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083Y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083Y1
KR200413083Y1 KR2020060002003U KR20060002003U KR200413083Y1 KR 200413083 Y1 KR200413083 Y1 KR 200413083Y1 KR 2020060002003 U KR2020060002003 U KR 2020060002003U KR 20060002003 U KR20060002003 U KR 20060002003U KR 200413083 Y1 KR200413083 Y1 KR 2004130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inner cylinder
exhaust pipe
main body
out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경희
Original Assignee
한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희 filed Critical 한경희
Priority to KR2020060002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0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0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083Y1/ko
Priority to CNU2006201355327U priority patent/CN200954456Y/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을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제품의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Disposal apparatus of garbage}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기저부
120 : 외통 122,123 : 제1,2축이음부
130 : 내통 132 : 분쇄날
134,182 : 모터 136,137 : 제1,2구동기어
138 : 회전축 140 : 뚜껑
142 : 컨트롤패널 150 : 필터
160 : 배기파이프 162 : 배기파이프 지지대
170 : 히터 180 : 배기팬
본 고안은 제품을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제품의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통상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하수구로 버리거나 또는 쓰레기통에 폐기하였는바, 이로 인해 악취가 나고 해충이나 쥐의 번식을 유발하는 등 비위생적인 폐단이 많았었다.
이러한 폐단을 극복하고자 실용신안공보 제1996-0010343호에서는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통체에 안치된 내통의 하부에는 배수구와 공기정화장치가 연결되고 내통 내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단열용기가 설치되었으며 단열용기에 삽탈되는 음식물 쓰레기 수장통에는 교반날개가 축 설치되어서 모우터에 축 접속되고 뚜껑에는 열풍배출장치가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뚜껑을 열고 단열용기에 삽입된 음식물 쓰레기 수장통에 적당한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하여서 넣고 뚜껑을 닫은후 콘트롤 장치를 가동하게 되면 뚜껑에 설치된 열풍배출장치에서 고온의 열품이 하방으로 배출되고 동시에 모우터의 구동에 따라 교반날개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시키면 음식물 쓰레기 잘게 파쇄되면서 함유된 수분은 증발하게 되는데, 이때 환풍기에 의해 냉각된 내통과 단열용기 사이의 간격로 물방울이 되어서 낙하하여 배수구를 통해 배수용기에 저장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간격로 유입되어서 공기 정화장치를 거친후 배기구로 배기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일정한 시간동안 작동시키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수장통내의 음식물쓰레기는 완전히 탈수 및 탈취되고 부피가 최소화된 분말상태가 된다. 따라서 폐기가 용이할 뿐 아니라, 화초나 작물의 비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위생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공해를 방지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열풍배출장치가 단열용기 상부의 뚜껑에 설치된 구성을 갖기 때문에, 뚜껑 부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뚜껑의 설계자유도가 현저하게 저하되고, 아울러 장치의 작동시 상기 열풍배출장치가 설치된 뚜껑 부분에서 과도한 온도상승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제품 조작시 안정성을 크게 저해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뚜껑을 열고 단열용기에 삽입된 음식물 쓰레기 수장통에 음식물 쓰레기를 넣고 뚜껑을 닫은 후 별도의 콘트롤 장치를 가동하여 동작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제품의 사용상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외통에 부착하고, 아울러 온도스위치를 통해 감지된 내통의 온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분쇄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콤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고, 제품의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제품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외통;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날이 설치되는 내통;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내통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외통에 부착되는 히터; 상기 내통과 연통되는 배기파이프; 상기 배기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 내부의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 상기 모터와 상기 히터 및 상기 배기팬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온도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기파이프의 상단에는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 및 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수증기를 필터링하게 되는 필터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배기파이프가 지지되는 배기파이프 지지대가 설치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처리장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는 외통(120)과, 상기 외통 (120) 내에 배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날(132)이 설치되는 내통(130)과, 상기 본체(100)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날(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4)와, 상기 내통(130)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외통(120)에 부착되는 히터(170)와, 상기 내통(130)과 연통되는 배기파이프(160)와, 상기 배기파이프(160)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130) 내부의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180)과, 상기 모터(134)와 상기 히터(170) 및 상기 배기팬(18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외통(120)과 내통(130) 사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온도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외통(120)은 원통 형태의 수납용기로서 중심부에는 모터(134)와 연결되는 회전축(138)이 관통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회전축(138)을 감싸도록 요철형태의 외형을 갖는 제1축이음부(122)가 고정된다.
내통(130)은 음식물 쓰레기가 수납되는 수납용기로서 상기 외통(12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측에 배치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외통(120)을 관통한 회전축(138)이 관통되며, 상기 내통(130)의 저면부에는 상기 제1축이음부(122)와 서로 맞물리게 되는 요철형태의 제2축이음부(123)가 고정된다.
