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895B1 -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 Google Patents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895B1
KR101727895B1 KR1020160024218A KR20160024218A KR101727895B1 KR 101727895 B1 KR101727895 B1 KR 101727895B1 KR 1020160024218 A KR1020160024218 A KR 1020160024218A KR 20160024218 A KR20160024218 A KR 20160024218A KR 101727895 B1 KR101727895 B1 KR 10172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unit
connecto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4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레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레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레인테크
Priority to KR1020160024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4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Abstract

본 발명은 정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아답터와 전원공급을 위한 제 1 커넥터가 장착부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아답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아답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커넥터가 마련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내측으로 식품이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커터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커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이송부; 및 상기 덮개의 흡입홀을 통해서 상기 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도록 한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 함유 식품에 대한 건조 분말을 손쉽게 얻을 수 있고, 분쇄기와 별도의 건조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고품질의 건조 분말을 얻을 수 있고, 분말화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and grinding of vegetable}
본 발명은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 함유 식품에 대한 건조 분말을 손쉽게 얻도록 하는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분쇄기는 용기 내부에 마련된 커터의 회전에 의해 식품을 분쇄하도록 한다. 이러한 식품 분쇄기는 고속회전을 위하여 정류자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축으로 연결된 커터의 회전에 의해 분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종래의 식품 분쇄기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324383호의 "식품분쇄기"가 있는데, 이는 분쇄부가 구비된 용기와 상기 분쇄부를 구동시켜주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된 본체로 이루어진 식품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에는 중앙에 종동축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복수의 연동축이 형성되며, 상기 종동축과 상기 연동축에 복수의 분쇄부 및 연동부가 결합되며, 상기 종동축의 하단부에 종동커플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축의 상단부에 상기 연동부와 대응되는 구동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의 상부면에 구동커플링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식품 분쇄기뿐만 아니라, 기존의 식품 분쇄기는 건조 기능을 가지지 못함으로써, 수분 함유 상태의 식품을 건조된 분말로 제조하지 못하고, 별도의 건조기를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수분 함유 상태의 식품을 분쇄후 건조시, 분말의 엉김 등에 의해 균일한 입도의 분말을 얻는데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후속 가공으로 인한 불편함을 초래하고, 분말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식품 분쇄기와 함께 별도의 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 위생적으로 문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가 심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분 함유 식품에 대한 건조 분말을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분쇄기와 별도의 건조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고품질의 건조 분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분말화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불편을 줄이며,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정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아답터와 전원공급을 위한 제 1 커넥터가 장착부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아답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아답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커넥터가 마련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내측으로 식품이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커터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커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이송부; 및 상기 덮개의 흡입홀을 통해서 상기 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야채 건조 분쇄기가 제공된다.
상기 용기는,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외측용기 사이에 설치되고, 내열재로 이루어지는 중간용기; 및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외측용기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단에 설치되는 차단캡;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중간용기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덮개에서 하방을 향하는 내측면에 설치되고, 냉각에 의해 상기 용기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유도부재; 및 상기 응축유도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가 하단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응축유도부재에 생성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되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응축수수집부가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수집부의 하단에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응축유도부재의 상측에 냉각측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펠티어소자; 상기 펠티어소자의 발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각핀을 송풍에 의해 냉각시키도록 설치되는 냉각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홀과 상기 배출구로부터 흡입을 위해 연결되는 흡기라인; 상기 흡기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홀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흡입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탱크; 및 상기 흡기라인에서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집수탱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이송부는, 상기 덮개 측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되게 설치되는 이송레버; 상기 이송레버에서 양단을 제외한 부분에 힌지 결합되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이송레버의 끝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덮개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히터, 상기 회전구동부, 상기 덮개이송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냉각부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정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아답터와 전원공급을 위한 제 1 커넥터가 장착부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아답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커넥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커넥터가 마련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내측으로 잔여 음식물이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잔여 음식물을 분쇄하기 위한 커터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커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이송부; 및 상기 덮개의 흡입홀을 통해서 상기 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잔여 음식물 건조 분쇄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식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용기를 