 대략 사각 조각편 형태이다.
따라서, 상기 상부 볼트 결합편(32a)의 선단부에 구비된 하향 걸침편(32c)은 제2연결편(33b)에 구비된 걸침홀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볼트 결합편(32b)의 선단부에 구비된 다른 걸침편(32d)은 제1연결편(33a)에 구비된 걸침홈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 볼트 결합편(32a)의 하향 걸침편(32c)을 구성하는 소경 걸침편과 대경 걸침편은 각각 제2연결편(33b)의 소경 홈부와 대경 홈부에 딱 맞게 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상부 볼트 결합편(32a)은 제2연결편(33b)에 구비된 걸침홈에 하향 걸침편(32c)이 결합되어 걸림 부분이 형성되고, 하부 볼트 결합편(32b) 선단부의 걸침편(32d)도 제1연결편(33a)의 걸침홈에 결합되어 걸림 부분이 형성되므로, 상기 상부 볼트 결합편(32a)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이 위쪽으로 들려서 벌어지는 일이 생기지 않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부 볼트 결합편(32a)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은 연결편(3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진다. 제1연결편(33a)과 제2연결편(33b)이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부 볼트 결합편(32a)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상부 볼트 결합편(32a)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에는 각각 상하면으로 연통된 볼트홀이 구비된다. 상부 볼트 결합편(32a)의 볼트홀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의 볼트홀은 상하 방향의 동일 축선상에 정렬된다.
또한, 상기 가압편(34)은 상부 볼트 결합편(32a)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과 마주하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가압편(34)은 양단부가 제1연결편(33a)과 제2연결편(33b)의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하부 볼트 결합편(32b)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가압편(34)은 돌부 삽입부(35)를 구비한다. 돌부 삽입부(35)는 가압편(34)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홀 구조이다. 이러한 돌부 삽입부(35)는 전선 통전부재(20)에 구비된 접속 지지돌부(26)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정렬된다.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에서 접속 지지돌부(26)가 돌출되는데,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형성된 돌부 삽입부(35)가 접속 지지돌부(26)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정렬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는 아래로 볼록한 돔형상이라서 상기 돌부 삽입부(35)은 돔형상 접속 지지돌부(26)가 맞아들어가도록 원형홀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편(34)의 돌부 삽입부(35)는 관통하는 홀 대신에 아래로 함몰된 홈 형태의 오목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오목홈 형태의 돌부 삽입부(35)는 전선 통전부재(20)의 접속 지지돌부(26)가 맞아들어가도록 아래로 오목한 구형 홈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볼트 결합편(32)은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은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가압 작동부재(30)는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고 동시에 회전하는 것은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 작동부재(30)가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통전부재 수용홈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가압편(34)이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으로 근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을 관통하여 가압 작동부재(30)의 볼트 결합편(32)에 결합된 고정볼트(40)를 구비한다. 고정볼트(40)는 전선 통전부재(20)를 기준으로 회전시에 가압 작동부재(30)를 접속 지지돌부(26)로 근접시켜서 전선(2)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3a)이 전선 통전부재(20)에 구비된 접속 지지돌부(26)와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볼트(40)는 통상의 볼트와 마찬가지로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단부에는 헤드부(44)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정볼트(40)는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에 상하면으로 관통된 볼트 삽입홀에 끼워지며 고정볼트(40)의 상단부에 구비된 헤드부(44)는 상부 콘택트편(22)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고정볼트(40)는 가압 작동부재(30)를 구성하는 상부 볼트 결합편(32a)과 하부 볼트 결합편(32b)의 볼트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전선 통전부재(20)를 기준으로 고정볼트(40)를 회전시키면, 상기 가압 작동부재(30)가 상승하여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에 구비된 접속 지지돌부(26)를 향하여 가압 작동부재(30)가 근접된다.
