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3461B1 -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3461B1
KR101043461B1 KR1020100108931A KR20100108931A KR101043461B1 KR 101043461 B1 KR101043461 B1 KR 101043461B1 KR 1020100108931 A KR1020100108931 A KR 1020100108931A KR 20100108931 A KR20100108931 A KR 20100108931A KR 101043461 B1 KR101043461 B1 KR 10104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ire
wire member
upper side
temperature
waterproof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범
Original Assignee
거산녹화건설(주)
권기상
권오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산녹화건설(주), 권기상, 권오범 filed Critical 거산녹화건설(주)
Priority to KR102010010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3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002Provisions for preventing vegetational growth, e.g. fungi, algae or mo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6Insulating devices or arrangements in so far as the roof covering is concerned, e.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of the roof insulating material or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 E04D13/1606Insulation of the roof covering characterised by its integration in the roof 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에 조성되는 조경시설에 발열선부재를 내설하여 상기 조경시설에 비와 눈의 형태로 자연공급되는 강수량을 자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강수량의 하중으로 인해 슬래브에 과다하게 전가되는 하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옥상 조경시설에 있어서, 건물 상단의 슬래브 상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의 외측면을 덮는 보호커버와; 일측에는 상기 발열선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부재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여 발열선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와; 상기 온도제어부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하중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에 제공하여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온도제어부를 작동케 하는 하중 센서와; 상기 온도제어부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기온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에 제공하여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온도제어부를 작동케 하는 온도 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기본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Landscaping facilities of rooftop equipped with hot wir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열선부재를 이용한 제설 및 배수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옥상에 조성되는 조경시설에 발열선부재를 내설하여 상기 조경시설에 비와 눈의 형태로 자연공급되는 강수량을 자동으로 조절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강수량의 하중으로 인해 슬래브에 과다하게 전가되는 하중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제설 및 배수장치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산업 및 공업시대를 거치면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으나, 그 이면에는 자연환경의 많은 파괴가 이루어져 왔으며, 상기와 같은 자연환경의 파괴는 인간생활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인구가 거주하기 위한 주택단지, 공업의 발달로 인해 연구 및 생산이 이루어져야 하는 공업단지 등의 필요로 인해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많은 개발이 이루어져 왔고, 이로 인해 숲 등의 녹지공간이 사라지게 됨에 따라 처리되지 못하고 남아도는 이산화탄소는 오존층을 파괴하고, 파괴된 오존층 사이로 내리쬐는 자외선은 인간 생활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어 녹지공간의 확보가 절실하게 요구되며, 그 일환의 하나로 건물의 옥상에 조경시설을 형성하여 녹지공간을 확대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조경시설은 건물의 옥상 상측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고,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면에는 필요에 따라 배수판과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덮은 다음, 그 상측에는 인공토를 일정 두께로 덮은 후, 잔디 혹은 수목을 식재함으로써 완성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건물 옥상의 조경시설은 일반적인 건물의 옥상에도 얼마든지 조성이 가능하나, 상기 조경시설의 하중을 받쳐 지지할 기존 건물 옥상의 슬래브는 조경시설을 고려하지 아니하고 설계 및 시공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건물의 옥상에 조경시설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슬래브가 조경시설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지 여부를 먼저 고려해야 하며, 상기 조경시설의 하중이 슬래브가 견디는 하중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슬래브에 크랙이 발생할 우려가 매우 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확인절차를 거쳐서 조경시설을 시공하더라도 비나 눈의 형태로 자연공급되는 강수량이 상기 조경시설에 과다하게 공급되는 경우에는 조경시설의 하중에 강수량의 하중이 더해진 과다한 하중이 슬래브에 전가되고, 상기와 같은 과다한 하중이 슬래브에 일정 시간 지속적으로 전가되면, 상기 슬래브에는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상기 크랙은 누수 등의 2차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동절기에 눈이 과다하게 내리는 경우, 상기 조경시설에는 일정 두께의 눈이 쌓이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일정 두께로 쌓이는 눈은 흘러내리지 아니하고 장시간동안 그 위치에 그대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슬래브에 과다한 하중을 더해주게 되어 슬래브에 크랙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건물의 옥상 슬래브 상측에 형성되는 조경시설의 하부에 발열선부재를 내설하되, 상기 발열선부재의 일측단과 연결되는 전원 사이에는 온도제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온도제어부의 일측에는 하중 센서와 온도 센서를 연결형성함으로써 상기 조경시설에 비와 눈의 형태로 자연공급되는 강수량에 의한 하중을 상기 발열선부재를 통해 자동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이 있다.