덮개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덮개로 밀폐시키고, 상기 용기에 설치된 히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용기를 제 1 설정온도까지 가열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에 의해 상기 덮개의 내측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응축수수집부에 수집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흡입홀과 상기 응축수수집부의 배출구를 통해서 흡입부에 의해 흡입함으로써, 상기 용기에 진공을 가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수수집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커터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구동부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 1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품을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가 제 1 설정온도에 도달시 제 2 설정시간 동안,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용기가 제 2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를 동작시키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커터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 3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식품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야채 건조 분쇄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잔여 음식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용기를 덮개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덮개로 밀폐시키고, 상기 용기에 설치된 히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용기를 제 1 설정온도까지 가열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각부에 의해 상기 덮개의 내측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응축수수집부에 수집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흡입홀과 상기 응축수수집부의 배출구를 통해서 흡입부에 의해 흡입함으로써, 상기 용기에 진공을 가함과 아울러 상기 응축수수집부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단계; 상기 용기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상기 용기 내에 설치된 커터가 상기 본체에 설치된 회전구동부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 1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잔여 음식물을 믹싱하는 단계; 및 상기 용기가 제 1 설정온도에 도달시 제 2 설정시간 동안, 상기 냉각부의 동작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흡입부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용기가 제 2 설정온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를 동작시키며, 상기 회전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커터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 3 설정시간 간격으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잔여 음식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여 음식물 건조 분쇄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에 의하면, 수분 함유 식품에 대한 건조 분말을 손쉽게 얻을 수 있고, 분쇄기와 별도의 건조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고품질의 건조 분말을 얻을 수 있고, 분말화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에서 용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에서 용기가 차단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에서 용기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에서 용기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에서 용기가 차단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100)는 본체(110), 용기(120), 히터(130), 회전구동부(140), 덮개(150), 덮개이송부(180) 및 흡입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정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아답터(112)와 전원공급을 위한 제 1 커넥터(113)가 장착부(111)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부(111)는 일례로 본체(110)의 정면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아답터(112)는 용기(120)를 정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용기(120)의 저면에 마련되는 제 2 아답터(121)와 끼움방식 내지 요철결합방식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커넥터(113)는 용기(120)에 설치되는 전원 수요처, 예컨대 히터(130), 후술하게 될 온도센서(210) 등에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장착부(111)에 장착되는 용기(120)의 저면에 마련된 제 2 커넥터(128)에 끼움방식 내지 요철결합방식 등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커넥터(113,128)를 통해서 히터(130)와 온도센서(210)가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고, 나아가서, 온도센서(210)의 감지신호를 본체(110) 내에 설치된 후술하게 될 제어부(22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용기(120)는 장착부(111)에 안착되고, 제 1 아답터(112)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아답터(121)가 마련되며, 제 1 커넥터(113)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커넥터(128)가 마련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내측으로 식품이 수용되며, 내측에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커터(127)가 회전축(127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식품은 고구마, 감자, 당근, 연근, 콩, 브로콜리, 시금치, 상추, 배추, 양파 등과 같은 야채뿐만 아니라, 사과, 배, 감 등의 과일 또는 오징어, 생선 등의 수산물 등을 비롯하여, 인간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재료 내지 제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용기(120)는 본 실시례에서와 같은 식품을 대신하여, 잔여 음식물, 일례로 음식쓰레기가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잔여 음식물에 대한 건조 및 분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120)는 일측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122)가 마련되고, 예컨대 스테인레스스틸 등과 같은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측용기(123)와, 내측용기(123)의 외측에 마련되고, ABS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외측용기(124)와, 내측용기(123)와 외측용기(124) 사이에 설치되고, 내열 합성수지 등과 같은 내열재로 이루어지는 중간용기(125)와, 내측용기(123)와 외측용기(124)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단에 설치되는 차단캡(126)을 포함할 수 있다.
히터(130)는 제 2 커넥터(128)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제공하도록 용기(120)에 설치되고, 예컨대 밴드 형태나 필름 구조 또는 열선이나 히팅블록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구조 및 재질을 가질 수 있다. 히터(130)는 본 실시례에서처럼 내측용기(123)와 중간용기(125)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140)는 본체(110)에 마련되고, 커터(127)의 회전축(127a)에 연결되어 커터(127)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회전구동부(140)는 일례로 모터(141)와, 모터(1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박스(142)와, 기어박스(142)의 회전축(142a)에 마련되어 커터(127)의 회전축(127a)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축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150)는 용기(12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밀폐시키도록 결합되고, 흡입홀(156)이 형성된다. 또한 덮개(150)에서 하방을 향하는 내측면에 응축유도부재(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응축유도부재(160)는 금속재질,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이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덮개(150)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곡률 내지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흡입홀(156)의 형성 위치에 따라 흡입홀(156)을 차단하게 되는 경우, 흡입홀(156)에 일치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고, 냉각부(170)에 의한 냉각에 의해 용기(120)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한다.
