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5858B1 -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Google Patents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45858B1 KR102645858B1 KR1020240001667A KR20240001667A KR102645858B1 KR 102645858 B1 KR102645858 B1 KR 102645858B1 KR 1020240001667 A KR1020240001667 A KR 1020240001667A KR 20240001667 A KR20240001667 A KR 20240001667A KR 102645858 B1 KR102645858 B1 KR 102645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connection
- power
- sensing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3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7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진동시 안전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진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와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진동통전부; 및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타측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장치를 포함하는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진동시 안정성이 개선된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에는 각종 전기기구의 코드 끝에 구비되는 전원플러그가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콘센트는 전기의 옥내 배선과 연결되며 벽이나 바닥 등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플러그가 상기 콘센트에 접속되면 코드를 통해 상기 전기기구에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에는 일측이 외부의 접지면으로 연결되는 접지단자부가 구비되며, 상기 전원플러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접속되는 접지부가 구비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의 접지부가 상기 콘센트의 접지단자부에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는 옥내 배선에 이상전류가 발생하더라도 접지단자부를 통해 접지되어 콘센트가 연결된 전기기구의 파손 및 오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에는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대가 구비되며, 한 쌍의 접지라인이 상기 걸림대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각 상기 접지라인은 끝단부가 피복이 벗겨진 상태로 상기 걸림대를 관통하는 연장나사부재가 나사 체결됨에 따라 상기 연장나사부재의 헤드부와 상기 걸림대 사이에 클램핑 고정된다.
한편, 국내에서는 2016년 경주 지진 등 크고 작은 지진으로 인한 안전 문제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지진에 대한 인식 및 경각심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일반 가정 및 공장에서 사용되는 상기 전기기구는 충격 및 흔들림에 취약한 정밀 기계인 경우가 많으며, 지진에 의한 진동 발생시 지진 화재 및 2차 안전사고의 위험가능성이 높은 현실이다.
이를 위해, 지진 및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상기 전기기구의 전류차단장치 개발 및 연구가 계속되고 있으나, 모든 상기 전기기구에 상기 전류차단장치가 구비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며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지진 화재 및 2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류차단장치가 구비된 상기 콘센트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진동시 안전성이 개선된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진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와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진동통전부; 및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타측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는 접속편이 형성된 제1접속판과, 상기 제1접속판에 일단이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와, 상기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통전부는 연결편이 돌출 형성된 제2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에 연결되되 상기 무게추를 감싸는 형태의 돔형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편 및 상기 연결편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전선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는 주변 환경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탄성 운동됨으로써, 지진 혹은 외부충격을 통한 흔들림 발생 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화재 등의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는 전류 차단 이후 재연결되어 상기 전원플러그 및 상기 전원단자부의 전기적 재연결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지진 발생시 전류 차단 기능이 재수행되므로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인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및 상기 진동통전부는 감지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되므로 상기 하우징부의 금형이 단순화되어 불량률이 감소되며,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부품간 정확한 결합을 통해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및 상기 진동통전부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측 연결라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및 진동통전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차단부의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측 연결라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및 진동통전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차단부의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원측 연결라인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이어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및 진동통전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차단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한편, 도 8b는 본 발명의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의 주변 환경에서 기설정된 수치만큼의 흔들림 또는 진동이 감지되었을 시 작동상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의 커버부(190)가 분리되어 하우징부(110)의 내부가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접지부재(160) 및 접지걸림대(165)가 생략되어 도시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하에서 설명될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와 콘센트(200)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8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는 하우징부(110), 전원단자부(130), 접속지지부(120),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그리고 진동통전부(145)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110)는 한쌍의 장착공간(112)이 구획격벽(116)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111)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하우징부(11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장착공간(112)이 적어도 한쌍 이상 형성된 박스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폭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상기 구획격벽(116)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2)이 양측으로 구획되어 2개소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110)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상호 체결되는 구성부품 간의 합선 및 내부의 