특히, 동절기에 내리는 눈으로 인해 상기 조경시설에 과다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온도제어부에 연결형성된 하중 센서와 온도 센서를 통해 수득된 정보를 바탕으로 발열선부재를 발열시켜 눈을 신속하게 해빙 및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건물 옥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상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시트의 상측에 배수판, 받침망, 부직포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의 상측면에 발열선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 및 고정하여, 상기 부직포 상측의 인공토에 공급되는 강수와 눈을 효과적으로 배수 및 해빙시켜 콘크리트 슬래브에 전가되는 하중을 신속하게 경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이 있다.
또한, 건물 옥상의 슬래브 상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그 상측면에 방수시트를 부착한 다음, 그 상측에 발열선부재, 보호커버, 인공토를 순차적으로 덮어서 상기 인공토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설치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옥상 조경시설에 있어서, 건물 상단의 슬래브 상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시트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와;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의 외측면을 덮는 보호커버와; 일측에는 상기 발열선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전원 케이블과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부재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여 발열선부재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와; 상기 온도제어부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하중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에 제공하여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온도제어부를 작동케 하는 하중 센서와; 상기 온도제어부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기온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에 제공하여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온도제어부를 작동케 하는 온도 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열선부재는 직열히터, 시즈형 직열히터, 병렬히터, 실리콘히터, 자동온도조절히터, 미네랄 인슈레이션히터, 카본시트형 히터 등 적어도 어느 하나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선부재는, 흑연 에멀젼으로 피복되는 구리선과; 상기 구리선를 피복하는 흑연 에멀젼의 외측면에 피복되는 폴리올레핀 내피복층과; 상기 폴리올레핀 내피복층의 외측면을 감싸는 주석도금 구리 직조천과; 상기 주석도금 구리 직조천의 외측에 피복형성되는 폴리올레핀 외피복층; 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선부재는, 니크롬선과; 상기 니크롬선을 피복하는 폴리올레핀 내피복층과; 상기 폴리올레핀 내피복층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권취되는 주석도금 구리선과; 상기 주석도금 구리선의 외측에 피복형성되는 폴리올레핀 외피복층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선부재를 덮는 보호커버는 콘크리트재 혹은 금속재 중 하나로 형성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재 혹은 금속재로 형성되는 보호커버의 외측면에는 다수개의 발열핀이 돌출형성되어 발열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의 상측면에는 배수로가 형성된 배수판이 취부되고, 상기 배수판의 상측면에는 받침망이 얹어지며, 받침망의 상측면에는 부직포가 얹어지고, 부직포의 상측면에는 발열선부재가 취부되는 구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건물 상단의 슬래브 상측면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1 단계와; 상기 1 단계 후, 슬래브 상측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2 단계와; 상기 2 단계 후, 프라이머가 도포된 슬래브 상측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3 단계와; 상기 3 단계 후, 방수시트의 상측면에 발열선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나열하는 4 단계와; 상기 4 단계 후, 나열된 발열선부재를 보호커버로 덮어 고정하는 5 단계와; 상기 5 단계 후, 발열선부재가 취부된 방수시트의 상측면에 인공토를 덮는 6 단계와; 상기 6 단계 후, 상기 발열선부재의 일측단에 전원 케이블을 연결하되, 상기 발열선부재와 전원 사이에 온도 제어부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7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의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4 단계에서, 방수시트의 상측면에 배수로가 형성된 배수판을 취부하고, 상기 배수판의 상측면에 받침망을 덮으며, 받침망의 상측면에 부직포를 덮고, 상기 부직포의 상측면에 발열선부재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의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5 단계에서, 보호커버는 콘크리트재 혹은 금속재 중 하나로 형성하여 발열선부재를 덮어 고정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의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발열핀을 돌출형성한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의 설치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기술적,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건물의 옥상 슬래브의 상측면에 형성되는 조경시설에 발열선부재를 내설하여 비와 눈의 형태로 조경시설에 자연공급되는 강수량의 하중을 상기 발열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이하고 신속하게 경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강수량으로 인해 슬래브에 과다하게 가해지는 하중을 조절하여 상기 슬래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경시설의 안전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크랙으로 인해 발생가능한 재보수비용을 미리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도 있다.
