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587B1 -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 Google Patents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587B1
KR102185587B1 KR1020200125440A KR20200125440A KR102185587B1 KR 102185587 B1 KR102185587 B1 KR 102185587B1 KR 1020200125440 A KR1020200125440 A KR 1020200125440A KR 20200125440 A KR20200125440 A KR 20200125440A KR 102185587 B1 KR102185587 B1 KR 102185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unting
terminal body
temperatur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찬
Original Assignee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5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05Circuits arrangements for indicat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장착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구획격벽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하우징부; 각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수납되되, 상기 장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전원측 연결라인의 단부와 각각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노출되는 접지돌기가 구비된 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모듈형 컨텍부; 상기 모듈형 컨텍부의 외면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접지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및 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듈형 컨텍부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모듈형 컨텍부를 상기 구획격벽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지돌기가 상기 단자몸체와 이격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상기 모듈형 컨텍부와 대면되는 내면이 외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rail type temperature detecting and current breaking socket}
본 발명은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에는 각종 전기기구의 코드 끝에 구비되는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과 연결되며 벽이나 바닥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면 코드를 통해 상기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에는 일측이 외부의 접지면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플러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지돌기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의 접지돌기가 상기 콘센트의 접지단자부에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옥내 배선에 이상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접지단자부를 통해 접지되어 콘센트가 연결된 전기기구의 파손 및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대가 구비되며, 한 쌍의 접지라인이 상기 걸림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각 상기 접지라인은 끝단부가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상기 걸림대를 관통하는 연장나사부재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연장나사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걸림대 사이에 클램핑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콘센트는 내부의 결함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로 인해 콘센트의 케이스 내부에 높은 발열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성되지 않아 2차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6266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발열시 안전성이 개선된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장착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구획격벽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하우징부; 각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수납되되, 상기 장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전원측 연결라인의 단부와 각각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노출되는 접지돌기가 구비된 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모듈형 컨텍부; 상기 모듈형 컨텍부의 외면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접지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및 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듈형 컨텍부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모듈형 컨텍부를 상기 구획격벽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지돌기가 상기 단자몸체와 이격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상기 모듈형 컨텍부와 대면되는 내면이 외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내부결함 또는 외부의 화재 발생 등으로 인하여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온도감지차단부가 일측으로 볼록하게 열변형되면서 모듈형 컨텍부를 구획격벽측으로 가압하면 접지돌기와 단자몸체가 이격되면서 전류 흐름이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주변온도가 안전온도 미만으로 낮아져 온도감지차단부가 원래 평판형으로 복원되면 한쌍의 모듈형 컨텍부가 그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각 장착공간의 폭방향 외측으로 자동으로 복귀되어 접지돌기와 단자몸체가 재통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전원연결부가 수납케이스에 장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되므로 하우징부의 금형이 단순화되어 불량률이 감소되며,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부품간 정확한 결합을 통해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모듈형 컨텍부만을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온도감지차단부가 장착공간의 외면측에 형성된 제2형합홈에 삽입되되 상기 수납케이스의 외면 및 그 상측에 배치되는 단자몸체 사이에 위치가 구속되어 별도의 복잡한 결합구조 없이도 결합 위치가 구속되므로 하우징부의 구조 형상이 더욱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텍부의 분해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도 및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전류 차단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도 및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지차단부와 전원단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형 컨텍부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도 및 예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의 전류 차단상태를 나타낸 투영단면도 및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도감지차단부와 전원단자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부분예시도이다.
이때,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100)의 커버부(50)가 분리되어 하우징부(10)의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접지부재(60) 및 접지걸림대(70)가 생략되어 도시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100)와 콘센트(100)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100)는 하우징부(10), 모듈형 컨텍부(20), 전원단자부(30) 및 온도감지차단부(40)를 포함한다.