전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격벽(116)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2)이 적어도 두개 이상 복수개로 구획됨에 따라 구성부품들이 각 상기 장착공간(112) 내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로 구획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복수개로 구비되더라도 상호간의 합선이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삽입홀(111)은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삽입홀(111)은 상기 구획격벽(116)을 중심으로 좌우로 대칭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전원삽입홀(111)의 상측은 상기 장착공간(112)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며 하측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획격벽(116)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부재(160)가 면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부재(16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하면에 배치되는 상기 접지걸림대(165)에 통전나사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통전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지부재(160) 및 상기 접지걸림대(165)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 제10-2058411호, 제10-1862667호 및 제10-1881107호와 같은 선행 기술의 콘센트에 개시되어 있으며,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접속지지부(120)가 수납 고정되며, 한쌍의 상기 접속지지부(120) 중 하나의 타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솔레노이드부 장착개구부(114)와, 나머지 상기 접속지지부(120)의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및 상기 진동통전부(145)가 수용되는 상기 감지케이스(15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진동부 장착개구부(11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부(190)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190)의 상면부에는 전원플러그(P1,P2)가 삽입되는 결합고정홈부(193)가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고정홈부(193)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몸체부(PA) 외면 윤곽에 대응하거나 이보다 작은 내면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대칭되는 양측이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몸체부(PA) 외면과 부분적으로 형합됨에 따라 상기 전원플러그(P1,P2)의 유동 또는 임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고정홈부(193)의 바닥면에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각각 삽입되어 후술되는 플러그연결부(132)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관통된 전원단자홀(19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지부재(160)의 상단부가 관통 배치되는 한쌍의 접지단자홀(192)이 상기 결합고정홈부(193)의 바닥면에 상기 전원단자홀(191)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단자홀(191)은 후술되는 중공부(134)와 상하측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정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단자부(130)는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한쌍으로 대칭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원단자부(130)는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되며, 단자몸체(131) 및 상기 플러그연결부(1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자몸체(131)는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상면부(131a)와 단자접촉면부(131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자상면부(131a)는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 상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 바닥면과 마주보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는 상기 단자상면부(131a)의 일단으로부터 하향 절곡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는 상기 전원삽입홀(111)이 형성된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폭방향 외측 내면에 대응하도록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삽입홀(111)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삽입되면, 그 단부가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에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연결부(132)는 상기 단자몸체(131)로부터 상기 장착공간(112)의 길이방향 타측을 향하여 일체로 연장되되,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134)가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에 삽입되어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플러그연결부(132) 및 상기 단자몸체(131)를 경유하여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러그연결부(132)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부(110)의 하면에는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130) 중 하나의 상기 중공부(134)의 하측과 대응되는 상기 진동부 장착개구부(115)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진동부 장착개구부(115)는 상기 감지케이스(150)의 하부 단면적에 대응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상기 중공부(134) 하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상기 솔레노이드부 장착개구부(1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지지부(120)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전원삽입홀(111)이 형성된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속지지부(120)는 탄성편(127) 및 풀러(128)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탄성편(127)은 각 상기 전원삽입홀(111)에 대응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각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 내에 상기 하우징부(110)의 전후방향에 대응하는 양측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전원삽입홀(111)을 통해 상기 장착공간(112)의 내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탄성편(127)을 통해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측으로 가압된다.
더욱이,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편(127)은 다중 절곡됨에 따라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과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가 안정적으로 가압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접촉되는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삽입방향에 대응하여 상향 경사지게 절곡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외부로 당겨지더라도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에 물림되어 상기 콘센트(200)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탄성편(127)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스틸 박판 등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면서도 후술되는 상기 풀러(128)를 가압 조작시 작용되는 가압력에 의해 탄발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러(128)는 한쌍의 상기 전원삽입홀(111) 사이에 관통 형성되는 풀러삽입홀(111a)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탄성편(127)의 탄성에 의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의 구속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되도록 상기 탄성편(127)을 가압한다.
