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066Y1 -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066Y1
KR200411066Y1 KR2020050037253U KR20050037253U KR200411066Y1 KR 200411066 Y1 KR200411066 Y1 KR 200411066Y1 KR 2020050037253 U KR2020050037253 U KR 2020050037253U KR 20050037253 U KR20050037253 U KR 20050037253U KR 200411066 Y1 KR200411066 Y1 KR 2004110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resin film
heating wire
house
vinyl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7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숙희
Original Assignee
김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숙희 filed Critical 김숙희
Priority to KR2020050037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0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0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0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16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dverse conditions, e.g. extreme climate, p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두 개의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이 상하로 포개져 형성되되, 상기 포개진 합성수지필름 사이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온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포개진 합성수지필름 사이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공기를 포함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공기주머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Synthetic resin film for the vinyl house}
도 1은, 종래의 비닐하우스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의 개략적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이 기존에 설치된 비닐하우스에 적용된 경우의 개략적 단면도,
도 5는, 도 2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이 기존에 설치된 비닐하우스에 적용된 경우의 개략적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의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으로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10 ... 상측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12 ... 하측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14 ... 하부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20 ... 온열선 30 ... 공기주머니
40 ... 설치보강선 60 ... 적절감지장치
54 ... 트레이부 60 ... 코팅과일 보관실
70 ... 온도조절장치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하우스 위에 눈이 쌓여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축산업용 비닐하우스는 우선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파이프로 아치 터널형의 골격을 만든 후, 그 위에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을 덮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도 1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형태의 비닐하우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 등으로 만들어진 골격(102)이 있고, 그 위로 폴리염화비닐 혹은 비닐이라고도 불리는 태양광 투과성이 좋은 합성수지필름(104)이 설치고정되어 있다.
종래의 비닐하우스(100)는, 사용되는 합성수지필름(104)이 태양광을 투과시키고 바람을 차단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양광에 의해 내부의 온도가 외부보다 올라가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올라간 실내의 온도가 일정 시간 동안 보온 되는 역할은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비닐하우스(100)는, 겨울철에 눈이 많이 오게 되어 비닐하우스의 위에 내리는 눈이 쌓이게 되면, 태양광을 충분히 통과시키지 못하여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더욱이, 쌓인 눈이 과다할 경우 파이프 등으로 만들어진 골격(102)과 골격(102)의 사이에는 쌓인 눈의 무게로 인해 아래로 처지게 되어 비닐이 파손되거나, 결국은 골격(102)들이 눈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붕괴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 비닐하우스(100) 자체의 붕괴에 의한 손해는 물론이고, 그 붕괴된 비닐 하우스의 내부에 경작하고 있던 농작물이나 사육되고 있던 가축들에 막대한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눈이 내리는 경우 비닐하우스의 위에 쌓이는 눈이 그대로 녹아 흘러내리도록 열이 발생될 수 있는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는, 적어도 두 개의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이 상하로 포개져 형성되되, 상기 포개진 합성수지필름 사이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온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포개진 합성수지필름 사이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공기를 포함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공기주머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각 공기주머니는,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며 연장된 양 변의 가장자리에는 설치보강선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은, 상기 공기주머니의 하측면에 접하는 하부 합성수지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눈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온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적설감지장치와, 상기 온열선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은,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2), 온열선(20), 다수의 공기주머니(30), 설치보강선(4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2)은, 각각 태양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얇고 넓은 면적을 가지는 합성수지필름이다. 합성수지필름은, '비닐' 혹은 '폴리염화비닐필름' 등으로도 불린다. 그리고, 합성수지필름(10, 12)의 투명한 정도는 태양광을 보온에 필요한 정도로 투과시키면 되는 것으로서, 종래의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는 합성수지필름 정도의 투명도를 구비하면 된다.
