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056B1 -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Google Patents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056B1
KR102626056B1 KR1020230125310A KR20230125310A KR102626056B1 KR 102626056 B1 KR102626056 B1 KR 102626056B1 KR 1020230125310 A KR1020230125310 A KR 1020230125310A KR 20230125310 A KR20230125310 A KR 20230125310A KR 102626056 B1 KR102626056 B1 KR 102626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or
blocking
plug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5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홍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25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0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및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상단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측으로 음극단 및 상기 전원단자부와 접촉되는 양극단이 이격되어 돌출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음극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차단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connector combined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본 발명은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에는 각종 전기기구의 코드 끝에 구비되는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과 연결되며 벽이나 바닥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면 코드를 통해 상기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에는 일측이 외부의 접지면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플러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지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의 접지부가 상기 콘센트의 접지단자부에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옥내 배선에 이상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접지단자부를 통해 접지되어 콘센트가 연결된 전기기구의 파손 및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대가 구비되며, 한 쌍의 접지라인이 상기 걸림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각 상기 접지라인은 끝단부가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상기 걸림대를 관통하는 연장나사부재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연장나사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걸림대 사이에 클램핑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내부의 결함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콘센트의 케이스 내부에 높은 발열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성되지 않아 2차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266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및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상단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측으로 음극단 및 상기 전원단자부와 접촉되는 양극단이 이격되어 돌출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음극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차단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굴곡 열변형되는 바이메탈을 통해 접속지지부와 솔레노이드가 통전되며, 솔레노이드에 발생한 기자력을 통해 플런저가 상측으로 흡인되어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타격함에 따라 전원플러그와 전원단자부가 이격되어 전류 흐름이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둘째, 온도감지차단부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굴곡상태가 유지되는 바이메탈로 구비됨에 따라 기설정된 안전온도 범위로 냉각되기 전까지 솔레노이드의 기자력을 통해 플런저 상향 흡인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전원플러그와 전원단자부가 이격되므로 2차 사고에 대한 안전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셋째, 모듈형 차단부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되므로 하우징부의 금형이 단순화되어 불량률이 감소되며,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부품간 정확한 결합을 통해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모듈형 차단부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측 연결라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분해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측 연결라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차단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때,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의 커버부(50)가 분리되어 하우징부(110)의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접지부재(60) 및 접지걸림대(70)가 생략되어 도시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은 후술되는 차단케이스(181) 및 차단커버(183)가 생략되어 도시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될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와 콘센트(200)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는 하우징부(110), 전원단자부(130), 접속지지부(120) 및 모듈형 차단부(18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0)는 한쌍의 장착공간(112)이 구획격벽(116)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11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장착공간(112)이 적어도 한쌍 이상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상기 구획격벽(116)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2)이 양측으로 구획되어 2개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부(11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부품 간의 합선 및 내부의 전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116)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2)이 적어도 두개 이상 복수개로 구획됨에 따라 구성부품들이 각 상기 장착공간(112) 내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복수개로 구비되더라도 상호간의 합선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전원삽입홀(111)은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삽입홀(111)은 상기 구획격벽(116)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전원삽입홀(111)의 상측은 상기 장착공간(112)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며 하측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구획격벽(116)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부재(60)가 면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부재(6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접지걸림대(70)에 통전나사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60) 및 상기 접지걸림대(7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058411호, 제10-1862667호 및 제10-1881107호와 같은 선행 기술의 콘센트(200)에 개시되어 있으며,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접속지지부(120)가 수납 고정되며, 상기 접속지지부(120)의 타측에 후술되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장착개구부(1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50)의 상면부에는 전원플러그(P1,P2)가 삽입되는 결합고정홈부(53)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결합고정홈부(53)는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 외면 윤곽에 대응하거나 이보다 작은 내면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대칭되는 양측이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 외면과 부분적으로 형합됨에 따라 전원플러그(P1,P2)의 유동 또는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결합고정홈부(53)의 바닥면에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각각 삽입되어 후술되는 플러그연결부(13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관통된 전원단자홀(5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부재(60)의 상단부가 관통 배치되는 한쌍의 접지단자홀(52)이 상기 결합고정홈부(53)의 바닥면에 상기 전원단자홀(51)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홀(51)은 후술되는 중공부(134)와 상하측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단자부(130)는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한쌍으로 대칭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단자부(130)는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되며, 단자몸체(131) 및 상기 플러그연결부(1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몸체(131)는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면부(131a)와 접촉면부(131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부(131a)는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 바닥면과 마주보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촉면부(131b)는 상기 상면부(131a)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촉면부(131b)는 상기 전원삽입홀(111)이 형성된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폭방향 외측 내면에 대응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삽입홀(111)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면, 그 단부가 상기 접촉면부(131b)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연결부(132)는 상기 단자몸체(131)로부터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134)가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플러그연결부(132) 및 상기 단자몸체(131)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130) 중 하나의 상기 중공부(134)의 하측과 대응되는 상기 장착공간(112)의 타측에 상기 장착개구부(114)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장착개구부(114)에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지지부(120)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전원삽입홀(111)이 형성된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속지지부(120)는 탄성편(127) 및 풀러(128)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편(127)은 각 상기 전원삽입홀(111)에 대응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 내에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전원삽입홀(111)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탄성편(127)을 통해 상기 접촉면부(131b)측으로 가압된다.