즉,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을 상기 콘센트(2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풀러(128)를 상기 장착공간(112) 상측으로 가압하면, 상기 풀러(128)의 일측 경사면에 의해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상기 장착공간(112)의 일측으로 탄발 변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으로부터 이격되어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풀러(128)를 상측으로 가압 조작하는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편(12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풀러(128)가 하향 가압되며, 상기 풀러(128)가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에 상기 탄성편(127)의 말단부가 인접 및 접촉되면서 물림 고정되며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와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1a)이 상기 단자접촉면부(131b)와 접촉되면, 상기 전원단자부(130) 및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시 스프링을 통한 탄성운동으로 탄성병형이 일어나는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는 제1접속판(141),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142) 및 무게추(143)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1접속판(141)의 상측에는 상기 전원단자부(130)의 상기 중공부(34) 하부와 접촉되는 접속편(141a)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접속판(141)은 전기적 통전이 일어나기 위해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접속판(141)의 측면부에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142)가 연결될 수 있는 제2밴드연결부(14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밴드연결부(144)는 후술되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142)에 포함되는 탄성밴드(142a)의 일단이 연결되는 밴드연결고리(144a)가 포함되며 상기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142)에 포함되는 스프링 코일(142b)가 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된 결합돌출부(144b)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제2밴드연결부(144)는 상기 제1접속판(141)의 측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외주 테두리를 따라 기설정된 두께만큼의 상기 결합돌출부(144b)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돌출부(144b)는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이 상기 결합돌출부(144b)에 결합되도록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의 내면 코일 지름과 같은 반경으로 돌섬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은 상기 결합돌출부(144b)와 형합되어 고정됨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시에는 접착 혹은 용접 등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은 상기 제1접속판(141)과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도록 통전 재질이자 탄성력을 지닌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밴드연결부(144)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멍에는 상기 관통구멍 내면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중심부까지 돌설된 상기 밴드연결고리(144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연결고리(144a)는 상기 탄성밴드(142a)의 일단과 연결됨을 다시 명시한다.
그리고, 상기 제2밴드연결부(144)에 연결되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142)는 상술한 상기 탄성밴드(142a)와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이 포함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은 상기 결합돌출부(144b)와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탄성밴드(142a)는 일단이 상기 밴드연결고리(144a)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의 내면 축을 통과하여 타단에 상기 무게추(143)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142a)는 링 및 고리 형태로 이루어졌음을 명시한다.
한편, 상기 탄성밴드(142a)는 탄성력을 지닌 고무와 같은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일단이 상기 밴드연결고리(144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게추(143)의 외주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탄성밴드(142a)의 탄성 변형은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의 최소 변위값보다 크고,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의 최대 변위값보다 낮음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무게추(143)는 상기 탄성밴드(142a)와 연결되되 상기 스프링 코일(142b)에 지지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탄성밴드(142a)의 일단이 상기 밴드연결고리(144a)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무게추(143)의 외주에 연결되기 위하여, 상기 무게추(143)는 제1밴드연결부(143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밴드연결부(143a)는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밴드(142a)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는 포함된 상기 제1접속판(141)의 측면에 상기 제2밴드연결부(144)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이 결합되되 상기 탄성밴드(142a)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탄성밴드(142a)의 타단이 상기 무게추(143)의 제1밴드연결부(143a)와 연결되어, 상기 무게추(143)는 상기 스프링 코일(142b)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는 진동 혹은 충격에 의한 흔들림 발생시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의 탄성변형이 발생되고, 상기 탄성변형에 따라 상기 무게추(143)가 흔들린다.
한편, 상기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탄성 운동은 상기 스프링 코일(142b)의 중심축을 따라 후술되는 중력방향을 따라 상하운동이 일어남이 일반적이나 상술한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되는 지진을 통한 흔들림이 발생된 경우, 1자유도를 지닌 상하운동 뿐만 아니라 6자유도를 지닌 회전운동이 수행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어서,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와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상기 진동통전부(145)는 제2접속판(146), 돔형 연결부(147)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2접속판(146)의 상측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연결되는 제1커넥터(184)가 연결되는 연결편(146a)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접속판(146)은 전기적 통전이 일어나기 위해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속편(141a)은 일측의 상기 전원 단자부(130)의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편(146a)은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와 전선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편(141a)은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와 전선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연결편(146a)은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와 연결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에 속한다.