상세히,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0)는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장착개구부(14)가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12)이 구획격벽(16)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장착공간(12)이 적어도 한쌍 이상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부(10)의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상기 구획격벽(16)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장착공간(12)이 양측으로 구획되어 2개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우징부(1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부품 간의 합선 및 내부의 전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격벽(16)을 통해 구성부품들이 각 상기 장착공간(12) 내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획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전원측 연결라인(1a)이 복수개로 구비되더라도 상호간의 합선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구획격벽(16)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부재(60)가 면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부재(6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접지걸림대(70)에 통전나사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60) 및 상기 접지걸림대(70)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058411호, 제10-1862667호 및 제10-1881107호와 같은 선행 기술의 콘센트에 개시되어 있으며,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장착공간(12)의 일측은 후술되는 상기 모듈형 컨텍부(2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장착개구부(14)는 후술되는 전원삽입홀(도 4의 22) 및 풀러삽입홀(도 4의 22a)이 연통되도록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공간(12)의 일측은 상기 모듈형 컨텍부(20)가 수납되되, 상기 모듈형 컨텍부(20)의 전후방향측 외면은 상기 장착공간(12)의 일측 전후방향 내면에 형합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12)의 일측 폭방향 너비(w2)가 상기 모듈형 컨텍부(20)의 폭방향 너비(w1)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후방향이라 함은 상기 하우징부(10)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과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듈형 컨텍부(20) 및 상기 장착공간(12)의 전측과 상기 하우징부(10)의 길이방향 타측이 대응되고, 상기 모듈형 컨텍부(20) 및 상기 장착공간(12)의 후측이 상기 하우징부(10)의 길이방향 일측과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콘센트(100)가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 전후/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이 되고 후술되는 상측/상면이 전측/전면이 되고 하측/하면이 후측/후면이 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각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는 상기 장착공간(12) 내에서 후술되는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에 의해 폭방향을 따라 좌우 대칭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개구부(14)의 테두리에는 상기 모듈형 컨텍부(20)의 하면이 안착되어 걸림 구속되도록 걸림돌기(14a)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5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50)의 상면부에는 전원플러그(P1,P2)가 삽입되는 형합고정홈부(53)가 함몰 형성된다. 상기 형합고정홈부(53)는 상기 전원플러그의 형합부(PA) 외면 윤곽에 대응하는 내면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플러그의 형합부(PA)가 형합되어 끼움 삽입됨에 따라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형합고정홈부(53)의 바닥면에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각각 삽입되어 후술되는 플러그연결부(3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관통된 전원단자홀(5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부재(60)의 상단부가 관통 배치되는 한쌍의 접지단자홀(52)이 상기 전원단자홀(51)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홀(51)은 후술되는 중공부(34)와 상하측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는 각 상기 장착공간(12)에 수납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획격벽(16)을 중심으로 폭방향 양측으로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는 상기 장착공간(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전원측 연결라인(1a)의 단부가 각각 접촉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는 수납케이스(21) 및 상기 전원연결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케이스(21)가 상기 장착공간(12)의 길이방향 일측에 삽입되되 하면부가 상기 걸림돌기(14a)에 안착 구속된다. 이때, 상기 수납케이스(21)는 폭방향 너비(w1)가 각 상기 장착공간(12)의 일측 폭방향 너비(w2)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 상기 전원연결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하면부에 상기 전원삽입홀(22)이 상기 하우징부(10)의 전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에 한쌍으로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각 상기 전원삽입홀(22)의 상측은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며, 하측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개구부(14) 및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수납케이스(21)의 폭방향 양측벽 중 후술되는 상기 단자몸체(31)와 대면되는 일면에는 접지슬롯홈(23)이 개구 형성된다. 이러한 수납케이스(21)는 상기 전원연결부가 수납되도록 상측이 개구되되 수납커버(21a)에 의해 커버되며 상기 하우징부(10)와 마찬가지로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연결부는 전원터미널부(26), 탄성편(27) 및 풀러(28)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터미널부(26)는 상기 수납케이스(21)의 일면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접지슬롯홈(23)을 통해 외측으로 노출되는 접지돌기(26a)가 돌설 구비된다. 상기 전원터미널부(26)는 상기 전원삽입홀(22)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황동 등과 같은 통전 재질의 평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터미널부(26)가 상기 수납케이스(21)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납케이스(21)의 일면 내측,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지슬롯홈(23)의 테두리 내측에 상기 전원터미널부(26)의 양단부가 슬라이드 끼움되는 결합홈(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편(27)은 상기 수납케이스(21) 내에 상기 하우징부(10)의 전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에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삽입홀(22)을 통해 인입되는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을 상기 전원터미널부(26)측으로 가압한다.