제1,2축이음부(122)(123)는 상기 내통(130)을 상기 외통(120)에 상하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연결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상기 내통(130)은 상기 외통(120)과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방향의 회전은 불가능하지만 상하방향의 분리는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00)의 상단에는 상기 내통(13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뚜껑(140)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138)의 하단에는 제2구동기어(138)가 결합되고, 상기 제2구동기어(138)는 외통(120) 하부에 설치된 모터(134)의 모터축(135)과 결합된 제1구동기어(136)와 상호 치합을 이루고 있다.
아울러 상기 회전축(138)의 상단에는 내통(130) 내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날(132)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120)의 저면부에는 환형 튜브 형상을 갖는 히터(170)가 부착되며, 상기 히터(170)의 가열에 의해 내통(1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 및 건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뚜껑(140)의 개폐작용에 의해 히터(170) 및 분쇄날(132)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회로 구성되어 있는바, 뚜껑(140)의 폐쇄시 히터(170) 및 분쇄날(132)이 작동되고, 뚜껑(140)의 개방시 히터(170) 및 분쇄날(132)의 작동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배기파이프(160)는 외통(120)의 외측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내통(130)와 연통되고, 상기 내통(130) 내부에서 가열된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기파이프(160) 내부를 통과하게 되는 고온의 냄새 및 수증기의 원활한 냉각작용을 위해 상기 배기파이프(160)의 일부분을 주름진 형태로 형성하여 t아기 배기파이프(160)와 외부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혀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배기파이프(160)와 내통(130)을 연결하는 통로상에는 상기 내통(1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냄새(악취) 및 수증기를 정화하는 필터(15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150)는 교체가 용이하도록 본체(100)의 뚜껑(140)의 직하방에 위치한 배기파이프(160)의 상단측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체(100) 내에는 상기 배기파이프(160)가 지지되는 배기파이프 지지대(162)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파이프 지지대(162)는 상기 필터(15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파이프(160)의 상단을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배기파이프(160)의 하단에는 내통(1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도록 하는 배기팬(180)이 설치된다.
상기 배기팬(180)은 배기파이프(160)의 하단에 연통된 배기팬 케이스(184) 내부에 배치되고, 본체(100)의 기저부(110) 일측에 설치된 모터(182)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182)의 회전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배기파이프(160) 및 내통(130)으로 이어지는 통로상에 진공흡입력을 발생시켜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한편, 분쇄날(132)을 회전시키는 모터(135)와, 배기팬(180)을 회전시키는 모터(182), 그리고 내통(130)을 가열하는 히터(170)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본체(100)의 상단의 컨트롤패널(142)과 연결된다.
한편, 본체(100) 내에는 상기 외통(120)과 내통(130) 사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온도스위치(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도스위치는 온도만을 감지하여 제어부로 전송하는 일반적인 온도센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바이메탈과 같이 일정온도에 다다르면 스위치가 접점 또는 단락되는 스위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온도스위치는 내통(130)이나 외통(120)에 직접 연결되도록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내통(130)과 외통(120)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체(100) 상단의 뚜껑(140)을 개방하여 내통(130)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S310)한 다음, 상기 개방된 상태의 뚜껑(140)을 닫게 되면(S320), 히터(170)가 작동되고 동시에 분쇄날(132)과 연결된 모터(134)가 작동되어 내통(1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시킴과 동시에 분쇄하게 된다.(S330)
이와 같이 내통(13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분쇄날(132)의 회전에 의해 잘게 분쇄되는 동시에 상기 히터(17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수분이 증발되어 건조된다.