이어서, 상기 돔형 연결부(147)는 상기 상기 제2접속판(146)의 측면부에 연결되되 상기 무게추(143)를 감싸되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접속판(146)과 상기 돔형 연결부(147)의 연결은 용접을 통한 연결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나 그 이외의 연결 방식으로도 연결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예컨대, 상기 제2접속판(146)과 상기 돔형 연결부(147)는 접착제로 접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2접속판(146)과 상기 돔형 연결부(147)가 연결되는 별도의 연결부가 추가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돔형 연결부(147)도 전기적 통전이 일어나기 위해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상기 돔형 연결부(147)의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돔형 연결부(147)는 상기 무게추(143)를 감싸는 반구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무게추(143)가 충돌될 수 있는 충돌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의 상기 무게추(143)는 평상시 상기 돔형 연결부(147)와 이격되어 비접촉됨이 바람직하며,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흔들림 발생시 탄성 운동이 발생되어 상기 무게추(143)와 접촉됨으로써 통전되어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와 상기 진동통전부(145)는 절연체 재질의 감지케이스(150) 내부에 수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감지케이스(150)는 하부가 상기 감지케이스(150) 바닥면의 단면적에 대응되어 관통 형성된 상기 진동부 장착개구부(115)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지케이스(15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감지케이스(150) 바닥면 테두리를 따라 상측으로 측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측벽 중 일측 측벽에는 상기 제1접속판(141)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1삽입공간(151)이 형성되고, 타측 측벽에는 상기 제2접속판(146)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제2삽입공간(152)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평상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와 상기 진동통전부(145)는 서로 이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진동 발생시 서로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케이스(150)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편(141a)과 상기 연결편(146a)이 관통되는 관통공(156)이 형성된 절연체 재질의 감지커버(155)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감지커버(155)는 상기 감지케이스(150)에 형성된 상기 측벽의 상부를 덮으며, 상기 감지 케이스(150)의 측벽에 대응되어 테두리가 상측으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감지커버(155)는 하부가 상기 감지케이스(150)의 상측을 덮으며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감지커버(155)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케이스(150)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감지케이스(150)의 측벽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합부 및 관통부는 제외되어 다른 결합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커버(155)는 상기 접속편(141a) 및 상기 연결편(146a)이 관통되는 상기 관통공(15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공(156)은 상기 접속편(141a)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156a) 및 상기 연결편(146a)이 관통되는 제2관통공(156b)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제1관통공(156a) 및 상기 제2관통공(156b)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의 상기 접속편(141a)은 상기 제1관통공(156a)을 통과하여 상기 감지커버(155)의 상부에 노출된다. 이때, 노출된 상기 접속편(141a)은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46a)은 상기 제2관통공(156b)을 통과하여 상기 감지커버(155)의 상부에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된 상기 연결편(146a)은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커넥터(184)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센트(200)는 벽면에 설치됨이 일반적이며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콘센트(200)가 벽면에 설치된 기준으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와 상기 진동통전부(145)의 설치상태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콘센트(200)가 벽면에 설치된 경우,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의 상기 무게추(143)는 중력의 영향을 받아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게추(143)는 상기 돔형 연결부(147)의 상기 충돌공간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호 이격되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진동 및 충돌로 인한 흔들림 발생시, 상기 무게추(143) 및 상기 무게추(143)와 연결된 상기 탄성밴드(142a)는 외력을 받고 상기 탄성변형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탄성변형은 중력방향을 기준으로 상술한 1자유도를 지닌 상하운동이 발생되어 상기 돔형 연결부(147)와 충돌되거나 상술한 6자유도를 지닌 회전운동이 발생되어 상기 돔형 연결부(147)와 충돌 및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의 상기 탄성변형에 의해 상기 무게추(143)는 상기 진동통전부(145)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진동통전부(145)는 후술되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와 연결되되 타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연결됨으로써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콘센트(200)는 벽면이 아닌 바닥 또는 천정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경사진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및 상기 진동통전부(145)는 상술한 상기 설치상태를 기본으로 중력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상기 진동통전부(145), 상기 감지케이스(150) 및 상기 감지커버(155)의 구조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및 상기 진동통전부(145)는 상기 감지케이스(150)에 이격될 수 있게 수용되며 일부가 관통되어 노출되는 상기 감지커버(155)가 상기 감지케이스(150) 상부에 커버되어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진동통전부(145)의 상기 연결편(146a)은 상기 제1커넥터(184)와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의 상기 접속편(141a)은 상기 플러그연결부(132)에 접촉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감지케이스(150) 내부의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는 상기 무게추(143)와 연결된 상기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142)가 형성되고, 진동 발생시 상기 진동통전부(145)의 상기 돔형 연결부(147)와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편(141a) 