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217Y1 -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217Y1
KR200242217Y1 KR2019980021381U KR19980021381U KR200242217Y1 KR 200242217 Y1 KR200242217 Y1 KR 200242217Y1 KR 2019980021381 U KR2019980021381 U KR 2019980021381U KR 19980021381 U KR19980021381 U KR 19980021381U KR 200242217 Y1 KR200242217 Y1 KR 2002422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pipe
tube
air conditioner
pipe
lo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1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9421U (ko
Inventor
홍성목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2019980021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21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94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94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217Y1/ko

Links

Landscapes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튜브를 헤더 파이프에 납땜 연결하되, 납땜접촉부의 면적을 최대한 넓혀 납땜을 했을 때, 기밀유지가 보다 완전하게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인입 파이프가 연결되는 일측의 헤더 파이프와, 인출 파이프가 연결되는 타측의 헤더 파이프와, 이들 헤더 파이프의 사이에 냉각핀에 둘러 쌓인 지그재그 모양의 튜브를 연결하여서된 에어콘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한 헤더 파이프에 튜브의 단면 모양을 따라 장공을 형성한 후, 튜브를 끼우되, 튜브의 둘레와 장공의 사이에 플랜지를 가진 부시를 개입시켜 납땜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본 고안은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헤더 파이프에 튜브를 브래이징 용접 연결하되, 용접되는 접촉면적을 넓게하여 가스누출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콘용 증발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냉매 가스의 인입 파이프(3)가 연결된 일측 헤더 파이프(1)와, 인출 파이프(4)가 연결된 타측 헤더 파이프(1)가 있으며, 이들 헤더 파이프(1)의 사이에는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된 튜브(2)가 연결되어 있는 바, 이때의 냉매 튜브(2)는 다수의 냉각핀(5)으로 둘러 쌓여 있으며, 그 끝단을 헤더 파이프(1)에 연결하기 위해서 브래이징 납땜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헤더 파이프(1) 납땜 구조를 보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튜브(2)의 끝단 모양을 따라 헤더 파이프(1)에 장공(11)을 형성한 후, 여기에 튜브(2)의 끝단을 끼우고 그 둘레에 납땜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땜구조에서는 납땜을 위한 접촉부분의 단면적이 너무 적기 때문에 브래이징로에 통과시켜 어셈브리를 제작하였을 때, 기밀유지가 되지 않는 불량품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고안의 주된 목적은 튜브를 헤더 파이프에 납땜 연결하되, 납땜접촉부의 면적을 최대한 넓혀 납땜을 했을 때, 기밀유지가 보다 완전하게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품질을 향상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인입 파이프가 연결되는 일측의 헤더 파이프와, 인출 파이프가 연결되는 타측의 헤더 파이프와, 이들 헤더 파이프의 사이에 냉각핀에 둘러 쌓인 지그재그 모양의 튜브를 연결하여서된 에어콘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한 헤더 파이프에 튜브의 단면 모양을 따라 장공을 형성한 후, 튜브를 끼우되, 튜브의 둘레와 장공의 사이에 플랜지를 가진 부시를 개입시켜 납땜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콘용 증발기를 보인 평면도와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에어콘용 헤더 파이프의 조립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에어콘용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조립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헤더 파이프 2 : 튜브
3 : 인입 파이프 4 : 인출 파이프
5 : 냉각핀 6 : 부시
11 : 장공 12 : 테두리부
61 : 플랜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요부 단면도로서 헤더 파이프(1)와, 튜브(2)의 결합상태를 볼 수 있다.
즉, 헤더 파이프(1)에 튜브(2)의 단면 모양을 따라 장공(11)을 형성한 다음, 플랜지(61)를 가진 부시(6)를 개입시켜 부시(6)가 튜브(2)의 둘레에 접하게 하고, 또 플랜지(61)가 헤더 파이프(1)의 장공(11) 테두리에 접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헤더 파이프(1)의 부시(6) 속으로 튜브(2)를 삽입한 후, 납땜을 하게 되면 부시(6)의 내주면이 튜브(2)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할 뿐만 아니라, 플랜지(61)가 장공(11)의 주변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기 때문에 밀폐성능이 향상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달리 실시할 수 있다.
즉, 부시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헤더 파이프(1) 장공(11)의 둘레를 안쪽으로 꺾어 테두리부(12)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는 앞에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테두리부(12)가 튜브(2)의 둘레에 넓게 접촉하는 장점을 갖는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플랜지(61)가 장공(11)의 주변과 접하고, 부시(6)의 내주면 또는, 안쪽으로 꺾은 테두리부(12)가 튜브(2)와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고, 플랜지(61)가 장공(11)의 주변과 접하는 면적을 넓게 하기 때문에 납땜을 했을 때, 밀폐효과가 월등히 배가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인입 파이프(3)가 연결되는 일측의 헤더 파이프(1)와, 인출 파이프(4)가 연결되는 타측의 헤더 파이프(1)와, 이들 헤더 파이프(1)의 사이에 냉각핀(5)에 둘러 쌓인 지그재그 모양의 튜브(2)를 연결하여서된 에어콘용 증발기에 있어서,
    상기한 헤더 파이프(1)에 튜브(2)의 단면 모양을 따라 장공(11)을 형성한 후, 튜브(2)를 끼우고, 튜브(2)의 둘레와 장공(11)의 사이에 플랜지(61)를 가진 부시(6)를 개입시켜 납땜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헤더 파이프(1)의 장공(11)은 그 둘레를 따라 안쪽으로 꺾은 테두리부(1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KR2019980021381U 1998-11-04 1998-11-04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KR200242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381U KR200242217Y1 (ko) 1998-11-04 1998-11-04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1381U KR200242217Y1 (ko) 1998-11-04 1998-11-04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21U KR20000009421U (ko) 2000-06-05
KR200242217Y1 true KR200242217Y1 (ko) 2001-11-16

Family

ID=6952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1381U KR200242217Y1 (ko) 1998-11-04 1998-11-04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21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9421U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5119A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274586B1 (ko) 열 교환기
US11614286B2 (en) Un-finned heat exchanger
EP0182476B1 (en) Compressor ca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5092398A (en) Automotive parallel flow type heat exchanger
JPH06229696A (ja) 熱交換器
KR200242217Y1 (ko) 에어콘용 증발기의 헤더 파이프 조립구조
JPH09159391A (ja) 熱交換器用ヘッダーパイプ
JPH11311494A (ja) 熱交換器用タンクのパイプ接合方法
WO2022156545A1 (zh) 集气管组件
CN216845766U (zh) 换热器和具有该换热器的空调系统
KR101970966B1 (ko) 열교환기의 입출구배관 연결용 입출구 부재
KR20050104176A (ko) 열교환기용 헤더 파이프의 냉매 입출구 파이프 가조립방법
KR100649438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JPH10238992A (ja) 熱交換器用タンクへのパイプ取付構造
JP3317672B2 (ja) 熱交換器
KR100363747B1 (ko) 자동차용 오일쿨러
WO2022185817A1 (ja) 熱交換器
US20030121647A1 (en)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06576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CN213631745U (zh) 换热器内翅片结构及换热器和车辆
KR102028433B1 (ko) 기밀부재를 이용한 보일러용 열교환기의 튜브 결합구조
KR200303965Y1 (ko) 열교환기용 헤더파이프
KR200231205Y1 (ko) 하나의 토출관으로 냉동용 압축기의 실린더와연결되어지는 어큐뮬레이터
KR940007200B1 (ko) 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