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923Y1 -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 Google Patents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923Y1
KR200411923Y1 KR2020050036945U KR20050036945U KR200411923Y1 KR 200411923 Y1 KR200411923 Y1 KR 200411923Y1 KR 2020050036945 U KR2020050036945 U KR 2020050036945U KR 20050036945 U KR20050036945 U KR 20050036945U KR 200411923 Y1 KR200411923 Y1 KR 200411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printed circuit
terminal
circuit board
vehicl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호
Original Assignee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장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6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9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고안은 각각 콘넥터 하우징(3)에 일단이 인서트 사출되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한 상태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2 터미널(16, 17)을 구비하고, 이 제 1, 2 터미널(16, 17)의 사이 간격으로 결합하여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20)을 포함하는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은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기 제 1, 2 터미널(16, 17)의 돌출된 단부가 결합하여 접속되는 접속구멍(30a)이 뚫린 보조터미널(30)을 구비하여 콘넥터 하우징(3)의 제 1, 2 터미널(16, 17)을 굴곡시키지 않고 인쇄회로기판(20)을 제 1, 2 터미널(16, 17)사이로 결합하여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 공수를 줄여 제조비용과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굴곡부의 변형에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인쇄회로기판(20)을 조립상태를 원활하게 하고 제 1, 2 터미널(16, 17)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A Teminal Structure of Vehicle Speed Sensor}
도 1은 종래에 따른 차속센서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차속센서의 전체 조립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에 따른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3: 콘넥터 하우징 16: 제 1 터미널
17: 제 2 터미널 18: 접속돌기부
19: 구멍결합돌기부 20: 인쇄회로기판
30: 보조터미널 31: 베이스접촉부
32: 터미널접속부 33: 터미널고정부
본 고안은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인쇄회로 기판에 터미널과 연결하는 보조터미널을 구비하여 이 보조터미널로 콘넥터하우징의 터미널에 인쇄회로기판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가 구비되며, 이 차속센서는 통상 변속기에 연결되어 변속기의 회전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전자제어모듈에 입력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종래의 차속센서는 도 1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속센서(1)는 그 외형 면에서 케이스(2) 및 콘넥터 하우징(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콘넥터 하우징(3)은 그 가장자리 휨 연결부재(4)를 이용하여 케이스(2)에 고정되어 있고, 그 전체불량 면에서 나선식 연결 윤곽부재(5)가 붙여 있으며, 이 윤곽부재(5)는 미도시된 덧씌움용 암나사를 연결하는 데에 이용되는데, 이 암나사는 플러그로 마무리된 케이블을 차속센서(1)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콘넥터 하우징(3)에 연결되어 만들어진 구멍(6)들은 상기 덧씌움용 암나사를 보호해주는 납봉인 철사의 마무리를 위한 것이다.
두 단계로 만들어진 케이스(2)에 붙여 만든 나사산(7)은 예를 들어, 자동차의 기어 하우징의 벽에 차속센서(1)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고정시킬 때 유용하다.
즉, 이탈되지 않도록 첨가된 링형상의 원판(8)의 중간 위치 밑에 고정된다. 이것에 관해서 소정의 공구를 사용하도록 케이스(2)에 육면각체(9)가 형성되고, 이 케이스(2)의 단면측은 비자성 진동판(10)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이런 방식으로 차속센서(1)의 측정치 변환기와, 기어측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타이밍 디스크(Timing Disk)와의 사이의 비교적 좁은 에어 갭(Air Gap)이 실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속센서(1)의 평면도에는 콘넥터 하우징(3)내에 가공 성형됐던, 코드화 리브(11,12,13,14)를 구비한 콘넥터 하우징 파지부(15)와, 상기콘넥터 하우징(3)내에 사출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내장된 원형 접촉품으로 형성되는 전후 한 쌍의 제 1 및 제 2 터미널(16,17)이 나타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넥터 하우징(3)내에 인쇄회로기판(20)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좁게 한정적으로 허용된 가이드면(21)과, 서로 마주 보는 에지(Edge)(2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23,24)의 상호 간격은 인쇄회로기판(20)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0)이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게 된다.
