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655B1 -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 Google Patents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655B1
KR101074655B1 KR1020110045315A KR20110045315A KR101074655B1 KR 101074655 B1 KR101074655 B1 KR 101074655B1 KR 1020110045315 A KR1020110045315 A KR 1020110045315A KR 20110045315 A KR20110045315 A KR 20110045315A KR 101074655 B1 KR101074655 B1 KR 101074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in
hole
current transform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6905A (ko
Inventor
이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담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담솔
Priority to KR102011004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6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6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렴하고 외부 노이즈에 강한 환형 씨티를 쉽게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전기 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콘센트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작공정도 단순하게 한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10)가 끼워져 안착되는 플러그안착면(110)을 구비하며 플러그핀(11)을 관통시킬 관통구(111)를 플러그안착면(110)에 조성한 전면케이스(100)와; 플러그안착면(110)의 관통구(111)을 관통하는 플러그핀(11)에 끼워져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칼받이(211)와 플러그핀(11)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변류기코일(340)로 감지하여 전기 공급을 단속하는 차단수단(213)을 내부에 수용한 베이스(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코일(340)은, 상기 관통구(111)와 상기 칼받이(21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칼받이(211)에 끼워지는 플러그핀(11)에 관통되게 한다.

Description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SAFETY CONCENT WITH CT-TYPE CURRENT SENSOR}
본 발명은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렴하고 외부 노이즈에 강한 환형 씨티를 쉽게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전기 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콘센트의 구조를 간소화하고 제작공정도 단순하게 한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전기기기에 연결된 플러그를 필요에 따라 꽂아 사용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꽂힌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의 전류를 감지하여 과부하 또는 누전시에 전기공급을 차단하거나 대기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식 안전콘센트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안전콘센트는 꽂힌 플러그를 통해 공급되는 전기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센싱 수단을 내장하게 되며, 내장되는 전류 센싱 수단은 션트(shunt) 저항을 이용하는 방식,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이용하는 방식, 씨티(CT : Current Transformer, 변류기)형 전류센서를 이용하는 방식, IC형 전류센서를 이용방식 등을 채용하고 있었다. 이들 중에, 션트(shunt) 저항을 이용하는 방식은 상용 전원선과 내부 차단회로 간을 절연시키기 어렵고, 트랜스포머를 이용하는 방식은 절연은 양호하나 큰 부피에 의해 콘센트를 크게 제작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어서, 일반적으로 씨티형 전류센서를 이용하는 방식이나 IC형 전류센서를 이용방식을 주로 채용하였다.
여기서, 씨티형 전류센서와 IC형 전류센서를 비교하면, 씨티형 전류센서는 저렴하고 외부 노이즈에도 영향을 덜 받아서 부품가격 및 성능면에 유리하지만 IC형 전류센서에 비해 크기가 크고 설치시에 환형의 변류기코일에 전선을 관통시켜야 하는 구조여서 콘센트에 내장할 시에 조립하기가 어려움에 따라, 최근에는 가격이 비싸고 노이즈에 영양을 더 받지만 설치하기에 간편하고 설치공간도 덜 차지하는 IC형 전류센서를 주로 채용하였다.
하지만, 씨티형 전류센서는 IC형 전류센서에 비해 크기 차이가 있더라도 콘센트에 내장하는 데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고, 외부 노이즈에 강하므로 전자식 안전콘센트의 안정된 동작을 위해서는 IC형 전류센서에 비해 장점을 갖춘다 하겠다. 따라서, 씨티형 전류센서를 채용함에 있어서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전자식 안전콘센트의 내부를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즉, 씨티형 전류센서에 전선을 관통시키는 공정 없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갖추게 하는 것이다.