더욱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편(127)은 다중 절곡됨에 따라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과 상기 접촉면부(131b)가 안정적으로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접촉되는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삽입방향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외부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에 물림되어 상기 콘센트(200)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편(127)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접촉면부(131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면서도 후술되는 상기 풀러(128)를 가압 조작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풀러(128)는 한쌍의 상기 전원삽입홀(111)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풀러삽입홀(111a)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탄성편(127)의 탄성에 의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구속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상기 탄성편(127)을 가압한다. 즉,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을 상기 콘센트(2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풀러(128)를 상기 장착공간(112) 상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풀러(128)의 일측 경사면에 의해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으로 탄발 변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러(128)를 상측으로 가압 조작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편(1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풀러(128)가 하향 가압되며, 상기 풀러(128)가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인접 및 접촉되면서 물림 고정되며 상기 접촉면부(131b)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접촉면부(131b)와 접촉되면, 상기 전원단자부(130) 및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는 상기 장착개구부(114)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차단케이스(181), 플런저(187), 솔레노이드(189), 그리고 차단커버(18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케이스(181)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플런저(187)가 수납된다.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플런저(187)를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수단(182)이 구비되되, 상기 탄성수단(182)은 바람직하게 후술되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와 상기 플런저(187) 하단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걸림단(187a) 사이에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수단(182)의 탄발복원력은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기자력보다 작은 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기 콘센트(200)의 전원차단 작동시 상기 플런저(187)가 상기 솔레노이드(189)측으로 용이하게 흡인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자력이 제거되면 상기 플런저(187)가 상기 탄성수단(182)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용이하게 하향 복귀될 수 있다.
상기 차단케이스(181) 및 후술되는 상기 차단커버(183)는 상기 하우징부(11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와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개구부(114)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며, 상기 차단케이스(181) 및 상기 차단커버(1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장착개구부(114)의 테두리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결합돌기(183c)가 돌설될 수 있다.
상기 플런저(187)는 상기 중공부(134)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수단(182)을 통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기 플런저(187)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관통홀(189c)와 상기 차단커버(183)에 형성된 관통홀(183d)을 통해 상기 중공부(134)와 동심으로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솔레노이드(189)는 상기 차단케이스(181)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플런저(187)의 상단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상측으로 음극단(189a) 및 양극단(189b)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양극단(189b)은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가 결합된 상기 장착공간(112)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음극단(189a)은 후술되는 상기 온도감지차단부(14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단커버(183)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면부(131a)에 고정되는 상기 온도감지차단부(140)가 상기 음극단(189a)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상기 차단커버(183)에 접지개구부(184)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개구부(184)와 이격된 상기 차단커버(183)의 타측에는 상기 양극단(189b)이 관통 돌출되어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접촉되는 돌출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감지차단부(140)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상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온도감지차단부(140)는 일단측이 상기 접지개구부(184)의 테두리 외측에 고정되며,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타단측이 상기 접지개구부(184)를 통해 상기 음극단(189a)과 대면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온도감지차단부(140)는 바이메탈(143), 제1커넥터(144) 및 제2커넥터(14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이메탈(143)은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차단커버(183)의 상면부(131a)에 고정되는 고정단(141)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자유단(142)이 하향 절곡되도록 상면이 하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바이메탈(143)은 특히, 상기 자유단(142)의 상면에 구리 재질의 평판이 배치되고 구리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철 재질의 평판이 하면에 배치되어 상호간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메탈(143)에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구리 재질의 상면측이 더 높은 열팽창계수로 팽창된다. 