특히, 동절기에 내리는 눈은 흘러내리지 아니하고 내린 위치에 그대로 장기간 고정되어 있으므로, 일정 두께로 쌓일 경우 조경시설과 함께 슬래브에 상당한 하중을 장기간 가하게 되나, 본 발명에 의한 발열선부재에서 발생하는 열과 상기 발열선부재를 덮어 고정하는 보호커버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발열핀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눈을 신속하게 해빙시킴으로써 슬래브에 과다한 하중에 가해져 크랙이 발생하는 문제를 미리 방지함은 물론 영하의 기온으로 인해 쉽게 동사될 수도 있는 식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어 식물의 재식재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
둘째, 건물 옥상의 슬래브 상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시트의 상측에 배수판, 받침망, 부직포, 발열선부재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배수판의 배수로에 자갈을 채워 부직포가 상기 배수로에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로를 확보하였던 종래의 구성에 비해 상기 배수판의 상측면에 받침망을 형성하여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과다한 강수량으로 인해 슬래브에 가중되는 하중이 신속하게 경감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시설의 하부 기본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열선부재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발열선부재의 내부 구조도
도 4,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호커버의 실시예시도
도 6, 7은 본 발명에 의한 보호커버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조경시설의 또 다른 하부 구조도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 및 효과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옥상 조경시설에 있어서, 건물 상단의 슬래브(10) 상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시트(20)와;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30)와;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30)의 외측면을 덮는 보호커버(40)와; 일측에는 상기 발열선부재(30)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전원 케이블(50)과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부재(30)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여 발열선부재(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60)와;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하중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제공하여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온도제어부(60)를 작동케 하는 하중 센서(70)와;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기온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제공하여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온도제어부(60)를 작동케 하는 온도 센서(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방수시트(20)는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측면에 부착되어, 그 상측에 덮여지는 인공토(90)와 상기 인공토(90)에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 등으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10)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수시트(20)는 염화비닐계 방수시트, 강화섬유플라스틱(FRP) 방수시트, 우레탄 방수시트, 아스팔트 방수시트가 형성가능한데, 상기 염화비닐계 방수시트와 강화섬유플라스틱 방수시트 외에는 식물의 뿌리가 콘크리트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방근기능이 없으므로, 상기 우레탄 방수시트와 아스팔트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방수시트 형성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방근시트를 덧붙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수시트(10)를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측면에 부착시킬 때에는 프라이머(11)를 이용하여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프라이머(11)는 부틸 프라이머 혹은 수용성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슬래브(10)의 상측면에 부착된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는 발열선부재(30)가 취부되는데,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발열선부재(30)를 취부할 때에는 하나의 발열선부재(30)를 일정 간격의 지그재그 형태로 취부함으로써 상기 발열선부재(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슬래브(10)의 전면적에서 고르게 발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르게 배열되는 발열선부재(30)를 고정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발열선부재(30)에 보호커버(40)를 덮어씌워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보호커버(40)는 열전도성이 좋은 콘크리트재 혹은 금속재으로 형성하여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발열선부재(30)를 덮어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40)의 단면은 대략 반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그 하측에는 발열선부재(30)가 긴밀하게 삽입가능한 발열선부재 삽입홈(42)이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보호커버(40)의 양측에는 수평날개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커버(40)를 이용하여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발열선부재(30)를 덮게 되면, 상기 발열선부재(30)는 상기 보호커버(40)의 발열선부재 삽입홈(42)에 긴밀하게 삽입되고, 상기 보호커버(40)의 양측에 형성된 수평날개부(43)의 저측면은 발열선부재 삽입홈(42)에 긴밀하게 삽입된 발열선부재(30)의 양측에 위치한 방수시트 상측면에 면접촉된다.