한편, 콘센트의 내부에는 플러그핀에 끼워지는 칼받이가 설치되고, 접지경로를 형성하는 접지받이나 아니면 주변에 내장된 전기부품과의 절연을 위해서 또는 칼받이의 벌어짐을 제한하기 위해서 칼받이를 덮는 칼받이 커버도 설치하므로, 칼받이 커버를 이용하여 씨티형 전류센서를 내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씨티형 전류센서를 내장하되 씨티형 전류센서에 전선을 관통시키는 공정 없이 쉽게 내장할 수 있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칼받이 커버를 이용하여 씨티형 전류센서를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추가 공정 없이 설치 가능하면서, 칼받이 커버의 역할도 갖게 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러그(10)가 끼워져 안착되는 플러그안착면(110)을 구비하며 플러그핀(11)을 관통시킬 관통구(111)를 플러그안착면(110)에 조성한 전면케이스(100)와; 플러그안착면(110)의 관통구(111)을 관통하는 플러그핀(11)에 끼워져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칼받이(211)와 플러그핀(11)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변류기코일(340)로 감지하여 전기 공급을 단속하는 차단수단(214)을 내부에 수용한 베이스(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코일(340)은, 상기 관통구(111)와 상기 칼받이(21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칼받이(211)에 끼워지는 플러그핀(11)에 관통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고정하기 위한 변류기부(300)를 상기 관통구(111)와 상기 칼받이(211) 사이에 배치하되, 상기 변류기부(300)는, 플러그핀(11)을 관통시킬 핀관통구(310)를 플러그핀(11)의 개수 및 위치에 맞게 구비하고 상기 핀관통구(310)들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에워싸는 요홈(320)을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상기 요홈(320)에 끼워지게 하며, 상기 관통구(111), 핀관통구(310) 및 칼받이(211)가 연직방향에 놓이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칼받이(211)의 상단을 상기 핀관통구(310)의 하부측에 끼워지게 하여서, 상기 칼받이(211)의 벌어짐을 제한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플러그(10)의 접지단(12)에 접촉되는 접지받이(350)의 하단을 상기 변류기부(300)의 상면에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류기부(300)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받이(350)의 하단을 끼워지게 하는 장요홈(331)이 조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홈(320)은, 모든 핀관통구(310)를 내측에 있게 하는 폐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류기코일(340)은 상기 요홈(320)의 형상에 맞게 코일을 폐곡선형으로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요홈(320)에 끼움 장착되며, 상기 차단수단(214)은, 상기 변류기코일(340)로부터 감지되는 전류를 영상전류로 하여 차단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플러그핀(11)이 관통되는 전면케이스(100)의 관통구(111)와 플러그핀(11)의 하단이 끼워지는 칼받이(211)의 사이에 변류기코일(340)을 설치하여서, 플러그(10)를 플러그안착면(110)에 꽂을 시에 플러그핀(11)에 관통되게 하므로, 전선을 관통시키기 위한 공정 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씨티형 전류센서의 장점을 갖추면서 조립 공정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류기코일(340)을 칼받이 커버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여서, 추가 공정 없이 변류기코일(34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갖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의 단면도로서, 변류기부(300)가 설치된 부분을 수직으로 절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에 있어서, 변류기부(300)의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및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의 단면도로서, 콘센트의 길이방향으로 수직 절개하되 변류기코일(340)이 절반으로 절개되게 하고, 아울러, 플러그안착면(110)을 절반으로 절개하여 접지받이(350)의 지지 형태도 보이게 하였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콘센트는, 외형적으로 보면 플러그(10)를 끼움 안착되게 형성된 전면케이스(100)와, 전면케이스(100)의 하단에 고정되어 플러그(10)에 전기를 공급하는 수단(후술하는 칼받이를 포함하는 구성) 및 전류를 감시하여 전기 공급을 단속하는 수단(후술하는 차단수단)을 내부에 수용하는 베이스(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콘센트의 구조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즉, 플러그(10)가 꽂아지는 전면케이스(100) 및 전면케이스(100)의 하단에 고정되는 베이스(200)의 구조와, 플러그(10)의 플러그핀(11) 및 접지단(12)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칼받이(211) 및 접지받이(350)의 형태 및 설치구조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또한, 과전압, 과전류, 지략전류, 과열 등의 조건에 따라 전기공급을 단속하는 차단수단(214)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도 