냉각부(170)는 응축유도부재(160)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응축유도부재(160)의 상측에 냉각측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펠티어소자(171)와, 펠티어소자(171)의 발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냉각핀(172)과, 냉각핀(172)을 송풍에 의해 냉각시키도록 설치되는 냉각팬(173)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구성들을 감싸서 하나의 모듈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우징(1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펠티어소자(171)는 응축유도부재(160)의 상면에 형성되는 장착홈(161)에 장착될 수 있다.
덮개(150)는 용기(1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용기(120)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151,152,153)가 하단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고, 응축유도부재(160)에 생성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되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응축수수집부(154)가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수수집부(154)의 하단에, 즉 응축수수집부(154)에서 최하 높이에 해당하는 측에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5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덮개(150)는 상하로 관통하는 흡입홀(156)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부(151,152,153)는 예컨대 덮개부(150)에서 하단에 형성되어 용기(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링형태의 제 1 차단부(151)와, 제 1 차단부(15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덮개부(150)에 형성되고, 용기(120)의 상단에 밀착되는 링형태의 제 2 차단부(152)와, 제 1 및 제 2 차단부(151,152) 사이에 설치되어 용기(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오링 등의 실링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덮개이송부(180)는 덮개(150)가 용기(120)를 개폐시키도록 덮개(150)를 이동시킨다. 덮개이송부(180)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거나, 실린더의 구동력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덮개(150) 측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되게 설치되는 이송레버(181)와, 이송레버(181)에서 양단을 제외한 부분, 예컨대 중심부에 힌지 결합되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부(182)와, 이송레버(181)의 끝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덮개(150)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액추에이터(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레버(181)는 일단이 냉각부(170)의 하우징(174)에 힌지 결합되도록 제 1 힌지결합부(181a)를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74)을 매개로 하여 덮개(150) 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82)는 본체(110) 내에 고정되고, 이송레버(181)에 힌지 결합되도록 제 2 힌지결합부(182a)를 형성함으로써 이송레버(181)의 회동시 회전 중심을 제공한다. 액추에이터(183)는 일례로 솔레노이드액추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솔레노이드액추에이터의 피스톤로드가 이송레버(181)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도록 제 3 힌지결합부(183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액추에이터의 왕복 행정에 의해 이송레버(181)를 제 2 힌지결합부(182a)를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이송레버(181)가 덮개(150)를 승강시키도록 한다.
흡입부(190)는 덮개(150)의 흡입홀(156)을 통해서 용기(120)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흡입부(190)는 응축수의 흡입도 함께 수행할 수 있는데, 예컨대 흡입홀(156)과 배출구(155)로부터 흡입을 위해 연결되는 흡기라인(191)과, 흡기라인(191) 상에 설치되고, 흡입홀(156)과 배출구(155)를 통해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192)와, 진공펌프(192)로부터 흡입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탱크(193)와, 흡기라인(191)에서 진공펌프(192)와 집수탱크(193) 사이에 설치되고, 진공펌프(192)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9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흡기라인(191)은 다수로 분기되는 분기라인(191a) 각각이 흡입홀(156)과 배출구(155)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집수탱크(193)는 집수된 응축수의 배출을 위하여 배수구(193a)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수구(193a)에는 개폐 가능한 캡 또는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100)는 용기(120)에 대한 온도 제어를 위하여, 온도센서(210)와 제어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온도센서(210)는 용기(120)의 온도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되는데, 일례로 내측용기(123)와 중간용기(125)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커넥터(113,128)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고, 감지신호를 제 1 및 제 2 커넥터(113,128)를 통해서 본체부(110)에 설치된 제어부(22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본 발명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100)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온도센서(210)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히터(130), 회전구동부(140), 덮개이송부(180), 흡입부(190) 및 냉각부(17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설정 시간 등의 카운트를 위하여 타이머(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조작 또는 설정 신호를 수신받기 위하여 본체(110) 외측에 조작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조작부의 조작 또는 설정 신호에 따라 상응하는 제어를 수행하거나, 정해진 프로세스에 따라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정해진 프로세스나 필요한 프로그램 등의 저장을 위하여 메모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상기한 구성들 각각의 제어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방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되,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100)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방법은 먼저, 식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본체(11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용기(120)를 덮개이송부(180)에 의해 이송되는 덮개(150)로 밀폐시키고, 용기(120)에 설치된 히터(130)의 구동에 의해 용기(120)를 제 1 설정온도, 예컨대 65~85도씨까지 가열하며, 덮개(150)의 내측을 냉각시키는 냉각부(170)에 의해 덮개(150)의 내측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응축수수집부(154)에 수집되도록 하고, 덮개(150)의 흡입홀(156)과 응축수수집부(154)의 배출구(155)를 통해서 흡입부(190)에 의해 흡입함으로써, 용기(120)에 진공, 예컨대 0.2~0.5기압의 진공을 가함과 아울러, 응축수수집부(154)에 수집된 응축수를 배출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식품을 대신하여 잔여 음식물, 예컨대 음식물쓰레기를 용기(120)에 수용할 수 있다.
