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761Y1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761Y1
KR200411761Y1 KR2020060000369U KR20060000369U KR200411761Y1 KR 200411761 Y1 KR200411761 Y1 KR 200411761Y1 KR 2020060000369 U KR2020060000369 U KR 2020060000369U KR 20060000369 U KR20060000369 U KR 20060000369U KR 200411761 Y1 KR200411761 Y1 KR 200411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
humidifier
hole
water tank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철
박남수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00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7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무화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위에 장착되며, 상기 무화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무화기와 외부를 연통하는 분무구; 그리고 상기 분무구 위에 장착되는 분무노즐;을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은 내측에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무구는 상기 분무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홀을 지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분무노즐이 상기 분무구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분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가습기, 분무구조, 고정장치

Description

가습기 {A HUMIDIFIER}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분무노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물탱크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번의 설명>
100-물탱크 210-수조
220-무화기 130-분무구
140-분무노즐 142-걸림돌기
142a-슬릿 142b-고정프레임
150-고정부재 151-걸림홀
152-고정프레임
본 고안은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가습기의 분무구에 분무노즐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물탱크에 물을 보충하는 경우에 분무구로부터 분무노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를 사용하면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60%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실내에 적당한 증기요소가 없고 온도가 높아지면 건조해지기 쉽다. 이런 때 가습기로 공기 속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전기에 의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粒子化)하여 실내에 뿜어지게 하는 것이 가습기의 원리이다.
가습기의 종류는 원심분무식(遠心噴霧式: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한다)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전기회로에서 어떤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cavitation:추진기 등의 뒤에 생기는 진공 현상)이 일어나 가는 안개가 발생한다), 전열식(電熱式) 가습기(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킨다), 필터기화식(젖은 필터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물을 증발시킨다) 가습기 등이 있다. 자동조절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느낌으로 조절해야 하고 적당한 시간에 물을 공급해주어야 한다. 실내에 온도계와 습도계를 걸어놓고 적절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 좋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0)와, 물탱크(1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는 물을 공급받는 수조(21)와 공급받은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기(22)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20)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무화기(22)는 상기 수조(2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화기(22)는 상기 수조(21)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무화방식에 따라 초음파 발생장치, 가열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0)는 가습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분무구(13)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0) 위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10)의 하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11)이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뚜껑(11)에는 물을 가습기에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 노즐(12)이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13)는 무화된 물을 가습기의 외부로 분무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상기 수조(21)와 가습기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물탱크(10)에 형성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상기 수조(21)에서 무화된 물은 가습기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분무구(1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분무구(13)의 일측에 상기 분무구(13)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분무노즐(14)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무노즐(14)은 토출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상기 분무구(13)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습기는 상기 분무노즐(14)이 상기 분무 구(13)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분무구(13)의 내측둘레와 상기 분무노즐(14)의 외측둘레가 일정한 간격을 지니게 되어, 상기 물탱크(1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뚜껑(11)에 물을 공급할 때, 상기 분무노즐(14)이 상기 분무구(13)로부터 이탈되어 바닥에 떨어짐으로써, 상기 분무노즐(14)이 망실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무노즐이 분무구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분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무노즐과 고정부재를 제공하여 상기 분무노즐의 망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분무노즐과 고정부재를 제공하여 가습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습기의 품질을 높이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무화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위에 장착되며, 상기 무화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무화기와 외부를 연통하는 분무구; 그리고 상기 분무구 위에 장착되는 분무노즐;을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은 내측에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무구는 상기 분무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홀을 지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이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화살촉형상이며, 상기 화살촉형상의 후방측이 반대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중앙이 절개된 홈인 슬릿을 더 구비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 또는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하며, 오직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변경 또는 치환할 수 있는 것이 본 고안의 범위에 해당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습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가습기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체(200)와, 물탱크(10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00)는 물을 공급받는 수조(210)와 공급받은 물을 무화시키는 무화기(220)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는 상기 본체(200)의 일측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무화기(220)는 상기 수조(21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화기(220)는 상기 수조(210)에 저장된 물을 무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무화방식에 따라 초음파 발생장치, 가열장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물탱크(100)는 가습기에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내부저장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며 분무구(130)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200) 위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100)의 하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110)이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1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뚜껑(110)에는 물 을 가습기에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노즐(120)이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물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구(130)는 무화된 물을 가습기의 외부로 분무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상기 수조(210)와 가습기의 외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물탱크(100)에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상기 수조(210)에서 무화된 물은 가습기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장치(미도시)에 의해 상기 분무구(13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분무구(130)의 상단에 상기 분무구(130)를 통해 토출되는 물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분무노즐(140)이 구비되는데, 상기 분무노즐(140)은 토출방향을 바꿀 수 있게 상기 분무구(130)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무노즐의 사시도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무노즐(140)은 상면이 막힌 원통형상이되, 상기 상면에 도 4에서 도시된 토출구(14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상의 내측에 화살촉형상의 걸림돌기(142)를 구비하는데, 상기 걸림돌기(142)는 상기 원통형상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2)는 상기 화살촉형상의 중앙이 절개된 홈인 슬릿(142a)을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2)는 상기 화살촉형상의 후방측이 테이퍼(taper)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2)를 상기 분무노즐(140)의 내측에서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무노즐(140)의 내측에 고정프레임(142b)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42b)은 본 실시예에서 뒤집어진 원추뿔 형상을 가지되, 무화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142c)를 지닌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분무구(130)는 고정부 재(150)를 구비하는데,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분무구(130)의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걸림돌기(142)가 삽입되는 걸림홀(151)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홀(151)은 상기 걸림돌기(142)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걸림홀(151)을 상기 분무구(130)의 내측에 위치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무구(130)의 내측에 고정프레임(152)이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물탱크의 평면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프레임(152)은 도 4에 도시된 상기 분무구(130)의 상측에서 볼 때 상기 걸림홀(151)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연장된 막대구조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습기의 분무구조의 조립은 상기 분무구(130)에 상기 분무노즐(140)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42)가 상기 걸림홀(15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42)는 화살촉형상이며 중앙에 절개된 홈인 슬릿(14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홀(151)에 쉽게 삽입되나, 이탈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142)가 상기 슬릿(142a)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돌기(142)의 후방측이 반대방향으로 테이퍼(taper)짐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142)가 일정한 외력에 의해 상기 걸림홀(151)로부터 이탈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분무노즐이 분무구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분무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무노즐과 고정부재를 제공하여 상기 분무노즐의 망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분무노즐과 고정부재를 제공하여 가습기의 내구성을 향상시켜 가습기의 품질을 높이는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무화기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위에 장착되며, 상기 무화기로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설치되며, 상기 무화기와 외부를 연통하는 분무구; 그리고 상기 분무구 위에 장착되는 분무노즐;을 포함하는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분무노즐은 내측에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무구는 상기 분무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홀을 지니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화살촉형상이며, 상기 화살촉형상의 후방측이 반대방향으로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중앙이 절개된 홈인 슬릿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2020060000369U 2006-01-05 2006-01-05 가습기 KR200411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69U KR200411761Y1 (ko) 2006-01-05 2006-01-05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69U KR200411761Y1 (ko) 2006-01-05 2006-01-05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761Y1 true KR200411761Y1 (ko) 2006-03-16