또한, 상기 차단기 바디(10)는 전선 통전부재(20)가 구비된 위치에 좌우 양쪽으로 한 쌍으로 배치된 격벽(14)에 의해 전선(2) 투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2) 투입 공간부의 상부는 차단기 바디(10)에 힌지부를 통해 기단부가 연결된 커버(16)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기 바디(10)는 커버(16)의 기단부와 인접된 표면에 힌지 보스(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6)의 기단부에는 힌지핀(17)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핀(17)이 차단기 바디(10)의 힌지 보스(11)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커버(16)의 회동 기준점인 힌지부를 형성한다. 즉, 차단기 바디(10)의 힌지 보스(11)와 커버(16)의 힌지핀(17)이 커버(16)의 회동 개폐 기준점인 힌지부가 된다. 상기 차단기 바디(10)의 전선(2) 투입 공간부는 육면체 공간부 구조를 이루고, 상기 커버(16)는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커버(16)의 기단부측 안쪽면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힌지핀(17)이 차단기 바디(10)의 힌지 보스(11)에 결합되어, 상기 힌지 보스(11)와 힌지핀(17)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힌지부를 기준으로 커버(16)가 상기 차단기 바디(10)의 전선(2) 투입 공간부 위쪽으로 개폐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17)의 외경이 힌지 보스(11)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힌지핀(17)이 힌지 보스(11)에 가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커버(16)를 힌지부를 기준으로 위로 회동시켜 개방된 상태에서는 힌지 보스(11)의 내주면에 일정한 힘으로 가압 밀착되어 있는 힌지핀(17)에 의해 커버(16)의 개방 상태가 유지된다. 커버(16)의 개방 각도가 유지되는 것이다. 물론, 커버(16)를 닫을 상태에서도 상기 힌지부로 인하여 커버(16)가 유동없이 닫혀있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6)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구멍(16h)이 구비된다. 커버(16)의 구멍(16h)은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축선상에 정렬된다. 커버(16)를 닫은 상태에서 구멍(16h)을 통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헤드부(44)의 공구 결합홈에 결합한 상태에서 공구를 이용해 고정볼트(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16)로 전선(2) 투입 공간부를 닫을 때에 커버(16)의 양쪽 사이드는 차단기 바디(10)의 한 쌍의 격벽(14)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격벽(14)의 내측면과 커버(16)의 사이드는 결합돌기와 결합 돌기홈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16)의 양쪽 사이드에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두 개의 격벽(14) 내측면에 결합 돌기홈이 구비되어, 상기 커버(16)를 닫은 상태에서 커버(16) 양쪽 사이드의 각 결합돌기가 차단기 바디(10)의 두 개의 격벽(14) 안쪽면의 결합 돌기홈에 걸리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차단기 바디(10)에 구비된 전선 통전부재(20)를 고정볼트(40)가 관통하여 가압 작동부재(30)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와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 사이에 상측 전선(2)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에서 접속 지지돌부(26)가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볼트 결합편(32)이 고정볼트(40)의 볼트축(42)에 결합되어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34)은 접속 지지돌부(26)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콘택트편(24)과 가압편(34) 사이에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기 바디(10)는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삽입홀(12)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본 발명은 상측 전선(2) 접속 단자부에는 Y형 클립과 O형 클립(3a)을 모두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에서도 Y형 클립과 O형 클립(3a)을 모두 결합할 수 있다는 데에 주요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볼트(40)를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서 완전히 풀어준 상태에서는 전선(2)에 연결된 O형 클립(3a)을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에 접촉시키고 고정볼트(40)를 O형 클립(3a)과 상기 상부 콘택트편(22)에 형성된 볼트 삽입홀을 관통시켜서 가압 작동부재(30)의 볼트 결합편(32)에 형성된 볼트홀에 결합하여 고정볼트(40)를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고정볼트(40)에 의해 가압 작동부재(30)가 상승하여 하부의 가압편(34)이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에 가압밀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와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이 상기 O형 클립(3a)을 위아래에서 가압하게 되므로, O형 클립(3a)이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와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 사이에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선(2)에 연결된 Y형 클립인 경우, 고정볼트(40)를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서 완전히 풀어주지 않고 약간 풀어준 상태에서 Y형 클립의 브이자 형상부를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와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 사이에 개재시켜 고정볼트(40)를 조여주면 Y형 클립을 전선 통전부재(20)와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 사이에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커버(16)는 닫아놓은 상태에서 커버(16)의 구멍(16h)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에 있는 공구 결합홈에 결합한 상태에서 공구에 의해 고정볼트(40)를 회전시킬 수도 있고, 상기 커버(16)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에 있는 공구 결합홈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결합하여 공구에 의해 고정볼트(4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차단기 바디(10)에 구비된 상기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삽입홀(12)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에 전선(2)을 접속할 때에는 상기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삽입홀(12)을 통해 전선(2)의 클립(3a)을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측 콘택트편과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 사이에 투입하게 되는데,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측 콘택트편에는 본 발명의 특징부인 접속 지지돌부(26)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삽입홀(12)을 통해 Y형 클립은 물론 O형 클립(3a)도 투입하여 접속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볼트(40)를 완전히 조여진 상태에서 풀어줌으로써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하부측 가압편(34)이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과 접속 지지돌부(26)의 아래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전선(2)에 연결된 O형 클립(3a)을 상기 차단기 바디(10)의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삽입홀(12)을 통해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로 돌출된 접속 지지돌부(26)와 가압 작동부재(30)의 하부측 가압편(34) 사이에 개재되도록 투입한다. 