용기(120)를 가열하는 과정에서, 용기(120) 내에 설치된 커터(127)가 본체(110)에 설치된 회전구동부(140)에 의해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 1 설정시간 간격으로, 예컨대 3~7분 간격으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식품을 믹싱하게 된다. 따라서, 일례로 커터(127)의 정회전을 5~15초 동안 수행한 다음, 다시 커터(127)의 역회전을 5~15초 동안 수행한 후, 제 1 설정시간에 해당하는 5분 동안 커터(127)의 회전을 멈춘 다음, 다시 커터(127)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20)에 식품을 대신하여 잔여 음식물, 예컨대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된 경우 커터(127)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믹싱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용기(120)가 제 1 설정온도, 예컨대 65~85도씨에 도달시 제 2 설정시간 동안, 예컨대 20~40분 동안, 냉각부(170)의 동작을 중지시킨 상태에서 흡입부(190)의 동작을 유지하도록 하고, 용기(120)가 제 2 설정온도, 예컨대 65~85도씨를 유지하도록 히터(130)를 동작시키며, 회전구동부(140)의 동작에 의해 커터(127)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제 3 설정시간 간격으로, 예컨대 0.5~1.5분 간격으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식품을 분쇄하게 된다. 따라서, 일례로 커터(127)의 정회전을 5~15초 동안 수행한 다음, 커터(127)의 역회전을 5~15초 동안 수행한 후, 제 3 설정시간에 해당하는 1분 동안 커터(127)의 회전을 멈춘 다음, 다시 커터(127)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용기(120)에 식품을 대신하여 잔여 음식물, 예컨대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된 경우 커터(127)의 회전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할 수도 있다.
제 2 설정시간의 경과로 인해 식품 또는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분쇄를 마치면, 모든 동작을 정지시킨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덮개이송부(180)의 구동에 의해 덮개(150)가 용기(12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용기(12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들은 모두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식품을 대신하여 잔여 음식물, 예컨대 음식물쓰레기를 적용함으로써 잔여 음식물 분쇄기 및 잔여 음식물 분쇄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상기한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의 모든 구성과 단계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분 함유 식품에 대한 건조 분말을 손쉽게 얻을 수 있고, 분쇄기와 별도의 건조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경제적이며, 고품질의 건조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분말화 과정에 소요되는 노력과 불편을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본체 111 : 장착부
112 : 제 1 아답터 113 : 제 1 커넥터
120 : 용기 121 : 제 2 아답터
122 : 손잡이 123 : 내측용기
124 : 외측용기 125 : 중간용기
126 : 차단캡 127 : 커터
127a : 회전축 128 : 제 2 커넥터
130 : 히터 140 : 회전구동부
141 : 모터 142 : 기어박스
142a : 회전축 143 : 축연결부
150 : 덮개 151 : 제 1 차단부
152 : 제 2 차단부 153 : 실링부재
154 : 응축수수집부 155 : 배출구
156 : 흡입홀 160 : 응축유도부재
161 : 장착홈 170 : 냉각부
171 : 펠티어소자 172 : 냉각핀
173 : 냉각팬 174 : 하우징
180 : 덮개이송부 181 : 이송레버
181a : 제 1 힌지결합부 182 : 지지부
182a : 제 2 힌지결합부 183 : 액추에이터
183a : 제 3 힌지결합부 190 : 흡입부
191 : 흡입라인 191a : 분기라인
192 : 진공펌프 193 : 집수탱크
193a : 배출라인 194 : 체크밸브
210 : 온도센서 220 : 제어부

Claims (10)

  1. 정위치에 고정되기 위한 제 1 아답터와 전원공급을 위한 제 1 커넥터가 장착부에 마련되는 본체;
    상기 장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아답터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아답터가 마련되며, 상기 제 1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커넥터가 마련되고, 개방된 상부를 통해서 내측으로 식품이 수용되며, 내측에 상기 식품을 분쇄하기 위한 커터가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기;
    상기 제 2 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열을 제공하도록 상기 용기에 설치되는 히터;
    상기 본체에 마련되고, 상기 커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커터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회전구동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흡입홀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덮개가 상기 용기를 개폐시키도록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덮개이송부;
    상기 덮개의 흡입홀을 통해서 상기 용기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
    상기 덮개에서 하방을 향하는 내측면에 설치되고, 냉각에 의해 상기 용기 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응축유도부재; 및