이때, 상기 고정단(141)은 상기 차단커버(183)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자유단(142)측이 하측으로 굴곡 열변형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라 함은 상기 하우징부(110) 내부의 공기온도와 상기 하우징부(110) 내부에 배치된 각 구성부품들의 온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전온도는 70~1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넥터(144)는 상기 바이메탈(143)의 하면에 적층되되 상기 자유단(142)의 절곡시 하향 가압되어 상기 음극단(189a)에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144)가 상기 음극단(189a)에 접촉시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상기 솔레노이드(189)가 통전되도록, 상기 제1커넥터(144)는 스프링용 인청동과 같이 탄발복원력이 우수한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커넥터(145)는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 중 적어도 하나(이하 타측 전원단자부(130B))와 접촉되며 상기 제1커넥터(1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커넥터(144)가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 중 일측 전원단자부(130A)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면 상기 제2커넥터(145)는 상기 타측 전원단자부(130B)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제2커넥터(145)와 상기 제1커넥터(14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보조커넥터(145b) 및 통전연결라인(145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커넥터(145)와 상기 보조커넥터(145b)가 상기 통전연결라인(145a)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보조커넥터(145b)가 상기 제1커넥터(144)와 중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의 내부에 조립되는 부품간의 조립용이성 및 조립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144)와 상기 제2커넥터(145)가 상기 통전연결라인(145a)을 통해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세히, 도 6과 도 8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커넥터(145)는 상기 타측 전원단자부(130B)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양극단(189b)은 상기 일측 전원단자부(130A)에 접촉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커넥터(144)는 상기 음극단(189a)의 상측에 상호 이격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바이메탈(143)이 평판 형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144)가 상기 음극단(189a)과 이격되므로 상기 솔레노이드(189)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플런저(187)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와 상기 걸림단(187a) 사이에 개재된 상기 탄성수단(182)을 통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되므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 내측까지 인입되어 전원단자부(130)와 접촉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 상기 전원단자부(130) 및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거쳐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도 7과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바이메탈(143)이 굴곡 열변형된다. 상세히, 상기 바이메탈(143)은 상면이 하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차단커버(183)에 고정된 상기 고정단(141)을 기준으로 상기 자유단(142)이 하향 굴곡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143)이 굴곡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144)가 가압되어 함께 굴곡됨에 따라 상기 제1커넥터(144)와 상기 음극단(189a)이 상호 접촉된다.
상기 제1커넥터(144)가 상기 음극단(189a)에 접촉되면 상기 일측 전원단자부(130A), 상기 양극단(189b), 상기 음극단(189a), 상기 제1커넥터(144), 상기 제2커넥터(145) 및 상기 타측 전원단자부(130B)로 전류가 흐르면서 상기 솔레노이드(189)에 전원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189)에 전원이 인가되면 기자력이 발생하며 상기 플런저(187)가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내부로 흡인되면서 상측으로 급격하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187)의 상단부가 상기 중공부(134)의 내측으로 상향 인입되면서 상기 중공부(134)에 접촉된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강한 힘으로 상측으로 밀어낸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로부터 이탈되므로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에서 이탈되어 전기적 연결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전류가 차단되도록 작동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187)가 상향 이동되면 상기 탄성수단(182)이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중공부(134)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가 상기 결합고정홈부(5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전류가 차단됨을 즉각적으로 판단 후 후속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속 처리시까지 전류의 차단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온도감지차단부(140)가 굴곡 열변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89)와 상기 접속단자부(130)의 통전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플런저(187)가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기자력에 의해 흡인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플런저(187)의 흡인 상승에 의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34)에 삽입되더라도 재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미만으로 다시 낮아지면 상기 바이메탈(143)이 원래의 평판 형상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제1커넥터(144)가 탄성복원력을 통해 상기 음극단(189a)과 이격되며 상기 제1커넥터(144) 및 상기 제2커넥터(145)를 통해 연결되었던 한쌍의 전원단자부(130) 간의 전류 흐름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기자력이 상실된다.
