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711Y1 -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 Google Patents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711Y1
KR200409711Y1 KR2020050033369U KR20050033369U KR200409711Y1 KR 200409711 Y1 KR200409711 Y1 KR 200409711Y1 KR 2020050033369 U KR2020050033369 U KR 2020050033369U KR 20050033369 U KR20050033369 U KR 20050033369U KR 200409711 Y1 KR200409711 Y1 KR 200409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pipe
reinforcement
present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
Original Assignee
(주)삼부샵컨설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부샵컨설팅 filed Critical (주)삼부샵컨설팅
Priority to KR2020050033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7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7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2Connections between rungs or treads and longitudina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는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에 있어서, 예각의 발판 결합부(110)와 상기 발판 결합부(1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120)와 상기 후방 지지부(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평면상의 후방 보강부(130)에 의해 오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발판 결합부(110) 및 후방 지지부(120), 후방 보강부(130)의 각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돌기(140)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진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를 후방 보강부에 의해 단면형상이 오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뒤틀림을 방지하여 지주파이프의 후방 측면에 가해지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후방에 결착되는 지지대와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후방 보강부와 보강돌기에 의해 휨에 대한 저항이 강해져 취약한 알루미늄재질로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를 제작하더라도 견고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사다리, 지주파이프, 보강돌기

Description

사다리용 지주파이프{a pillar pipe of ladder}
도 1 - 종래의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들의 단면도.
도 2 - 종래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와 지지대의 결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3 - 본 고안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의 사시도
도 4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 - 본 고안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와 지지대의 결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6 - 본 고안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종래의 지주파이프
11: 발판 결합부 12: 후방 지지부
100: 본 고안 지주파이프
110: 발판 결합부 120: 후방 지지부
130: 후방 보강부 140: 보강돌기
A: 사다리 B: 지지대
C: 발판
본 고안은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재질의 삼각뿔 또는 사각뿔 형상을 갖는 입체형 사다리에 사용하기 위한 지주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다리는 작업자가 선 상태로는 작업할 수 없는 높은 곳의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 가장 기본적인 구조로는 두개의 사다리 지주(支柱)를 평행하게 세우고 상기 사다리 지주 일측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발판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다리는 두개의 사다리 지주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여서 오랜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는 고소(高所)작업에는 불안정한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세개 또는 네개 이상의 사다리 지주를 삼각뿔이나 사각뿔 형상으로 세우고 상기 사다리 지주의 일측면에 발판을 결합함으로써 입체적이고 안정적인 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다리 위에서 작업자가 오랜 시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의 사다리(이하 "입체형 사다리"로 통칭하기로 한다)가 과수원 및 건축, 조림사업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입체형 사다리의 지주는 대개 금속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하여 제작하 고 있으며, 상기한 종래 지주파이프는 휴대 및 운반의 편리성을 위해 비교적 가벼운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제작하고 있는데 상기 알루미늄 지주파이프는 다른 금속재료에 비해 강도가 현저히 떨어져 보다 이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입체형 사다리의 지주파이프(10) 단면형상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입체형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는 일반적으로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이거나, 삼각의 형상에 일측만 호(弧)형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일측의 두면은 발판이 결합되기 위한 발판 결합부(11)의 기능을, 타측의 두면은 상기 발판이 결합된 발판 결합부(11)를 지지하기 위한 후방 지지부(12)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지주파이프(10)는 모든 하중이 발판(C)을 지지하고 있는 지주파이프에 가해지는 구조이며, 또한 상기한 지주파이프는 지면과 비스듬하게 세워지는 구조여서 발판에 가해지는 작업자의 하중이 후방 지지부에 전부 전달되어지고, 상기 하중은 발판 결합부(11)에 가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방 지지부(12)의 경사방향으로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지주파이프는 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고 결국 지주파이프의 후방 측면이 취약해지는 단점을 갖는 것이어서 후방 지지부(12)의 형상이 마름모꼴과 호형상인 종래의 지주파이프는 쉽게 뒤틀리면서 파손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한 후방 지지부(12)가 마름모꼴과 호형상의 지주파이프(10)는 후방으로 부터 연결되는 지지대(B)의 경우 후방 측면이 뾰쪽하거나 둥근형상이어서 지지대를 용접하기가 마땅치 않으며, 이로인해 사다리의 제작이 곤란하고, 사다리 의 내구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고안은 발판 결합부를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의 양쪽 단부에 평면상(平面狀)의 후방 보강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발판 결합부 및 후방 지지부, 후방 보강부의 각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돌기(140)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작업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에 가해지는 측면 하중을 보다 잘 견딜 수 있도록 하였으며, 평면상의 후방 보강부에 의해 지지대의 용접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는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 지주파이프(100)는 예각(銳角)의 발판 결합부(110)와 상기 발판 결합부(1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120)와 상기 후방 지지부(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평면상(平面狀)의 후방 보강부(130)에 의해 오각(五角)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발판 결합부(110) 및 후방 지지부(120), 후방 보강부(130)의 각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돌기(140)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진다.
후방 보강부(130)에 의해 단면이 오각형상이 되는 본 고안 지주파이프(100) 는 단면의 형상이 마름모꼴이나 호형상을 갖는 종래의 지주파이프에 비해 뒤틀림현상에 대해 상당한 강도를 갖는 것이며, 또한 경사진 상태에서 하중을 견뎌야 하는 지주파이프의 구조상 후방 지지부(120) 측면의 끝단이 예리한 형상이거나 둥근 형상인 것에 비해 힘의 분배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형상인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본 고안 지주파이프(100)가 가장 바람직한 구조인 것이다.
또한 상기 본 고안 지주파이프(100)는 후방 보강부(130)가 평판상이어서 후방으로 부터 용접되어지는 지지대(B) 끝단의 밀착이 용이하게 되고, 이로인해 용접작업이 수월하게 되며, 견고한 결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다수개의 보강돌기(140)가 발판 결합부(110) 및 후방 지지부(120), 후방 보강부(130)의 각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돌출형성된 것이어서 지주파이프(100)는 휨 및 뒤틀림에 대한 저항이 강해진다.
이처럼 본 고안은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를 후방 보강부에 의해 단면형상이 오각이 되도록 함으로써 뒤틀림을 방지하여 지주파이프의 후방 측면에 가해지는 큰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고, 후방에 결착되는 지지대와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후방 보강부와 보강돌기에 의해 휨에 대한 저항이 강해져 취약한 알루미늄재질로 사다리용 지주파이프를 제작하더라도 견고한 사다리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는 사다리용 지주파이프에 있어서,
    예각의 발판 결합부(110)와 상기 발판 결합부(1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후방 지지부(120)와 상기 후방 지지부(120)의 양쪽 단부에 형성되는 평면상의 후방 보강부(130)에 의해 오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하되, 상기 발판 결합부(110) 및 후방 지지부(120), 후방 보강부(130)의 각 표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보강돌기(140)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KR2020050033369U 2005-11-25 2005-11-25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KR200409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369U KR200409711Y1 (ko) 2005-11-25 2005-11-25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369U KR200409711Y1 (ko) 2005-11-25 2005-11-25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711Y1 true KR200409711Y1 (ko) 2006-03-03