또 전, 후 한쌍의 제 1, 2 터미널(16, 17)은 콘넥터 하우징(3)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로 사출 성형된 후 그 단부 측을 구부려 인쇄회로기판(2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굴곡부(16a, 17a)를 형성한다.
즉, 상기 콘넥터 하우징(3)의 제 1, 2 터미널(16, 17) 사이로 인쇄회로기판(20)이 삽입되어 끼워지면, 그 단부는 에지(23, 24)의 간격 사이로 끼워져 결합되고 제 1, 2 터미널(16, 17)은 굴곡부를 통해 인쇄회로기판(20)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2 터미널(16, 17)의 굴곡부(16a, 17a)로 접촉된 인쇄회로기판(20)의 접촉부분은 납땜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는 전후 한 쌍의 제 1 및 제2 터미널이 콘넥터 하우징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 후, 그 단부 측이 별도의 공구에 의해 구부려져 굴곡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전후 한 쌍의 제1 및 제2 터미널의 인서트 사출과 굴곡부의 벤딩공정이 따로 이루어지는 제조공정에 따라 작업공수가 증가되어 제조코스트의 상승 요인이 되었던 것이다.
또한, 전후 한 쌍의 제 1, 2 터미널의 굴곡부는 콘넥터 하우징 내에 인서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대량 운반 및 보관시 외력이 가해질 때 굴곡부의 사이 간격이 인쇄회로기판의 두께보다 현저히 넓어지게 벌어지거나 또는 매우 좁게 휘어져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제 1, 2 터미널이 변형되면 인쇄회로기판의 원활한 삽입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러한 굴곡부의 변형상태를 검수하여 매번 교정할 경우 작업능률이 현저히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에 콘넥터 하우징의 터미널을 결합할 수 있는 보조터미널을 장착하여 터미널에 굴곡부를 형성하지 않고 바로 인쇄회로기판을 콘넥터 하우징에 결합할 수 있어 터미널의 변형을 방지하고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각각 콘넥터 하우징에 일단이 인서트 사출되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한 상태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2 터미널을 구비하고, 이 제 1, 2 터미널의 사이 간격으로 결합하여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기 제 1, 2 터미널의 돌출된 단부가 결합하여 접속되는 접속구멍이 뚫린 보조터미널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상기 보조터미널로 콘넥터 하우징의 제 1, 2 터미널이 결합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접속되므로 제 1, 2 터미널을 굴곡시켜 그 사이의 간격을 좁혀 인쇄회로기판과 접속시킬 필요가 없이 인서트 사출된 상태로 바로 인쇄회로기판을 결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인쇄회로기판이 콘넥터 하우징의 제 1, 2 터미널 사이로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제 1, 2 터미널은 각각 보조터미널에 결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인쇄회로기판의 상, 하부면에 각각 보조터미널이 구비되고, 제 1, 2 터미널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보조터미널의 접속구멍에 각각 결합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인쇄기판에 보조터미널이 결합하여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속센서의 콘넥터 하우징(3)은 일면에 한 쌍의 제 1, 2 터미널(16, 17)이 돌출되며, 이 제 1, 2 터미널(16, 17)은 그 사이에 간격을 형성한 상태로 그 일단이 콘넥터 하우징(3)의 내부로 인서트 사출되어 장착된다.
그리고 이 제 1, 2 터미널(16, 17)은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직선형 바 형상을 가지며 단부가 콘넥터 하우징(3)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차속센서의 인쇄회로기판(20)과 접속하고, 일단은 콘넥터 하우징(3)의 반대편 일면에 형성된 콘넥트홈(3a)으로 돌출되도록 콘넥터 하우징(3) 내부로 인서트 되어 사출형성된다.
