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750Y1 -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750Y1
KR200468750Y1 KR2020110010222U KR20110010222U KR200468750Y1 KR 200468750 Y1 KR200468750 Y1 KR 200468750Y1 KR 2020110010222 U KR2020110010222 U KR 2020110010222U KR 20110010222 U KR20110010222 U KR 20110010222U KR 200468750 Y1 KR200468750 Y1 KR 2004687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vinyl
curtain
vinyl hous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2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913U (ko
Inventor
이진희
문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안
Priority to KR20201100102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75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7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7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A01G9/1415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4Shapes of curtains
    • A47H23/06Systems consisting of two or more co-operating curtains with transparent or perforated parts behind each 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Abstract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측벽에 설치하는 비닐커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비닐커튼을 비닐하우스의 측벽에 설치하는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닐커튼(2)의 하부에는 내부에 열선(4)을 포함하는 에어백(10)들을 설치하되, 에어백(10)은 내,외피(44,4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단면이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상하부에 융착부(41)를 형성하고, 좌우 측부에는 절곡부(40)를 형성하여 각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에는 물 또는 에어 중 어느 하나로 각각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하단부가 각이 형성되어, 결로(42)의 흐름이 양호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curtain structure of vinyl house side wall}
등록실용신안 20-0362991 호
등록실용신안 20-363024 호
등록실용신안 20-267417 호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측벽에 설치하는 비닐커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비닐하우스는 내부의 식물 작물을 위한 보온과 외기 냉기 차단의 목적으로 설치하는 바, 특히 비닐하우스의 측부에 설치하는 커튼 하단부로는 외기의 온도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곳이다
대부분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는 대류와 복사열로 골고루 순환이 이루어지나 지면 부분은 찬공기가 하강하고, 땅의 냉기가 항상 올라오는 부분이어서 가장 온도가 낮고 외기의 온도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비닐커튼의 내,외부 온도차가 심한 부분이다대부분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는 대류와 복사열로 골고루 순환이 이루어지나 지면 부분은 가장 온도가 낮고 외기의 온도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아 비닐커튼의 내외부 온도차가 심한 부분이다
따라서 비닐하우스 측벽 하부 인근에 있는 작물은 잘 성장하기 못하고 외기의 영향으로 손해를 많이 보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비닐하우스의 측부 하단부를 보온 및 단열하는 것이 비닐하우스의 열효율을 증가시키고 냉해 등의 피해를 막는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것임을 알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닐하우스 측부에 더욱 보온 및 외기 차단 효과가 높은 비닐하우스 커튼 하부 구조를 개발하였다
본 고안의 주요 구성은 비닐커튼을 비닐하우스의 측벽에 설치하는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닐커튼(2)의 하부에는 내부에 열선(4)을 포함하는 에어백(10)들을 설치하되, 에어백(10)은 내,외피(44,4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단면이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상하부에 융착부(41)를 형성하고, 좌우 측부에는 절곡부(40)를 형성하여 각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에는 물 또는 에어 중 어느 하나로 각각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하단부가 각이 형성되어, 결로(42)의 흐름이 양호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비닐하우스 측부에 더욱 보온 및 외기 차단 효과가 높은 비닐하우스 커튼 하부 구조를 제공하여, 비닐하우스 측벽 하부 인근에 있는 작물의 냉해 등을 외기의 영향으로 인한 손해를 방지하여 작물의 수확량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의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
도 4 및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측부에 비닐커튼(2)이 형성되어 수동 또는 모터에 의한 동력으로 롤러(1)의 작동으로 비닐커튼(2)이 말려 올라가거나 풀어져 내려온다
본 고안에서는 비닐 하단부에 볼록볼록한 에어백(10)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열선(4)을 내장하였다. 그리하여 열선(4)에 의한 히팅으로 비닐커튼(2) 하단부에의 찬 온도를 충분히 덮힐수 있으며, 비닐하우스 외기의 냉기 차단효과와 비닐하우스 내부의 보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비닐하우스의 측부에는 내측으로 내측커버(11)가 구성되고 그 외측에 본 고안에 따른 에어백(10)을 갖춘 비닐커튼(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로 본 고안에 따른 비닐커튼(2) 바깥쪽으로 1 내지 3 개의 덮개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비닐하우스의 측부가 2중 내지 5 중의 보온 및 냉기차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에어백(10)의 제일 하단부(13)는 지면에 매립할 수도 있다. 그러면 비닐하우스 측부 하단의 지면에도 가열 및 보온이 이루어지므로 외부의 냉기 차단 및 보온 효과를 더욱 높이고, 비닐하우스 내부의 농작물에 지면을 통하여 외부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더욱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도 2 에 보듯이 에어백(10)의 내측에 내측공(15)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열선(4)에 의하여 가열된 뜨거운 공기를 블로워(미도시)에 의한 송풍으로 내측공(15)을 통하여 더운 공기가 배출되므로 비닐하우스 내부에 더운 공기를 불어 넣어줄 수 있다.