Family

ID=4176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369U KR200409711Y1 (ko) 2005-11-25 2005-11-25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7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42B1 (ko) * 2014-04-08 2014-09-22 주식회사 대동강업 휨 강성이 향상된 각관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242B1 (ko) * 2014-04-08 2014-09-22 주식회사 대동강업 휨 강성이 향상된 각관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646B1 (en) Roof scaffolding system
US3072218A (en) Stand-off ladder bracket
JP2006316581A (ja) 足場板支持装置
KR200409711Y1 (ko) 사다리용 지주파이프
US20150322675A1 (en) Construction beam
JP5563750B2 (ja) 取付け具
JP2012062668A (ja) 仮設足場における筋交の支柱連結金具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JP636390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方法
JP2011026820A (ja) 床構造材および鉄筋架設具
JP3215626U (ja) 保護綱係止用具
JP2016196802A (ja) スペーサ及び鉄筋組み上げ方法
JP6984864B2 (ja) 親綱支柱及びその設置方法
GB2058189A (en) Releasable Fastenings
JP2008138493A (ja) 木造建築物の耐震補強金具
JP6033169B2 (ja) 仮設建物における布材
KR20220080604A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KR200412739Y1 (ko) 가설구조물용 핸드레일 지지브라켓
KR200409710Y1 (ko) 사다리용 발판
JP2006291480A (ja) 補助枠とこれを用いた吹付け法枠工法
JP5756930B1 (ja) スペーサ、スペーサ製造方法及びスラブ鉄筋組上げ方法
JP4955327B2 (ja) 傾斜面工事用墜落防護装置
JP4816966B2 (ja) 棒状部材と被取付け板部との連結構造
JPH0115796Y2 (ko)
JPS62440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