도 2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2)은, 후술할 온열선(20)과 공기주머니(30)가 배치된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상호 결합되어 있다.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합성수지필름(12)이 결합되는 방법은, 통상의 방법, 예컨대 두 필름을 접하도록 하고 열을 가하여 부착시키는 열융착 방법에 의한다. 하지만. 이 밖에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두 필름(10, 12)을 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온열선(20)은,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2)이 두 겹으로 포개진 사이에 구비되며,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킨다.
온열선(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다수의 공기주머니(30)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구비되되, 상측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0, 12)의 사이에 고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온열선(20)은, 외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기 위해 합성수지필름(10, 12)의 외측으로 그 양단부(21, 22)가 노출되어 있다. 양단부(21, 22)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북의 전기선이 연결된다. 전기는 가정용의 전원이나, 혹은 배터리등에 의한 전원을 이용하여 공급된다.
그리고, 온열선(20)은 후술할 공기주머니(30)의 외측과 공기주머니(30) 사이의 위치를 지나가며 도 2의 방향을 기준으로 위로 연장된 후 다시 아래로 연장되고, 그 후 다시 위로 연장되는 것을 반복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온열선(20)의 배치는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다양한 배치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온열선(20)의 단면을 확대하여 표시한 도 3의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채용된 열선(20)은, 중심을 이루는 유리섬유(24)와 그 유리섬유(24)의 감싸는 열선(26)과, 열선(26)의 외측면을 감싸는 실리콘 재질의 외피(28)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온열선(20)의 외피(28)가 실리콘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2)의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된 후 전기가 흘러 열이 발생되어도, 합성수지필름(10, 12)에는 손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온열선(20)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제어장치(7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온도제어장치(70)는, 온열선(20)의 내부에 구비된 열선(26)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 예컨대, 합성수지필름(10, 12)이 녹는 온도를 80℃ 라 하면, 그 보다 낮은 70℃ 를 이하로 온열선(20)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즉, 기준 온도보다 높아지게 되면, 전기의 공급을 끊어 더 이상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하며, 또한 열선(26)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예컨대, 60℃ 보다 낮아지게 되면 다시 열선(26)에 전기를 공급하여, 소정범위 안에서 열선(26)의 온도(결과적으로 온열선(2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급되는 전기를 단속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제어장치(70)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이메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위에 제시한 온도 범위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합성수지필름(10, 12)의 녹는점의 온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경우, 온도제어장치(70)를 온열선(20)의 일측 단부(21)가 연장되는 부분 에 구비하고 있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도제어장치(70)는 편의에 따라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머니(30)는, 포개진 상측 합성수지필름(10)와 하측 합성수지필름(12)의 사이에 다수 개가 구비된다. 각 공기주머니(30)의 내부에는 공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수의 공기주머니(30)들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공기주머니(30) 내부의 공기로 인해 뛰어난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공기주머니(30)의 크기와, 총 공기주머니(3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원하는 정도로 구비된다. 제시된 도면에는 공기주머니(30)들이 가로 방향으로 3개 구비되어 세로방향으로 연속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각 공기주머니(30)는,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하측 합성수지필름(12)를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공기주머니(30)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주머니(30)가 전체적으로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을 갖도록 하는 이유는,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이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에 적용되는 경우를 단면으로 도시한 도 4를 참조하면, 합성수지필름(1)과 기존의 비닐하우스를 이루고 있는 합성수지필름(104)의 사이에 또 다른 다수의 공기를 포함한 공간(108)을 형성할 수 있어서, 공기주머니(30) 내부에 포함된 공기와 함께, 비닐하우스 내부를 보온하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상기 설치보강선(40)은, 합성수지필름(10, 12)의 앙측에 길게 한 쌍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합성수지필름(10, 12)이 가로 방향보다 세로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설치보강선(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필름(10, 12)의 양측의 마주하며 연장된 양 변의 가장자리 부분에 길이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마주하며 평행하게 구비되어 있다.