상기와 같이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발열선부재(30)를 보호커버(40)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인공토(90)를 이용하여 덮게 되면, 보호커버(40)의 상측에 덮이는 인공토(90)의 무게로 인하여 보호커버(40)는 발열선부재(3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며, 양측에 형성된 수평날개부(43)도 인공토(90)의 하중으로 인해 발열선부재(30) 양측의 방수시트(20)의 상측면과 더욱 견고하게 면접촉되어 발열선부재(30)를 안전하게 보호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보호커버(40)를 이용하여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발열선부재(30)를 덮어 고정하고, 상기 보호커버(40)의 상측에 일정 두께의 인공토(90)를 덮게 되면, 발열선부재(30)는 상기 발열선부재(30)를 완전하게 커버하는 구조와 일정 강도를 가진 보호커버(40)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될 뿐 아니라 일정 강도를 가지면서도 열전도성이 좋은 콘크리트재나 금속재로 형성되는 보호커버(40)를 통해 발열선부재(3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인공토(90)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열선부재(30)를 덮어 고정하는 보호커버(40)를 열전도성이 좋은 콘크리트재나 금속재로 형성함으로써 인공토(90)에 과다한 강수가 침투하거나 혹은 상기 인공토의 상측면에 과다한 두께의 눈이 쌓여 슬래브에 과다한 하중에 전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발열선부재(30)를 작동시켜 열이 신속하게 인공토(90)로 전달되도록 하여 수분의 일정량을 증발시키거나 눈을 신속하게 해빙시켜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강수량이 슬래브(10)에 전가하는 하중을 신속하게 경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인공토(90)의 두께가 두꺼운 곳에는 발열선부재(30)를 방수시트(20)의 상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하여 인공토(90)의 상측면에 쌓이는 눈을 보다 효과적으로 해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발열선부재(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파되는 면적을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면 위와 같은 강수의 증발이나 눈의 해빙과 같은 작용은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상기 보호커버(40)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발열핀(41)을 일정 간격으로 돌출형성하여 발열선부재(30)에서 발생되는 열이 인공토(90)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은 물론 열이 전달되는 면적이 더욱 확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보호커버(40) 외측면의 발열핀(41) 구조를 통해 위와 같은 강수의 증발이나 눈의 해빙과 같은 작용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면 동일한 시간에 발열되는 동일한 열량에도 강수의 증발 혹은 눈의 해빙 정도는 더욱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동일한 작업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열선부재(30)는 흑연 에멀젼(32)으로 피복되는 구리선(31)과; 상기 구리선(31)를 피복하는 흑연 에멀젼(32)의 외측면에 피복되는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과; 상기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의 외측면을 감싸는 주석도금 구리 직조천(34)과; 상기 주석도금 구리 직조천(34)의 외측에 피복형성되는 폴리올레핀 외피복층(35); 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발열선부재(3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선부재(30)의 구조와 관련하여, 니크롬선(36)과; 상기 니크롬선(36)을 피복하는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a)과; 상기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a)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권취되는 주석도금 구리선(37)과; 상기 주석도금 구리선(37)의 외측에 피복형성되는 폴리올레핀 외피복층(35a); 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발열선부재(30)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열선부재(30)에 사용되는 내피복층(33)과 외피복층(35)을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올레핀으로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재를 이용하여 상기 발열선부재(30)를 덮어 고정하더라도 콘크리트재의 알칼리 반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여 발열선부재의 내부 