내지 상기 연결편(146a)은 이어지고 전류가 통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결편(146a)은 상기 제1커넥터(184)와 연결되며, 상기 제1커넥터(184)는 보조연결라인(185)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라인(185)은 제2커넥터(186)와 연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커넥터(184) 및 상기 제2커넥터(186)는 황동과 같은 도전성 금속 등의 통전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연결라인(185) 또한 통전 재질로 구비되되 외면부에 전열체 재질의 피복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편(146a)은 상기 제1커넥터(184)와 나사 및 피스가 포함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연결라인(185)은 일단이 상기 제1커넥터(184)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2커넥터(186)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커넥터(186)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에 포함되는 차단커버(175)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는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와 상기 진동통전부(145)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부 장착개구부(114)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되, 차단케이스(170), 차단커버(175), 플런저(181) 및 솔레노이드(189)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차단케이스(170)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플런저(181)가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플런저(181)를 하측으로 탄발지지하는 탄성수단(183)이 구비되되, 상기 탄성수단(183)은 바람직하게 후술되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와 상기 플런저(181) 하단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정된 걸림단(181a) 사이에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수단(183)의 탄발복원력은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기자력보다 작은 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 발생시 후술되는 상기 콘센트(200)의 전원차단으로 상기 플런저(181)가 상기 솔레노이드(189)측으로 용이하게 흡인될 수 있으며, 상기 기자력이 제거되면 상기 플런저(181)가 상기 탄성수단(183)의 탄발복원력을 통해 용이하게 하향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단케이스(170) 및 후술되는 상기 차단커버(175)는 상기 하우징부(11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와 같은 전기적 절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부 장착개구부(114)는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의 단면적에 대응하여 관통 형성되며, 상기 차단케이스(170) 및 상기 차단커버(17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솔레노이드부 장착개구부(114)의 테두리에 결합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결합돌기가 돌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181)는 상기 중공부(134)의 하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납공간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탄성수단(183)을 통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된다. 상기 플런저(181)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중심홀(189c)와 상기 차단커버(175)에 형성된 관통홀(178)을 통해 상기 중공부(134)와 동심으로 정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189)는 상기 차단케이스(17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플런저(181)의 상단 외주를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상측으로 양극단(189a) 및 음극단(189b)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양극단(189a)은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가 결합된 상기 장착공간(112)에 배치되는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접촉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음극단(189b)은 상기 차단커버(175)에 결합된 상기 제2커넥터(186)와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단커버(175)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상부를 커버하되, 상기 진동통전부(145)와 연결된 상기 제2커넥터(186)가 상기 음극단(189b)과 접촉되도록 상기 차단커버(175)에 상기 제2커넥터(186)가 연결되되, 상기 음극단이 관통되는 접지개구부(176)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개구부(176)와 이격된 상기 차단커버(175)의 타측에는 상기 양극단(189a)이 관통 돌출되어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와 접촉되는 돌출공(177)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솔레노이드장치(80)의 구조를 설명한다.
다시 말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는 상기 차단케이스(170)가 상기 솔레노이드부 장착개구부(114)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차단케이스(170)의 상기 수납공간 하측에 상기 플런저(181)와, 상기 걸림단(181a)에 상기 탄성수단(183)이 포함되어, 상기 플런저(181)가 하측으로 탄발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83) 상측에 상기 솔레노이드(189)가 구비되되,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상기 중심홀(189c)과 연통되는 상기 관통홀(178)이 구비된 상기 차단커버(175)가 상기 차단케이스(170)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차단커버(175)는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상기 음극단(189b)과 상기 양극단(189a)이 서로 이격되어 관통되고, 상기 양극단(189a)은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의 상기 중공부(134) 하측과 접촉되고, 상기 음극단(189b)은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와 연결되어 타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의 상기 중공부(134) 하측과 접촉되어 통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189)는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및 상기 진자통전부(145)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될 수 있으며, 전류가 인가된 상기 솔레노이드(189)는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타측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플런저(18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진동 발생시 상기 콘센트(200)는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 상기 솔레노이드(189),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상기 진동통전부(145) 및 타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가 연결되어 통전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는 작동된다.
