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179Y1 - 인조잔디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179Y1
KR200432179Y1 KR2020060020997U KR20060020997U KR200432179Y1 KR 200432179 Y1 KR200432179 Y1 KR 200432179Y1 KR 2020060020997 U KR2020060020997 U KR 2020060020997U KR 20060020997 U KR20060020997 U KR 20060020997U KR 200432179 Y1 KR200432179 Y1 KR 200432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turf
pad
base fabric
file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상
이석재
유석수
김정훈
황보식
김춘덕
Original Assignee
삼성포리머건설 주식회사
김춘덕
김정훈
황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포리머건설 주식회사, 김춘덕, 김정훈, 황보식 filed Critical 삼성포리머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1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01C13/083Construction of grass-grown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가지 형태의 인조잔디 파일을 동시에 사용하여서 인조잔디의 볼륨감을 주기 위해 규소나 고무칩 등을 별도로 충진할 필요없는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지면 상에 안착되는 완충성 및 탄발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드; 직물로 되어 상기 패드 상에 안착 고정되는 바탕직물; 및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과 모노 테이프형 인조잔디 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바탕직물과 "
Figure 112006080753429-utm00001
" 형태로 결속되어 양단이 상방으로 입설되는 인조잔디 파일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인조잔디{An artificial turf}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의 바탕직물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패드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100', 100" ; 패드 110 ; 홈라인
120 ; 배수홈 200 ; 접착층
300 ; 바탕직물 321 ; 위사
400 ; 인조잔디 파일 410 ; 모노 테이프형 인조잔디 파일
420 ;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
본 고안은 인조잔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가지 형태의 인조잔디 파일을 동시에 구성하여 인조잔디의 볼륨감을 주기 위해 규소나 고무칩 등을 별도로 충진할 필요가 없는 인조잔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조잔디는 바탕직물 상에 직선형상이면서 가요성을 갖는 한가지 종류 의 인조잔디 파일을 터프팅하고, 공의 구름성이나 튀김성 확보 및 충격완화를 위한 볼륨감을 주기 위해 인조잔디 파일 사이에 규사와 고무칩 등의 충진재를 충진하였다.
하지만, 이렇게 충진되는 충진재는 장시간 사용시 변성에 의한 악취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변성으로 인조잔디 파일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인조잔디 파일에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상기 충진재가 불균일하게 압축되면서 인조잔디의 표면이 굴곡지고 정리되지 못한 느낌을 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탕직물 상에 터프팅되는 인조잔디 파일의 종래 고정구조는 인조잔디 파일의 하단만을 바탕직물 상에 꿰어 묶는 방식으로 되어, 상기 인조잔디 파일이 지속적인 마모와 장력에 의해 바탕직물로부터 쉽게 이탈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충진재를 충진하지 않아도 선수들의 부상을 최소화하고 공의 활동성을 높일 수 있도록 완충성, 탄발성 및 볼륨감을 갖고, 인조잔디 파일의 고정성을 높여 장시간 사용에도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인조잔디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지면 상에 안착되는 완충성 및 탄발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드;
직물로 되어 상기 패드 상에 안착 고정되는 바탕직물; 및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과 모노 테이프형 인조잔디 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바탕직물과 "
Figure 112006080753429-utm00002
" 형태로 결속되어 양단이 상방으로 입설되는 인조잔디 파일;
을 포함하는 인조잔디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인조잔디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은 상기 모노 테이프형 인조잔디 파일이 꼬여 이루어진 모노 필라멘트형 인조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인조잔디에 있어서,
상기 바탕직물과 패드 간의 결합은 벨크로 테잎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인조잔디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상면 가장자리가 절개되어 홈라인을 이루고, 상기 패드의 모서리가 상기 홈라인과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배수홈을 이루면서, 패드 간 맞물림을 통해 배수라인을 이루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의 바탕직물 단면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는 지면 상에 안착되는 패드(100)와, 상기 패드(100) 상에 안착되는 바탕직물(300) 및 상기 바탕직물(300)에 고정되는 인조잔디 파일(400)을 포함하며, 상기 바탕직물(300)과 패드(100) 간의 고정을 위한 접착층(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드(100)는 별도의 충진재를 충진하지 않아도 선수들을 보호하는 쿠션기능과 공의 구름성과 튀김성을 높이기 위한 완충성 및 탄발성을 제공하며, 이를 위해 두께는 10 ~ 30mm, 밀도는 0.11 ~ 0.14g/cm^3, 상대습도 25% / 1Psi 조건하에서의 압축변형율은 0.42 ~ 0.63 Kg/cm^2, 70도에서 7일간 방치 후 수축율은 5% 이하, 인장강도는 9Kg/cm^2, 신도는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가 주로 야외에 설치되므로, 기온과 습도 등에 대한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변화에 쉽게 변형되거나 변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패드(100)는 다공성 폴리프로필렌 발포제로 되어서, 형성된 공극을 통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이웃하는 다른 패드와의 맞물림 시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는 홈라인(110)이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이에 상응하여 배수구를 형성할 수 있는 배수홈(120)이 모서리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하겠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는 임시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패드(100)를 1m*1m 또는 1.5m*1.5m로 형성하여 인조잔디 파일(400)들이 터프팅된 바탕직물(300)을 상기 패드(100) 상에 접착시켜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시에는 일반 시멘트 바닥에 필요한 폭과 길이로 상기 패드(100)를 제작하여 포설한 후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접착제를 상기 패드(100) 상에 도포하여 상기 바탕직물(300)을 접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100)와 바탕직물(300) 간의 결합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접착층(200)이 형성되며, 이러한 접착층은 벨크로 테잎 또는 일반 테잎일 수 있고, 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층일 수도 있다.