이 콘넥터 하우징(3)의 일면에는 인쇄회로기판(20)의 단부가 결합하도록 비교적 좁게 한정적으로 허용된 가이드면(21)과, 서로 마주 보는 에지(Edge)(23,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지(23,24)의 상호 간격은 인쇄회로기판(20)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작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20)이 억지끼움으로 결합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2 터미널(16, 17) 사이로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20)은 단부에 상기 에지 사이로 삽입되는 끼움부(20a)가 형성된다.
이 인쇄회로기판(20)은 상, 하부면에 각각 상기 제 1, 2 터미널(16, 17)의 단부가 결합되어 접속되는 보조터미널(30)이 장착된다.
이 보조터미널(30)은 인쇄회로기판(20) 상에 안착하여 인쇄회로에 접속된 베이스접속부(31)와;
이 베이스접속부(31)의 단부에 절곡되어 세워지며 상기 제 1 터미널(16) 또는 제 2 터미널(17) 중 어느 하나가 관통되어 결합하여 접속되는 접속구멍(30a)이 뚫어진 터미널접속부(32)와;
상기 베이스접속부(31)를 인쇄회로기판(20) 상에 결합 고정시키는 터미널고정부(33)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이 터미널고정부(33)는 베이스접속부(31) 양 측으로 돌출되어 인쇄회로기판(20) 측으로 절곡된 결합편(33a)으로 이루어지며, 이 결합편(33a)이 인쇄회로기판(20)에 형성된 고정구멍(33b)을 통해 반대측 면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을 절곡시켜 보조터미널(30)을 인쇄회로기판(20)에 장착 고정하는 것이다.
이 보조터미널(30)은 인쇄회로기판(20) 상부면와 하부면에 터미널접속부(32)를 중심으로 베이스접속부(31)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얇은 인쇄회로기판(20)의 특성상 베이스접속부(31)가 상, 하부면 동일위치에 위치하면 상기 터미널고정부(33)의 위치가 대응되게 되어 서로 겹치게 되므로 터미널접속부(32)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베이스접속부(31)를 위치시켜 각각 용이하게 장착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인쇄회로기판(20)이 콘넥터 하우징(3)의 제 1, 2 터미널(16, 17) 사이로 결합하면 이 제 1, 2 터미널(16, 17)이 보조터미널(30)의 접속구멍(30a)을 통해 결합하여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콘넥터 하우징(3)에 사출되어 제 1, 2 터미널(16, 17) 사이의 간격은 통상 인쇄회로기판(20)보다 넓게 형성되어 제 1, 2 터미널(16, 17)을 인쇄회로기판(20)에 접속시키기 위해서는 그 단부를 굴곡시켜 그 사이의 폭을 인쇄회로기판(20)의 두께로 일치시키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여 인쇄회로기판(20)이 제 1, 2 터미널(16, 17) 사이에 결합할 경우 굴곡부 사이로 끼워져 결합되어 접속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2 터미널(16, 17) 사이로 인쇄회로기판(20)이 삽입되면 제 1, 2 터미널(16, 17)이 보조터미널(30)의 접속구멍(30a)에 결합하여 인쇄회로기판(20)에 접속되므로 직선 바로 인서트 사출된 제 1, 2 터미널(16, 17)을 억지로 굴곡시킬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 상기 보조터미널(30)은 전도성을 가지는 얇은 금속판으로 일체로 형성되므로 베이스접속부(31)에 일체로 절곡되어 세워지는 터미널접속부(32)에 소정의 탄성력이 부여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접속부(32)의 접속구멍(30a)에 제 1, 2 터미널(16, 17)이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확실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2 터미널(16, 17)은 그 직경이 접속구멍(30a)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 접속구멍(30a)의 외측으로 면접촉하도록 콘넥터 하우징(3)의 일면으로 돌출된 접속돌기부(18)와;
보조터미널(30)의 접속구멍(30a)에 결합되도록 상기 접속돌기부(18)의 단부에 돌출되는 구멍결합돌기부(19)를 포함한다.