구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열선부재(30)는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직열히터, 시즈형 직열히터, 병렬히터, 실리콘히터, 자동온도조절히터, 미네랄 인슈레이션히터, 카본시트형 히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발열선부재(30)의 일측단에는 전원 케이블(50)이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부재(30)를 발열시키게 되는데, 상기 발열선부재(30)의 일측단과 전원 케이블(50)의 사이에 온도제어부(60)를 형성하여 발열선부재(30)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조절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온도제어부(60)를 형성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내용은 이미 널리 알려진 내용이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발열선부재(30)와 전원 케이블(50) 사이에 온도제어부(60)를 연결형성하여, 발열선부재(30)에 인가되는 전기량을 온도제어부(60)를 통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발열선부재(30)의 발열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온도제어부(60)에 하중의 증가여부를 감지하는 하중 센서(70)와, 기온을 감지하는 온도 센서(80)를 연결형성하여 인공토(90)의 하중 변화와 기온의 변화에 따라 온도의 제어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상기 하중 센서(70)는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인공토(90) 하중의 증가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온도 센서(80)는 인공토(90)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기온 및 인공토(9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인공토(90) 하중 및 온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온도제어부(60)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온도제어부(60)를 별도로 조작하지 아니하여도 상기 하중 센서(70) 및 온도 센서(80)를 통하여 감지되는 하중 정보 및 온도 정보를 바탕으로 필요시에만 발열선부재(30)에 전기를 인가하여 발열시킴으로써 인공토(90)에 침투한 강수 및 인공토(90)의 상측면에 쌓이는 눈에 대해 즉각적이고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옥상의 콘크리트 슬래브(10) 상측면에 방수시트(20)를 부착하고,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발열선부재(30)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 및 고정하는 구성 외에도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배수로(21a)가 형성된 배수판(21), 상기 배수판(21)의 상측면을 덮는 부직포(23)를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에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부직포(23)의 상측면에 발열선부재(30)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방수시트(20)의 상측에 배수판(21), 부직포(23)를 순차적으로 덮어 씌운 후, 상기 부직포(23)의 상측에 발열선부재(30)를 설치하게 되면, 인공토(90)에 과다한 강수량이 침투하는 경우에도 상기 배수판(21)에 형성된 배수로(21a)를 통해 강수가 배출이 용이하므로 인공토(90)에 침투한 강수량의 무게로 인한 하중 증가는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배수판(21)의 상측면에 부직포(23)를 덮을 때에는 상기 부직포(23)가 인공토(90)의 무게로 인해 배수로(21a)에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수로(21a)에 자갈을 넣어 자갈의 공극을 통해 배수가 이루지도록 하였으나, 이 또한 배수로(21a)를 차지하는 자갈의 부피로 인해 배수효율이 낮으므로 상기 배수판(21)의 상측에 받침망(22)을 덮고, 그 상측면에 부직포(23)를 덮음으로써 종래에 비해 배수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방수시트(2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배수판(21), 받침망(22), 부직포(23) 구성을 통해 인공토(90)에 과다하게 침투되는 강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과다한 강수량으로 인해 슬래브(10)에 가중되는 하중을 신속하게 경감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발열선부재(30)에 의해 녹는 눈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신속하게 해빙 및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슬래브(10)에 가중되는 하중을 신속하게 경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체적인 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는 얼마든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슬래브 11 : 프라이머