상세히, 상기 솔레노이드(189)에 전원이 인가되면 기자력이 발생하며 상기 플런저(181)가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내부로 흡인되면서 상측으로 급격하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181)의 상단부가 상기 중공부(134)의 내측으로 상향 인입되면서 상기 중공부(134)에 접촉된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강한 힘으로 상측으로 밀어낸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로부터 이탈되므로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콘센트(200)는 진동 발생시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 상기 솔레노이드(189), 상기 진동통전부(145),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및 타측의 상기 전원단자부(130)가 연결되어 통전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는 작동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189)에 전원이 인가되면 기자력이 발생하며 상기 플런저(181)가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내부로 흡인되면서 상측으로 급격하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181)의 상단부가 상기 중공부(134)의 내측으로 상향 인입되면서 상기 중공부(134)에 접촉된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강한 힘으로 상측으로 밀어낸다. 이를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로부터 이탈되므로 전류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지진 및 충격으로 인한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로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중공부(134)에서 이탈되어 전기적 연결상태가 해제되어 전류가 차단되도록 작동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181)가 상향 이동되면 상기 탄성수단(183)이 압축된다.
여기서,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중공부(134)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가 상기 결합고정홈부(193)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콘센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원플러그의 몸체부(PA)를 가시적으로 확인하여 전류가 차단됨을 즉각적으로 판단 후 후속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후속 처리시까지 전류의 차단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의 동작을 통해 상기 플런저(181)가 상향 이동되어 상기 전원플러그(P1,P2) 이탈된 이후, 사용자는 지진 및 충격에 의한 진동이 사라졌을 경우,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상기 콘센트(200)는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재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진은 전진, 본진 및 여진으로 발생된다. 즉, 상기 콘센트(200)가 상기 전진으로 인해 작동되고 재연결된 이후 상기 본진 및 여진이 일어날 시 상기 콘센트(200)는 재작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의 동작으로 한쌍의 상기 전원단자부(130) 간의 전류 흐름이 차단되는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189)의 기자력은 상실되며, 상기 탄성수단(183)의 탄발력을 통해 상기 플런저(181)는 상기 차단케이스(170) 하측에 다시 탄발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진 및 여진 등의 추가적인 진동이 발생할 경우, 상기 콘센트(200)는 상술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와 통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장치(180)의 상기 플런저(181)는 재작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콘센트(200)는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를 통해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전류 차단 작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류 차단 이후 상기 전원플러그(P1,P2)가 재연결이 가능하며, 추가적인 지진 혹은 진동이 발생될 경우 전류 차단 기능이 재수행되는 일회성이 아닌 반영구적인 충격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는 주변 환경에서 기설정된 크기 이상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진자 운동됨으로써, 지진 혹은 외부충격을 통한 흔들림 발생 시 전류 흐름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작동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는 지진 등에 의한 진동 뿐만이 아닌 외부 충격을 통해서도 상기 전원플러그(P1,P2)를 상기 중공부(134)로부터 이탈시키도록 동작되어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장치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지진 발생시 전류 흐름을 차단하는 기능만이 아닌 외부 충격으로 인한 흔들림을 감지하여 전류 흐름을 안정적으로 차단함에 따라 2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200)의 각 구성 부품은 서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하다. 특히,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및 상기 진동통전부(145)는 감지케이스 내부에 장착되어 하나의 조립체로 구비되므로 상기 하우징부의 금형이 단순화되어 불량률이 감소되며,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부품간 정확한 결합을 통해 구동신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140) 및 상기 진동통전부(145)만 분리하여 교체 또는 수리 후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a: 전원측 연결라인 110: 하우징부
120: 접속지지부 130: 전원단자부
134: 중공부 140: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145: 진동통전부 180: 솔레노이드장치
189: 솔레노이드 P1,P2: 전원플러그
200: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120: 접속지지부 130: 전원단자부
134: 중공부 140: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145: 진동통전부 180: 솔레노이드장치
189: 솔레노이드 P1,P2: 전원플러그
200: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Claims (5)
- 길이방향 일측 하면부에 전원측 연결라인이 삽입되는 전원삽입홀이 관통 형성된 한쌍의 장착공간이 상호 전기적으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하우징부;
상기 장착공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의 타측을 향하여 연장되되 전원플러그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중공부가 형성된 플러그연결부를 포함하며 한쌍으로 구비된 통전 재질의 전원단자부;
상기 장착공간의 길이방향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전원측 연결라인이 상기 단자몸체에 접촉 지지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접속지지부;