즉, 인쇄회로기판(20)이 제 1, 2 터미널(16, 17) 사이로 결합하면 제 1, 2 터미널(16, 17)의 구멍결합돌기부(19)가 보조터미널(30)의 접속구멍(30a)을 관통하여 결합하게 되고, 인쇄회로기판(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제 1, 2 터미널(16, 17)의 접속돌기부(18)가 접속구멍(30a)의 외측으로 면접촉하여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2 터미널(16, 17)은 보조터미널(30)과 구멍결합돌기부(19)가 접속구멍(30a)에 관통되어 결합하면서 접속됨은 물론 접속돌기부(18)에 의해 접속구멍(30a)의 외측으로 면접촉하여 이중으로 안정적으로 접속할 수 있고 사용 중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에 보조터미널이 장착되어 콘넥터 하우징의 제 1, 2 터미널을 굴곡시키지 않고 인쇄회로기판을 제 1, 2 터미널 사이로 결합하여 접속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 공수를 줄여 제조비용과 작업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굴곡부의 변형에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인쇄회로기판을 조립상태를 원활하게 하고 제 1, 2 터미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각각 콘넥터 하우징(3)에 일단이 인서트 사출되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한 상태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제 1, 2 터미널(16, 17)을 구비하고, 이 제 1, 2 터미널(16, 17)의 사이 간격으로 결합하여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20)을 포함하는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0)은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기 제 1, 2 터미널(16, 17)의 돌출된 단부가 결합하여 접속되는 접속구멍(30a)이 뚫린 보조터미널(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2. 상기 보조터미널(30)은 인쇄회로기판(20) 상에 안착하여 인쇄회로에 접속된 베이스접속부(31)와;
    이 베이스접속부(31)의 단부에 절곡되어 세워지며 상기 제 1 터미널(16) 또는 제 2 터미널(17) 중 어느 하나가 관통되어 결합하여 접속되는 접속구멍(30a)이 뚫어진 터미널접속부(32)와;
    상기 베이스접속부(31)를 인쇄회로기판(20) 상에 결합 고정시키는 터미널고정부(33)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2 터미널(16, 17)은 그 직경이 보조터미널 (30)의 접속구멍(30a)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 접속구멍(30a)의 외측으로 면접촉하도록 콘넥터 하우징(3)의 일면으로 돌출된 접속돌기부(18)와;
    보조터미널(30)의 접속구멍(30a)에 결합되도록 상기 접속돌기부(18)의 단부에 돌출되는 구멍결합돌기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KR2020050036945U 2005-12-29 2005-12-29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KR200411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945U KR200411923Y1 (ko) 2005-12-29 2005-12-29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945U KR200411923Y1 (ko) 2005-12-29 2005-12-29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923Y1 true KR200411923Y1 (ko) 2006-03-21

Family

ID=41762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945U KR200411923Y1 (ko) 2005-12-29 2005-12-29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9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6043B2 (en) Spring connector with slotted conductive pin
KR10113395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TW202042455A (zh) 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US20140148019A1 (en) Component module, mating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component module and mating connector
JP7208115B2 (ja) コネクタ
JP4851243B2 (ja) コンデンサ内蔵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7535102A (ja) プリント配線板との無はんだの電気的な接続のためのピン、圧入工具ならびに無はんだの電気的な接続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JP5912632B2 (ja) コネクタ
JP2001155810A (ja) コネクタ
JP4231651B2 (ja) 電気コネクタ
EP3855126B1 (en) Rotation angl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rotation angle sensor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5947485B2 (ja) 中継コネクタ
JP5094343B2 (ja)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の接続部の検査方法
JP3321404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11923Y1 (ko) 차속 센서의 터미널 구조
JP4021397B2 (ja) 接続端子及び該接続端子を用いる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71813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15022968A (ja) コネクタ
JP2011048982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21114397A (ja) コネクタ
JP2006012545A (ja) コネクタの保持構造
KR100684475B1 (ko) 차속센서의 터미널 구조
JP5144793B2 (ja) コンデンサ内蔵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769779B2 (ja) 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