간략하게 하며, 다만, 본 발명은 플러그핀(11)을 통해 전기기기에 공급되는 전기의 전류를 감지하는 변류기코일(34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구조에 특징으로 두는 발명이므로, 이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콘센트에 꽂아 사용되는 플러그(10)를 살펴보면, 상기 전면케이스(100)에 꽂아지는 부분을 원통형에 가깝게 형성하고 상기 전면케이스(100)에 꽂아지는 방향의 면에 2개의 플러그핀(11)이 돌출되어 전기적 접촉을 이루게 하며, 측면 둘레에 접지단(12)을 구비하여 플러그(10)에 연결되는 전기기기를 접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면케이스(100)는, 플러그(10)에서 두개의 플러그핀(11)이 돌출되게 설치된 부분을 삽입할 요홈 형태의 플러그안착면(110)을 구비하며, 이때, 플러그안착면(110)에는 두개의 플러그핀(11)을 관통시킬 관통구(111)를 조성하여서 플러그핀(11)이 플러그안착면(110)을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로 진입하게 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안착면(110)에는 접지받이(350)의 양측 접지편(351)을 관통시키기 위해서 접지받이 관통구(112)를 조성하여서, 상기 접지받이 관통구(112)에 관통된 접지편(351)이 플러그(10)의 접지단(12)에 접촉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플러그(10)를 통해 공급하는 전기의 전류를 감시하여서 이상 발생 시에 전기를 단속하도록 구성되는 콘센트이므로, 전면에 다수의 통공(113)을 구비하여 차단수단(214)에 연결되는 리셋스위치(214b)나 램프(214a)를 상기 통공(113)에 끼워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도면에는 벽에 매입하는 매입형 콘센트를 실시예로 도시하였으므로 상기 전면케이스(100)를 덮도록 장착되는 플레이트(120)도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120)는 리셋스위치(214b)나 램프(214a)를 전면으로 노출되게 하는 관통구(122)와, 상기 플러그안착면(110)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플러그(10)를 관통되게 하는 관통구(121)를 구비한다. 방우형 콘센트라면 전면을 개폐하듯이 덮는 커버(미도시)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을 노출형 콘센트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플레이트(120)를 구비하지 아니하고 후술하는 베이스(200)에도 고정브라켓(220)을 구비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안착면(110)의 저면, 즉 상기 베이스(200)로 덮이는 면에는 상기 관통구(111)를 개폐하는 회전 날개(130)를 장착하기도 하는 데, 이러한 회전 날개(130)는 플러그핀(11)이 상기 관통구(111)를 끼워지지 않은 때에는 양쪽 관통구(111)를 폐구하고, 플러그핀(11)이 상기 관통구(111)에 끼워질 때에 밀리면서 회전하여 개구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요소이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하였다.
상기 베이스(200)는, 상부를 개구한 형태로 상기 전면케이스(100)의 저면에 고정되어서 내부 공간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 중에서 상기 관통구(111)의 하부측에 칼받이(211)를 내장하여서 상기 전면케이스(100)의 관통구(111)를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핀(11)을 상기 칼받이(211)에 끼워지게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에는 전선을 고정할 전선 고정부(213)가 상기 칼받이(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전선 삽입구(212)를 통해 전선이 끼워져 상기 전선 고정부(213)에 연결되면 외부로부터 공급받는 전기를 상기 칼받이(211)를 통해 플러그핀(11)에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선 고정부(213)와 상기 칼받이(211) 사이의 전기공급은 차단수단(214)에 의해서 단속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받이(211), 전선 고정부(213) 및 차단수단(214)을 판상의 몸체에 장착하여 차단부 어셈블리(210)로 구성한 후에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차단부 어셈블리(2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도록 다양한 형태를 갖출 수 있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 상기 칼받이(211)를 상기 차단부 어셈블리(210)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 공간 저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종래 콘센트에서는 상기 전선 고정부(213)와 상기 칼받이(211) 사이의 전기 공급경로에 환형 시티(CT : current transformer, 변류기)를 설치하여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한 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차단수단(214)으로 전기공급을 단속하게 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안전콘센트는 환형 시티인 변류기코일(340)을 상기 관통구(111)와 상기 칼받이(211)의 사이에 배치되게 구성하여서, 상기 칼받이(211)에 끼워지는 플러그핀(11)에 관통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변류기코일(340)은 코일을 원을 그리며 복수회로 감아 전체적으로 환형 고리에 가깝게 하고 코일의 양단을 연장한 인출선(341)을 상기 차단수단(241)에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서 변류기부(300)를 장착한다.
