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426Y1 -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426Y1
KR200409426Y1 KR2020050034035U KR20050034035U KR200409426Y1 KR 200409426 Y1 KR200409426 Y1 KR 200409426Y1 KR 2020050034035 U KR2020050034035 U KR 2020050034035U KR 20050034035 U KR20050034035 U KR 20050034035U KR 200409426 Y1 KR200409426 Y1 KR 200409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parator
air conditioner
present
pipe
refrigeran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원
Original Assignee
안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진원 filed Critical 안진원
Priority to KR2020050034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4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4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23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에 있어서, 일체로 성형되는 오일분리기(100)의 몸체(10)상에 천공부(11)가 관직경의 중심선에서 일정거리(L)에 중심선과 평행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1)에 스톱 턱(12a)이 형성된 연결관(12)이 브레이징접합 되는 구조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를 제안한다.
천공, 버, 틈새, 연결관, 브레이징.

Description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OIL SEPARATOR FOR AIR CONDITIONER}
도 1과 도 2a,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일분리기의 참고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기의 참고사시도.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가 표현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0a: 버(burr)부
11 : 천공부 12 : 연결관
12a :스톱턱 100 : 오일분리기
본 고안은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에어컨의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되는 오일분리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몸체에 형성되는 액화냉매 투입을 위한 천공부를 보다 효율적인 위치에 형성시켜 연결관을 조립시킬 때 보다 손쉽게 접합 시킬 수 있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오일분리기의 액화냉매 투입을 위한 천공부(2)는 관 중심에서 직각방향으로 버링(burring)작업에 의하여 형성된다. 그러나 오일분리기의 몸체(1)내부까지 연결되는 연결관(5)은 곡관의 형상으로서 조립시 용이하지 않으며, 곡관을 오일분리기의 내부로 투입을 위하여 입구의 직경을 연결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시킬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그러나 연결관과 몸체의 버(burr)(3)부분과의 접합은 통상적으로 브레이징으로 이루어지나 틈새(4)가 많아 접합시의 브레이징접합부(6)에 발생되는 결함과 접합부가 용기내에서 발생되는 고압에 견디지 못하고 크랙이 발생되어 기밀유지에 어려움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곡관의 연결관을 조립함에 있어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제작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컨용 오일분리기를 성형함에 있어서, 곡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관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연결관의 외경과 상기 버(burr)부분의 내경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고 밀착되게 끼워서 접합시킴으로서 접합이 용이하고 접합부에 결함이 발생되지 않으며, 고압에도 접합부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아 기밀을 유지할 수 있으며, 제작 이 간편하여 제작원가를 절감 할 수 있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결관에 스톱턱을 형성하여 오일분리기의 몸체와 간편하게 조립시킬 수 있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오일분리기 몸체내부의 고압에도 접합부의 결함이 발생되지 않아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고품질의 오일분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고안의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려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 오일분리기를 첨부시킨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a,2b는 종래기술에 따른 오일분리기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기의 참고사시도이고, 도 4a,4b는 본 고안에 따른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가 표현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체로 성형되는 오일분리기(100)의 몸체(10)상에 천공부(11)가 관직경의 중심선에서 일정거리(L)에 평행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1)의 외부에 형성되는 버(10a)부분과 스톱 턱(12a)이 형성된 연결관(12)이 도 4b에서 도시된바와 같이 브레이징접합 되는 구조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오일분리기는 먼저, 오일분리기(100)를 제조할 수 있는 강관 또는 동관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천공부(11)를 버링머신에서 성형한 후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스피닝작업을 통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6,13은 브레이징접합부, 20은 기화냉매배출관, 30은 오일 및 액화냉매 배출관.
위와 같이 본 고안으로 성형된 오일분리기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에 있어서, 곡이 형성되지 않은 연결관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 조립 시 어려움이 없으며, 천공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아 브레이징 접합시에도 용접결함이 발생되지 않아 고압에도 용접부의 찢어짐 현상과 미세구멍으로 인한 누설을 방지할 수가 있고, 아울러 제작원가를 줄일 수 있으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킴과 아울러 고품질의 오일분리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일체로 성형되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에 있어서,
    오일분리기(100)의 몸체(10)상에 천공부(11)가 관직경의 중심선에서의 일정거리(L)에 평행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천공부(11)의 외부에 형성되는 버(10a)부분과, 스톱 턱(12a)이 형성된 연결관(12)이 브레이징접합 되는 구조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2)의 스톱턱(12a)은 버(10a)부분의 외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KR2020050034035U 2005-12-02 2005-12-02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KR200409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35U KR200409426Y1 (ko) 2005-12-02 2005-12-02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35U KR200409426Y1 (ko) 2005-12-02 2005-12-02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426Y1 true KR200409426Y1 (ko) 2006-02-22

Family

ID=41759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035U KR200409426Y1 (ko) 2005-12-02 2005-12-02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4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794B2 (en) Vibration absorbing pipe for refrigeration compressor
JPH1113671A (ja) 密閉型圧縮機
KR200409426Y1 (ko) 에어컨용 오일분리기의 냉매투입관 연결구조
JP4318904B2 (ja) フィルタ
JP2009041798A (ja) 熱交換器
JP5617805B2 (ja) 圧縮機、この圧縮機の製造方法、及びこの圧縮機の製造に用いられる治具
JP7209842B2 (ja) 圧縮機アキュムレータ及びそれを有する圧縮機
CN211039866U (zh) 一种阀座焊接结构
KR20040017323A (ko) 열 교환기
JP4637407B2 (ja) ストレーナ
KR10054843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어큐뮬레이터
CN203051132U (zh) 压缩机
WO2003008891A1 (fr) Echangeur de chaleur
JP4390597B2 (ja) 二重管の分岐部の製造方法
JP2006329142A (ja) 密閉型圧縮機
JP2006037757A (ja) 圧縮機
JP2011202672A (ja) 接合体とそれを有する熱交換器
JP2002317767A (ja) 密閉型圧縮機
KR100680160B1 (ko) 냉매 파이프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69753B1 (ko) 열교환기 헤드의 파이프 연결구
KR200205883Y1 (ko) 냉방기의 어큐뮬레이터
KR200205884Y1 (ko) 냉방기의 어큐뮬레이터
KR200308871Y1 (ko) 압축기용 어큐뮤레이터 연결튜브
KR200242217Y1 (ko)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JP2004019840A (ja) パイプアッセンブリ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