상세히,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편(27)이 다중 절곡됨에 따라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과 상기 전원터미널부(26)가 안정적으로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접촉되는 상기 탄성편(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삽입방향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외부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탄성편(27)의 말단부에 물림되어 상기 콘센트(100)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편(27)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전원터미널부(26)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면서도 후술되는 상기 풀러(28)를 가압 조작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풀러(28)는 한쌍의 상기 전원삽입홀(22)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상기 풀러삽입홀(22a)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탄성편(27)의 탄성에 의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구속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상기 탄성편(27)을 가압한다. 즉,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을 상기 콘센트(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풀러(28)를 상기 수납공간 상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풀러(28)의 일측 경사면에 의해 상기 탄성편(27)의 말단부가 상기 수납케이스(21)의 일측으로 탄발 변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편(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러(28)를 상측으로 가압 조작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편(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풀러(28)가 하향 가압되며, 상기 풀러(28)가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상기 탄성편(27)의 말단부가 인접 및 접촉되면서 물림 고정되며 상기 전원터미널부(26)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전원터미널부(26)와 접촉되면, 상기 전원터미널부(26)와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상기 전원단자부(30) 및 상기 전원단자부(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전원터미널부(26), 상기 탄성편(27), 상기 풀러(28)를 포함하는 상기 전원연결부가 상기 수납케이스(21)에 먼저 결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된 후 상기 장착공간(12)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10) 자체를 사출가공시 금형이 단순화됨에 따라 제조불량률이 현저히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품이 상기 수납케이스(21)의 내측에 형성된 각 돌기 또는 홈 등에 컴팩트하게 결합된 후 비교적 큰 조립체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장착공간(12)에 결합된다. 따라서, 구성부품의 조립난이도는 낮아지면서도 조립 정확도를 통한 구동신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콘센트(100)의 설치환경 및 용도에 따라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를 교환하여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되며,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만을 분리하여 부품 교체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부(30)는 각 상기 장착공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한쌍으로 대칭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단자부(30)는 상기 전원터미널부(26)와 마찬가지로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되며, 단자몸체(31) 및 플러그연결부(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몸체(31)는 상기 모듈형 컨텍부(20)의 외면과 상기 장착공간(12)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접지돌기(2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몸체(31)는 상기 접지슬롯홈(23)을 통해 노출되는 상기 접지돌기(26a)와 대면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돌기(26a)가 상기 단자몸체(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함은 상기 접지돌기(26a)가 상기 단자몸체(31)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전원터미널부(26)에 접촉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으로부터 전기가 흐르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연결부(32)는 상기 단자몸체(31)로부터 상기 장착공간(12)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34)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플러그연결부(32) 및 상기 단자몸체(31)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부(34)의 하측과 대응되는 상기 장착공간(12)의 바닥면으로부터 링형돌기(15)가 상향 돌설될 수 있다. 상기 링형돌기(15)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공부(34)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전원단자홀(51)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중공부(34)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되, 그 단부가 상기 링형돌기(15)의 내주에 삽입되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공부(34)가 형성된 상기 플러그연결부(32)의 하면이 상기 링형돌기(15)의 상면에 안착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반복적인 결합/분리 또는 외부 진동에도 상기 전원단자부(30)의 배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는 상기 모듈형 컨텍부(20)와 상기 장착공간(12)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는 평판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는 상기 단자몸체(31)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단자몸체(31)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가 상기 단자몸체(31)의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의 바닥면측이 하측이고 상기 커버부(50)가 결합되는 상기 하우징부(10)의 개구측이 상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온도감지차단부(40)는 상기 모듈형 컨텍부(20)와 대면되는 내면이 외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되는 바이메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는 구리 재질의 평판이 내면에 배치되고 구리 재질보다 열팽창계수가 낮은 철 재질의 평판이 외면에 배치되어 상호간 접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에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구리 재질의 내면측 평판이 더 높은 열팽창계수로 팽창됨에 따라 상기 구획격벽(16)측으로 볼록하게 굴곡 열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라 함은 상기 하우징부(10) 내부의 공기온도와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에 배치된 각 구성부품들의 온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안전온도는 70~100℃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로 설정될 수 있다.