상기 변류기부(300)는, 플러그핀(11)을 관통시킬 핀관통구(310)를 플러그핀(11)의 개수에 맞게 구비하되, 플러그핀(11)들의 간격 및 배치 위치에 맞게 구비하고, 상기 전면케이스(100)의 플러그안착면(110)과 상기 칼받이(21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관통구(111), 핀관통구(310) 및 칼받이(211)가 연직방향으로 놓이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핀관통구(310)들 중에 어느 하나를 에워싸는 요홈(320)이 형성되는 데, 이때, 상기 요홈(320)은 상기 핀관통구(310)를 에워싸는 원을 따라 형성되되 환형의 상기 변류기코일(340)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서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끼울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핀관통구(310)을 에워싸는 상기 요홈(320)에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끼움에 따라, 상기 플러그핀(11)이 상기 관통구(111) 및 핀관통구(310)을 관통하여 하단을 상기 칼받이(211)에 끼워지게 하면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관통하는 형태가 되어서, 상기 플러그핀(11)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변류기부(300)의 상면에는 테두리에서 시작하여 상기 요홈(320)에 이르는 장요홈 형태의 전선인출홈(321)이 형성되어서, 변류기코일(340)의 인출선(341)을 상기 전선인출홈(321)에 끼워지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변류기코일(310)을 하나만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 2개의 플러그핀(11) 중에 어느 하나의 플러그핀(11)에 대해서만 전류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각각의 플러그핀(11)에 흐르는 전류를 개별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 플러그핀(11)이 관통되는 핀관통구(310)마다 상기 요홈(320)을 형성하고 각각의 요홈(320)에 변류기코일(310)을 하나씩 끼우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핀관통구(310)마다 변류기코일(310)로 전류를 감지하는 경우는, 각각의 플러그핀(1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영상전류를 감지하고 영상전류에 근거하여 지락전류의 발생시에 전기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차단수단(214)를 구성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요홈(320)은, 모든 핀관통구(310)를 내측에 있게 하는 폐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류기코일(340)은 상기 요홈(320)의 형상에 맞게 코일을 폐곡선형으로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요홈(320)에 끼움 장착되도록, 상기 변류기부(3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차단수단(214)이 하나의 변류기코일(340)로 영상전류를 감지하여 지락사고시에 차단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칼받이(211)의 상단을 상기 핀관통구(310)의 하부측에 끼워지게 하였음을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칼받이(211)는 원호 단면을 갖는 두개의 도체를 서로 마주하게 하며, 두개의 도체 사이에 플러그핀(11)이 끼워질 때에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하여 플러그핀(11)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플러그핀(11)을 빼내면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장착된다. 이때, 플러그핀(11)을 상기 칼받이(211)에 반복적으로 끼웠다 빼고, 플러그핀(11)을 끼우거나 뺄 때에 흔들리기도 하여 상기 칼받이(211)의 두 도체가 원하지 않는 정도로 벌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통상적으로 상기 칼받이(211)마다 두 도체가 최대로 벌어지는 것을 제한하도록 칼받이(211)의 장착공간을 제한하거나, 아니면, 칼받이(211)의 상단에 끼워지는 통공을 구비한 칼받이 커버를 설치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에서는, 상기 변류기부(300)를 칼받이 커버의 역할을 하게 하므로, 칼받이 커버와 같이 칼받이(211)의 벌어짐을 제한하는 구성을 별도를 장착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상기 핀관통구(310)의 내경은 칼받이(211)의 최대 벌어짐 허용치에 맞게 형성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10)의 접지단(12)에 접촉되어 접지단(12)을 접지시키는 접지받이(350)를 상기 변류기부(300)에 지지되게 한다. 상기 접지받이(350)는 하단을 형성하는 장형 판상 몸체(352)의 양측에 상방으로 절곡된 접지편(351)을 구비하고, 상기 접지편(351)이 전면케이스(110)의 접지받이 관통구(112)를 통해 관통되게 장착되어서, 플러그안착면(110)에 끼워지는 플러그(10)의 접지단(12)에 접촉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지받이(350)의 장형 판상 몸체(352)를 지지할 접지받이 안착면(330)을 상기 변류기부(300)의 상면에 조성한다. 이때, 상기 접지받이 안착면(330)은 두개의 핀관통구(310) 사이에 조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쪽의 핀관통구(310) 방향에 단턱을 형성하여 장형 판단 몸체(352)가 단턱을 걸리듯이 장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립할 시에 편의성을 제공하지만, 조립 후에는 접지받이(350)의 흔들림을 방지한다.