이때,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에 O형 클립(3a)의 내부 공간부(원형 공간부)가 정렬되도록 하는데,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형성된 돌부 삽입부(35)이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에 상하로 정렬되어 있으므로, 상기 O형 클립(3a)의 내부 공간부와 접속 지지돌부(26) 및 상기 돌부 삽입부(35)이 상하로 똑바로 정렬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볼트(40)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서 가압 작동부재(30)를 상승시킨다. 상기 고정볼트(40)에 의해 가압 작동부재(30)가 상승하여 하부의 가압편(34)이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에 가압밀착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 지지돌부(26)는 O형 클립(3a)의 내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형성된 돌부 삽입부(35)에 결합되는 한편, 상기 O형 클립(3a) 자체는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과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의해 위아래가 가압 고정되므로, 상기 전선(2)이 O형 클립(3a)에 의해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O형 클립(3a)이 가압 작동부재(30)의 돌부 삽입부(35)에 결합되어 있는 접속 지지돌부(26)에 의해 걸려져 있으므로, 전선(2)과 O형 클립(3a)을 옆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O형 클립(3a)과 전선(2)이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서 빠지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돌부 삽입부(35) 대신에 오목한 구형홈 형태의 오목홈을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에 구비된 접속 지지돌부(26)가 상기 오목홈에 맞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O형 클립(3a)을 접속 지지돌부(26)에 걸려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선(2)에 연결된 Y형 클립인 경우, 고정볼트(40)를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서 완전히 풀어주지 않고 약간 풀어준 상태에서 Y형 클립의 브이자 형상부를 차단기 바디(10)의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삽입홀(12)을 통해 투입하여,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와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 사이에 Y형 클립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볼트(40)를 조여주면 Y형 클립을 전선 통전부재(20)와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 사이에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에 Y형 클립도 연결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기존에 차단기 바디(10)의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에는 O형 클립(3a)을 연결하기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은 차단기 바디(10)의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에는 O형 클립(3a)을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클립(3a)의 종류에 관계없이 전선(2)의 배선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전선(2)에 O형 클립(3a)이 연결되거나 Y형 클립이 연결되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O형 클립(3a)이든 Y형 클립이든 관계없이 손쉽게 전선(2)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클립(3a)들이 접속된 다음에는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에 의해 전선(2) 접속 단자부에서 전선(2)이 옆으로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선(2)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3a)(Y형 클립이나 O형 클립(3a) 등)이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과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 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면,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는 클립(3a)의 내측 공간(O형 클립(3a)인 경우 O형 클립(3a) 링체의 내부 원형 공간)을 통과하여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형성된 돌부 삽입부(35)에 결합(또는 오목홈에 결합)되고 상기 클립(3a) 자체는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과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 사이에서 가압 고정되므로, 상기 전선(2)이 클립(3a)을 매개로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선 통전부재(20)는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이 연결 통전편(2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 통전편(23)에 대해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으로 하향 돌출부(124)가 구비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124)는 일정 길이의 바아형 돌기 구조를 이루며, 하향 돌출부(124)가 복수개로 나란하게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가압 작동부재(30)는 볼트 결합편(32)과 가압편(34)이 연결편(33)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34)은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 아래에 배치된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가압편(34)의 상면에는 전선 통전부재(20)의 하향 돌출부(124)와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134)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34)는 일정 길이의 바아형 돌기 구조를 이루며, 돌출부(134)가 복수개로 나란하게 가압편(34)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차단기 바디(10)에 구비된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삽입홀(12)이 