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60Y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60Y1
KR200411760Y1 KR2020060000368U KR20060000368U KR200411760Y1 KR 200411760 Y1 KR200411760 Y1 KR 200411760Y1 KR 2020060000368 U KR2020060000368 U KR 2020060000368U KR 20060000368 U KR20060000368 U KR 20060000368U KR 200411760 Y1 KR200411760 Y1 KR 200411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spray nozzle
humidifier
water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3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철
박남수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03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무화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위에 장착되며, 물이 저장되되, 상기 무화기와 외부를 연통하는 분무구를 구비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구 위에 장착되는 분무노즐;과 상기 분무구와 상기 분무노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무노즐을 상기 분무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분무구에서 상기 분무노즐이 회전가능하되, 상기 물탱크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물탱크를 뒤집어도 상기 분무노즐이 상기 분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습기, 분무구조, 분무노즐 고정프레임

Description

가습기 {HUMIDIFI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분무노즐 및 고정프레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번의 설명>
100-물탱크 210-수조
220-무화기 130-분무구
140-분무노즐 142-돌기부
150-고정프레임 151-홈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분무구에서 분무노즐이 회전가능하도록 설 치되되, 가습기의 물탱크에 물을 보충하는 경우에 분무구로부터 분무노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를 사용하면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60%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실내에 적당한 증기요소가 없고 온도가 높아지면 건조해지기 쉽다. 이런 때 가습기로 공기 속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전기에 의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粒子化)하여 실내에 뿜어지게 하는 것이 가습기의 원리이다.
가습기의 종류는 원심분무식(遠心噴霧式: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한다)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전기회로에서 어떤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cavitation:추진기 등의 뒤에 생기는 진공 현상)이 일어나 가는 안개가 발생한다), 전열식(電熱式) 가습기(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킨다), 필터기화식(젖은 필터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물을 증발시킨다) 가습기 등이 있다. 자동조절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느낌으로 조절해야 하고 적당한 시간에 물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실내에 온도계와 습도계를 걸어놓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 좋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0)와, 물탱크(1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는 물을 공급받는 수조(21)와 공급받은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기(22)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무화기(22)는 상기 수조(2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화기(22)는 상기 수조(21)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무화방식에 따라 초음파 발생장치, 가열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0)는 가습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분무구(1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0) 위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10)의 하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11)이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뚜껑(11)에는 물을 가습기에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 노즐(12)이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13)는 무화된 물을 가습기의 외부로 분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상기 수조(21)와 가습기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물탱크(10)에 형성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상기 수조(21)에서 무화된 물은 가습기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분무구(1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분무구(13)의 일측에 상기 분무구(13)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분무노즐(14)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무노즐(14)은 토출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13)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습기는 상기 분무노즐(14)이 상기 분무구(13)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분무구(13)의 내측둘레와 상기 분무노즐(14)의 외측둘레가 일정한 간격을 지니게 되어, 상기 물탱크(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뚜껑(11)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분무노즐(14)이 상기 분무구(13)로부 터 이탈되어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상기 분무노즐(14)이 망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무노즐이 분무구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분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분무노즐의 망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제공하여 가습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습기의 품질을 높이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화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위에 장착되며, 상기 무화기와 외부를 연통하는 분무구를 구비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구 위에 장착되는 분무노즐;과 상기 분무구와 상기 분무노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무노즐을 상기 분무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이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은 외측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측둘레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은 외측둘레가 상기 분무구의 내측둘레와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내측둘레가 상기 분무노즐의 외측둘레와 일정한 간격을 두어 상기 분무노즐이 상기 분무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오직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고안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가습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탱크(100)와 본체(2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0)는 물을 공급받는 수조(210)와 공급받은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기(22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무화기(220)는 상기 수조(2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화기(220)는 상기 수조(210)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무화방식에 따라 초음파 발생장치, 가열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00)는 가습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분무구(13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00) 위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100)의 하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110)이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1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뚜껑(110)에는 물을 가습기에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노즐(120)이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130)는 무화된 물을 가습기의 외부로 분무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상기 수조(210)와 가습기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물탱크(100)에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상기 수조(210)에서 무화된 물은 가습기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분무구(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분무구(130)의 일측에 상기 분무구(13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분무노즐(1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무노즐(140)은 토출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13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는 고정프레임(150)을 더 구비한다. 상기 고정프레임(150)은 상기 분무구(130)와 상기 분무노즐(140) 사이에 삽입된다.
보다 자세하게,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분무노즐 및 고정프레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노즐(140)은 상면이 막힌 원통형상이되, 상기 상면에 토출구(141)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140)의 외측둘레에는 돌기부(142)가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돌기부(142)는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부(142)는 4개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5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130)와 상기 분무노즐(140)의 사이에 설치되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형상이다. 또한, 내측둘레에 상기 돌기부(142)가 삽입되는 홈(151)을 구비한다.
도 4 및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프레임(150)은 상기 분무구(130)의 상측에 삽입되는데, 상기 고정프레임(150)의 외측둘레는 상기 분무구(130) 상측의 내측둘레와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50)은 상기 분무구 (130)의 상측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140)의 돌기부(142)가 상기 고정프레임(150)의 홈(151)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42)가 상기 홈(151)에 삽입된 후에 상기 분무노즐(140)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프레임(150)에 결속시킨다. 이때, 상기 분무노즐(140)의 외측둘레는 상기 고정프레임(150)의 내측둘레와 일정간격을 두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분무노즐(140)이 상기 고정프레임(150)에 장착된 후에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분무노즐(140)과 상기 분무구(130)의 상측 사이에 상기 고정프레임(150)이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고정프레임(150)이 상기 분무노즐(14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분무노즐(140)이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분무노즐이 분무구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분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프레임을 제공하여 상기 분무노즐의 망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제공하여 가습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습기의 품질을 높이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화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위에 장착되며, 상기 무화기와 외부를 연통하는 분무구를 구비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구 위에 장착되는 분무노즐;과
    상기 분무구와 상기 분무노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분무노즐을 상기 분무구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은 외측둘레에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내측둘레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외측둘레가 상기 분무구의 내측둘레와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내측둘레가 상기 분무노즐의 외측둘레와 일정한 간격을 두어 상기 분무노즐이 상기 분무구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2020060000368U 2006-01-05 2006-01-05 가습기 KR200411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68U KR200411760Y1 (ko) 2006-01-05 2006-01-05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68U KR200411760Y1 (ko) 2006-01-05 2006-01-05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60Y1 true KR200411760Y1 (ko) 2006-03-16

