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576Y1 -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576Y1
KR200406576Y1 KR2020050030436U KR20050030436U KR200406576Y1 KR 200406576 Y1 KR200406576 Y1 KR 200406576Y1 KR 2020050030436 U KR2020050030436 U KR 2020050030436U KR 20050030436 U KR20050030436 U KR 20050030436U KR 200406576 Y1 KR200406576 Y1 KR 200406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denser
compressor
connecto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04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고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고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고산
Priority to KR20200500304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1/00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 F28F11/02Arrangements for sealing leaky tubes and conduits using obturating elements, e.g. washers, inserted and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1/00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28F21/08Constructions of heat-exchange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of metal
    • F28F21/081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 F28F21/084Heat exchange elements made from metals or metal alloys from 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28F9/002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with fastening means f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sleeves, nip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30/00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압축기 또는 증발기와 연결된 순환관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압축기 및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순환관을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하단에는 상기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호 접합 단부를 용접할 수 있도록 내향절곡단턱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외향절곡단턱이 형성된 하부연결관; 일정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상단은 상기 압축기/증발기의 순환관과 결합되면서 그 하단은 상기 하부연결관의 외향절곡단턱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상부연결관; 및 상기 하부연결관의 외향절곡단턱의 외주면에 끼워짐으로서 결합된 상부연결관을 압착 고정하도록 일정높이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링 형태의 내주면은 하단의 직경이 상단보다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된 압착링; 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Header pipe connection implement for condensation }
도 1은 종래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적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압축기 20: 증발기
10a, 20a: 순환관 30: 응축기
32: 헤더 파이프 100: 하부연결관
120: 내향절곡단턱 140: 외향절곡단턱
200: 상부연결관 300: 압착링
본 고안은 에어컨 등에 사용되는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압축기 또는 증발기와 연결된 순환관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나 냉장고의 냉매 순환 구조는 크게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공급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냉각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응축기로부터 냉각된 냉매를 이용하여 외부공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발기로 구성되며, 상기 증발기로부터 열교환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순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통상 압축기와 증발기는 열전달이 우수한 구리합금으로 제조 형성되며, 상기 응축기의 경우 알루미늄합금으로 제조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압축기와 증발기를 응축기에 연결시 압축기 및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구리합금 순환관을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연결해야 하는데, 상기 구리합금과 알루미늄합금은 그 특성상 상호 용융점이 다르기 때문에 긴밀하고 안전한 용접 고정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증발기의 순환관과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를 상호 긴밀하게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구가 제안되었는바, 상기 연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압축기/증발기(10, 20)의 순환관(10a, 20a)이 결합되는 구리합금 재질의 상부블록(1),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2)와 용접 고정되는 알루미늄합금 재질의 하부블록(2), 상기 상/하부 블록(1, 2)을 고정하기 위한 결합볼트(3) 및 상기 압축기/증발기(10, 20)의 순환관(10a, 20a)과 연결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구리합금 재질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상기 상부블록(2)을 관통하여 용접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블록(1)을 통해 상기 헤더 파이프와 연통되는 연결관(4)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상부블록(1)과 하부블록(2) 상이에 결합되는 연결관(4)의 단부에는 실링(5)이 결합되어 냉매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많은 부품의 조합에 따른 생산비용의 상승과 이들을 각각 용접하고 조립하는 일련의 과정에 따른 작업능률의 저하 등 생산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됨으로서 이에 대한 시급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문제점 및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으로는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압축기 또는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순환관을 보다 긴밀하고 안전하게 연결하기 위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구리합금으로 형성되면서 압축기 또는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순환관을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압착하여 연결하기 위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압축기 및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순환관을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하단에는 상기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호 접합 단부를 용접할 수 있도록 내향절곡단턱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외향절곡단턱이 형성된 하부연결관;
일정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상단은 상기 압축기/증발기의 순환관과 결합되면서 그 하단은 상기 하부연결관의 외향절곡단턱에 끼움 결합되도록 하는 상부연결관; 및
상기 하부연결관의 외향절곡단턱의 외주면에 끼워짐으로서 결합된 상부연결관을 압착 고정하도록 일정높이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링 형태의 내주면은 하단의 직경이 상단보다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된 압착링; 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연결관은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와 동일한 재질의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연결관은 압축기/증발기의 순환관과 동일한 재질의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를 도시한 적용상태도 이다.