20 : 방수시트 21 : 배수판
21a : 배수로 22 : 받침망
23 : 부직포 30 : 발열선부재
31 : 구리선 32 : 흑연 에멀젼
33, 33a : 폴리올레핀 내피복층 34 : 주석도금 구리 직조천
35, 35a : 폴리올레핀 외피복층 36 : 니크롬선
37 : 주석도금 구리선 40 : 보호커버
41 : 발열핀 42 : 발열선부재 삽입홈
43 : 수평날개부 50 : 전원 케이블
60 : 온도제어부 70 : 하중 센서
80 : 온도 센서 90 : 인공토

Claims (11)

  1. 옥상 조경시설에 있어서, 건물 상단의 슬래브(10) 상측면에 부착되는 방수시트(20)와;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30)와;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취부되는 발열선부재(30)의 외측면을 덮되, 콘크리트재 혹은 금속재 중의 하나로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다수 개의 발열핀(41)이 돌출 형성된 보호커버(40)와;
    일측에는 상기 발열선부재(30)와 연결되고, 타측에는 전원 케이블(50)과 연결되어 상기 발열선부재(30)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여 발열선부재(30)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60)와;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하중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제공하여 하중이 증가하면 상기 온도제어부(60)를 작동케 하는 하중 센서(70)와;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연결형성되되, 감지되는 기온 정보를 상기 온도제어부(60)에 제공하여 기온이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온도제어부(60)를 작동케 하는 온도 센서(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부재(30)는 직열히터, 시즈형 직열히터, 병렬히터, 실리콘히터, 자동온도조절히터, 미네랄 인슈레이션히터, 카본시트형 히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부재(30)는, 흑연 에멀젼(32)으로 피복되는 구리선(31)과; 상기 구리선(31)를 피복하는 흑연 에멀젼(32)의 외측면에 피복되는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과; 상기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의 외측면을 감싸는 주석도금 구리 직조천(34)과; 상기 주석도금 구리 직조천(34)의 외측에 피복형성되는 폴리올레핀 외피복층(35); 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선부재(30)는, 니크롬선(36)과; 상기 니크롬선(36)을 피복하는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a)과; 상기 폴리올레핀 내피복층(33a)의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권취되는 주석도금 구리선(37)과; 상기 주석도금 구리선(37)의 외측에 피복형성되는 폴리올레핀 외피복층(35a)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40)는 길이 방향의 단면이 반원형 혹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되, 그 하측에는 발열선부재(30)가 긴밀하게 삽입가능한 발열선부재 삽입홈(42)이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양측에는 수평날개부(43)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는 배수로(21a)가 형성된 배수판(21)이 취부되고, 상기 배수판(21)의 상측면에는 받침망(22)이 얹어지며, 받침망(22)의 상측면에는 부직포(23)가 얹어지고, 부직포(23)의 상측면에는 발열선부재(30)가 취부되는 구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9. 옥상 조경시설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건물 상단의 슬래브(10) 상측면을 깨끗하게 정리하는 1 단계(S-1)와;
    상기 1 단계 후, 슬래브(10) 상측면에 프라이머(11)를 도포하는 2 단계(S-2)와;
    상기 2 단계 후, 프라이머(11)가 도포된 슬래브(10) 상측면에 방수시트(20)를 부착하는 3 단계(S-3)와;
    상기 3 단계 후, 방수시트(10)의 상측면에 배수로(21a)가 형성된 배수판(21)을 취부하고, 상기 배수판(21)의 상측면에 받침망(22)을 덮으며, 받침망(22)의 상측면에 부직포(23)를 덮고, 상기 부직포(23)의 상측면에 발열선부재(30)를 일정 간격으로 발열선부재(30)를 나열하는 4 단계(S-4)와;
    상기 4 단계 후, 나열된 발열선부재(30)를 보호커버(40)로 덮어 고정하는 5 단계(S-5)와;
    상기 5 단계 후, 발열선부재(30)가 취부된 방수시트(20)의 상측면에 인공토를 덮는 6 단계(S-6)와;
    상기 6 단계 후, 상기 발열선부재(30)의 일측단에 전원 케이블(50)을 연결하되, 상기 발열선부재(30)와 전원 사이에 온도 제어부(60)를 형성하여 연결하는 7 단계(S-7);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의 설치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5 단계에서, 보호커버(40)는 콘크리트재 혹은 금속재 중 하나로 형성하여 발열선부재(30)를 덮어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의 설치방법.