설치보강선(40)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을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에 설치하는 경우, 그 양단부를 지면에 고정하여, 보다 견고한 설치를 돕는다. 설치보강선(40)은 본 실시예의 경우,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2)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측 합성수지필름(10)의 상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측 합성수지필름(10)과 하측 합성수지필름(12)의 사이에, 온열선(20)과 설치보강선(40)을 고정시키거나 공기주머니(30)를 형성시키는 것은, 두 필름(10, 12)을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상호 결합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며 이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은, 적설 감지장치(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적설감지장치(60)는, 눈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온열선(20)을 작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적설감지장치(60)는 하우스 외부의 지붕 위에 설치되어 있으며, 눈이 오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자동으로 온열선(2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만, 적설 감지장치(6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온열선(2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제어부 등에 관한 기술적 구성은 현재 공지된 통상의 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적설감지장치(6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한밤 중에 예상치 못한 폭설이 오는 경우에도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적설 감지장치(60)와 온열선의 온도조절장치(7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이들 중 하나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에 대해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은, 투명하고 상호 포개진 필름(10, 12) 사이에 온열선(20)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열이 발생되어 그 위에 쌓이는 눈을 녹이거나 서리 등을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비닐하우스(100)에 본 고안에 의한 합성수지필름(1)을 설치한 것을 예시한 도 5를 참조하면, 합성수지필름(1)은, 비닐하우스(100)의 골격(102)들 위에 덮여져 고정된 종래의 비닐(104)의 위에 설치된다. 파이프 등을 성형하여 제작된 골격(102)들 사이 사이의 비닐(104) 위에, 합성수지필름(1)를 덮은 후,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노출되어 있는 설치보강선(40)을 팽팽하게 당겨 지면에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시킨다. 비닐하우스(100)의 외측의 지붕 위에는 적절감지장치(60)를 설치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온열선(20)의 양단부(21, 22)를 전기선에 연결한다. 전기는 가정용 220V를 사용하거나, 충전하여 사용하는 배터리 등을 이용한다. 이때, 전기를 연결하고, 그리고 이러한 전기를 단속하는 스위치부를 구비한 컨트롤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컴트롤부는, 온열선(20)의 작동시간을 사전에 맞추어 놓을 수 있는 예약 타이머 등을 구비하거나, 상술한 적절감지장치의 제어 기능 등의 기능을 구비할 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비닐하우스의 상부에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이 설치되면, 그 내부에 공기주머니(30)의 존재로 인해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기존의 비닐하우스 외피 비닐(104)과 본 고안의 합성수지필름(1) 사이에 공기층(108)들이 형성되어 보온 효과는 더욱 상승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에 설치된 온열선(20)이 전기에 의해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눈이 합성수지필름(1)의 위에 오게 되더라도, 온열선(20)의 열에 의해 바로 녹아 경사진 면을 따라 아래로 흐르기 때문에 비닐하우스(100)의 상부에는 눈이 쌓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눈이 아니더라고 서리나 추운 날씨에 성애가 끼어 태양광이 충분히 투과되지 못하는 경우, 온열선(20)을 작동시켜 이들을 제거하여 태양광 투과율을 원하는 정도로 올릴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a)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a)은, 앞선 실시예의 비닐하우스 용 합성수지필름(1)이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비닐하우스(100)에 적용할 수 있는 것에 비해, 새롭게 비닐하우스 전체를 만들 때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즉, 기존의 비닐하우스(100)의 골격들 사이 사이의 비닐 위에 부분적으로 덮는 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골격(102) 위로 전체적으로 덮어 새로운 비닐하우스를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앞선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에 비하여 그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상기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a)은, 앞선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의 구성을 모두 구비한 상태로, 추가적으로 하측에 하부 합성수지필름(14)를 더 구비하고 있다. 공기주머니(30)의 하측면에 접하는 하부 합성수지필름(14)을 구비함으로써, 공기주머니(30)들 이외에도, 하측 합성수지필름(12)과 하부 합성수지필름(14) 사이에 있어서 공기주머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공기를 포함한 층을 구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를 만든 것을 예시한 도 7을 참조하면, 파이프 등을 이용하여 만든 골격(102)들 위로, 기존의 비닐을 미리 덮는 것 없이, 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a) 만을 덮어 고정하여 비닐하우스를 만든다.