상기 접지받이 안착면(3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지받이(350)의 장형 판상 몸체(352)을 끼워지게 하는 장요홈(331) 형태로 조성하여서, 상기 접지받이(350)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접지받이(350)는 외부 접지측 전선(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예를 들면, 전선을 이용해 연결할 수도 있고, 매입형 콘센트일 경우에 외부 접지측 전선(미도시)에 연결되는 고정브라켓(220)에 접촉되게 구성하면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상기 접지받이(350)의 접지 형태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기 변류기부(300)는, 콘센트에 장착함에 있어서 베이스(20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돌기(360)를 구비한다. 즉,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변류기부(300)는, 하부로 돌출되는 제1 고정돌기(361)와, 상부로 돌출되는 제2 고정돌기(36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고정돌기(361)는 하측에 배치되는 차단부 어셈블리(210)의 몸체에 끼워지게 형성되고, 상기 2 고정돌기(362)는 중공관 형상으로 조성되어서 전면케이스(100)의 저면에 돌출된 돌기(미도시)에 끼움 결합된다. 하지만, 상기 고정돌기(360)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다만, 전면케이스(100)에 고정할 수는 형태 또는 차단부 어셈블리(210)나 아니면 베이스(200)에 고정할 수 있는 형태면 만족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2개의 플러그핀(11)을 갖는 플러그(10)를 꽂아 사용되는 단상의 콘센트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삼상 전기기기에 사용되는 3개 또는 4개의 플러그핀(11)을 갖는 플러그(10)를 꽂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전면케이스(100)의 관통구(111)를 3개 또는 4개로 조성하고 칼받이(211)도 관통구(111)의 개수 및 위치에 맞게 형성되므로, 관통구(111)의 개수 및 위치에 맞게 핀관통구(310)를 형성한 변류기부(300)를 사용한다. 여기서, 차단수단(214)에 의한 전기공급의 단속형태에 맞게 어느 하나의 핀관통구(310)에만 요홈(320)을 형성하여 변류기코일(340)을 설치하든지, 아니면 핀관통구(310)마다 요홈(320)을 형성하여 각각의 요홈(320)에 변류기코일(340)를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아니면, 핀관통구(320)들을 모두 내측에 있게 하는 요홈(320)을 형성하여 하나의 변류기코일(34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안전콘센트에 설치되는 차단수단(214)에서 필요로 하는 조건에 따라, 즉, 각 플러그핀(11)별로 과전류를 감지하여 단속할 것인지, 아니면 지락전류를 감지할 것이지에 따라 변류기코일(34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변류기부(300)를 구성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플러그 11 : 플러그핀 12 : 접지단
100 : 전면케이스 110 : 플러그안착면 111 : 관통구
112 : 접지받이 관통구 113 : 통공 120 : 플레이트
200 : 베이스 210 : 차단부 어셈블리 211 : 칼받이
212 : 전선 삽입구 213 : 전선 고정부
214 : 차단수단 220 : 고정브라켓
300 : 변류기부 310 : 핀관통구 320 : 요홈
321 : 전선인출홈 330 : 접지받이 안착면
340 : 변류기코일 341 : 인출선 350 : 접지받이
360 : 고정돌기

Claims (6)

  1. 플러그(10)가 끼워져 안착되는 플러그안착면(110)을 구비하며 플러그핀(11)을 관통시킬 관통구(111)를 플러그안착면(110)에 조성한 전면케이스(100)와; 플러그안착면(110)의 관통구(111)을 관통하는 플러그핀(11)에 끼워져 전기적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칼받이(211)와 플러그핀(11)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변류기코일(340)로 감지하여 감지한 전류 값에 따라 칼받이(211)에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차단수단(214)을 내부에 수용한 베이스(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코일(340)은,
    상기 관통구(111)와 상기 칼받이(211)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상기 칼받이(211)에 끼워지는 플러그핀(11)에 관통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고정하기 위한 변류기부(300)를 상기 관통구(111)와 상기 칼받이(211) 사이에 배치하되,
    상기 변류기부(300)는,