상세히,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가 평판 형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한쌍의 상기 모듈형 컨택부는 상기 구획격벽(16)을 가로질러 형성된 연통홈(16a)에 구비되는 탄성스프링(2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각 상기 장착공간(12)의 폭방향 외측으로 가압 지지된다.
상세히, 상기 연통홈(16a)은 한쌍의 상기 장착공간(12)이 폭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탄성스프링(29)이 상기 연통홈(16a)에 구비되되 각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를 각 상기 장착공간(12)의 폭방향 외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미만에서 한쌍의 상기 모듈형 컨텍부(20)가 각 상기 장착공간(12)의 폭방향 외측으로 탄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접지돌기(26a)가 상기 단자몸체(31)와 접촉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 상기 전원터미널부(26), 상기 접지돌기(26a), 상기 전원단자부(30) 및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거쳐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가 굴곡 열변형된다. 상세히,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는 내면이 더 높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되므로 상기 안전온도 이상의 열이 전달되면 양단부측 고정단(41) 사이의 자유단(42) 내면측이 상기 구획격벽(16)측으로 볼록하게 굴곡 열변형된다. 이로 인해, 각 상기 모듈형 컨텍부(20)가 상기 구획격벽(16)측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접지돌기(26a)가 상기 단자몸체(31)로부터 이격되어 접촉이 해제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콘센트(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과 상기 전원단자부(30)가 전기적으로 이격됨으로써 전류 흐름이 안정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이때, 한쌍의 상기 모듈형 컨텍부(20)가 상기 구획격벽(16)측으로 가압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9)이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미만으로 다시 낮아지면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가 원래의 평판형으로 복원되며, 이때 상기 모듈형 컨텍부(20)는 상기 탄성스프링(29)의 탄성복원력을 통해 각 상기 장착공간(12)의 폭방향 외측으로 가압 복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접지돌기(26a)가 상기 단자몸체(31)에 다시 접촉되면서 상기 전원플러그(P1,P2)로 전류가 다시 흐르게 된다.
즉,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는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가 상기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자유단(42)의 굴곡 열변형을 통해 각 상기 전원단자부(30)로의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단순히 과전류 발생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이 아닌,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 상승폭에 따라 전류 흐름을 차단하도록 기능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부 부품의 결함으로 인한 발열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등의 외부적 요인으로 인한 상기 하우징부(10)의 주변온도 상승시에도 제품의 전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각 상기 장착공간(12)의 폭방향 외측 내면에는 상기 단자몸체(31)가 형합 구속되는 제1형합홈(1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형합홈(12a)은 상기 단자몸체(31)가 기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된 외면 윤곽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형합홈(12a)의 하단부에 제2형합홈(12b)이 연통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형합홈(12b)은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의 외면 윤곽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형합홈(12b)은 상기 제1형합홈(12a)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몸체(31)를 통해 상측이 차폐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는 상기 제2형합홈(12b)의 내면 및 상기 단자몸체(31)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 위치가 구속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형합홈(12b)의 내면의 반대측 개구는 상기 수납케이스(21)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되므로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는 별도의 고정부품 또는 고정구조물이 없더라도 상기 장착공간(12)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부 형상이 더욱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어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의 내면이 외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를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반복적인 열변형 및 복원에도 상기 고정단(41)이 상기 제2형합홈(12b)의 내측에 수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온도감지차단부(40)가 상기 제2형합홈(12b)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하므로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a: 전원측 연결라인 10: 하우징부
12: 장착공간 14: 장착개구부
20: 모듈형 컨텍부 26: 전원터미널부
30: 전원단자부 40: 온도감지차단부
P1,P2: 전원플러그 100: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Claims (5)

  1.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장착개구부가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구획격벽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된 하우징부;
    각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수납되되, 상기 장착공간 내부로 삽입되는 전원측 연결라인의 단부와 각각 접촉되며 상기 하우징부의 폭방향 외측으로 노출되는 접지돌기가 구비된 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모듈형 컨텍부;
    상기 모듈형 컨텍부의 외면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도록 연장되며 상기 접지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는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및