형성되어, 상기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에 전선(2)을 접속할 때에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삽입홀(12)을 통해 전선(2)의 클립(3a)을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측 콘택트편과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 사이에 투입한 다음, 상기 고정볼트(40)를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회전시켜서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과 가압 작동부재(30)의 가압편(34)에 의해 클립(3a)을 위아래에서 가압하여 전선(2)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는데,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으로 돌출된 하향 돌출부(124)와 가압편(34)의 상면에 구비된 돌출부(134)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향 돌출부(124)와 가압 작동부재(30)의 돌출부(134)에 의해 상기 클립(3a) 자체가 굴곡부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하부 콘택트편(24)과 가압편(34)에 가압 밀착되어 있으므로, 클립(3a)이 옆으로 당기는 힘(다시 말해, 차단기 바디(10)의 전선 삽입홀(12)에서 바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클립(3a) 자체에 형성된 굴곡부로 인하여 클립(3a)이 쉽게 빠지는 일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 전선(2)이 통전 가능하게 접속한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서는 상기 서로 어긋나서 배열된 복수개의 하향 돌출부(124)와 아래의 상향 돌출부(134)로 인하여 전선(2)과 클립(3a)의 접속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데에서 주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와 돌부 삽입부(35)(또는 오목홈)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접속 지지돌부(26)가 클립(3a)을 통과(특히, O형 클립(3a)의 경우에는 O형 클립(3a)의 원형의 내부 공간부를 통과)하여 돌부 삽입부(35)에 끼워진 상태에서 클립(3a)을 빠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이중 지지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전선(2)과 클립(3a)이 전선 통전부재(20)와 가압 작동부재(30)에 통전 가능하게 접속된 구조를 더욱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전선 3a. 클립
10. 차단기 바디 11. 힌지보스
12. 전선 삽입홀 14. 격벽
16. 커버 16h. 구멍
20. 전선 통전부재 22. 상부 콘택트편
23. 연결 통전편 24. 하부 콘택트편
26. 접속 지지돌부 30. 가압 작동부재
32. 볼트 결합편 32a. 상부 볼트 결합편
32b. 하부 볼트 결합편 32c. 하향 걸침편
33d. 걸침편 33. 연결편
33a. 제1연결편 33b. 제2연결편
34. 가압편 35. 돌부 삽입부
40. 고정볼트 42. 볼트축
44. 헤드부 34. 가압편
124. 하향 돌출부 134. 돌출부

Claims (10)

  1. 차단기 바디(10);
    상기 차단기 바디(10)에 구비된 전선 통전부재(20);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에서 돌출된 접속 지지돌부(26);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와 마주하는 위치에 가압편(34)이 구비되어 상기 차단기 바디(10)에 배치된 가압 작동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부 콘택트편(22)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볼트 결합편(32)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 통전부재(20)를 기준으로 회전시에 상기 가압 작동부재(30)를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로 근접시켜서 전선(2)에 연결되어 있는 클립(3a)이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와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상기 가압편(34)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볼트(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볼트(40)의 헤드부(44)와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상부 콘택트편(22) 사이에 상측 전선(2)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하부 콘택트편(24)에서 상기 접속 지지돌부(26)가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가압 작동부재(30)의 상기 볼트 결합편(32)이 상기 고정볼트(40)의 볼트축(42)에 결합되어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상부 콘택트편(22)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34)은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콘택트편(24)과 상기 가압편(34) 사이에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단기 바디(10)는 상기 하측 전선(2) 접속 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으로 연통된 전선 삽입홀(12)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전부재(20)는,
    상기 상부 콘택트편(22)과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이 연결 통전편(2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 통전편(23)에 대해 상기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으로 상기 접속 지지돌부(26)가 돌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 작동부재(30)는,
    상기 볼트 결합편(32)과 상기 가압편(34)이 연결편(33)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34)은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하부 콘택트편(24)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34)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돌부 삽입부(35)이 형성되며, 상기 돌부 삽입부(35)는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접속 지지돌부(26)와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정렬되며,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는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하부 콘택트편(24) 아래로 볼록한 돔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압 작동부재(30)가 상기 전선 통전부재(20) 방향으로 상승할 때에 상기 가압편(34)에 형성된 상기 돌부 삽입부(35)에 상기 접속 지지돌부(26)가 진입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지지돌부(26)는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을 상면에서 아래로 프레싱하는 가공에 의해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에서 아래로 볼록한 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통전부재(20)는,