    플러그핀(11)을 관통시킬 핀관통구(310)를 플러그핀(11)의 개수 및 위치에 맞게 구비하고 상기 핀관통구(310)들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에워싸는 요홈(320)을 형성하여 상기 변류기코일(340)을 상기 요홈(320)에 끼워지게 하며, 상기 관통구(111), 핀관통구(310) 및 칼받이(211)가 연직방향에 놓이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칼받이(211)의 상단을 상기 핀관통구(310)의 하부측에 끼워지게 하여서, 상기 칼받이(211)의 벌어짐을 제한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4. 제 2항에 있어서,
    플러그(10)의 접지단(12)에 접촉되는 접지받이(350)의 하단을 상기 변류기부(300)의 상면에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류기부(300)의 상면에는 상기 접지받이(350)의 하단을 끼워지게 하는 장요홈(331)이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320)은, 모든 핀관통구(310)를 내측에 있게 하는 폐곡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류기코일(340)은 상기 요홈(320)의 형상에 맞게 코일을 폐곡선형으로 감기도록 형성되어 상기 요홈(320)에 끼움 장착되며,
    상기 차단수단(214)은, 상기 변류기코일(340)로부터 감지되는 전류를 영상전류로 하여 차단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KR1020110045315A 2011-05-13 2011-05-13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KR101074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15A KR101074655B1 (ko) 2011-05-13 2011-05-13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315A KR101074655B1 (ko) 2011-05-13 2011-05-13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905A KR20110066905A (ko) 2011-06-17
KR101074655B1 true KR101074655B1 (ko) 2011-10-18

Family

ID=4439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315A KR101074655B1 (ko) 2011-05-13 2011-05-13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65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6905A (ko) 201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US7116191B2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protection
US9450347B2 (en) Power cord
US7940498B2 (en) Circuit interrupting device with high voltage surge protection
US8154831B2 (en) Leakage current detection interrupter with fire protection means
US20080094764A1 (en) Power plug with leakage 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circuit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US20070132530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reverse wiring and end-of-life protection
KR101046173B1 (ko) 안전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멀티탭
JP2023139078A (ja) 主電源プラグ
JP2020536369A5 (ko)
US20140176130A1 (en) Contactless angular position detection device
KR101074655B1 (ko) 씨티형 전류센서 부착구조 안전콘센트
JP5538650B2 (ja) 回路遮断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36906A (ko) 콘센트 안전장치
JP4205478B2 (ja) 電源コンセント
KR101436309B1 (ko) 케이블 릴의 멀티 콘센트
KR102206118B1 (ko) Led 표시를 기반으로 하는 안전형 콘센트
CN109216074B (zh) 一种单刀单掷式跷板开关
KR101643998B1 (ko) 배선 편리성과 호환성을 향상시킨 소형 차단기
DK3118944T3 (en) TERMINAL WITH IMPROVED CONTACT KIT
KR200312338Y1 (ko) 퓨즈 내장형 전원 플러그
CN210621862U (zh) 高安全的一体式智能马桶
KR102626063B1 (ko) 원통전원절체형 플러그안전분리 콘센트
US20230077845A1 (en) Current Transformer with Test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