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273Y1 -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273Y1
KR200413273Y1 KR2020060000244U KR20060000244U KR200413273Y1 KR 200413273 Y1 KR200413273 Y1 KR 200413273Y1 KR 2020060000244 U KR2020060000244 U KR 2020060000244U KR 20060000244 U KR20060000244 U KR 20060000244U KR 200413273 Y1 KR200413273 Y1 KR 200413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ouble
sided tape
tap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2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연
김이연
Original Assignee
장석연
김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석연, 김이연 filed Critical 장석연
Priority to KR20200600002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2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 G03G15/02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by contact, friction or induction, e.g. liquid charging apparatus by bringing a charging member into contact with the member to be charged, e.g. roller, brush charg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용은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드럼을 스테핑 모터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고, 테이프 드럼에서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가 센터 로울러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면서 실린더에 의해 밀리는 부착 로울러와 누름편에 의해 드럼에 완전하게 부착한 다음 커터로 절단하는 과정에 의해 드럼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를 나란히 부착하도록 한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고안은,
이송 모터가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루도 같이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볼트부가 가이더에 의해 정확하게 전후진을 하도록 하여 볼트부가 일측에 형성된 드럼도 같이 전후진하도록 하고,
상기의 이송 모터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한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드럼을 이송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드럼이 후방으로 완전히 밀렸다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스테핑 모터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고,
테이프 드럼에서 분리편에 의해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가 수지 로울러에 의해 완전하게 분리된 후 센터 로울러와 두 이송 로울러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고,
다시 수지 로울러와 센터 로울러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양면 테이프가 제1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로울러와 누름편에 의해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완전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드럼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 모터가 전방의 근접 스위치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인식하게 되면 제2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핀과 커터에 의하여 양면 테이프의 끝단을 절단하도록 하고,
절단이 완료된 후 다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한 드럼의 위치를 후방의 근접 스위치로 인식하게 되면 스테핑 모터에 의하여 다음의 양면 테이프를 부착할 위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시 이송 모터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를 나란히 부착하고, 그 위에 도전성 섬모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은 다음 다시 양면 테이프를 원주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하는 과정에 의해 양면 테이프의 사이에 도전성 섬모의 일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에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adhesion equipment of tape for brush}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편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이송 모터 5 : 드럼
6, 7 : 근접 스위치 8 : 스테핑 모터
10 : 작동편 11 : 테이프 드럼
14, 18 : 센터 로울러 21 : 제1 실린더
22 : 부착 로울러 23 : 누름편
26 : 핀 27 : 커터
본 고안은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드럼을 스테핑 모터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고, 테이프 드럼에서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가 센터 로울러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면서 실린더에 의해 밀리는 부착 로울 러와 누름편에 의해 드럼에 완전하게 부착한 다음 커터로 절단하는 과정에 의해 드럼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를 나란히 부착하도록 한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시는 프린터나 복사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현상드럼의 표면에 토너를 정착시키기 위해 고전압(음전기)을 대전시키는데 사용하는 대전 브러시와 정착된 토너를 종이에 전사하고 현상드럼 표면에 남아있는 고전압(음전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제전브러시가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상기의 복사기나 프린터는 정전기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이는, 반도체 물질인 셀레늄을 증착한 원통형 현상드럼 주변에 대전 유니트를 설치하여 양전기를 띠게 하고, 노광 유니트의 레이저빔에 의해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을 현상드럼에 현상시키면 노광 유니트에 의해 현상된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음전기를 띠게 되어 음전기를 띠고 있는 토너는 정전기에 의해 문자나 숫자 또는 도형부분에 정착된다.