본 고안의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2)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연결관(100)과 압축기/증발기(10, 20)의 순환관(10a, 20a)과 결합되는 상부연결관(200) 및 상기 상/하부 연결관을 압착 고정하기 위한 압착링(30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2)와 압축기/증발기(10, 20)의 순환관(10a, 20a) 사이에서 상호 긴밀하고 안전한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하부연결관(100)은 그 하단이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2)와 결합되면서 그 상단은 상기 상부연결관(200)과 결합되도록 하단에는 내향절곡단턱(120)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외향절곡단턱이(14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응축기(30)는 냉각핀이 형성된 다수개의 모세관으로 냉매를 분배 및 순환시키기 위한 헤더 파이프(32)가 형성되는바, 상기 헤더 파이프(32)에는 압축기로부터 냉매가 공급되는 공급구와 증발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향절곡단턱(120)을 헤더 파이프(32)의 공급구와 배출구에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내향절곡단턱(120)의 절곡된 단부와 헤더 파이프(32)의 공급구 또는 배출구가 형성된 외주면이 상호 긴밀하게 용접된다.
또한, 상기 외향절곡단턱(140)에는 내부에 상부연결관(200)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외부에 압착링(300)을 통해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연결관(100)은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2)와 긴밀하고 안전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알루미늄합금 재질로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연결관(200)은 일단이 압축기(10) 또는 증발기(20)의 순환관(10a, 20a)과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은 하부연결관(1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연결관(200)의 일단은 압축기(10) 또는 증발기(20)의 순환관(10a, 20a)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결합 고정되도록 하되, 그 타단에는 상기 하부연결관(100)의 외향절곡단턱(140)에 억지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연결관(200)은 구리합금으로 형성된 압축기(10) 또는 증발기(20)의 순환관(10a, 20a)과 긴밀하고 안전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 구리합금 재질로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압착링(300)은 상기 하부연결관(100)의 외향절곡단턱(140)의 외주면에 끼워짐으로서 결합된 상부연결관(200)을 압착 고정하도록 일정높이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링 형태의 내주면은 하단의 직경이 상단보다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하부연결관(100)의 외향절곡단턱(140)에 상부연결관(200)을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압착링(200)의 하단이 상기 외향절곡단턱(140)의 상단을 커버하면서 압착되는데, 이때 상기 압착링(300)의 상단이 좁아지면서 상기 외향절곡단턱(140)과의 긴밀한 압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연결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하부연결관(100, 200)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끼워 결합한다. 즉, 하부연결관(100)의 외향절곡단턱(140)에 상부연결관(200)의 하단을 끼워 넣음으로서 상호 결합한다.