블로워는 반드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에어백(10)의 형상으로 부풀은 형태로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에어백(10) 내부의 공기 정체로 인한 결로 발생 및 결로의 체류를 막기 위해, 블루어를 반드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른 실시 예로, 에어백(10)에 공기를 불어 넣지 않고 물이나 다른 유체물질의 열매체를 내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당연히 내측공(15)은 형성되어서는 안된다. 이렇게 물 또는 오일이나 부동액 등의 투명한 다른 열매체를 채워 넣으면 공기보다 비중이 크므로 더욱 장시간 보온이 가능하다
상기 내장되는 열선(4)은 전부 다 가열하지 않고 선택적으로 가열 할 수도 있다. 즉, 열선과 연결된 스위치 장치를 구성하여, 에어백(10)이 형성된 여러 개의 에어백(10) 열중 예를 들어 한층을 걸러서 열선에 열이 가해지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비닐하우스 측면의 가로로 길게 형성되는 열선(4)을 세로로 부분적으로 절단된 구조로 구성하여, 비닐하우스 측면의 측벽 부분을 세로로 부분적으로 구분하여 가열할 수도 있다
도 3 은 에어백(10)에 접합부(30)와 소통부(31)를 형성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열선(4)이 내장되는 에어백(10)의 설치 길이를 따라 길게 접합부(30)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중간 중간에 접합부(30)가 형성되지 않은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접합부(30)가 없는 부분은 소통부(31)가 형성되어 아래 위층에의 에어백(10) 공기 또는 유체가 상호 소통하게 구성된다
그 외 열선(4)이 내장된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비닐커튼(2)의 하단부에 구성되는 에어백(10) 부분은 별도로 만들어 부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 에 보듯이, 연결부(20)를 형성하여 비닐커튼(2) 측부에 부착할 수 있다
이 연결부(20)에의 부착은 지퍼나 찍찍이(매직테이프)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측면 긴 길이로, 일정 거리 간격마다 매직테이프로 구성하는 것이 탈,장착에 편리하다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에어백(10) 내부에 추가로 내피(44)를 더 형성하였다. 즉, 에어백(10)의 구조가 내부에 하나 더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내부에 열선(4)을 내장한다. 또는 열선(4)을 내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내피(44) 내에는 예를들어 에어(47) 또는 물이 내장되고 내피(44)와 외피(48) 사이에는 물(46) 또는 에어가 내장될 수 있다. 또는 내,외피(44,48) 모두 다 에어 또는 물과 같은 유체물로 채울 수 있다. 그리고 비닐하우스 비닐커튼(2) 외측에는 추가로 1 내지 3 장의 측비닐커튼(50)이 더 설치 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내,외피(44,48) 구조의 에어백(10)에 의하면 더욱 더 단열 및 보온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에어백(10)의 구조는 마름모 형상과 같이 하부가 각이 지게 형성하였다. 특히, 하부가 각이 진 형상으로 만든 이유는 에어백(10)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의 흐름이 좋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에어백(10) 내부에 발생하는 결로는 내,외부 온도 차이에 따른 결로인데, 이는 하부로 물이 되어 고이므로 이를 배출시켜야 한다. 이 경우 앞쪽은 올리고 뒤쪽은 약간만 내려도 뒤로 결로(42)가 쉽게 흘러내려가 배출될 수 있다
대체로 일부로 기울이지 않아도 정확하게 수평으로 에어백(10)이 설치될 수 없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결로(42)의 흐름이 발생하므로 결로(42)의 배출은 어렵지 않다. 단 하단부가 도 5 와 같이 ??죽한 형상의 골이 형성되어야 그 결로(42)의 배출이 용이하다
4각이 지도록 내,외피(44,48)를 만들기 위하여는 상하로 융착부(41)를 주면된다. 융착부(41)는 좌우로 구분된 내,외피(44,48)를 융착시켜 붙이면 형성된다
그리고 좌우측에는 절곡부(40)를 준다. 절곡부(40)는 예를 들어 별도의 부재를 덧대어서 붙여서 만들거나 또는 내,외피(4,48) 제작시, 미리 융착부를 주어서 만들어 낼 수도 있다. 그 외 다른 방법으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5 의 구조에서 열선의 내장과 물과 공기의 선택적인 내장 등의 모든 구성은 도 4 와 동일하다. 단지 도 5 에서는 내,외피(44,48)의 구조만 다르게 형성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1 내지 도 3 의 실시 예 보다 더욱 보온 및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2 비닐커튼 4 열선