상기 바탕직물(300)은 전면 배수기능을 가지며, 경사(322) 및 위사(321)가 격자로 엮인 폴리프로필렌 섬유인 직물일 수 있고, 상기 섬유들 간의 섬도는 전면 배수를 위해 3000 ~ 50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탕직물(300)은 경사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75 ~ 80kg.f, 위사방향으로의 인장강도가 110 ~ 120 kg.f, 경사방향으로의 신도가 20 ~ 25% , 위사방향으로의 신도가 13 ~ 16%인 물성을 갖는 것이 내구성이나 형태 안정성 측면에서 적절하다.
하지만, 상기 바탕직물(30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과 형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조잔디 파일(4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노 테이프형 인조잔디(410)와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4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노 테이프형 인 조잔디(410) 및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420)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고, 섬도가 7000 ~ 7600 데니어이고, 신도가 3 ~ 5% 이고, 절단강도가 2.0 ~ 2.5kg.f이고, 크림프율이 20 ~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노 테이프형 인조잔디(410)의 경우, 테이프 자체가 꼬이면서 필라멘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400)은 높이가 30 ~ 70mm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일 각각의 밀도(SPI : Stich Per Inch)는 3.0 ~ 6.0 SPI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일 각각의 밀도(SPI)가 3.0 ~ 6.0 SPI라는 것은 제직 시 바듸의 식재가 인치당 3.0 ~ 6.0개라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바듸란 파일을 지칭한다.
상술한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 파일(400)은 밀집한 상기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420)이 충진재의 기능을 대신하면서, 선수들을 보호하는 쿠션기능과 공의 구름성과 튀김성을 높이기 위한 완충성 및 탄발성을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 파일(400)을 바탕직물(300)과 "
Figure 112006056118595-utm00003
" 형태로 교착한다. 즉, 상기 인조잔디 파일(400)의 일단을 바탕직물(300)에 꿰어 관통한 후 상기 바탕직물(300)의 저면을 감싸면서 상방으로 꿰어 올리며, 다시 위사(321)를 감싸면서 바탕직물(300)을 재관통하도록 꿰어 내린 후 상기 바탕직물(300)의 저면을 감싸면서 상방으로 꿰어 올려 교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인조잔디 파일(400)은 "
Figure 112006056118595-utm00004
" 형태의 루프를 형성하게 되므로, 인조잔디 파일(400)이 바탕직물(300)과 긴밀한 교착상태를 이루게 되어 결속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인조잔디 파일(400)과 바탕직물(300)과의 1회 결합으로 두 개의 입설효과를 줄 수 있으므로, 풍성한 느낌의 인조잔디를 표현하는데 유리하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설된 후, 규사나 고무칩 등의 충진재를 충진할 필요가 없으므로 충진재에 의한 냄새나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인조잔디 파일(400)들이 결속된 바탕직물(300) 이면에 패드(100)를 부착하여 충진재가 없어도 안전한 인조잔디 바닥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의 구름성(Ball Roll)은 5 ~ 7.5mm 이고, 볼 튀김성(Ball Rebound)은 80 ~ 90cm이고, 충격 흡수성은 57 ~ 70이고, 수직 변형율은 -6 ~ -9mm로서 FIFA의 구장 인증기준 요건을 모두 충족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패드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패드(100)는 이웃하는 다른 패드(100', 100")와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바탕직물(300)의 전면 배수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패드(100, 100', 100")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홈라인(110)을 형성하고 모서리에는 상기 홈라인(110)과 이어지면서 수직으로 절개된 배수홈(12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패드(100, 100', 100")가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홈라인(110) 및 배수홈(120) 또한 연결되어 바탕직물(300)을 통해 유입되는 다량의 물을 지면으로 안내하여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인조잔디 파일에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 이 구성되면서 별도의 충진재를 충진하지 않아도 충분한 쿠션기능과 완충성 및 탄발성을 갖출 수 있어, 충진재로 인한 냄새 및 오염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인조잔디 파일과 바탕직물 간의 긴밀한 교착을 통해 인조잔디 파일의 결속력을 높임으로서, 운동시 받게 되는 마찰력과 장력 등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게 되어,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는 축구장, 골프장 등의 적용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인조잔디 파일은 파일 바탕직물이 "
Figure 112006056118595-utm00005
"로 되어 인발강도가 높다.