Family

ID=4176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369U KR200411761Y1 (ko) 2006-01-05 2006-01-05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44Y1 (ko) * 2011-11-18 2014-03-17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가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844Y1 (ko) * 2011-11-18 2014-03-17 주식회사 고스디자인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7001B2 (ja) ドライヤー
WO2018040380A1 (zh) 一种超声波电子烟雾化芯及雾化器
KR100836684B1 (ko) 낙수 소음 방지를 위한 가습기의 분무관
US5075047A (en) Spray pad humidifier
WO2019169677A1 (zh) 一种雾化加湿器
KR200411761Y1 (ko) 가습기
JP2019130030A (ja) アロマディフューザ
WO2019111814A1 (ja) 液体微細化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換気装置、空気清浄機、空気調和機
KR200411760Y1 (ko) 가습기
JP4545773B2 (ja) 気化式加湿機
KR200360077Y1 (ko) 가습기의 분무장치
CN206669953U (zh) 一种新型的上加水加湿器
JP3926600B2 (ja) 加湿装置
CN211024310U (zh) 一种香薰机
JP3130321U (ja) エッセンシャルオイル噴霧機の噴気構造
JP2003294278A (ja) 加湿器
KR200441692Y1 (ko) 노즐 어셈블리 및 그 노즐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00304Y1 (ko) 미세분무부재를 가지는 가습기
KR101843636B1 (ko) 안개 선풍기
KR200411762Y1 (ko) 가습기
KR20210117777A (ko) 초미세 향 발생 가습기
CN100420523C (zh) 喷雾装置
JP2005003304A (ja) 加湿機
KR101939576B1 (ko) 다수의 진동자 및 필터를 갖는 가습기
KR200360076Y1 (ko) 가습기의 물탱크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