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626Y1 - 운동장용 인조잔디 - Google Patents

운동장용 인조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626Y1
KR200410626Y1 KR2020050034857U KR20050034857U KR200410626Y1 KR 200410626 Y1 KR200410626 Y1 KR 200410626Y1 KR 2020050034857 U KR2020050034857 U KR 2020050034857U KR 20050034857 U KR20050034857 U KR 20050034857U KR 200410626 Y1 KR200410626 Y1 KR 200410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pile
artificial
playground
gr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경 용 김
춘 식 노
건 수 박
철 동 이
영 훈 권
종 필 김
Original Assignee
코오롱 글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 글로텍(주) filed Critical 코오롱 글로텍(주)
Priority to KR2020050034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6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운동장용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서, 찢겨진 필름(Splitted Film) 형태를 갖는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 형태를 갖는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이 섬유기포(1) 상에 교호로 형성되어 있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촉감이 천연잔디와 유사하고 내구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자연스럽고 은은하게 다른 2가지 색상이 발현되어 선수들에게 시각적인 안정감을 부여하는 장점이 있다.
인조잔디, 운동장용, 천연잔디, 촉감, 내구성, 색상, 필름, 멀티필라멘트.

Description

운동장용 인조잔디{Artificial turf for playground}
도 1은 찢겨진 필름(Splitted Film) 형태를 갖는 제 1의 인조잔디 파일의 모식도.
도 2는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 형태를 갖는 제 2의 인조잔디 파일의 모식도.
도 3은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이 교호로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장용 인조잔디의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섬유기포 1a : 섬유기포의 상층부
1b : 섬유기포의 하층부 2 : 제 1의 인조잔디 파일
3 : 제 2의 인조잔디 파일 4 : 코팅층
본 고안은 운동장용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촉감이 천연잔디와 유사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은은하게 서로 다른 2가지 색상이 나타나 외관이 뛰어난 운동장용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
천연잔디가 포설된 축구장 등의 운동장에서 각종 경기를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천연잔디가 포설된 운동장은 동절기 사용에 제한이 있고 유지보수 비용이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쇄석 지반 또는 투수 아스콘 지반 위에 운동장용 인조잔디를 포설한 운동장(이하 "인조잔디 구장"이라고 한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인조잔디 구장은 천연잔디 구장과 비교시 볼 구름성, 볼 튀김성, 회전 저항성 등의 물리적 성질과 촉감이 나빠서 선수들이 운동능력을 충분하게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운동장용 인조잔디들은 색상이 단색이거나 색상이 확연히 다른 2개 색상이기 때문에, 다시 말해 천연잔디와 같이 자연스럽고 은은한 색상을 발현하지 못해 외관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운동장용 인조잔디로는 섬도가 상대적으로 큰 찢어진 필름(Splitted Film) 또는 테이프(Tape) 형태를 갖는 인조잔디 파일들이 섬유기포층에 형성되어 있는 운동장용 인조잔디가 사용되어 왔다.
상기의 종래 운동장용 인조잔디는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천연잔디와 유사한 촉감이 발현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운동장용 인조잔디로는 섬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필라멘트들을 합사한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형태를 인조잔디 파일들이 섬유기포층에 형성되어 있는 운동장용 인조잔디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운동장용 인조잔디는 이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이 찢어진 필름 형태의 인조잔디 파일보다는 가늘어 촉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내구성 및 내후성이 나쁜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상기의 종래 운동장용 인조잔디는 단색이거나 확연히 구분되는 2가지 색상을 띄어, 다시 말해 색차를 나타내는 △E가 8을 초과하여 선수들에게 시각적인 안정감을 부여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 촉감이 천연잔디와 유사하여 우수함과 동시에 내구성 및 내후성도 뛰어난 운동장용 인조잔디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자연스럽고 은은한 2개의 색상이 발현되어 선수들에게 시각적인 안정감을 부여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찢겨진 필름(Splitted Film) 형태를 갖는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 형태를 갖는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이 섬유기포(1) 상에 교호로 형성되어 있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 1의 인조잔디 파일의 모식도이고, 도 2는 제 2의 인조잔디 파일의 모식도이고, 도 3은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이 섬유기 포(1)에 교호로 형성된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상기 섬유기포(1)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층부(1a)와 직물로 이루어진 하층부(1b)로 구성된 2층 구조이다.
섬유기포의 상층부(1a)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열가소성 섬유들로 이루어진 스편본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기포의 상층부(1a)를 구성하는 열가소성 섬유의 섬도는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5데니어 이하인 것이 좋고, 섬유기포의 상층부(1a)의 두께는 2㎜ 정도인 것이 좋다.
섬유기포의 하층부(1b)는 경사 및 위사가 폴리프로필렌 섬유인 직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기포의 하층부(1b)를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의 섬도는 100~5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인 섬유기포의 하층부(1b)의 조직은 인조잔디 파일들을 제직 또는 터프팅할 때 작업성을 고려시 평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기포의 상층부(1a)와 하층부(1b) 모두는 제직된 후 패드-드라이-큐어(Pad-Dry-Cure) 방식등으로 자외선 안정제로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섬유기포(1)의 바닥면에는 폴리우레탄 코팅층(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코팅층은 주성분과 경화제를 5 : 1 배율로 교반시킨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찢겨진 필 름(Splitted Film) 형태로서,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섬도가 8,000~11,000 데시텍스이고, 가연처리되어 크림프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은 도프 염색(Dope Dyeing)되어 K/S 값이 14~19의 범위이다.
한편, 상기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형태로서,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섬도가 5,000~8,000 데니어이다.
또한, 상기 제 2의 인조잔디 파일(2)은 도프 염색(Dope Dyeing)되어 K/S 값이 11~16범위이다.
또한,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의 색차를 나타내는 △E 값은 6~8범위이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프 염색시 녹색안료를 사용하면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은 진녹색을 띄고, 제 2의 인조잔디 파일은 연녹색을 띈다.
상기의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은 제품의 내구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은 선수들의 슬라이딩이나 태클 등의 행위로 파일이 피부에 접촉했을 시 소프트(Soft)한 촉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로 이루어진 파일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로 이루어진 파일 각각의 높이는 30~65㎜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일 각각의 밀도(SPI : Stich Per Inch)는 4~9인 것이 바람직하며, 밀도가 9에 가까울수록 제품의 내구성이나 촉감이 더 좋아지게 된다.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들은 터프팅(Tufting) 방식 또는 제편(라셀) 방식으로 섬유기포(1) 상에 형성된다.
터프팅 방식으로 상기 파일(2, 3)들을 섬유기포(1) 상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3/8게이지, 5/16게이지 또는 5/32게이지 니들 아이(Needle Eye)에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을 교대로 또는 무작위 형태로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니들로 섬유기포(1)를 펀칭(Punching)해 준다.
한편, 본 고안은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이 은은하고 자연스러운 2가지 색상을 나타내어 선수들에게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부여하고 우수한 외관을 나타낸다.
본 고안은 피부와 접촉시 촉감(Touch feeling), 내구성 및 내후성이 동시에 우수하며, 자연스럽고 은은한 2개의 색상이 발현되어 선수들에게 시각적인 안정감을 부여하고 외관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로 인해, 본 고안은 축구장용 인조잔디, 풋살구장용 인조잔디, 다목적용 운동장용 인조잔디로 적합하다.