이때 이송로울러를 따라 지나가는 종이에 강한 양전기를 대전시키면 현상드럼에 정착되어 있던 토너는 그대로 종이쪽으로 전사되며, 이어서 히팅로울러를 거치면서 토너는 종이 면에 완전히 정착되며, 참고로 분말형태의 흑연입자로 이루어진 토너에는 수지성분이 코팅되어 있어 열을 가하게 되면 토너는 정착된 상태로 종이에 완전히 고착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대전 유니트는 현상드럼의 표면이 양전기를 띠게 하는 대전 유니트의 대전 와이어는 대전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백금으로 도금되어 있어 대전와 이어의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대전 와이어를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대전 와이어가 손상되거나 이물질이 흡착되어 현상드럼에 대전되는 양전기 의 표면전위가 불균일하게 나타나 종이에 전사되는 화상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2003년 7월 28일자 고안신안등록출원 제 20-2003-0024259호(프린터용 대전 및 제전 브러시)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경도가 낮은 금속재로 이루어진 "U"자형의 플레이트와,
도전성을 지닌 제전섬유로 이루어진 섬모와,
상기 섬모의 일측에 부착하여 "U"자형 플레이트와 일체를 이루게 하는 양면양면 테이프와,
고전압 유니트로부터 발생되는 고압(양전기)을 섬모에 인가시키는 리드선을 포함한 접속단자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전섬유로 이루어진 섬모에 이물질이 흡착되었을 경우 간단하게 털어내는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현상드럼의 표면에 대전되는 양전기의 표면전위를 일정하게 할 수 있어 프린터의 인쇄화질을 선명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프린터용 대전 및 제전 브러시를 제조할 때 섬모를 나란히 배열하여 "U"자형의 플레이트에 양면 테이프로 결합하는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드럼을 스테핑 모터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고, 테이프 드럼에서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가 센터 로울러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면서 실린더에 의해 밀리는 부착 로울러와 누름편에 의해 드럼에 완전하게 부착한 다음 커터로 절단하는 과정에 의해 드럼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를 나란히 부착하도록 한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는 이송 모터가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루도 같이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크루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볼트부가 가이더에 의해 정확하게 전후진을 하도록 하여 볼트부가 일측에 형성된 드럼도 같이 전후진하도록 하고,
상기의 이송 모터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한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드럼을 이송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드럼이 후방으로 완전히 밀렸다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스테핑 모터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고,
테이프 드럼에서 분리편에 의해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가 수지 로울러에 의해 완전하게 분리된 후 센터 로울러와 두 이송 로울러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고,
다시 수지 로울러와 센터 로울러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양면 테이 프가 제1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로울러와 누름편에 의해 드럼의 길이 방향으로 완전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드럼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 모터가 전방의 근접 스위치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인식하게 되면 제2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핀과 커터에 의하여 양면 테이프의 끝단을 절단하도록 하고,
절단이 완료된 후 다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한 드럼의 위치를 후방의 근접 스위치로 인식하게 되면 스테핑 모터에 의하여 다음의 양면 테이프를 부착할 위치로 드럼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시 이송 모터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양면 테이프를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를 나란히 부착하고, 그 위에 도전성 섬모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은 다음 다시 양면 테이프를 원주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하는 과정에 의해 양면 테이프의 사이에 도전성 섬모의 일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에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는,
이송 모터(1)가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루(2)도 같이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스크루(2)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볼트부(3)가 가이더(4)에 의해 정확하게 전후진을 하도록 하여 볼트부(3)가 일측에 형성된 드럼(5)도 같이 전후진하도록 하고,
상기의 이송 모터(1)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한 근접 스위치(6)(7)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드럼(5)을 이송시키도록 하고,
상기의 드럼(5)이 후방으로 완전히 밀렸다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스테핑 모터(8)와 동력전달기구(9)를 경유한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고,
상기 드럼(5)이 이동하는 공간의 상단에 작동편(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의 테이프 드럼(11)에서 분리편(12)에 의해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31)가 수지 로울러(13)에 의해 완전하게 분리된 후 센터 로울러(14)와 두 이송 로울러(15)(16)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고,
다시 수지 로울러(17)와 센터 로울러(18)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양면 테이프(31)가 제1 실린더(2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로울러(22)와 누름편(23)에 의해 드럼(5)의 길이 방향으로 완전하게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드럼(5)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 모터(1)가 전방의 근접 스위치(6)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인식하게 되면 제2 실린더(25)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핀(26)과 커터(27)에 의하여 양면 테이프(31)의 끝단을 절단하도록 하고,
절단이 완료된 후 다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한 드럼(5)의 위치를 후방의 근접 스위치(7)로 인식하게 되면 스테핑 모터(8)에 의하여 다음에 양면 테이프(31)를 부착할 위치로 드럼(5)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시 이송 모터(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양면 테이프(31)를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드럼(5)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31)를 나란히 부착하고, 그 위에 도전성 섬모(32)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은 다음 다시 양면 테이프(33)를 원주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하는 과정에 의해 양면 테이프(31)(33)의 사이에 도전성 섬모(32)의 일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34)에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의 센터 로울러(14)(18)는 장고형으로 형성된 중앙의 오목한 부위로 양면 테이프(31)(33)가 이송되도록 하여 드럼(5)의 정확한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양면 테이프(31)(33)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는 이송 모터(1)가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스크루(2)도 같이 회전시키도록 한다.
상기 스크루(2)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볼트부(3)가 가이더(4)에 의해 정확하게 전진하도록 하여 볼트부(3)가 일측에 형성된 드럼(5)도 같이 전진하도록 한다.
상기의 이송 모터(1)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한 근접 스위치(6)(7)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드럼(5)을 이송시키도록 한다.
상기 드럼(5)이 이동하는 공간의 상단에 작동편(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의 테이프 드럼(11)에서 분리편(12)에 의해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31)가 수지 로울러(13)에 의해 완전하게 분리된 후 센터 로울러(14)와 두 이송 로울러 (15)(16)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한다.