    상기 상부 콘택트편(22)과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이 연결 통전편(23)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 통전편(23)에 대해 상기 상부 콘택트편(22)과 하부 콘택트편(24)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콘택트편(24)의 저면으로 하향 돌출부(124)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압 작동부재(30)는,
    상기 볼트 결합편(32)과 상기 가압편(34)이 연결편(33)에 연결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34)은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하부 콘택트편(24)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편(34)의 상면에는 상기 전선 통전부재(20)의 상기 하향 돌출부(124)와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돌출부(13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바디(10)는 상기 전선 통전부재(20)가 구비된 위치에 좌우 양쪽으로 한 쌍으로 배치된 격벽(14)에 의해 전선(2) 투입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2) 투입 공간부의 상부는 상기 차단기 바디(10)에 힌지부를 통해 기단부가 연결된 커버(16)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16)에는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구멍(16h)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6)로 상기 전선(2) 투입 공간부를 닫을 때에 상기 커버(16)의 양쪽 사이드는 상기 한 쌍의 격벽(14)의 내측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격벽(14)의 내측면과 상기 커버(16)의 사이드는 결합돌기와 결합 돌기홈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기 바디(10)는 상기 커버(16)의 기단부와 인접된 표면에 힌지 보스(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16)의 기단부에는 힌지핀(17)이 구비되어, 상기 힌지핀(17)이 상기 힌지 보스(11)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16)의 회동 기준점인 상기 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힌지핀(17)의 외경이 상기 힌지 보스(11)의 내경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힌지핀(17)이 상기 힌지 보스(11)에 가압력이 가해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KR1020140134238A 2014-10-06 2014-10-06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KR10164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238A KR101643998B1 (ko) 2014-10-06 2014-10-06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238A KR101643998B1 (ko) 2014-10-06 2014-10-06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829A KR20160040829A (ko) 2016-04-15
KR101643998B1 true KR101643998B1 (ko) 2016-07-29

Family

ID=55801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238A KR101643998B1 (ko) 2014-10-06 2014-10-06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4715A (zh) * 2020-06-05 2020-08-21 温州市凤泰电器有限公司 一种新型线路分配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22Y1 (ko) 2001-06-12 2001-10-29 상원전기 주식회사 전기 기기의 전선 취부기구
KR200415176Y1 (ko) 2006-01-27 2006-05-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WO2012039030A1 (ja) 2010-09-22 2012-03-29 パナソニック電工電路株式会社 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0241B2 (ja) * 1997-01-09 2002-07-08 矢崎総業株式会社 被覆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JP3942142B2 (ja) * 2000-12-15 2007-07-11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放射線断層撮影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418193B1 (ko) 2001-02-12 2004-02-11 삼조쎌텍 주식회사 고미와 이미가 차폐된 수용성 대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대두 추출물
KR100938705B1 (ko) 2004-08-27 2010-01-2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및 부하 단자부 분리형 소형 차단기
KR100823528B1 (ko) 2006-03-14 2008-04-24 상도전기통신 주식회사 과부하 및 단락보호 겸용 소형 누전 차단기
KR200471559Y1 (ko) 2013-01-24 2014-03-13 김성곤 소형 배선용 차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022Y1 (ko) 2001-06-12 2001-10-29 상원전기 주식회사 전기 기기의 전선 취부기구
KR200415176Y1 (ko) 2006-01-27 2006-05-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유닛
WO2012039030A1 (ja) 2010-09-22 2012-03-29 パナソニック電工電路株式会社 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829A (ko)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0404B2 (en) Power plug with cable leakage protective function
US7701680B2 (en)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
US7672098B2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circuit
US7116191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US10003159B2 (en) Enclosed power outlet
US8830015B2 (en) Compact latching mechanism for switched electrical device
US9136653B2 (en) Enclosed power outlet
US9640969B2 (en)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US20070146946A1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fire protection means
MX2013002980A (es) Circuito de monitoreo automatico mejorado y metodo para un vehiculo electrico.
JP6348982B2 (ja) 熱動過電流保護遮断器
US10205283B2 (en) Reduced cross-section enclosed power outlet
CA2763517C (en) Low profile electrical device assembly
JP6188554B2 (ja) 漏電遮断器
US7167066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WO2016063583A1 (ja) 温度スイッチ
KR101643998B1 (ko)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CN101958212A (zh) 插座式剩余电流断路器
KR101436309B1 (ko) 케이블 릴의 멀티 콘센트
KR101205016B1 (ko) 전원 연결 기구
CN108010813B (zh) 断路器及空调器
CN219046283U (zh) 一种开关盒
KR102626056B1 (ko)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KR200353534Y1 (ko) 퓨즈타입 플러그 차단기
KR101074655B1 (ko)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