    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모듈형 컨텍부와 상기 장착공간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부의 주변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 이상으로 상승시 상기 모듈형 컨텍부를 상기 구획격벽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접지돌기가 상기 단자몸체와 이격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상기 모듈형 컨텍부와 대면되는 내면이 외면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로 형성된 온도감지차단부를 포함하는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형 컨텍부는
    폭방향 너비가 각 상기 장착공간의 폭방향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도록 상기 장착개구부와 연통되는 전원삽입홀이 하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돌기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자몸체와 대면되는 일면에 접지슬롯홈이 개구 형성된 절연 재질의 수납케이스와,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면 내측에 구비되되 중앙부에 상기 단자몸체와 선택적으로 접지되는 상기 접지돌기가 돌설되며,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접촉되는 통전 재질의 전원터미널부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을 상기 전원터미널부측으로 가압하는 탄성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격벽에는 한쌍의 상기 장착공간이 연통되는 연통홈이 가로질러 형성되되, 상기 연통홈에는 각 상기 모듈형 컨텍부를 각 상기 장착공간의 폭방향 외측으로 탄발 가압하는 탄성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4. 제 2 항에 있어서,
    각 상기 장착공간의 폭방향 외측 내면에는 상기 단자몸체가 형합 구속되는 제1형합홈 및 상기 제1형합홈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되 상기 온도감지차단부가 형합되는 제2형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온도감지차단부는 상기 제2형합홈의 내면 및 상기 단자몸체의 하단부 사이에 결합 위치가 구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케이스의 일면 내측에는 상기 전원터미널부의 양단부가 슬라이드 끼움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개구부에는 상기 수납케이스의 하면이 걸림 구속되는 걸림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0200125440A 2020-09-28 2020-09-28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5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40A KR102185587B1 (ko) 2020-09-28 2020-09-28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440A KR102185587B1 (ko) 2020-09-28 2020-09-28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587B1 true KR102185587B1 (ko) 2020-12-02

Family

ID=7379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440A KR102185587B1 (ko) 2020-09-28 2020-09-28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063B1 (ko) * 2023-11-14 2024-01-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CN117613593A (zh) * 2023-11-10 2024-02-27 深圳市方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监控模块的线缆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158U (ja) * 1991-03-14 1992-09-28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コンセント
KR20100041347A (ko) * 2008-10-14 2010-04-22 이기웅 콘센트
KR101862667B1 (ko) 2018-04-17 2018-05-3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지형 콘센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1158U (ja) * 1991-03-14 1992-09-28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コンセント
KR20100041347A (ko) * 2008-10-14 2010-04-22 이기웅 콘센트
KR101862667B1 (ko) 2018-04-17 2018-05-31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접지형 콘센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13593A (zh) * 2023-11-10 2024-02-27 深圳市方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温度监控模块的线缆连接器
KR102626063B1 (ko) * 2023-11-14 2024-01-1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587B1 (ko)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JP4592958B2 (ja) 電気スイッチシステム
JPS6384196A (ja) 防爆型のモジュ−ルケ−ス
WO2007003080A1 (fr) Prise interchangeable avec dispositif de protection contre un choc electrique
US20080308759A1 (en) Solenoid valve assembly
CN103986014A (zh) Usb插座
AU2008210254A1 (en) A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102001669B1 (ko) 멀티 락킹 안전소켓유닛 및 이를 구비한 콘센트
RU2388120C2 (ru) Компонент соединительной коробки и безвинтовой соединитель
US10910752B2 (en) Large current terminal and connector
KR101234349B1 (ko) 원터치 방식의 콘센트
KR102180277B1 (ko) 라운드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12449B1 (ko) 이중원호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180272B1 (ko) 팽창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12447B1 (ko) 이중접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KR102612467B1 (ko) 탄성지지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RU236602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соединени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штыря прерывателя цепи
KR102180278B1 (ko) 엠보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CN110797233A (zh) 一种电磁继电器
KR101912897B1 (ko) 플러그 단자핀 용 안전 모듈이 구비된 매립형 콘센트
WO2019179302A1 (zh) 模块盒、插座模块及模块插座
KR102626056B1 (ko)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KR102626063B1 (ko)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KR102626062B1 (ko) 원형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KR102626047B1 (ko) 버티컬 션트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