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비된 설치보강선을 이용하여 지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설치보강선을 구비하지 않고, 종래 비닐하우스를 만드는 방법으로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a)을 고정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1a)으로 제작한 비닐하우스는, 앞선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작용 효과를 그대로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에 따르면, 자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온열선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비닐하우스의 위에 눈이 쌓이지 않게 되어 쌓인 눈으로 인해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적어도 두 개의 투명한 합성수지필름이 상하로 포개져 형성되되,
    상기 포개진 합성수지필름 사이에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온열선을 구비하고,
    상기 포개진 합성수지필름 사이에 구비되며, 각각에는 공기를 포함하고,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공기주머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기주머니는, 하방으로 볼록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은 장방형으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며 연장된 양 변의 가장자리에는 설치보강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은, 상기 공기주머니의 하측면에 접하는 하 부 합성수지필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눈이 오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온열선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적설감지장치와, 상기 온열선의 온도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온도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KR2020050037253U 2005-12-30 2005-12-30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KR2004110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53U KR200411066Y1 (ko) 2005-12-30 2005-12-30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7253U KR200411066Y1 (ko) 2005-12-30 2005-12-30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066Y1 true KR200411066Y1 (ko) 2006-03-15

Family

ID=4176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7253U KR200411066Y1 (ko) 2005-12-30 2005-12-30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0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08B1 (ko) * 2007-11-16 2009-09-25 (주)알씨에스코리아 보온시트
CN109964699A (zh) * 2019-03-13 2019-07-05 兰州全达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温棚用高效保温采光膜及轻质保温被及其生产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8608B1 (ko) * 2007-11-16 2009-09-25 (주)알씨에스코리아 보온시트
CN109964699A (zh) * 2019-03-13 2019-07-05 兰州全达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温棚用高效保温采光膜及轻质保温被及其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21029A (en) Planar heater for melting snow
US6225600B1 (en) Snow melting device for gutters
CN106105021B (zh) 模块化屋顶覆盖元件、模块化屋顶覆盖物及屋顶
US20100236608A1 (en) Photovoltaic module with heater
KR101061051B1 (ko) 제설 기능을 구비한 온실
KR101627819B1 (ko) 수도계량기용 동파방지 커버
KR200411066Y1 (ko)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KR101800805B1 (ko) 플렉시블 솔라 패널
KR20110099233A (ko) 태양에너지용 루핑 패널
KR20140125082A (ko) 열전도성소재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설용 필름 및 이를 적용한 비닐하우스 제설시스템
US20080237220A1 (en) Device For Protection Against Frost and Uses Thereof
CN214506424U (zh) 一种户外用具有防冻作用的电缆桥架
KR200468750Y1 (ko)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KR200441128Y1 (ko) 제설용 발열기구가 설치된 연동식 비닐하우스
KR200476016Y1 (ko) 비닐 시트를 이용한 온열 기구
KR101043461B1 (ko)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JP2002058355A (ja) ビニールハウスの保温方法及び保温装置
JP2018178435A (ja) 軒天加温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氷柱防止装置
JP2000027378A (ja) 融雪機能付き太陽電池屋根材および該屋根材を用いた屋根構造体
KR200417190Y1 (ko) 지붕 구조물
JP3373601B2 (ja) 建材一体型太陽電池モジュールパネル
KR20060088526A (ko) 지붕 구조물
JP3192380U (ja) 屋根用融雪ヒータ材
KR200468749Y1 (ko)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JP502762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敷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