이어, 상기 압착링(300)을 상부연결관(200) 측으로부터 끼워넣어 하부연결관(100)의 외향절곡단턱(14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압착링(300)의 상단을 때리면 상협하광의 내주 경사면에 의해 하부연결관(100)의 외향절곡단턱(140)과 상부연결관(200)의 하단이 압착되는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어, 상기 하부연결관(100)의 내향절곡단턱(120)을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2)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접한 단부를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상부연결관(200)의 끝단도 압축기(10) 또는 증발기(20)의 순환관(10a, 20a)과 결합한 상태에서 용접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 응축기(30)의 헤더 파이프(32)에 결합하기 위한 하부연결관(100)은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호 용융점이 같아서 긴밀하고 안전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구리합금으로 형성된 압축기(10) 또는 증발기(20)의 순환관(10a, 20a)에 결합하기 위한 상부연결관(200)은 구리합금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호 용융접이 같아서 긴밀하고 안전한 용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재질이 다른 상/하부연결관(100, 200)은 외향절곡단턱(220)을 통해 상호 긴밀한 결합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압착링(300)을 통해 보다 긴 밀하고 견고한 용접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서 에어컨이나 냉장고의 운전시 결합부분을 통한 냉매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는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결합하기 위한 하부연결관과 압축기 또는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순환관에 결합하기 위한 상부연결관을 구비하되, 상기 상/하부연결관의 결합이 보다 긴밀하고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됨으로서, 상기 상/하부연결관을 통한 작업능률의 향상과 생산비용의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나아가 상기 하부연결관은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와 같은 재질의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하여 상호 용접 고정하고 상기 상부연결관은 압축기 또는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순환관과 같은 재질의 구리합금으로 형성하여 상호 용접 고정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연결관은 압착링에 의한 견고한 결합 고정이 이루어짐으로서, 보다 긴밀하고 안전한 결합을 통해 냉매의 누수를 방지하면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전이 이루어지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2)

  1. 압축기 및 증발기로부터 연결된 순환관을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일정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하단에는 상기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호 접합 단부를 용접할 수 있도록 내향절곡단턱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외향절곡단턱이 형성된 하부연결관;
    일정길이의 파이프 형상으로서 그 상단은 상기 압축기/증발기의 순환관과 결합되면서 그 하단은 상기 하부연결관의 외향절곡단턱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상부연결관; 및
    상기 하부연결관의 외향절곡단턱의 외주면에 끼워짐으로서 결합된 상부연결관을 압착 고정하도록 일정높이를 갖는 링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링 형태의 내주면은 하단의 직경이 상단보다 넓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된 압착링;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연결관은 응축기의 헤더 파이프와 동일한 재질의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연결관은 압축기/증발기의 순환관과 동일한 재질의 구리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KR2020050030436U 2005-10-26 2005-10-26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KR200406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36U KR200406576Y1 (ko) 2005-10-26 2005-10-26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0436U KR200406576Y1 (ko) 2005-10-26 2005-10-26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576Y1 true KR200406576Y1 (ko) 2006-01-23

Family

ID=4175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436U KR200406576Y1 (ko) 2005-10-26 2005-10-26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5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8060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CN106482568B (zh) 用于换热器的换热管、换热器及其装配方法
KR100893745B1 (ko) 공기조화기
JP4307933B2 (ja) 熱交換器の冷媒漏れ防止構造の形成方法
JP2006003071A (ja) 熱交換器
CN205049038U (zh) 用于换热器的换热管和换热器
KR200406575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JP2009041798A (ja) 熱交換器
KR200406576Y1 (ko) 응축기용 헤더 파이프 연결구
JP3899173B2 (ja) 熱交換器
KR101110859B1 (ko) 열교환기용 핀튜브
KR101040409B1 (ko) 응축유닛 조립체
KR100503486B1 (ko) 냉동기의 냉매파이프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KR20160117376A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200270457Y1 (ko) 냉동설비용 어큐뮬레이터
KR100833484B1 (ko) 일체형의 수액기를 가지는 열교환기와 이의 제조방법
KR100558819B1 (ko) 열교환기의 리턴벤드 결합방법
KR101694671B1 (ko) 입출구파이프를 포함한 열교환기 제조방법
KR100649438B1 (ko) 열교환기의 파이프 연결구조
CN212157731U (zh) 换热器及制冷系统
KR101694670B1 (ko) 열교환기용 입출구파이프 연결부재
WO2020213227A1 (ja) 熱交換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凍システム
KR20030058079A (ko) 열교환기의 조립방법
KR20200027061A (ko) 열 교환용 이중관
KR200391531Y1 (ko) 냉동싸이클용 흡입관과 캐피러리 튜브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