Family

ID=4176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368U KR200411760Y1 (ko) 2006-01-05 2006-01-05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7001B2 (ja) ドライヤー
EP2767774A1 (en) Portable humidifier
JP2011513697A (ja) 超音波加湿器
KR100836684B1 (ko) 낙수 소음 방지를 위한 가습기의 분무관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KR200411760Y1 (ko) 가습기
JP4545773B2 (ja) 気化式加湿機
KR200411761Y1 (ko) 가습기
KR200360077Y1 (ko) 가습기의 분무장치
JP2009139069A (ja) 液体微粒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KR200441692Y1 (ko) 노즐 어셈블리 및 그 노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939576B1 (ko) 다수의 진동자 및 필터를 갖는 가습기
KR200411762Y1 (ko) 가습기
KR200400304Y1 (ko) 미세분무부재를 가지는 가습기
KR20210117777A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JP2005003304A (ja) 加湿機
KR200468188Y1 (ko) 자연 가습장치
JP5320749B2 (ja) 液体微粒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KR200361384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JPH0339842A (ja) 加湿機
KR0164173B1 (ko) 가습기
KR200360050Y1 (ko) 가습기
KR200374362Y1 (ko) 가습기의 분무노즐 어셈블리
KR20170109101A (ko) 초음파 가습기
KR200408809Y1 (ko) 회전 가능한 분무 노즐을 갖는 가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