    상기 응축유도부재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부가 하단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응축유도부재에 생성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상방으로 개방되어 일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응축수수집부가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수집부의 하단에 응축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냉각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응축유도부재의 상측에 냉각측이 접하도록 설치되는 펠티어소자;
    상기 펠티어소자의 발열측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냉각핀; 및
    상기 냉각핀을 송풍에 의해 냉각시키도록 설치되는 냉각팬;
    을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홀과 상기 배출구로부터 흡입을 위해 연결되는 흡기라인;
    상기 흡기라인 상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홀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
    상기 진공펌프로부터 흡입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집수탱크; 및
    상기 흡기라인에서 상기 진공펌프와 상기 집수탱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진공펌프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치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히터, 상기 회전구동부, 상기 덮개이송부, 상기 흡입부 및 상기 냉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 건조 분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의 외측에 마련되는 외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외측용기 사이에 설치되고, 내열재로 이루어지는 중간용기; 및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외측용기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키도록 상단에 설치되는 차단캡;을 포함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내측용기와 상기 중간용기 사이에 설치되는, 야채 건조 분쇄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이송부는,
    상기 덮개 측에 힌지 결합되어 수평되게 설치되는 이송레버;
    상기 이송레버에서 양단을 제외한 부분에 힌지 결합되고,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는 지지부; 및
    상기 이송레버의 끝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덮개를 상하로 이송시키는 액추에이터;
    를 포함하는, 야채 건조 분쇄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024218A 2016-02-29 2016-02-29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KR101727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18A KR101727895B1 (ko) 2016-02-29 2016-02-29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4218A KR101727895B1 (ko) 2016-02-29 2016-02-29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895B1 true KR101727895B1 (ko) 2017-04-19

Family

ID=58706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4218A KR101727895B1 (ko) 2016-02-29 2016-02-29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8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14B1 (ko) 2018-08-29 2019-01-02 (주)케이디티콘트롤 내화재 보호장치를 구비한 빌딩자동제어시스템
CN111638180A (zh) * 2020-06-23 2020-09-08 东北林业大学 一种植物根系机械损伤模拟装置及模拟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225A (ja) * 1993-04-12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200413083Y1 (ko) * 2006-01-23 2006-04-05 한경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5225A (ja) * 1993-04-12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ごみ処理装置
KR200413083Y1 (ko) * 2006-01-23 2006-04-05 한경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4514B1 (ko) 2018-08-29 2019-01-02 (주)케이디티콘트롤 내화재 보호장치를 구비한 빌딩자동제어시스템
CN111638180A (zh) * 2020-06-23 2020-09-08 东北林业大学 一种植物根系机械损伤模拟装置及模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849B1 (ko) 회전식 분말 건조장치
KR101727895B1 (ko) 야채 건조 분쇄기 및 분쇄방법
JPH0344522B2 (ko)
CN105996824A (zh) 多功能真空加热破壁机的控制方法
FR2817457A3 (fr) Centrifugeuse a deux lames
KR101586467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106214017B (zh) 一种可用于打粉的破壁机
JP6531957B2 (ja) 固液分離装置
KR10152617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53450B1 (ko) 회전형 건조장치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7008736A (zh) 餐余垃圾回收处理器
KR101899758B1 (ko) 분말 건조장치
KR101941109B1 (ko) 버섯분말 제조 장치
CN106264201A (zh) 一种磨粉破壁机
CN208688226U (zh) 一种化工物料粉碎干燥装置
CN216678497U (zh) 一种畜牧用饲料制作原料高效粉碎装置
KR101036491B1 (ko) 가정용 도정기
KR102079449B1 (ko) 밀폐형 가열ㆍ가압 초미세 분쇄장치
CN114345490A (zh) 农产品粉碎干燥装置
CN212315958U (zh) 定量出料式发酵设备
KR100675750B1 (ko) 분쇄공정 및 커피제조공정 수행이 가능한 커피메이커
CN201878695U (zh) 便捷自熟化豆浆机
KR101776217B1 (ko) 생두 로스팅 장치
JP2020108885A (ja) 食材粉体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