KR1020100108931A 2010-11-04 2010-11-04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KR10104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31A KR101043461B1 (ko) 2010-11-04 2010-11-04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8931A KR101043461B1 (ko) 2010-11-04 2010-11-04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3461B1 true KR101043461B1 (ko) 2011-06-23

Family

ID=4440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8931A KR101043461B1 (ko) 2010-11-04 2010-11-04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34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8B1 (ko) 2020-01-14 2020-08-28 홍민화 조경시설 설치방법
KR102171952B1 (ko) * 2019-12-26 2020-10-30 손창식 배수가 원활한 구배형 경량 시스템 쿨루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2243Y1 (ko) * 1980-02-26 1980-12-31 레이켐 코포레이션 열회복성 자체 가열식 봉합장치
KR20020091907A (ko) * 2001-06-01 2002-12-11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사계절 잔디녹화 시스템
KR20040103617A (ko) * 2003-05-30 2004-12-09 문경애 전선보호 커버
KR20070111262A (ko) * 2006-05-17 2007-11-21 한국난방필름 주식회사 동절기 잔디 보호를 위한 지중 온도조절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2243Y1 (ko) * 1980-02-26 1980-12-31 레이켐 코포레이션 열회복성 자체 가열식 봉합장치
KR20020091907A (ko) * 2001-06-01 2002-12-11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사계절 잔디녹화 시스템
KR20040103617A (ko) * 2003-05-30 2004-12-09 문경애 전선보호 커버
KR20070111262A (ko) * 2006-05-17 2007-11-21 한국난방필름 주식회사 동절기 잔디 보호를 위한 지중 온도조절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1952B1 (ko) * 2019-12-26 2020-10-30 손창식 배수가 원활한 구배형 경량 시스템 쿨루프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148138B1 (ko) 2020-01-14 2020-08-28 홍민화 조경시설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682B1 (ko) 식물 근권부 냉난방 시스템
EP2385183B1 (en) Assembly for the provision of a water retention system
KR20110032404A (ko) 비닐하우스용 담요식 난방장치 및 그의 사용방법
KR101043461B1 (ko) 발열선부재가 내설되는 옥상 조경시설 및 그 설치방법
KR102322907B1 (ko) 2중 열순환을 이용한 온실용 축열난방 장치
US20120061046A1 (en) Interlocking roof mounted heat-transfer panels
US8440940B2 (en) Photovoltaic ice dam remediation apparatus
KR101230572B1 (ko) 옥상 식재용 빗물 채수 및 저수 설비와 그 시공 방법
JP2008121960A (ja) 直射熱利用暖房装置
KR100729389B1 (ko) 배수겸용 보수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옥상녹화구조
EP1942720B1 (en) Solar radiator
RU269466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стественного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холода в грунтовом массиве
CA2706033C (en) Assembly for reducing ice damming on roof
JP3216772U (ja) ルーフヒーティング装置
KR101081461B1 (ko) 동절기의 잔디생육을 위한 지반가열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과 지반가열방법
JP5841689B1 (ja) 温室
RU2158809C1 (ru) Водосточная система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 подогревом
KR101595089B1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및 방수 시스템
RU6855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водосточной трубы от замерзания в ней воды
CN201219396Y (zh) 一种日光大棚
CN115551344A (zh) 自生环境造景系统
KR101824317B1 (ko) 끝이 말리는 비닐 하우스
JP6106302B1 (ja) 屋根の融雪装置
US20220018135A1 (en) Ice melting assembly
KR100960224B1 (ko) 다용도 발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