진동에 따라 탄성변형되는 스프링식 진동감지부;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와 접촉 및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는 진동통전부; 및
진동 발생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가 통전되어 전류가 인가되도록 연결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류 인가 시 상기 전원플러그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타측의 상기 중공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비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는 접속편이 형성된 제1접속판과, 상기 제1접속판에 일단이 결합되는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와, 상기 코일형 스프링 커넥터의 타단에 연결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통전부는 연결편이 돌출 형성된 제2접속판과, 상기 제2접속판에 연결되되 상기 무게추를 감싸는 형태의 돔형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편 및 상기 연결편 중 어느 하나는 일측의 상기 전원단자부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솔레노이드와 전선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의 외주에는 제1밴드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접속판에는 제2밴드연결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연결부와 상기 제2밴드연결부는 탄성밴드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식 진동감지부와 상기 진동통전부는 절연체 재질의 감지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되,
상기 감지케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접속편과 상기 연결편이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체 재질의 감지커버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연결부가 배치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면에는 상기 감지케이스의 단면적에 대응되는 진동부 장착개구부가 관통형성되며,
상기 감지케이스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제1접속판 및 상기 제2접속판이 삽입지지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1667A KR102645858B1 (ko) | 2024-01-04 | 2024-01-04 |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40001667A KR102645858B1 (ko) | 2024-01-04 | 2024-01-04 |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5858B1 true KR102645858B1 (ko) | 2024-03-08 |
Family
ID=9023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01667A KR102645858B1 (ko) | 2024-01-04 | 2024-01-04 |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585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8881A (ja) * | 2005-05-15 | 2006-11-24 | Tadashi Ozawa | 震動感知式マルチタップ |
JP2008172987A (ja) * | 2007-01-09 | 2008-07-24 | Rumoma:Kk | 電源遮断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コンセント |
KR101862667B1 (ko) | 2018-04-17 | 2018-05-31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접지형 콘센트장치 |
KR20190019794A (ko) * | 2017-08-17 | 2019-02-27 | 주식회사 두남 | 접속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유닛을 갖는 콘센트 |
-
2024
- 2024-01-04 KR KR1020240001667A patent/KR1026458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18881A (ja) * | 2005-05-15 | 2006-11-24 | Tadashi Ozawa | 震動感知式マルチタップ |
JP2008172987A (ja) * | 2007-01-09 | 2008-07-24 | Rumoma:Kk | 電源遮断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コンセント |
KR20190019794A (ko) * | 2017-08-17 | 2019-02-27 | 주식회사 두남 | 접속 안정성이 우수한 접속유닛을 갖는 콘센트 |
KR101862667B1 (ko) | 2018-04-17 | 2018-05-31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접지형 콘센트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538993B2 (en) | Receptacle circuit interrupting devices providing an end of life test controlled by test button | |
CN110600948B (zh) | 一种电路安全断电保护控制结构 | |
US20100197156A1 (en) | Latchable power outlet | |
CN106953214B (zh) | 兼具两组不同电流插针组的连接器插头 | |
KR102645858B1 (ko) | 진동감지 돔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TW201340501A (zh) | 電連接器 | |
KR102185587B1 (ko) | 레일형 온도감지 전류차단 콘센트 | |
KR102645855B1 (ko) | 진동감지 진자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KR102686732B1 (ko) | 진동감지 핸들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JPH0765889A (ja) | 安全コンセント | |
KR102672585B1 (ko) | 진동감지 시소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KR102686735B1 (ko) | 진동감지 텀블러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CN110571071B (zh) | 插入式触点开关、插座组件及电梯 | |
US20030085108A1 (en) | Electrical safety outlet which can prevent electric shocks from accidental contacts | |
KR102672589B1 (ko) | 진동감지 파티션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KR102412866B1 (ko) | 플러그 삽입이 용이한 소켓 | |
KR102626063B1 (ko) |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 |
KR102626056B1 (ko) | 커넥터 일체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WO2019215953A1 (ja) | 接続端子台、電気機器 | |
KR102626062B1 (ko) | 원형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 |
US4236128A (en) | Ground fault receptacle | |
CN214595736U (zh) | 雷达座、雷达组件及扫地机器人 | |
KR102626047B1 (ko) | 버티컬 션트형 플러그 안전분리 콘센트 | |
KR100340447B1 (ko) | 안전 콘센트 | |
CN214631988U (zh) | 雷达组件及扫地机器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