Claims (10)

  1. 찢겨진 필름(Splitted Film) 형태를 갖는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멀티-필라멘트(Multi-Filament) 형태를 갖는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이 섬유기포(1) 상에 교호로 형성되어 있거나 불규칙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2. 1항에 있어서,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의 K/S 값이 14~19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3. 1항에 있어서,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의 K/S 값이 11~16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4. 1항에 있어서,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의 색차를 나타내는 △E 값이 6~8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5. 1항에 있어서, 섬유기포(1)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층부(1a)와 직물로 이루어진 하층부(1b)로 구성된 2층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6. 1항에 있어서, 섬유기포(1)의 바닥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층(4)이 형성되어 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7. 1항에 있어서,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과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 모두가 폴리에틸렌 수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8. 1항에 있어서,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의 섬도가 8,000~11,000 데시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9. 1항에 있어서, 제 2의 인조잔디 파일(3)의 섬도가 5,000~8,00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10. 1항에 있어서, 제 1의 인조잔디 파일(2)이 가연처리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장용 인조잔디.
KR2020050034857U 2005-12-12 2005-12-12 운동장용 인조잔디 KR200410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857U KR200410626Y1 (ko) 2005-12-12 2005-12-12 운동장용 인조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857U KR200410626Y1 (ko) 2005-12-12 2005-12-12 운동장용 인조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626Y1 true KR200410626Y1 (ko) 2006-03-09

Family

ID=4176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857U KR200410626Y1 (ko) 2005-12-12 2005-12-12 운동장용 인조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6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53B1 (ko) 2006-04-21 2007-09-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축구장용 인조잔디
KR20180124580A (ko) * 2017-05-12 2018-11-2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190085227A (ko) 2018-01-10 2019-07-18 신상훈 고탄성 인조잔디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853B1 (ko) 2006-04-21 2007-09-19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축구장용 인조잔디
KR20180124580A (ko) * 2017-05-12 2018-11-21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101962318B1 (ko) * 2017-05-12 2019-03-27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인조잔디 구조체
KR20190085227A (ko) 2018-01-10 2019-07-18 신상훈 고탄성 인조잔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853B1 (ko) 축구장용 인조잔디
CA2400009C (en) Artificial turf system
US6551689B1 (en) Synthetic grass with resilient granular top surface layer
US6299959B1 (en) Filled synthetic grass
JP4903726B2 (ja) 人工芝生システム
AU2005246956B2 (en) Synthetic grass with resilient granular top surface layer
AU2001238195A1 (en) Artificial turf system
MXPA05009311A (es) Cesped sintetico.
WO2007107307A2 (en) Synthetic turf resembling a grass field
KR200410626Y1 (ko) 운동장용 인조잔디
US20200165785A1 (en) Artificial turf with opaque face yarn and translucent thatch yarn fibers
DE1578824A1 (de) Kuenstlicher Rasen
JP2010229569A (ja) パイル経編地
GB2311247A (en) Artificial turf carpet
KR200453630Y1 (ko) 3차원 그물구조를 갖는 인도어 골프용 네트
CA2095158C (en) Synthetic turf with wide grass-like pile interspacing
KR200432179Y1 (ko) 인조잔디
JPH0291302A (ja) 人工芝用構造体
JP2001248013A (ja) 人工芝生用原糸および人工芝生
KR200419114Y1 (ko) 축구장용 인조잔디
JP2000314103A (ja) 人工芝生
JPH09235702A (ja) 人工芝生、砂入り人工芝生、運動グランド、歩径路、中央分離帯および庭園
Sandkuehler et al. Artificial Turf
TR2021004261A2 (tr) Senteti̇k çi̇m ve dokuma yöntemi̇
JP2002325673A (ja) 敷 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