삭제

Claims (4)

  1. 지면 상에 안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패드;
    상기 패드 상에 안착 고정되는 바탕직물; 및
    곱슬형 인조잔디 파일과 모노 테이프형 인조잔디 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바탕직물과 "
    Figure 112006080753429-utm00006
    " 형태로 결속되어 양단이 상방으로 입설되는 인조잔디 파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조잔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 파일은 모노 필라멘트형 인조잔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탕직물과 패드 간의 결합은 벨크로 테잎 또는 접착제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상면 가장자리가 절개되어 홈라인을 이루고, 상기 패드의 모서리가 상기 홈라인과 연통하도록 절개되어 배수홈을 이루면서, 패드 간 맞물림을 통 해 배수라인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KR2020060020997U 2006-08-04 2006-08-04 인조잔디 KR200432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97U KR200432179Y1 (ko) 2006-08-04 2006-08-04 인조잔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97U KR200432179Y1 (ko) 2006-08-04 2006-08-04 인조잔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179Y1 true KR200432179Y1 (ko) 2006-12-04

Family

ID=41780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997U KR200432179Y1 (ko) 2006-08-04 2006-08-04 인조잔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1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63B1 (ko) 2007-04-25 2009-04-17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 배수구조 및 그 배수공법
KR101107662B1 (ko) 2011-10-31 2012-01-20 (주) 베스트필드코리아 인조잔디 시공방법
KR20190085227A (ko) 2018-01-10 2019-07-18 신상훈 고탄성 인조잔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363B1 (ko) 2007-04-25 2009-04-17 주식회사 세주 인조잔디 배수구조 및 그 배수공법
KR101107662B1 (ko) 2011-10-31 2012-01-20 (주) 베스트필드코리아 인조잔디 시공방법
KR20190085227A (ko) 2018-01-10 2019-07-18 신상훈 고탄성 인조잔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853B1 (ko) 축구장용 인조잔디
CA1226313A (en) Synthetic turf carpet game playing surface
JP4903726B2 (ja) 人工芝生システム
EP1238163B1 (en) Artificial turf including damping material
EP0988423B1 (en) Synthetic turf game surface
HU227351B1 (en) Synthetic grass
CN103372280A (zh) 包括特殊化表面的跑带、包括跑带的跑步机及相关方法
KR20010079878A (ko) 인조잔디의 포설 방법
KR101481144B1 (ko) 인조 잔디 섬유 및 적어도 이러한 인조 잔디 섬유를 포함하는 인조 잔디
KR101962318B1 (ko) 인조잔디 구조체
JP5663166B2 (ja) 人工マットおよび人工芝生
MX2014015062A (es) Elemento de sustrato para un campo de cesped artificial.
KR101079835B1 (ko) 충격흡수용 벽체
KR200432179Y1 (ko) 인조잔디
US20090004409A1 (en) Artificial pet grass
US20030036337A1 (en) Method for forming synthetic turf game surfaces
JP5416921B2 (ja) 弾性舗装体の形成方法
KR20110006071U (ko) 축구장용 인조잔디 구조체
KR200451272Y1 (ko) 이동 설치가 가능한 인조잔디를 포함하는 구조체
KR200419114Y1 (ko) 축구장용 인조잔디
JP4508496B2 (ja) 充填材入り人工芝および人工芝競技場
KR20110116458A (ko) 풋살 게임용 조립식 코트
JPS6138962Y2 (ko)
KR102580785B1 (ko) 충격흡수패드층이 일체로 구성되어 자기충격흡수기능을 갖는 인조잔디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잔디매트
TWI808830B (zh) 揮棒練習用腳踏墊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