10 에어백 11 내측커버
13 하단부 15 내측공
20 연결부 30 접합부
31 소통부 40 절곡부
41 융착부 42 결로
44 내피 48 외피

Claims (5)

  1. 비닐커튼을 비닐하우스의 측벽에 설치하는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닐커튼(2)의 하부에는 내부에 열선(4)을 포함하는 에어백(10)들을 설치하되, 에어백(10)은 내,외피(44,48)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단면이 마름모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상하부에 융착부(41)를 형성하고, 좌우 측부에는 절곡부(40)를 형성하여 각이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에는 물 또는 에어 중 어느 하나로 각각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의 내외피(44,48)는 하단부가 각이 형성되어, 결로(42)의 흐름이 양호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KR2020110010222U 2011-11-18 2011-11-18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KR2004687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222U KR200468750Y1 (ko) 2011-11-18 2011-11-18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222U KR200468750Y1 (ko) 2011-11-18 2011-11-18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13U KR20120005913U (ko) 2012-08-22
KR200468750Y1 true KR200468750Y1 (ko) 2013-08-30

Family

ID=5139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222U KR200468750Y1 (ko) 2011-11-18 2011-11-18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75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327B1 (ko) * 2012-03-06 2013-04-03 (주)성진테크 비닐 하우스
KR101525448B1 (ko) * 2014-11-14 2015-06-03 주식회사 이든바오 온풍 제공 에어닥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91Y1 (ko) 2002-05-31 2002-08-30 기 석 서 에어포켓을 갖는 하우스용 비닐
KR101054063B1 (ko) 2011-02-14 2011-08-03 주식회사 이안농자재 닥트기능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에어커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591Y1 (ko) 2002-05-31 2002-08-30 기 석 서 에어포켓을 갖는 하우스용 비닐
KR101054063B1 (ko) 2011-02-14 2011-08-03 주식회사 이안농자재 닥트기능을 포함하는 비닐하우스의 에어커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913U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750Y1 (ko)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KR20140040656A (ko) 냉온 통풍을 이용한 에어 하우스
KR200468749Y1 (ko) 비닐하우스의 측벽 커튼의 구조
JP3690605B2 (ja) 温室
KR101298561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682580B1 (ko) 행사용 대형텐트의 온도조절구조 및 방법
CN206061689U (zh) 一种太阳能毛细管集热散热系统
KR20140049134A (ko) 온실
KR101439906B1 (ko) 채널형 롤 플랜터
KR101246210B1 (ko) 팽창형 열 커튼을 구비하는 비닐 하우스
KR20120138929A (ko) 다층 수경재배기
KR101829333B1 (ko) 친환경 무가온 버섯재배사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재배 방법
KR100325129B1 (ko) 비닐하우스 보온방법 및 그 장치
JP3155683U (ja) 農業用ハウスの断熱空間構造
CN106171676A (zh) 一种太阳能毛细管集热散热系统
CN206481720U (zh) 一种铁皮石斛防霜冻装置
KR200411066Y1 (ko) 비닐하우스용 합성수지필름
KR200380285Y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KR101513259B1 (ko) 온실용 보온 및 단열시트
KR101331461B1 (ko) 비닐하우스용 이중 비닐시트
KR101824317B1 (ko) 끝이 말리는 비닐 하우스
CN204031941U (zh) 一种新型大棚
JP4886641B2 (ja) 農業用ハウスの暖房方法
KR200458943Y1 (ko) 비닐하우스의 수막재배용 용수호스 걸이대
JP2002058355A (ja) ビニールハウスの保温方法及び保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