상기 플런저(187)는 상기 탄성수단(182)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상기 중공부(134) 내측으로 재삽입하면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와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전기적으로 다시 접촉됨에 따라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상기 모듈형 차단부(18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바이메탈(143)의 굴곡 열변형을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상기 중공부(134)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동작되어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단순 과전류 발생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이 아닌,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 상승폭에 따라 전류 흐름을 차단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품의 결합으로 인한 발열뿐만 아니라 화재 등의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상기 하우징부(110)의 주변온도 상승시에도 제품의 전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격벽(116)에는 상기 제1커넥터(144)와 상기 제2커넥터(145)를 연결하는 보조연결라인이 수납되는 연통부(116a)가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연결라인이 상기 접지부재(60)와 간섭됨을 방지하므로 작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a: 전원측 연결라인 110: 하우징부
112: 장착공간 114: 장착개구부
130: 전원단자부 134: 중공부
140: 온도감지차단부 180: 모듈형 차단부
187: 플런저 189: 솔레노이드
189a: 음극단 P1,P2: 전원플러그
200: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Claims (5)

  1.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및
    상기 중공부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상단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측으로 음극단 및 상기 전원단자부와 접촉되는 양극단이 이격되어 돌출된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플런저가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음극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차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차단부는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 중 하나의 상기 중공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에 관통 형성된 장착개구부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에 상기 플런저를 하측으로 탄발 지지하는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솔레노이드가 고정되는 절연 재질의 차단케이스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면부에 고정되는 상기 온도감지차단부의 단부가 상기 음극단과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지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차단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차단커버의 상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자유단이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접지개구부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상면이 하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바이메탈과,
    상기 바이메탈의 하면에 적층되되 상기 자유단의 절곡시 하향 가압되어 상기 음극단에 접촉되는 통전 재질의 제1커넥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는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커넥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에는 상기 모듈형 차단부의 단면적에 대응하는 장착개구부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차단케이스 및 상기 차단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측으로 상기 장착개구부의 테두리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KR1020230125310A 2023-09-20 2023-09-20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KR102626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310A KR102626056B1 (ko) 2023-09-20 2023-09-20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5310A KR102626056B1 (ko) 2023-09-20 2023-09-20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056B1 true KR102626056B1 (ko) 2024-01-17

Family

ID=8971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5310A KR102626056B1 (ko) 2023-09-20 2023-09-20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0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039A (ko) * 2006-04-21 2007-10-25 고수동 부하차단기능을 갖는 전기 콘센트
KR20130091410A (ko) * 2012-02-08 2013-08-19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전형 콘센트 플러그
KR101862667B1 (ko) 2018-04-17 2018-05-3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지형 콘센트장치
KR20190019794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두남 접속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유닛을 갖는 콘센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039A (ko) * 2006-04-21 2007-10-25 고수동 부하차단기능을 갖는 전기 콘센트
KR20130091410A (ko) * 2012-02-08 2013-08-19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절전형 콘센트 플러그
KR20190019794A (ko) * 2017-08-17 2019-02-27 주식회사 두남 접속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유닛을 갖는 콘센트
KR101862667B1 (ko) 2018-04-17 2018-05-3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지형 콘센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US20060044087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JP2006012842A (ja)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06953214B (zh) 兼具两组不同电流插针组的连接器插头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KR102626056B1 (ko)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US6461195B2 (en) Safety electric plug with overcurrent protective means
KR102185587B1 (ko)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26063B1 (ko)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CN110571071B (zh) 插入式触点开关、插座组件及电梯
CN108899875B (zh) 具有双重保护功能的电机起动保护器
WO2019179302A1 (zh) 模块盒、插座模块及模块插座
KR102180277B1 (ko)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26062B1 (ko) 원형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KR102612447B1 (ko) 이중접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12449B1 (ko) 이중원호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8B1 (ko) 엠보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26047B1 (ko) 버티컬 션트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KR102180272B1 (ko) 팽창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12467B1 (ko) 탄성지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US20210225606A1 (en) Leakage current protection device employing a pivoting actuator in the trip assembly
KR102645858B1 (ko)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CN210200638U (zh) 用于接触器的可插拔连接装置及接触器
KR100340447B1 (ko) 안전 콘센트
KR102645855B1 (ko) 진동감지 진자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