다시 수지 로울러(17)와 센터 로울러(18)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양면 테이프(31)가 제1 실린더(2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로울러(22)와 누름편(23)에 의해 드럼(5)의 길이 방향으로 완전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상기의 센터 로울러(14)(18)는 장고형으로 형성된 중앙의 오목한 부위로 양면 테이프(31)(33)가 이송되도록 하여 드럼(5)의 정확한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양면 테이프(31)(33)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드럼(5)을 전후로 이동시키는 이송 모터(1)가 전방의 근접 스위치(6)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한 상태를 인식하게 되면 제2 실린더(25)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핀(26)과 커터(27)에 의하여 양면 테이프(31)의 끝단을 절단하도록 한다.
절단이 완료된 후 다시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한 드럼(5)의 위치를 후방의 근접 스위치(7)로 인식하게 되면 스테핑 모터(8)와 동력전달기구(9)를 경유한 회전력에 의해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므로 다음에 양면 테이프(31)를 부착할 위치로 회전한 드럼(5)을 다시 이송 모터(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양면 테이프(31)를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1차로 양면 테이프(31)를 드럼(5)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한다.
그 위에 도전성 섬모(32)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은 다음, 다시 양면 테이프(33)를 원주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하는 과정에 의해 양면 테이프(31)(33)의 사이에 도전성 섬모(32)의 일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34)에 간단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에 의하여서는 근접 스위치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드럼을 스테핑 모터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시키도록 하고, 테이프 드럼에서 종이와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가 센터 로울러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면서 실린더에 의해 밀리는 부착 로울러와 누름편에 의해 양면 테이프를 드럼에 완전하게 부착한 다음 커터로 절단하는 과정에 의해 드럼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를 나란히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드럼의 외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주상으로 양면 테이프를 나란히 부착하고, 그 위에 도전성 섬모를 일정한 간격으로 감은 다음 다시 양면 테이프를 원주상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부착하는 과정에 의해 양면 테이프의 사이에 도전성 섬모의 일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플레이트에 간단히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이송 모터(1)에 의해 스크루(2)도 같이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스크루(2)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볼트부(3)가 가이더(4)에 의해 전후진을 하면서 일체로 형성된 드럼(5)도 같이 전후진하도록 하고,
    상기의 이송 모터(1)는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한 근접 스위치(6)(7)에 의해 정해진 범위에서 드럼(5)을 이송시키도록 하고,
    상기 드럼(5)이 이동하는 공간의 상단에 작동편(10)이 위치하도록 하여 일측의 테이프 드럼(11)에서 분리편(12)과 수지 로울러(13)에 의해 종이와 완전하게 분리되는 양면 테이프(31)가 센터 로울러(14)와 두 이송 로울러(15)(16)에 의해 정상적인 위치로 이송되도록 하고,
    다시 수지 로울러(17)와 센터 로울러(18)에 의해 이송되는 양면 테이프(31)가 제1 실린더(21)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부착 로울러(22)와 누름편(23)에 의해 드럼(5)의 길이 방향으로 부착되도록 하고,
    상기 드럼(5)이 이송 모터(1)에 의해 전방의 근접 스위치(6)와 접하게 되면 제2 실린더(25)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는 핀(26)과 커터(27)에 의하여 양면 테이프(31)의 끝단을 절단하도록 하고,
    드럼(5)의 위치를 후방의 근접 스위치(7)로 인식하게 되면 스테핑 모터(8)와 동력전달기구(9)를 경유한 회전력에 의하여 다음에 양면 테이프(31)를 부착할 위치 로 드럼(5)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다시 이송 모터(1)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양면 테이프(31)를 부착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KR2020060000244U 2006-01-04 2006-01-04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KR200413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44U KR200413273Y1 (ko) 2006-01-04 2006-01-04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244U KR200413273Y1 (ko) 2006-01-04 2006-01-04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950A Division KR100796765B1 (ko) 2006-01-04 2006-01-04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273Y1 true KR200413273Y1 (ko) 2006-04-06

Family

ID=41763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244U KR200413273Y1 (ko) 2006-01-04 2006-01-04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27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146210A (ja) 静電画像印刷装置
JPH09211941A (ja) 画像形成装置
JP2632899B2 (ja) 帯電部材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H03181982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CN100538551C (zh) 双极性静电刷清洁装置
KR200413273Y1 (ko)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JPS6334467B2 (ko)
KR100796765B1 (ko) 브러시용 테이프의 부착장치
JPS61232480A (ja) 残留トナー除去方法及び装置
JP4959548B2 (ja) 転写ローラのための伝導性ブラシクリーニング
JP394015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337542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7983586B2 (en) Automated cleaner for charging
EP3065000B1 (en) Image forming device
JPH0310238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CN103576498B (zh) 图像形成装置
JP2000338791A (ja) 画像形成装置
JPS6334468B2 (ko)
US74963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arging a media transport belt conveyor in a printer or copier
JPH06149012A (ja) ローラ帯電装置
JP4302928B2 (ja) 電圧印加装置
JP4625312B2 (ja) 画像形成装置
JPS6355068B2 (ko)
EP0628893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non-contact transfer method
JP200624346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