이때, 상기 히터(170)에 의해 가열되는 외통(120)과 내통(130) 사이의 온도 는 기계적인 내구성과 화상의 위험성을 감안하여 대략 80 ~ 90℃ 정도로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분쇄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제어부에서는 온도스위치를 통해 감지된 내통(130)의 온도를 제어부 내의 설정온도와 비교 판단하게 되고(S340), 상기 내통(130)의 온도가 80 ~ 90℃도에 미치지 못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 및 분쇄작용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 후 일정시간이 경과 하여 상기 내통(130)의 온도가 80 ~ 90℃도에 다다르게 되면, 상기 온도스위치는 제어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히터(170) 및 분쇄날(132)의 작동을 정지시키고(S350), 배기팬(180)을 작동시켜(S360)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하는 냄새(악취) 및 수증기를 배기파이프(160)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S370)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 및 수증기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내통(130)의 온도가 80 ~ 90℃도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다시 히터(170)와 분쇄날(132)이 작동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 및 분쇄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일련의 과정은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하게 건조될 때까지 일정시간 반복되며, 상기 반복시간은 제어부에 설정된 시간을 통해 결정된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140)의 개방시 히터(170) 및 분쇄날(132)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작용이 이루어지는 중에서도 필요시 사용자가 언제라도 뚜껑(140)을 열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 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히터를 외통의 저면부에 부착하여 설치함으로써, 상기 히터에 의한 전도 및 복사 열에 의해 내통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의 가열온도가 빠르게 상승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히터를 내통의 상부에 설치한 종래의 구조와 비교하여 본체의 뚜껑 부위의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아 뚜껑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되고 상기 뚜껑 부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히터를 환상의 튜브형태로 채용함으로써, 내통의 가열의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히터가 설치되는 본체 내부공간의 축소가 가능해져서 장치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 장치에 외통과 내통 사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온도스위치를 채용함으로써, 외통과 내통 사이의 온도변화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분쇄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파이프의 상단에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 내에 배기파이프가 지지되는 배기파이프 지지대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배기파이프를 필터 하부에 위치한 본체에 구조적으로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기팬을 배기파이프 말단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배기팬의 흡입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및 분쇄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수증기를 상기 배기파이프를 통해 흡인하여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내통 상부에 배치한 구조와 비교하여 배기 과정시 열풍의 직접분사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비산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를 항상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팬이 설치된 본체의 뚜껑 부위 구조가 복잡해지지 않아 뚜껑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되고 상기 뚜껑 부분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온도상승을 억제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통과 내통을 제1,2축이음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통에 대한 내통의 좌우방향 회전은 불가능하게 하는 반면 상하방향 분리는 가능해지도록 하여 내통을 용이하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처리 완료 후 내통만을 분리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고, 폐기 후의 내통의 세척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뚜껑의 개폐작용에 따라 히터 및 분쇄날이 자동으로 작동 또는 정지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 외부에 있는 별도의 조작수단을 이용하여 작동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는 외통;
    상기 외통 내에 배치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날이 설치되는 내통;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상기 분쇄날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내통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하도록 상기 외통에 부착되는 히터;
    상기 내통과 연통되는 배기파이프;
    상기 배기파이프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 내부의 냄새 및 수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
    상기 모터와 상기 히터 및 상기 배기팬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외통과 내통 사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온도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의 상단에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에는 상기 배기파이프가 지지되는 배기파이프 지지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60002003U 2006-01-23 2006-01-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30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03U KR200413083Y1 (ko) 2006-01-23 2006-01-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U2006201355327U CN200954456Y (zh) 2006-01-23 2006-09-11 食物垃圾处理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003U KR200413083Y1 (ko) 2006-01-23 2006-01-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254A Division KR20070077426A (ko) 2006-01-26 2006-01-26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083Y1 true KR200413083Y1 (ko) 2006-04-05

Family

ID=3877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003U KR200413083Y1 (ko) 2006-01-23 2006-01-23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13083Y1 (ko)
CN (1) CN200954456Y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8061A (zh) * 2015-03-16 2015-06-03 姜红成 家庭用厨余垃圾处理器
KR101727895B1 (ko) * 2016-02-29 2017-04-19 주식회사 브레인테크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WO2022165597A1 (en) * 2021-02-04 2022-08-11 Open Mind Developments Corporation System and device for compos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7426A (ko) * 2006-01-26 2007-07-26 한경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010576B1 (ko) * 2008-03-27 2011-01-24 한경희 음식물처리기용 덕트 설치구조
KR101049350B1 (ko) * 2008-10-14 2011-07-1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의 분쇄로
CN103447278A (zh) * 2012-05-29 2013-12-18 浙江格勒斯电器有限公司 一种食物垃圾二次处理机
CN108971195B (zh) * 2018-07-05 2020-10-23 内蒙古大学 一种剩饭处理机系统
CN112775159A (zh) * 2021-01-14 2021-05-11 杜启明 一种具有对垃圾进行智能粉碎加热的机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8061A (zh) * 2015-03-16 2015-06-03 姜红成 家庭用厨余垃圾处理器
KR101727895B1 (ko) * 2016-02-29 2017-04-19 주식회사 브레인테크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WO2022165597A1 (en) * 2021-02-04 2022-08-11 Open Mind Developments Corporation System and device for compos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0954456Y (zh) 200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08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7742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2659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21445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19659A (ko) 음식물처리기
US11590544B2 (en) Waste disposer
KR101986477B1 (ko)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JP2006255592A (ja) 生ごみ処理機
KR100708903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처리기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101269957B1 (ko) 이동식 음식폐기물 처리장치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104305A (ko) 격납형 응축식 탈취건조처리기
KR20000058385A (ko) 소각식 식용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14249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205774036U (zh) 分集式处理坐便器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JP3753129B2 (ja) 厨芥処理装置
KR10235218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5882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616838B1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처리기
KR20130005551U (ko) 핸드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TW201221238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organic waste
KR20017131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274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